산업
-
파블로항공-프리뉴, 전략적 기술 개발 교류 협력 위한 MOU 체결
안산--(뉴스와이어)--무인 이동체 자율군집제어 전문 기업인 파블로항공(대표 김영준)과 무인기 설계 제조 및 항전부품개발 전문 기업 프리뉴(대표 이종경)가 ‘전략적 기술 개발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MOU)’을 6일 체결했다고 밝혔다.||||||||||||||||||||||||경기 안산시 프리뉴 본사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김영준 파블로항공 대표와 이장철 사업부사장 임승한 기술부사장 김준영 운영이사 유동일 기술본부장 이종경 프리뉴 대표이사 김제중 이사 가충희 연구소장 정용범 이사 김영수 이사 등이 참석했다.||프리뉴는 차별적 기체 설계 기술과 자체 생산 체계를 통해 산업용 UAV 핵심 항전부품 관제 시스템 운용 서비스용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으며 지난해 드론 기업 최초로 산업통상자원부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에 선정돼 D-DMB (Drone Main Board) 개발을 완료했다. 또 혁신 제품으로 프리뉴 기체와 핵심부품 개발 기술을 종합한 통합항전시스템(ARK)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양 사는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상호 보유한 핵심 기술력을 제품 및 서비스 개발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국내·외 드론 산업과 기술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협력할 방침이다. 주요 협약 내용으로 △양 사 드론 시스템 개발을 위한 상호 협력 △파블로 항공 3D 통합관제 기능에 대한 프리뉴 드로닛 플랫폼 적용 및 활용 등이다.||이종경 프리뉴 대표는 “양 사가 현재 개발하고 있는 주요 기술을 전략적으로 교류해 국내 비즈니스 확장과 해외 시장 진출의 교두보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파블로항공은 11월 16일 UAM 교통관리플랫폼 ‘어반링크X (UrbanLinkX)’로 스마트시티 부문 CES 2024 혁신상을 수상해 통합관제 관련 기술력과 혁신성을 입증했으며 내년 IPO를 앞두고 CES 2024 전시회에 참가해 파블로항공만의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여주는 공연용 드론을 홍보하고 드론 기체와 드론쇼의 해외 진출을 본격화할 예정이다.||김영준 파블로항공 대표는 “이번 협약을 기반으로 프리뉴와 시너지를 창출할 협력적 연구를 진행하고 더 발전한 제품과 서비스를 선보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양 사 모두 드론 및 무인 이동체 분야에서 선도적인 기술력을 확보해 경쟁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프리뉴 소개||프리뉴는 무인항공기(드론) 하드웨어(H/W) 제조 기술 소프트웨어(S/W) 개발 기술과 IT 핵심 기술의 융합을 통해 획기적인 드론 시스템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유일의 선도적인 드론 전문 기업이다. IT 기술과 융합을 통해 드론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플랫폼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웹사이트: https://www.preneu.com/||||||||연락처||||프리뉴||마케팅팀||박정화 주임||070-4639-1903||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프리뉴||||||배포 분야||||IT||소프트웨어||산업||항공/무기||제휴||인천/경기||CES 2024
Thu, 07 Dec 2023 09:30:00 +0900
-
비츠로셀, 메이크센스에 추가 투자… 이차전지 소재 개발 집중
당진--(뉴스와이어)--리튬 일차전지 및 이차전지 소재 전문 기업 비츠로셀(대표 장승국)이 이차전지 소재 개발에 집중하기 위해 투자를 확대한다.||||||||||||||||||||||||비츠로셀은 6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캐나다 스타트업 Makesense(메이스센스)가 발행한 전환사채를 인수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투자 규모는 CAD 200만달러(약 19억9000만원)이다. 비츠로셀은 2021년 6월부터 메이크센스의 지분 46.57%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번 전환사채 전량에 대한 전환권 행사 시 65.7%까지 지분율 확대가 가능하다.||비츠로셀은 2021년부터 메이크센스와의 전략적 기술 제휴를 통해 실리콘 복합소재 등 이차전지 소재 및 공정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이번 투자가 중장기 사업의 핵심 원천 기술 확보 및 연구 개발 능력 강화 이미 양산 중인 특수목적용 이차전지와의 시너지 효과 창출 등의 성과를 낼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장승국 비츠로셀 대표는 “앞으로도 이차전지 소재 리튬 리사이클링 등 신사업 분야를 확대하기 위해 자체 R&BD를 가속하면서 우수한 기술·제품을 보유한 유망 기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비츠로셀은 올해 7월 한국거래소에서 선정하는 ‘코스닥 라이징스타’ 기업에 3년 연속 선정됐고 12월 5일에는 한국무역협회에서 ‘1억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는 등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다.||비츠로셀 소개||비츠로셀은 1987년 설립된 리튬 일차전지 및 이차전지 소재 기업이다. △스마트 미터기 군 통신 장비 전자기기 및 위치추적장치 전원용 리튬전지 △유도 무기 포탄 등 군수용 열전지 및 앰플전지 △석유 시추 등에 사용되는 고온전지 △EDLC(슈퍼 캐패시터) 등을 통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필름형 배터리 특수목적용 이차전지 이차전지 소재 등에도 활발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s://www.vitzrocell.com/en/||||||||연락처||||비츠로셀||마케팅팀||조희준 팀장||02-2024-3246||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비츠로셀||||||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화학||투자||대전/충남
Thu, 07 Dec 2023 08:00:00 +0900
-
현대엘리베이터, 노사정 상생 공동선언문 체결
충주--(뉴스와이어)--현대엘리베이터 노동조합과 회사 충주고용노동지청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충북·음성지부가 6일 ‘노사정 상생 공동선언문’을 체결했다.||||||||||||||||||||||||선언문에는 노사 협력이 기업 경쟁력이라는 공감 하에 회사는 투명하고 윤리적인 경영을 통해 노사 간 신뢰 기반을 공고히 하고 노동조합은 끊임없는 역량개발로 기업 경쟁력 향상을 도모하며 노동청은 고용의 안정과 협력적인 노사관계 유지를 위해 행정적 지원을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이번 선언문에는 현대엘리베이터 주인수 노동조합 위원장 윤민욱 사무직 노동조합 위원장 박시범 CHO 이점석 고용노동부 충주지청장 정민환 한국노총 충주음성지역지부 의장이 서약했다.||주인수 위원장은 “노사정이 함께 뜻을 모아 충주 지역경제 및 노사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어서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에 박시범 CHO는 “본사 이전 후 충주지청을 비롯한 여러 지역기관의 도움 덕분에 조기에 안정화시킬 수 있었다”며 “지역 경제를 선도하고 노사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화답했다.||1984년 창립한 현대엘리베이터 노사는 ‘동행(同行)’을 기치로 상생협력을 통해 성장해왔다. 2014년 고용창출 100대 우수기업 2015년 노사문화유공 산업포장을 받은 바 있다. 2013년 1400여명이었던 임직원 수는 10년 새 2600명으로 두 배 이상 늘었으며 460여개 협력사와 동반성장을 도모하고 있다.||윤민욱 위원장은 “조합원들과 함께 고객 만족 향상을 위해 회사와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점석 지청장은 “공동선언을 기반으로 상생의 노사문화가 지역 내 확산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한편 2022년 충주로 본사를 이전한 현대엘리베이터는 사물 인터넷(IoT) 물류 자동화 등 4차 산업혁명 기술과 태양광 발전 등 친환경 시스템을 적용해 연 생산 2만5000대 규모의 스마트 캠퍼스를 운영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www.hyundaielevator.co.kr||||||||연락처||||현대엘리베이터||커뮤니케이션팀||조찬호 부장||02-3670-0673||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현대엘리베이터||||||배포 분야||||경제||노동||산업||기계/플랜트||기업문화||충북
Wed, 06 Dec 2023 15:23:21 +0900
-
현대엘리베이터, KMAC ‘2023 한국의경영대상’ Practice 부문 수상
충주--(뉴스와이어)--현대엘리베이터가 첨단 유지관리 서비스 ‘미리(MIRI)’로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이 주관하는 ‘2023 한국의경영대상’에서 프랙티스(Practice) 부문 ‘혁신 제품/올해의 서비스’로 선정됐다고 5일 밝혔다.||||||||||||||||||||||||6월 선보인 미리(MIRI) 서비스는 유지관리 혁신과 실시간 정보(Maintenance Innovation & Real-time Information)의 약자로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및 빅데이터 기술을 적용해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사전에 고장 및 교체 주기를 예측해 대응할 수 있게 한 첨단 유지관리 시스템이다.||조재천 현대엘리베이터 대표이사는 “이번 수상으로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선제적으로 적용해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노력을 인정받아 기쁘다”며 “앞으로도 고객들께 수준 높은 이동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예지보전 기술에 기반한 미리는 승강기 고장으로 인한 운행 정지 건수는 기존 대비 43% 승강기 비가동시간은 20.6% 감소시켜 이동 효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이와 함께 로봇 연동 기능은 물론 API(Application Programing Interface)를 기반으로 스마트 기기 건물관리시스템(BIS) 등 외부 시스템과의 연동도 가능케 했다.||특히 연계 서비스인 미리뷰(MIRI View)는 AI 음성·영상 인식 기술로 승객의 안전을 지킨다.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비명 등 이상 소음이 발생하거나 응급 환자나 범죄 행위 등 이상 행동이 감지되면 즉시 관제실이나 고객센터에 알리고 내부 영상 및 음성을 전송해 빠른 대처를 가능케 한다.||한국의경영대상 심사위원단은 심사평에서 승강기 첨단 유지관리 서비스 ‘미리(MIRI)’가 고객의 안전과 편리한 이동을 실현하는 한편 기업의 디지털 경쟁력을 제고하고 고객관리와 접점 직원의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켜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밝혔다.||||||웹사이트: http://www.hyundaielevator.co.kr||||||||연락처||||현대엘리베이터||커뮤니케이션팀||조찬호 부장||02-3670-0673||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현대엘리베이터||||||배포 분야||||산업||기계/플랜트||수상/선정||충북
Tue, 05 Dec 2023 15:43:56 +0900
-
도레이첨단소재, 무역의 날 ‘8억불 수출의 탑’ 수상 영예
서울--(뉴스와이어)--도레이첨단소재(대표이사 사장 전해상)가 올해로 60주년을 맞는 무역의 날을 맞아 2023년 ‘8억불 수출의 탑’을 수상했다.||||||||||||||||||||||||도레이첨단소재는 폴리에스터 필름 및 IT소재 탄소섬유 복합재료 PPS수지 수처리 필터 스펀본드 부직포 원면 원사 아라미드 등 각 사업부문에서 고도의 기술력과 차별화된 제품 품질 혁신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수출 경쟁력을 인정받은 것이다.||전해상 사장은 “과감한 투자와 적극적인 M&A를 통해 신성장 동력을 지속 확충하고 있다”며 “이를 바탕으로 수출 확대 및 질적 고도화 신시장 개척 등 대한민국 소재 산업의 위상을 높여 나갈 것”이라고 소감을 밝혔다.||도레이첨단소재는 올해 탄소섬유와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설비 증설 수처리 O&M 및 이차전지 분리막 사업 진출 등 친환경 첨단소재 분야로 사업을 확대하며 ESG경영을 강화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www.torayamk.com||||||||연락처||||도레이첨단소재||커뮤니케이션팀||김흥수 책임||02-3279-1115||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도레이첨단소재||||||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수상/선정||서울
Tue, 05 Dec 2023 10:48:34 +0900
-
한화시스템, 국내 최초 ‘순수 우리 기술’ 민간 위성 발사
서울--(뉴스와이어)--국내 최초 ‘순수 우리 기술’로 개발한 민간 주도의 상용 지구관측 위성이 자체 발사에 성공했다. 한화시스템(대표이사 어성철)은 자체 개발·제작한 ‘소형 SAR 위성’을 제주도 남쪽 해상에서 4일 오후 2시 정각에 성공적으로 발사했다고 밝혔다.||한화시스템 ‘소형 SAR 위성’ 발사는 해외 의존도가 높았던 위성 제조·발사 분야의 국내 기술력을 증명해낸 것으로 우주 강국들이 기술 패권을 유지하기 위해 수출을 통제해왔던 분야에서 국내 첫 국산화를 이뤄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발사체는 정부가 앞서 개발한 고체 발사체 및 궤도진입 기술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정부 기술지원과 민간 기업의 기술력을 결집해 이번 성과를 거뒀다.||현재 한화시스템은 용인연구소 위성관제센터에서 위성과 지상 기지국과의 첫 교신을 대기 중이다.||한화시스템은 소형 SAR 위성을 활용해 B2G(기업과 정부 간 거래)·B2B(기업 간 거래)용 △고해상도 위성 이미지 분석을 통한 환경 모니터링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도 제작을 위한 데이터 분석 △위성 영상 정보를 자동 융합·분석해 다양한 부가 가치를 창출할 예정이다.||한화시스템이 개발한 소형 SAR 위성은 일반 위성과는 다르게 탑재체와 본체 및 태양전지판이 일체화된 형태이다. 다수의 전장품을 하나로 통합해 발사체에 최대한 많이 실을 수 있도록 설계돼 발사 비용이 크게 절감될 것으로 기대된다.||어성철 한화시스템 대표이사는 “국민의 세금으로 개발·축적된 우주산업 기술이 민간기업들의 도전을 통해 국민의 편의와 안전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면 더 없이 감사한 일”이라며 “한화시스템은 민간 주도의 위성 개발·제조·발사·관제·서비스까지 사업 영역을 확대해 나가며 K-우주산업 대표 위성 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뜻을 밝혔다.||한편 이번 제주 해상 발사는 7월 한화시스템-제주특별자치도 간 ‘제주 민간 우주산업 육성 MOU’ 체결을 통해 제주 우주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협력에 따라 이뤄졌다. 특히 한화시스템은 제주도에 위성 개발·제조시설인 ‘한화우주센터’ 구축을 통해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SAR(합성개구레이다 Synthetic Aperture Radar): 공중에서 지상 및 해양에 레이다파를 순차적으로 쏜 후 레이다파가 굴곡면에 반사돼 돌아오는 미세한 시간차를 선착순으로 합성해 지상 지형도를 만들어 내는 레이다 시스템. 주야간 및 악천후에도 영상 정보 획득 가능해 에너지 탐사 자원 모니터링 재해·재난 감시 기후·환경 감시 건설·인프라 안보 분야 및 분쟁지역에서 활용도가 높다.||||||웹사이트: https://www.hanwhasystems.com/kr/index.d...||||||||연락처||||한화시스템||커뮤니케이션팀||김수진 과장||02-729-2141||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한화시스템||||||배포 분야||||산업||항공/무기||실적||서울
Mon, 04 Dec 2023 15:50:50 +0900
-
한화시스템, K2전차의 ‘브레인’ 폴란드 수출… 사격통제시스템 공급 계약 체결
서울--(뉴스와이어)--한화시스템(대표이사 어성철)이 지난해 8월 폴란드에 수출 계약을 체결한 K2전차 180대에 사격통제시스템 공급한다고 4일 밝혔다. 계약 규모는 약 2574억원이다.||||||||||||||||||||||||폴란드에 수출하는 K2전차는 현재 국내 전력화된 전차와 동일한 사양으로 긴급 공급하는 1차 사업과 폴란드가 원하는 사양으로 개량 공급하는 2차 사업으로 구분되며 이번에 진행된 수출 계약 건은 1차 사업에 해당한다.||전차의 두뇌로 불리는 사격통제시스템은 사격통제컴퓨터·포수 및 전차장 조준경·전시기·통제판·열상잠망경·레이저경고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사격통제컴퓨터는 포탑 내부의 주변장치들과 연동해 △포·포탑·조준경 제어 △탄도 계산 △자동추적 기능 등을 수행해 화력 체계를 통제하고 각종 미사일에 대한 기민한 대응을 통해 전차의 생존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한화시스템 어성철 대표이사는 “세계적으로 군사 안보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K 방산은 가격·품질·공급 면에서 뛰어난 강점을 바탕으로 중동·유럽 등에 잇따른 명품 무기체계를 수출하며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다”며 “한화시스템은 수출 제품 타깃을 다양한 분야와 국가로 확대하고 기술 경쟁력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K-방산이 주력 수출산업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힘을 보탤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한화시스템은 30여년간 K2전차·K21장갑차·K9자주포·30mm 차륜형대공포와 같은 기동·화력·방공무기체계에 사격통제시스템을 개발해 공급해왔으며 최근 폴란드에 수출된 K9자주포의 사격통제시스템 공급 계약도 체결한 바 있다. 한화시스템은 향후 국내 및 수출용 전차·장갑차에 적용되는 사격통제시스템을 GVA 기반 통합전장품시스템(IVS)로 발전시킬 예정이다.||※ GVA(Generic Vehicle Architecture): 전장품 표준화 기술로 유럽 선진국을 중심으로 무기체계 수명주기 비용 절감을 위해 적용되고 있는 개방형 표준아키텍처※ IVS(Integrated Vetronics System) : 통합전장품체계||||||웹사이트: https://www.hanwhasystems.com/kr/index.d...||||||||연락처||||한화시스템||커뮤니케이션팀||김수진 과장||02-729-2141||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한화시스템||||||배포 분야||||산업||항공/무기||수주||서울
Mon, 04 Dec 2023 11:42:56 +0900
-
한화, 이집트에 ‘K9 자주포 패키지’ 공개… 중동에 맞춤형 ‘안보 솔루션’ 제공
창원--(뉴스와이어)--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K9 자주포 등을 앞세워 지정학적인 위기로 안보 수요가 커지고 있는 중동·아프리카에서의 시장 확대에 나선다.||||||||||||||||||||||||대한민국 대표 방산 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4~7일까지 이집트 카이로에서 열리는 ‘EDEX 2023(이집트 방산 전시회)’에서 전시장 정중앙에 300m² 규모의 대형 전시관을 개설해 참가한다고 4일 밝혔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번 전시회에서 중동·아프리카 지역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글로벌 베스트셀러인 K9 자주포 및 K10 탄약운반차 등으로 구성된 ‘자주포 패키지’를 전시관 중앙에 선보인다.||미래형 보병전투장갑차(IFV)인 레드백과 함께 중동 지역에서 관심이 많은 전술형 유도탄 천검 다련장로켓 천무 등도 전시한다. 미래기술 기반의 첨단 방산 솔루션을 지역 특성에 맞게 현지화해 제공한다는 점을 강조할 계획이다.||전 세계적인 탄약·포탄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155mm 포탄 모듈화 장약(modular charge system·MCS)도 선보인다. 원통 모양으로 모듈화된 추진장약인 MCS는 탄두 뒤에 장전돼 폭발력으로 탄두를 정해진 사거리에 맞춰 포신 밖으로 날려보내는 핵심 탄약 구성품이다.||이미 이번 전시관을 방문 예정인 중동·아프리카의 주요국들은 자주포를 비롯한 첨단 무기체계에 대한 관심이 높다. 특히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이집트와 체결한 2조원 규모의 ‘자주포 패키지’ 계약이 성공적으로 이행되는 것을 확인하면서 인근 중동 국가들의 관심도 커진 상황이다.||||||웹사이트: https://www.hanwhaaerospace.co.kr/||||||||연락처||||한화에어로스페이스||커뮤니케이션팀||최선||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한화에어로스페이스||||||배포 분야||||산업||항공/무기||전시/출품||부산/울산/경남
Mon, 04 Dec 2023 10:55:54 +0900
-
현대엘리베이터, 2023 대한민국 지속가능경영 대상 지배구조 부문 대상 수상
충주--(뉴스와이어)--현대엘리베이터가 1일 대한경영학회와 한국지속가능경영연구원이 공동 주최한 ‘2023 대한민국 지속가능경영 대상’에서 지배구조(Governance)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고 4일 밝혔다.||||||||||||||||||||||||글로벌 위기 속에서 지속적인 혁신과 노력으로 ESG 경영을 실천하고 있는 기업과 공공기관을 발굴하기 위해 마련된 이 상은 △환경 부문(E·환경정책 기후변화 대응) △사회 부문(S·사회정책 인재/인권 경영 고객 보호) △지배구조 부문(G·이사회 및 준법경영 정보공개)에 걸친 전문가 심사를 거쳐 각각 대상을 선정했다.||현대엘리베이터는 올해 이사회 내에 ESG 위원회를 설립하고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을 통해 이해관계자들에게 투명하게 정보를 공개하는 한편 2021년 기계제조업 최초로 준법경영시스템 ISO37301을 획득하는 등 지속가능한 지배구조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10월에는 이런 성과를 인정받아 ESG 평가·데이터 분석기관인 서스틴베스트 ‘2023 종합평가 발표’에서 상반기 대비 ‘규모 등급’과 ‘전체 등급’ 모두 두 단계 상승한 A등급을 받았다.||현대엘리베이터는 앞으로도 투명한 이사회 운영과 이해관계자들과의 소통 강화 준법경영 실천을 통해 ESG 역량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건국대학교 경영관에서 열린 이번 시상식에는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을 비롯해 윤동열 대한경영학회장 김동명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과 학계 기업인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웹사이트: http://www.hyundaielevator.co.kr||||||||연락처||||현대엘리베이터||커뮤니케이션팀||조찬호 부장||02-3670-0673||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현대엘리베이터||||||배포 분야||||산업||기계/플랜트||수상/선정||충북
Mon, 04 Dec 2023 10:46:06 +0900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K9 자주포 폴란드 2차 수출 계약 체결
창원--(뉴스와이어)--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폴란드 군비청과 K9 자주포 등을 추가 수출하는 약 3조4474억원(약 26억달러) 규모의 ‘2차 실행계약(Executive Contract)’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해 7월 폴란드 군비청과 K9 672대 다련장로켓 천무 288대를 수출하기 위한 기본계약(Framework)을 체결했다. 같은 해 8월에는 K9 212대 11월에는 천무 218대를 1차로 계약했다. 이번 계약은 K9의 남은 계약 물량(460대) 중 일부인 152문을 금융계약 체결 등을 조건으로 2027년까지 순차적으로 공급하기로 한 것이다.||이번 계약으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폴란드에 K9자주포 및 자주포용 155mm 탄약과 K9 유지·보수를 위한 종합군수지원패키지(ILS·Integrated Logistics Support)를 공급하고 K9 유지 부품의 현지 생산에 협력하기로 했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기존 계약 실행을 통해 맺은 폴란드와 깊은 신뢰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하게 됐다며 폴란드 수출의 남은 계약 물량을 모두 마무리해 K-방산이 대한민국의 미래 먹을거리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웹사이트: https://www.hanwhaaerospace.co.kr/||||||||연락처||||한화에어로스페이스||커뮤니케이션팀||남민우||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한화에어로스페이스||||||배포 분야||||산업||항공/무기||수주||부산/울산/경남
Mon, 04 Dec 2023 09:00:10 +0900
-
아크로셀바이오사이언스, 생체 조직 개발 솔루션 ‘아크로툴’ 출시
서울--(뉴스와이어)--생체 조직을 제작하는 솔루션이 국내 업체에 의해 출시됐다.||바이오 소재 연구개발 기업 아크로셀바이오사이언스(대표 송병호 이하 아크로셀)가 자사 고유 기술 ‘SlabON®’을 기반으로 개발한 생체 조직 제작 솔루션 ‘아크로툴(AkroTool™)’을 12월 1일 자로 출시했다고 밝혔다.||‘아크로툴’은 피부 연골 및 인체 주요장기 조직과 같은 생체 조직을 자연 상태에 가깝게 제작할 수 있는 기술 솔루션으로 의약품 소비재 동물실험대체법 개발 등 다양한 산업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아크로툴’은 아크로셀이 보유한 SlabON® 기술에 기반한 프로세스를 통해 과거 시도되던 조직구조체 제작 기술 대비 획기적으로 확대된 크기의 생체조직을 제작하는 솔루션이다. 아크로셀은 각 수요기업의 니즈에 따라 맞춤형으로 ‘아크로툴’ 솔루션을 공급할 계획이다.||기존의 생체 조직 제작 시도에서 발생한 주요 문제 중 하나는 구조체 내 세포 밀도의 부족과 불균일성으로 인해 원하는 크기와 형상을 구현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이었다. ‘아크로툴’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혁신적인 솔루션으로 전세계 특허를 취득한 원천 기술 플랫폼 SlabON®을 통해 세포 밀도를 크게 증가시키면서 원하는 크기와 형태로 생체 조직을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생체조직의 제작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특히 의약품 화장품 등의 개발에 요구되는 비임상 실험에서 실험동물 희생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 고려된다.||실제로 전 세계적으로 연구 개발을 위해 희생되는 동물의 수는 연간 5억 마리 국내에서도 500만 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로 인해 동물복지에 대한 관심이 제고되고 있으며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제품허가 과정에서 비임상 동물평가 자료를 대체하는 자료 제출이 요구되는 등 동물대체 시험법에 대한 제도적 대비가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다.||생체 조직의 제작은 소비자의 실생활에도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동물세포의 배양을 통해 동물을 직접 희생시키지 않더라도 육류 제품이나 가죽 제품 등의 원료인 배양 소재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배양소재 분야는 ‘비건소비’와 동물복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소비 트렌드를 반영해 최근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업사이드 푸드 등 배양육 관련 기업이 대규모 투자를 유치한 바 있으며 럭셔리 패션 브랜드 구찌의 모회사인 프랑스 케링이 최근 배양가죽 관련 연구개발을 수행 중인 미국 캘리포니아 소재 바이오텍 기업에 투자를 진행해 이목을 끌기도 했다.||아크로셀은 ‘아크로툴’을 통해 다양한 동물종의 특정 조직세포를 채취하고 확장 배양해 생체 조직을 구현함으로써 이를 각종 비임상 실험에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배양육 및 배양가죽 분야에서 신제품 개발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송병호 아크로셀 대표는 “아크로툴의 출시를 통해 친환경적이며 ESG 경영 기조에 도움이 되는 동물실험 대체법 및 배양소재 개발에 기술 역량을 투입해 사업화를 지원하고 장기적으로는 첨단 조직재생치료제 인공장기 개발에 적용 가능한 기술로 고도화 및 상업화를 달성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농림축산검역본부 ‘2022년 동물실험윤리위원회(IACUC) 운영 및 동물실험 실태 조사’||아크로셀바이오사이언스 소개||아크로셀바이오사이언스는 2021년 4월 설립된 벤처기업으로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바이오벤처기업 육성 프로그램인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Bio Core Facility 입주기업이다. 혁신적 생체조직 구현 플랫폼 ‘SlabON®’을 이용한 생체조직 제작 솔루션 개발 배양소재 개발 및 사업화 첨단 재생의료 사업화 그리고 첨단 조직재생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연구개발 및 기술사업화를 수행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s://www.akrocell.com/||||||||연락처||||아크로셀바이오사이언스||송지성 부사장(CFO) ||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아크로셀바이오사이언스||||||배포 분야||||건강||바이오테크||산업||소재/금속||개발||서울
Mon, 04 Dec 2023 09:00:00 +0900
-
동국제강그룹, 정기 임원 인사… 내실 강화 및 조직 안정화 방점
서울--(뉴스와이어)--동국제강그룹은 12월 1일부 승진 4명 신규 선임 5명 등 총 9명의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철강 계열사 동국제강과 동국씨엠은 올해 6월 인적 분할을 통해 새로이 출범한 만큼 조직 안정화에 방점을 두고 이번 인사를 진행했다.||양 사는 현 대표이사 체제를 공고히 하는 동시에 역량 있는 신임 임원들을 적재적소에 인선해 내실 강화 및 조직 안정화를 추구했다.||물류 계열사 인터지스는 1명의 신규 선임 인사를 실시했다.||IT 계열사 동국시스템즈는 대외사업본부장 김오련 전무를 부사장 승진과 함께 대표이사로 임명하며 세대교체를 통한 변화를 추구했다.||승진은 아래와 같다.||◇ 동국제강· 상무→전무- 영업실장 최우일(崔又一)- 포항공장장 신용준(申容準)||· 이사→상무- 재경실장 정순욱(鄭淳旭)||· 이사- 원료담당 김낙홍(金洛弘)- 당진공장 관리담당 조종원(趙鍾源)- 봉강영업담당 이윤노(李允魯)- 포항공장 관리담당 이치광(李致炚)||◇ 인터지스· 이사- 해운영업본부장 김혁래||· 동국시스템즈· 전무→부사장- 대표이사 김오련||보직 변경은 아래와 같다.||◇ 동국홀딩스- 이사 김명수(金明洙) : 미국 법인장- 이사 김종식(金鍾植) : 일본 법인장||◇ 동국제강- 전무 최우일(崔又一) : 영업실장- 상무 이대식(李大植) : 당진공장장- 상무 권오윤(權五胤) : 형강영업담당- 상무 김지탁(金志倬) : 후판영업담당- 이사 김낙홍(金洛弘) : 원료담당- 이사 조종원(趙鍾源) : 당진공장 관리담당- 이사 이윤노(李允魯) : 봉강영업담당- 이사 이치광(李致炚) : 포항공장 관리담당||◇ 동국씨엠- 전무 이현식(李賢植) : 영업실장- 이사 김진영(金進永) : 국내영업담당||◇ 인터지스- 상무 정태현 : 영업본부 중부지점장- 이사 김혁래 : 해운영업본부장||◇ 동국시스템즈- 부사장 김오련 : 대표이사- 상무 한승협 : 대외사업본부장||||||웹사이트: http://www.dongkuk.co.kr||||||||연락처||||동국홀딩스||커뮤니케이션팀||정지욱 과장 ||02-317-1048||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동국제강||||||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인사||서울
Fri, 01 Dec 2023 13:32:37 +0900
-
아트라스콥코 코리아 ‘경기가족친화 일하기 좋은 기업’ 선정
성남--(뉴스와이어)--산업용 공구 및 장비의 세계적인 선두기업 아트라스콥코(www.atlascopco.com/ko-kr)는 경기도와 경기경제과학진흥원이 인증하는 ‘경기가족친화 일하기 좋은 기업’에 최종 선정돼 인증패와 현판을 받았다고 밝혔다.||||||||||||||||||||||||||||||||||||||‘경기가족친화 일하기 좋은 기업 인증’은 노동자가 일과 가정 생활을 조화롭게 병행할 수 있도록 육아 건강 가족 지원 등 모범적으로 운영 중인 우수 기업을 인증하는 제도다. 인증 기준은 경기도 소재 업력 2년 이상의 우수 기업 또는 공공기관을 5개월 간 심사하며 선정 기준은 △가족친화경영 예산 현황 △기업의 안정성 △최고경영자의 관심 및 실행 의지 △고용안정성 △근로자 만족도 등으로 현장 실사와 서류 심사를 종합적으로 실시한다. 올해는 35개사가 신규 인증됐고 인증 기간은 3년이다.||아트라스콥코는 스웨덴에 기반을 둔 글로벌 B2B 기업으로 압축 공기 시스템 산업용 파워 툴과 조립 솔루션 머신 비전 솔루션 에너지 솔루션 진공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아트라스콥코 코리아는 한국 현지 법인으로 국내 약 350명의 직원이 일하고 있다.||직원들의 일터 안전과 웰빙을 추구하는 아트라스콥코는 꾸준히 보건관리자 정기 방문 건강검진 및 독감 예방 접종 지원 여직원 휴게실 및 임산부 지원 프로그램 휴게시설 개선 등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또한 자녀학자금 지원과 노사간 협의에 따라 지정한 날에 다 같이 쉴 수 있는 공동 연차 제도 시행 패밀리 데이 행사도 진행하며 가족친화 문화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특히 그룹 내 전 직원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직원 만족도 설문조사인 ‘인사이트 서베이(Insight Survey)’가 직원의 목소리를 듣고 소통하려는 노력을 인정받아 좋은 평가를 받았다. 아트라스콥코에서는 외부 기관을 통해 익명성을 보장하는 직원 설문조사를 2년에 한 번씩 실시하며 이를 통해 조직 문화를 진단하고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아트라스콥코 코리아는 2021년 여성가족부에서 시행한 ‘가족친화인증기업’에도 선정된 바 있다.||아트라스콥코 코리아 에릭 랑만스 대표는 “직원의 신체적 심리적 웰빙과 안정은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아트라스콥코에서 꼭 필요한 비즈니스 전략”이라며 “앞으로도 아트라스콥코는 직원 모두가 일하기 좋은 기업이 되기 위해 제도 개선과 문화 정착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아트라스콥코 소개||아트라스콥코의 산업적 아이디어는 고객이 성장하고 사회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이것이 아트라스콥코가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 가는 방법이다. 아트라스콥코는 1873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시작된 글로벌 산업 장비 그룹이다. 2022년 연간 총매출은 한화 약 17조6000억원이며 약 4만9000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더 많은 정보는 홈페이지에서 찾아볼 수 있다.||||||웹사이트: https://www.atlascopco.com/ko-kr||||||||연락처||||아트라스콥코 코리아 ||최다정 사원||031-620-0723||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아트라스콥코||||||배포 분야||||경제||기업 경영||산업||기계/플랜트||수상/선정||인천/경기
Fri, 01 Dec 2023 09:40:00 +0900
-
삼양그룹 정기 임원인사 실시… 4세 김건호 사장 신규 선임
서울--(뉴스와이어)--삼양홀딩스 김윤 회장의 장남 김건호 경영총괄사무가 지주사인 삼양홀딩스의 사장으로 신규 선임돼 삼양그룹의 새로운 100년을 위한 미래 청사진을 그린다.||||||||||||||||||||||||삼양그룹(회장 김윤)은 정기 임원인사 및 조직개편을 단행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인사에서 삼양그룹은 김건호 삼양홀딩스 경영총괄사무를 삼양홀딩스 사장으로 선임했다. 직책은 전략총괄로 그룹의 성장전략과 재무를 책임지게 된다. 신규 선임된 김건호 사장은 1983년생으로 2014년 삼양사 입사 후 해외팀장 글로벌성장팀장 삼양홀딩스 Global성장PU(Performance Unit)장 경영총괄사무 및 휴비스 미래전략주관(사장)을 거쳤다. 이번 인사에 따라 휴비스 사장직에서 물러나 삼양그룹 경영에 전념할 계획이다.||이번 임원인사와 조직개편은 대내외 불확실한 경영환경을 고려해 변화 속의 안정을 추구하고 창립 100주년을 앞둔 삼양그룹이 추구하는 핵심 분야인 ‘글로벌’과 ‘스페셜티(고기능성)’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먼저 임원 인사는 성과 중심의 인사를 원칙으로 나이에 상관없이 맡은 부문에서 탁월한 공로를 세운 젊은 리더를 신규 임원으로 선임해 8명의 신규 임원 중 7명이 1970년생 이후 출생자다.||조직개편은 지주회사인 삼양홀딩스 내 전략총괄과 재경기획PU를 신설해 그룹 전체의 경영전략과 재무관리 역량을 강화하고 ESG경영 강화를 위해 대표이사 직속의 CSR총괄을 신설한 것이 특징이다. 식품그룹에서는 북미지역에서의 스페셜티 사업 확대를 위해 식품BU(Business Unit) 직속의 북미사업팀을 신설했다.||신규 임원 명단||◇ 삼양홀딩스||· 김건호 전략총괄 사장· 안민엽 MD사업PU장||◇ 삼양사||· 이연우 재경PU장· 지현찬 화학마케팅PU장· 박성원 Specialty사업PU장· 윤병각 유통PU장· 권경노 아산공장장||◇ 삼양이노켐· 장성천 생산PU장||||||웹사이트: http://www.samyang.com||||||||연락처||||삼양홀딩스 ||커뮤니케이션팀 ||이상수 차장||02-740-7183||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삼양홀딩스||||||배포 분야||||산업||화학||인사||서울
Fri, 01 Dec 2023 09:20:02 +0900
-
한국요꼬가와, 중증장애인 채용 사내 카페 ‘KOKORO’ 개소 1년
서울--(뉴스와이어)--한국요꼬가와는 중증장애인 바리스타를 채용한 사내 카페 ‘KOKORO(코코로)’를 지난해 12월 개소하고 원활한 운영을 한 지 1년이 됐다고 밝혔다. 현재 ‘KOKORO(코코로)’에는 중증장애인 바리스타 4명이 근무하고 있다.||||||||||||||||||||||||||||||||||||||한국요꼬가와의 양평동 사옥의 1층에 위치한 ‘KOKORO(코코로)’는 사내 복지형 카페로 직원들의 업무 환경의 질을 높이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장애인 바리스타와 함께하는 카페다. 주문 키오스크를 도입해 장애 바리스타가 업무하기 적합한 카페 운영 시스템을 갖고 있으며 해당 직원들의 순환근무를 통해 근무 시간에 대한 부담을 대폭 줄였다.||‘KOKORO(코코로)’는 일본어로 마음(心)이라는 뜻으로 서로 대화를 나누면서 마음을 주고받는 편한 공간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지난 1년여간 장애인 바리스타를 포함해 한국요꼬가와의 임직원 및 방문 고객의 마음 쉼터의 공간이 됐다. 4명의 바리스타는 성실하고 능숙하게 일을 해내고 있으며 이른 아침과 점심시간 등 고객이 몰리는 시간에는 고객들도 재촉하지 않고 기다리며 서로 배려하는 문화가 정착했다.||한국요꼬가와는 취업의 사각지대에 있는 중증장애인의 사회 참여 및 일자리 확대에 도움을 줄 수 있어서 매우 기쁘다면서 ESG 경영을 실천하며 다양성과 포용성을 확대하는 초석이 됐고 요꼬가와의 브랜드 그대로 지구의 미래에 대한 책임을 다하는 기업이 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한국요꼬가와전기 소개||한국요꼬가와전기는 전 세계 60개국에 129개 해외 거점을 가진 세계 굴지의 계장 Top-Maker Yokogawa가 100% 투자한 회사다. 1978년 설립된 이래 ‘계측 제어 정보 서비스를 통한 더 풍요로운 사회 발전에 공헌’을 기업 이념으로 공업 계측 및 계장 기기 분야에서 국내 기간 산업 발전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 온 선도적 위치에 있는 전문 기업이다.||||||웹사이트: http://www.yokogawa.com/kr||||||||연락처||||한국요꼬가와전기||Corporate Marketing팀 ||신미경 차장||02-2628-6448||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한국요꼬가와전기||||||배포 분야||||사회||장애인||산업||중전기||사회공헌||서울
Fri, 01 Dec 2023 08:00:00 +0900
-
팀솔루션, 디지털 트윈 서비스 체험 신청 홈페이지 리뉴얼 오픈
울산--(뉴스와이어)--디지털 트윈 전문 기업 팀솔루션(TIM Solution 대표 김지인)이 최근 디지털 트윈 플랫폼 ‘팀플로우(TIM FLOW)’를 출시하면서 고객들이 체험해 볼 수 있는 무료 체험 링크를 오픈했다고 밝혔다.||||||||||||||||||||||||팀솔루션의 ‘팀플로우’는 30여건의 디지털 트윈 실증 프로젝트 경험을 통해 공통된 산업현장의 니즈를 반영하는 디지털 트윈 환경 구성 도구다.||팀솔루션은 ‘팀플로우’의 4가지 모듈 중 2개 모듈에 대해 우선 무료 체험을 오픈했다. 첫 번째는 30여종의 3D CAD 데이터를 3D 모델로 변환/경량화하는 3D CAD 경량화 모듈이다. 두 번째는 3D 모델을 활용해 설비 조작 매뉴얼 등을 만들 수 있는 3D 콘텐츠 생성 모듈이다.||기존의 산업 현장에서는 생산을 위한 3D CAD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어도 이를 운영용으로 사용하기에는 △고사양 HW 필요 △3D 변환/경량화 기술 부재 △디지털 트윈 인재 부족 등의 한계점이 있었다. 하지만 팀솔루션의 ‘팀플로우’는 GUI 기반으로 비전문가의 사용도 손쉽게 지원하며 디지털 트윈의 허들을 낮춰준다.||팀솔루션은 최근 체험 신청 오픈과 함께 홈페이지도 리뉴얼했다며 디지털 트윈에 관심을 갖는 고객들에게 팀솔루션의 비전과 사례가 좋은 인사이트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팀솔루션 소개||팀솔루션은 2017년 조선 등 제조 공정 전문가들이 모여 울산에서 창업한 기업으로 독자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조선해양 자동차 석유 및 가스 우주항공 등 복잡성이 높은 산업을 중심으로 국내 최다 디지털 트윈 레퍼런스를 보유하고 있다. 최근 제품 출시와 더불어 글로벌 기업과의 공식 리셀러 협약 및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점차 해외 시장으로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웹사이트: https://www.timsolution.io||||||||연락처||||팀솔루션||김아름 매니저||052-248-7009||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팀솔루션||||||배포 분야||||IT||소프트웨어||산업||기계/플랜트||판촉활동||부산/울산/경남
Thu, 30 Nov 2023 13:00:00 +0900
-
울산 동구중장년 기술창업센터 보육기업 위드인넷, 포도씨와 스마트 교육 솔루션 및 로봇 사업 협력 위한 MOU 및 대리점 계약 체결
울산--(뉴스와이어)--울산 동구중장년 기술창업센터(이하 동구중장년센터) 보육기업인 위드인넷(대표 김재윤)이 자카(JAKA) 협동로봇 한국 총판 기업 포도씨(대표 모신희)와 6축 수직 다관절 로봇을 이용한 에듀테크 사업과 스마트 팩토리 사업 협력을 위해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양 사는 최근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교육용 로봇 기술과 접목시켜 스마트 교육 솔루션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데 상호 공감대를 형성하게 돼 이번 협약 및 계약을 추진하게 됐다. 기존 포도씨가 공급하고 있는 자카(JAKA) 협동로봇과 AI 비전 기술에 위드인넷이 그동안 개발해 온 디지털 트윈 가상 현실 교육 기술을 접목해 AI 기반의 교육용 로봇 솔루션 개발을 추진하기로 한 것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개발되는 새로운 스마트 교육 솔루션의 보급은 양 사 역량을 합쳐서 추진할 계획이어서 양 사 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가 된다.||또 양 사는 단순히 협동로봇을 활용한 교육 솔루션을 개발하는 것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AI와 VR 기술을 연동해 교육 참여자 친화적이고 자기 주도적 체험형 스마트 교육 솔루션이 필요하다는 데도 뜻을 같이하고 이를 위한 VR 기반의 협동로봇 교육 솔루션 개발을 먼저 추진하기로 했다.||위드인넷은 실감형 가상 현실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는 에듀테크 기업으로 별도 VR 장비 없이 일반 웹캠으로 사용자의 손을 인식하는 핸드트래킹 기술을 이용해 다양한 실감형 VR 콘텐츠를 개발하고 있으며 가상 현실 자율주행차 디지털 트윈 등의 프로그램을 전국 학교·체험관 등에 제공하며 꾸준히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강소기업이다.||포도씨는 2022년부터 JAKA 협동로봇의 한국 총판을 맡아 1년여 동안 제품 홍보 및 국내 수요에 적합한 로봇 솔루션 개발에 전념해 오고 있으며 2014년 설립된 자카로보틱스는 글로벌 협동 로봇 시장의 선두 브랜드로서 △로봇 본체 △동작 제어 △서보 드라이브 △비전 등의 영역에서 300여건의 국가 특허 기술과 30여건의 로봇 핵심 인증을 획득한 회사다. 2022년 7월 테마섹과 소프트뱅크 비전 펀드2 등에서 약 10억위안(약 1847억원) 상당의 시리즈 D 투자를 유치하는 데 성공 업계 주목을 받은 바 있다.||김재윤 위드인넷 대표는 “이번 포도씨와의 협력을 계기로 우리 아이들이 세계를 이끌 미래의 주인공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4차 산업 혁명 기술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아이들이 스스로 진로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보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울산 동구중장년 기술창업센터는 위드인넷과 포도씨의 협력이 앞으로 교육 및 제조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번 협약이 양 사에 새로운 성장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한편 울산 동구중장년 기술창업센터는 만 40세 이상 중장년 (예비)창업자들을 지원하는 곳이다. 무상 창업 공간을 24시간 제공하고 다양한 창업 교육 및 창업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운영해 창업자들이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 멘토링 네트워킹 사업비 지원 등 동구 지역의 (예비)창업자를 발굴하고 기업을 유치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울산 동구 중장년기술창업센터는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가 운영하고 있다.||위드인넷 소개||위드인넷은 2020년 설립된 에듀테크 기업이다. 아이들이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는 피지컬 컴퓨팅 교육용 전자 보드를 개발해 다양한 교구를 개발했으며 경제적 이유에 따른 교육 격차를 해소하고자 일반 웹캠을 이용한 핸드트래킹 기술을 개발해 다양한 실감형 가상 현실 교육 콘텐츠를 저렴한 비용으로 체험할 수 있는 팁스비(Tipsbee)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포도씨 소개||포도씨는 2015년 설립된 인공지능(AI) 전문 기업이다. 설립 초기부터 AI 기반의 로봇 키오스크 제품을 개발하기 시작해 2022년부터는 자카(JAKA) 협동로봇의 한국 총판을 맡아 제품 홍보 및 국내 수요에 적합한 로봇 솔루션 개발에 전념해 오고 있다. 최근에는 비즈데이터 신성에프에이 등의 기업들과 대리점 체제를 구축해 본격적으로 관련 제품 및 솔루션 공급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 소개||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는 울산 경제 재도약을 위한 창업 오픈 이노베이션 투자의 허브로서 기술 창업 투자 오픈 이노베이션에 관한 전반적 업무를 수행한다. 주요 사업으로는 △창업(아이디어 단계 - 아이디어 구체화 단계 - 비즈니스 모델 수립 단계 - 사업화 단계) △Level-Up(기술 개발 R&D 시제품 제작 등) △Scale-Up(제품 양산 투자 마케팅 등) △투자(팁스 펀드 등) 등이 있으며 단계별로 필요한 정보 및 노하우를 제공해 기술 창업과 스타트업 투자에도 도움을 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s://ccei.creativekorea.or.kr/ulsan||||||||연락처||||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청년창업팀||이누리 팀장||052-222-9129||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배포 분야||||경제||중소기업/창업||산업||로봇/제어계측||제휴||부산/울산/경남
Thu, 30 Nov 2023 10:15:00 +0900
-
애경케미칼, 우수한 제품력 인정… 건축용 소재 시장서 존재감 확대
서울--(뉴스와이어)--애경케미칼이 최근 우수한 제품력을 앞세워 건축용 소재 시장에서 존재감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자체 보유하고 있는 우수한 제품을 건축사업 분야에 확대 적용하면서 시장 영향력을 높여 나가는 형태다.||||||||||||||||||||||||가장 먼저 친환경 철근 대체제인 GFRP Rebar의 필수 원료인 합성수지의 성능과 품질 개선에 집중하고 있다. 글로벌 표준 규격 구축을 통해 제품의 신뢰도와 가격경쟁력을 확보하는데 일조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 10월 GFRP Rebar 생산전문기업 KCMT와 ‘친환경 건축자재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기도 했다.||GFRP Rebar는 철근 대비 강도는 2배 이상 크지만 무게는 4분의 1 수준이라 시공 및 운송이 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강한 내부식성으로 녹이 슬지 않아 습기가 많은 지역에서도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어 혁신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준불연 소재의 우레탄 패널 역시 시장 내 반응이 날로 높아지는 모습이다. 이 제품은 특히 관련 시험 기준(복합자재품질인정 시험·KS F 8414)을 통과하며 제품의 안전성과 성능을 인정받았다. 우레탄 소재는 글라스울 등 불연소재에 비해 단열 성능은 뛰어나지만 상대적으로 화재에는 취약하다. 그러나 애경케미칼이 안전기준에 부합하는 제품을 개발하는데 성공함으로써 앞으로는 단열성능이 뛰어난 우레탄 패널을 화재 걱정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됐다.||올 초 개발해 시장에 선보인 초고성능 난연·내식 복합소재용 수지(POLYCOAT DION-9341F)는 반도체 플랜트 클린룸 등 스페셜티 시장 내 점유율을 넓혀 나가고 있다. 클린룸은 공정 특성상 작은 화재에도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소재의 안전 기준을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다. 애경케미칼 제품은 7월 화재 안전성 부문에서 세계 최고의 신뢰도를 자랑하는 FM(Factory Mutual) 4910 인증을 획득하며 우수한 제품력을 입증한 바 있다.||||||웹사이트: http://www.aekyungchemical.co.kr/||||||||연락처||||애경케미칼 ||커뮤니케이션팀||이진주 선임||02-6078-3042||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애경케미칼||||||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화학||개발||서울
Thu, 30 Nov 2023 09:33:25 +0900
-
에코프로HN, 케미컬 필터 성능 분석 국제표준화 추진
청주--(뉴스와이어)--삼성전자 등 글로벌 반도체 업체에 케미컬 필터를 공급하고 있는 에코프로HN이 정부와 손잡고 유해화학물질 분석 시스템 국제 표준화에 나선다.||에코프로HN은 28일 충북 청주시 에코프로HN 본사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국가기술표준원과 간담회를 갖고 케미컬 필터 성능 측정 방법에 대한 국제표준화를 추진키로 했다고 밝혔다.||에코프로HN은 올해 4월 국가기술표준원의 중소·중견기업 국제표준화 지원 프로그램 지원대상에 선정돼 정부의 국제표준화 컨설팅을 받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표준화를 위한 과제 및 효과 등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케미컬 필터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공정에서 발생하는 유해 화학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로 수율 향상에 매우 중요하다. 필터를 통해 통과하는 공기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유해가스를 촘촘히 걸러낼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게 경쟁력의 핵심이다. 특정 가스에 적합한 소재를 개발해 솔루션을 제공해야만 시장을 선점할 수 있다.||에코프로HN은 2001년부터 케미컬 필터 개발에 착수해 5년 만인 2005년 SK하이닉스에 납품하기 시작했으며 2009년부터는 삼성전자에도 공급하고 있다.||케미컬 필터는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일본으로부터 수입해 왔는데 에코프로HN은 경쟁력 있는 소재 설계기술과 극저온에서도 유해가스를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해 2005년 국산화에 성공했다.||케미컬 필터 시장은 2022년 말 기준 2000억원 규모다. 에코프로HN은 약 600억원 매출로 30%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케미컬 필터는 그동안 압력손실과 유해가스 제거 효율을 어떤 환경에서 어떤 방식으로 평가할지에 대한 객관적 기준이 없다 보니 제품별 성능 비교가 어려웠다.||에코프로HN은 성능평가 방법을 표준화하면 케미컬 필터의 성능 등을 외부 고객에 객관적으로 소개할 수 있어 시장 확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오광해 국가기술표준원 표준정책국장은 이날 간담회를 통해 “전문가들을 투입해 케미컬 필터 성능 표준화를 어떻게 이뤄낼지 정책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부문이 있는지 등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김종섭 에코프로HN 대표는 “케미컬 필터에 대한 끊임없는 기술 개발을 통해 지금까지 3500억원 이상의 수입대체 효과를 거뒀다”며 “분석시스템과 관리 기준의 표준화를 통해 해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웹사이트: https://www.ecopro.co.kr/||||||||연락처||||에코프로||CSR 추진팀||안병욱||02-6903-1728||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에코프로||||||배포 분야||||산업||화학||에너지/환경||환경||사업계획||충북
Wed, 29 Nov 2023 11:47:36 +0900
-
뉴몬트, 교환 제안 및 동의 권유 개시
덴버--(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뉴몬트(Newmont Corporation)(뉴몬트 또는 회사)는 오늘 뉴크레스트 마이닝(Newcrest Mining Limited) 인수와 관련해 (1) 최대 16억5000만달러의 발행자가 발행할 신규 어음의 총 원금(“신규 뉴몬트 어음”) 및 (2) 아래 표에 명시된 바와 같이 각 경우의 현금에 대해 뉴몬트의 전액 출자 자회사인 뉴크레스트 파이낸스(Newcrest Finance Pty Limited)(“뉴크레스트 파이낸스” 그리고 뉴몬트와 함께 “발행자”)가 발행한 일체의 모든 미결제 어음(“기존 뉴크레스트 어음”)을 교환하겠다는 제안(각각 “교환 제안” 그리고 총칭해 “교환 제안들”)의 개시를 발표했다.||다음 표는 각각의 일련의 기존 뉴크레스트 어음에 대해 교환 대가 조기 제안 프리미엄 및 총 교환 대가에 대해 기술한다.||(표의 내용은 pdf 참조. 다운로드: https://bit.ly/3N3OIt5)||교환 제안과 관련해 발행자는 기존 뉴크레스트 어음을 관리하는 각 계약에 대해 제안된 특정 수정안을 채택하기 위한 동의(각각 “동의 권유” 그리고 총칭해 “동의 권유들”)를 권유하고 있다. 제안된 수정안은 해당 계약에서 특정 계약 제한 조항 채무 불이행 사건 및 관련 조항을 제거할 것이다.||각 교환 제안 및 동의 권유는 다른 교환 제안 및 동의 권유의 완료를 조건으로 하지만 발행자는 단독 재량으로 하나 이상의 교환 제안과 관련해 언제든지 해당 조건을 포기할 수 있다. 교환 제안과 관련해 발행자가 조건을 포기하면 해당 동의 권유와 관련해 해당 조건을 자동으로 포기하게 된다.||교환 제안 및 동의 권유는 2023년 11월 27일자 재안 각서 및 동의 권유 진술서(“제안 각서 및 동의 권유 진술서”)에 명시된 조항 및 조건에 따라 이뤄지고 있다.||2023년 12월 8일 동부 표준시 오후 5:00 또는 그 이전에 기존 뉴크레스트 어음을 유효하게 제안(유효하게 철회하지 않는)한 보유자는 연장되지 않는 한(“조기 제안일”) 위 표에 명시된 대로 해당 총 교환 대가를 받을 자격이 될 것이다. 총 교환 대가에는 교환이 허용되는 모든 해당 기존 뉴크레스트 어음에 대해 위 표에 명시된 대로 해당 조기 제안 프리미엄이 포함된다. 조기 제안일 이후에 그러나 2023년 12월 26일 동부 표준시 오후 5:00 이전에 기존 뉴크레스트 어음을 유효하게 제안하는 보유자는 연장되지 않는 한(“만료일”) 위 표에 명시된 대로 해당 조기 제안 프리미엄을 받을 수 자격이 되지 않을 것이다. 해당 보유자는 결제일에 위 표에 명시된 대로 해당 교환 대가만 받을 자격이 될 것이다. 결제일은 만기일 직후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교환 제안 및 동의 권유와 관련된 문서는 다음 중 하나임을 확인하는 자격 양식을 작성해 제출하는 기존 뉴크레스트 어음의 적격 보유자에게만 배포될 것이다: (a) 그 용어가 개정된 1933년 증권법(“증권법”) 하의 규칙 144A에 정의된 바와 같이 “적격 기관 매수자” 또는 (b) “미국” 외부에 있고 (i) 해당 용어들이 증권법 하의 규칙 902에 정의된 바와 같이 “미국인”이 아닌 사람 및 (ii) “미국 외 국가 적격 피제안자”(제안 각서 및 동의 권유 진술서에 정의됨). 교환 제안 및 동의 권유의 전체 조항 및 조건은 제안 각서 및 동의 권유 진술서에 기술돼 있으며 그 사본은 (800) 713-9960 (수신자 부담) 또는 (212) 269-5550 (은행 및 중개인)으로 D.F. 킹 앤드 코(D. F. King & Co. Inc.) 교환 대리인과 교환 제안 및 동의 권유와 관련된 정보 대리인에게 연락해 얻을 수 있다. 자격 양식은 www.dfking.com/newmont-newcrest 에서 또는 D.F. 킹 앤드 코에 newmont@dfking.com로 이메일을 보내 구할 수 있다.||이 보도 자료는 유가 증권의 매도 또는 매수 매도 또는 매수 제안 권유 유가 증권과 관련한 제안 또는 동의 권유를 구성하지 않는다. 그런 제안 권유 매수 또는 매도가 불법이 될 관할권에서는 어떤 제안 권유 매수 또는 매도도 이뤄지지 않을 것이다. 교환 제안 및 동의 권유는 제안 각서 및 동의 권유 진술서에 의거해서만 해당인에게만 해당 법률에 따라 허용되는 관할권에서만 이뤄진다.||신규 뉴몬트 어음은 증권법이나 주 또는 외국 증권법에 따라 등록되지 않았다. 따라서 신규 뉴몬트 어음은 등록 없이 또는 증권법 및 해당 주 증권법 또는 해당 외국 증권법의 등록 요건의 면제 없이는 제공되거나 매도될 수 없다. 교환 제안이 완료되면 뉴몬트는 등록 권리 계약을 체결할 것이고 등록 권리 계약에 따라 뉴몬트는 증권법에 따라 등록된 동일한 시리즈의 동일한 원금으로 각 시리즈의 신규 뉴몬트 어음을 교환할 수 있도록 교환 제안 등록 명세서를 제출하기 위해 또는 특정 상황에서는 신규 뉴몬트 어음의 재매각을 등록하기 위해 상업적으로 합리적인 노력일 기울이는 데 동의할 것이다.||뉴몬트 소개||뉴몬트는 세계 최고의 금 관련 회사이자 구리 아연 납 및 은 생산업체이다. 이 회사의 세계적 수준의 자산 전망 및 인재 포트폴리오는 아프리카 호주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북미 및 파푸아 뉴기니의 유리한 광산 관할권에 기반을 두고 있다. 뉴몬트는 S&P 500 지수에 속하는 유일한 금 생산업체이며 원칙에 입각한 환경 사회 및 거버넌스 관행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 이 회사는 강력한 안전 표준 우수한 실행 및 기술적 전문성으로 뒷받침되는 가치 창출 분야의 업계 리더이다. 뉴몬트는 1921년에 설립됐으며 1925년부터 증권거래소에서 거래되고 있다.||전망적 가정을 포함한 전망적 진술에 대한 주의 진술||이 보도 자료에는 해당 섹션 및 기타 관련 법률에 의해 생성된 회피 조항의 적용을 받는 “전망적 진술”과 해당 호주 증권법의 의미 내에서 “전망적 정보”가 포함돼 있다. 전망적 진술이 미래의 사건이나 결과에 대한 기대 또는 믿음을 표현하거나 암시하는 경우 그런 기대 또는 믿음은 선의로 표현되며 합리적인 근거가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 그러나 그런 진술은 위험 불확실성 및 기타 요인의 영향을 받으며 이는 실제 결과가 그런 전망적 진술에 의해 명시되거나 예측되거나 암시된 것 미래 결과와 실질적으로 다를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전망적 진술은 종종 예상되는 미래 사업 및 재무 성과와 재무 상태를 다룬고 “예상하다” “의도하다” “계획하다” “할 것이다” “일 것이다” “추정하다” “기대하다” “믿다” “보류 중” 또는 “잠재적”과 같은 단어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이 뉴스 보도의 전망적 진술은 다음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i) 생산 전망 평균 미래 생산 및 상승 잠재력을 포함한 미래 생산 및 판매 추정치 (ii) 판매 및 총액 유지 비용에 적용되는 미래 비용의 추정치 (iii) 개발 및 유지 자본을 포함한 미래 자본 지출 추정치 (iv) 생산 밀링 판매에 적용되는 비용 및 총 유지 비용(all-in sutaining costs) 자본 비용 광산 수명 연장 건설 완료 상업 생산 및 기타 일정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프로젝트에 대한 기대 (v) 최근 운영이 재개된 현장에 대한 향후 기대 (vi) 향후 투자 또는 부분매각에 대한 기대 (vii) 잉여현금흐름 및 주주 환원 수익에 대한 기대(미래 배당금 배당금 체계 및 예상 지불금 수준 포함) (viii) 매장량 및 회수에 대한 기대를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미래 광물화에 대한 기대 (ix) 기타 전망 (x) 보류 중이거나 제안된 거래에 대한 기대치. 미래의 사건이나 결과에 대한 추정이나 기대는 잘못된 것으로 판명될 수 있는 특정 가정에 근거한다. 그런 가정은 다음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i) 현재의 지질공학적 야금학적 수문학적 및 기타 물리적 조건에 중대한 변화가 없음 (ii) 운영 및 프로젝트의 허가 개발 운영 및 확장이 현재의 기대 및 광산 계획과 일치함 (iii) 뉴몬트가 사업을 영위하는 모든 관할권의 정치적 상황전개가 현재 기대치와 일치함 (iv) 특정 환율 가정 (v) 금 구리 은 아연 납 및 석유에 대한 특정 가격 가정 (vi) 주요 공급품 가격 (vii) 현재 광물 매장량 및 광물화된 물질 추정치의 정확성 (viii) 기타 계획 가정. 불확실성에는 일반적인 거시경제적 불확실성 및 변화하는 시장 상황 당사가 사업을 영위하는 관할권의 광산업에 대한 제한사항 변경과 가격 상품 가용성 공급 및 연료 공급 수급 능력 금리 변동의 영향 등을 포함해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 등과 관련된 불확실성이 포함된다. 이런 불확실성으로 인해 운영 현장이 관리 및 유지 보수에 배치되고 프로젝트 견적 비용 및 시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지정학적 상황의 불확실성은 상품 및 통화 가격 비용 및 공급망 가용성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특정 계획 가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뉴크레스트 및 합병된 회사와의 거래와 관련된 전망적 진술과 관련된 위험에는 다음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회사 주가 및 운영 결과의 변동; 뉴몬트와 뉴크레스트의 사업의 신속하고 효과적인 통합과 거래에 의해 숙고된 예상되는 시너지 효과와 가치 창출을 달성할 수 있는 능력; 수시로 수정되는 2023년 5월 15일자 계획 이행 증서(“계획 이행 증서”)와 관련해 당사자 및 기타 당사자를 상대로 시작됐거나 시작될 수 있는 법적 소송절차의 결과; 거래와 관련된 예상치 못한 어려움 또는 지출 비즈니스 파트너의 반응 및 거래의 결과로 인한 유지; 예상되는 시장 규모와 뉴몬트 및 뉴크레스트의 자원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 및 거래에 대한 경쟁적 반응의 영향; 거래 관련 문제에 대한 관리 시간 전환. 이런 위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2023년 7월 20일에 SEC에 제출되고 현재 Form 8-K에서 현재 보고에 의해 업데이트된 바와 같이 2023년 2월 23일에 SEC에 제출된 2022년 12월 31일 마감 연도에 대한 뉴몬트의 연례 보고서(Form 10-K) “위험 요인”이라는 제목 하에 2023년 9월 5일에 SEC에 제출된 최종 위임 설명서를 포함한 뉴몬트의 다른 SEC 제출문서들 SEC 웹사이트 또는 www.newmont.com 에서 확인할 수 있는 SEC에 제출된 뉴몬트의 보고서로 확인된 다른 요인 등을 참조한다. 뉴몬트는 해당 증권법에 따라 요구될 수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 보도 자료 발표일 이후의 사건 또는 상황을 반영하거나 예상치 못한 사건의 발생을 반영하기 위해 전망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전망적 진술”에 대한 수정 사항을 공개적으로 발표할 어떤 의무도 지지 않는다. 투자자는 이전에 발행된 “전망적 진술”에 대한 업데이트 부족이 그런 진술의 재확인을 구성한다고 가정해서는 안 된다. “전망적 진술”에 대한 지속적인 의존은 투자자 자신의 책임이다.||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첨부자료:||뉴몬트.pdf||||||웹사이트: https://www.newmont.com/|| 이 보도자료의 영어판 보기||||연락처||||뉴몬트(Newmont Corporation)||미디어 연락처 ||제니퍼 파크라두니(Jennifer Pakradooni) ||+1.720.236.8170 ||jennifer.pakradooni@newmont.com ||||투자자 연락처 ||대니얼 호턴(Daniel Horton) ||+1.303.837.5468 ||daniel.horton@newmont.com||||||||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Newmont Corporation||||||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사업계획||해외
Wed, 29 Nov 2023 10:05:00 +0900
-
한화시스템, 정부용 우주 인터넷 개발 착수
서울--(뉴스와이어)--한화시스템(대표이사 어성철)은 국방신속획득기술연구원(원장 변용관) 주관 398억원 규모의 ‘상용 저궤도 위성 기반 통신체계’ 사업 협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본 사업은 상용 저궤도 위성통신망을 육·해·공군의 기존 전술망과 연동하는 것으로 미래 군의 다영역 동시 통합 작전 수행(Multi Domain Operation MDO)을 위한 초연결·다계층 네트워크의 초석을 다질 계획이다.||한화시스템은 2021년 3억달러 당시 환율 한화 3450억원 투자를 단행한 유텔셋 원웹의 저궤도 위성통신망을 활용해 한국군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시하며 상용 저궤도 위성 기반의 통신체계를 군에 최초로 공급할 예정이다.||한화시스템은 2026년까지 군에 적합한 저궤도 통신망 구축과 보안성을 높인 차량·함정용 이동형 ESA 위성 단말기 개발 등을 맡아 실행한다.※ ESA(Electronically Steerable Antenna 전자식 빔 조향 안테나): 평판형 안테나로 가볍고 얇게 설계할 수 있어 기계식 안테나에 비해 크기와 무게를 줄일 수 있음. 수천 개의 위성과 지상 기지국 네트워크를 연결해 해상·육상·상공에서 고속 통신이 가능함.||이번 사업을 통해 상용 저궤도 위성 기반의 군 통신체계가 구축되면 우리 군은 지상망의 지형적 제약을 극복하고 기동 간 대용량 정보를 신속하고 끊김없이 주고받을 수 있어 군 작전 능력을 급격히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신속시범사업 관리를 책임지고 있는 변용관 국방신속획득기술연구원 원장은 “본 상용 저궤도 위성 기반 통신체계 신속시범사업의 성공을 통해 군 통신전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민·관·군 그리고 국제협력까지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김정호 한화시스템 항공·우주 사업대표는 “우주산업은 민간이 우주개발을 주도하는 뉴 스페이스로 빠르게 전환 중이며 우주 국방력과 우주산업 경쟁력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 민군협력은 필수적”이라며 “한화시스템은 군 지상 통신망을 개발·공급해온 기술력과 이번 사업 수행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위성망-지상망의 초연결·다계층 네트워크가 구현될 미래형 전술통신체계 구축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웹사이트: https://www.hanwhasystems.com/kr/index.d...||||||||연락처||||한화시스템||커뮤니케이션팀||김수진 과장||02-729-2141||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한화시스템||||||배포 분야||||산업||항공/무기||개발||서울
Wed, 29 Nov 2023 09:59:08 +0900
-
효성티앤씨 ‘CREORA·regen’ 글로벌 대표 브랜드로 키운다
서울--(뉴스와이어)--효성티앤씨가 글로벌 섬유 시장을 리드할 ‘프리미엄 브랜드’ 육성에 나선다.||◇ 65개 섬유 브랜드를 ‘CREORA·regen’ 2개 브랜드로 개편||효성티앤씨는 28일 고기능성 섬유 브랜드인 ‘CREORA(크레오라)’와 친환경 섬유 브랜드인 ‘regen(리젠)’의 BI(브랜드아이덴티티)를 변경하는 등 섬유 브랜드 개편을 단행했다고 밝혔다.||이번 브랜드 개편은 기존 65개였던 섬유 브랜드를 2개의 대표 브랜드로 통합하면서 CREORA와 regen이 확보해 온 브랜드 파워의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차원이다.||△그동안 고객들로부터 인정 받아온 차별화된 기술력 △우수한 품질 △ VOC 경영철학 등 효성티앤씨의 모든 가치를 담은 대표 브랜드로 키우겠다는 효성티앤씨의 프리미엄 브랜드 경영 전략을 반영했다.||◇ CREORA 스판덱스·폴리에스터·나일론 기능성 섬유 브랜드로 통합… 브랜드 파워 기반 영업력 집중해 글로벌 시장 지배력 확대 기대||효성티앤씨는 우선 기존 글로벌 1위 스판덱스 브랜드였던 ‘CREORA’를 폴리에스터 섬유와 나일론 섬유 등 기능성 섬유 브랜드로 통합해서 운영하기로 했다.||이를 통해 스판덱스 사업에서 빠른 속도로 추격해오고 있는 글로벌 경쟁사와의 격차를 다시 벌리고 프리미엄 시장 지배력을 높이는 브랜드 파워를 갖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또한 폴리에스터와 나일론 섬유 사업도 CREORA 브랜드 효과를 기반으로 신규 시장 및 고객 확보 등 영업력 강화에 집중함으로써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regen 리싸이클 섬유 브랜드에서 바이오 섬유 브랜드까지 확대… 국내 넘어 글로벌 친환경 섬유 리딩 브랜드로 자리매김||국내 대표 리싸이클 섬유 브랜드로 자리매김한 ‘regen’은 앞으로 △페트병을 재활용한 regen 폴리에스터 섬유 △페어망을 재활용해서 만든 regen 나일론 섬유 외에 △스판덱스 리싸이클 섬유 △옥수수 등으로 만든 바이오 스판덱스 섬유 등을 포함한 통합 친환경 섬유 브랜드로 사용된다.||효성티앤씨는 유럽과 미주 등 높은 강도의 친환경 정책 및 규제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글로벌 친환경 섬유 시장의 트렌드를 리딩하는 대표 브랜드로서 ‘regen’의 위상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김치형 대표 “글로벌 섬유 산업의 패러다임 이끄는 브랜드로 성장”||김치형 효성티앤씨 대표이사는 “효성티앤씨의 CREORA와 regen은 그동안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우수한 품질을 기반으로 고객이 신뢰하는 브랜드로 성장해 왔다”며 “이번 브랜드 개편을 통해 고기능화 친환경화 되는 섬유산업의 패러다임을 리드하는 프리미엄 브랜드로 다시 한번 도약할 수 있는 전기를 마련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한편 효성티앤씨는 브랜드 개편에 맞춰 섬유 브랜드 홈페이지도 리뉴얼 오픈했다. 홈페이지에는 효성티앤씨가 지향하는 사업 가치와 비전 등을 비롯해 CREORA와 regen을 포함하는 섬유 제품들에 대한 설명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돼 있다. 효성티앤씨에 대한 고객들의 이해도를 높이고 사업 협력을 위한 편의성을 넓히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웹사이트: http://www.hyosungtnc.com||||||||연락처||||효성||안재홍 사원||02-707-7675 ||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효성티앤씨||||||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화학||사업계획||서울
Tue, 28 Nov 2023 10:49:14 +0900
-
알파라발, 탈탄소 선박 솔루션 웨비나 개최
서울--(뉴스와이어)--국제해사기구 등을 중심으로 탈탄소화 관련 규제 및 요구가 강화되는 가운데 이를 위한 조선 및 해운업계의 발걸음 또한 빨라지고 있다.||||||||||||||||||||||||||||||||||||||||에너지 절감 탈탄소화 환경 규정 준수를 지원하는 다양한 솔루션과 서비스를 통해 고객을 지원해 온 알파라발이 ‘탈탄소 선박 솔루션’을 주제로 웨비나를 개최한다.||· 일정: 2023년 12월 14일(목요일) 오후 2시-3시||웨비나는 ‘에너지 효율’과 ‘청정 에너지’라는 두개의 주제로 구성된다.||‘에너지 효율’ 세션에서는 선박 연료 소모량 개선을 통해 온실 가스 감축 및 에너지 효율성 향상에 기여하는 air lubrication 기술 기반 솔루션과 독보적인 해양 기상 정보와 의사 결정 지원 서비스를 통해 최적의 항해를 약속하는 스톰지오 솔루션을 다룬다.||‘청정 에너지’ 세션에서는 wing sales 에 기반을 둔 풍력 추진 선박 기술과 메탄올을 중심으로 한 대체 연료 관련 솔루션에 대한 정보와 인사이트를 공유한다.||한국 조선업의 성장을 지원하며 고객과 함께 해온 한국알파라발과 스톰지오의 전문가들이 연사와 패널로 참가한다.||한국알파라발 소개||알파라발은 에너지 해양 식품 및 물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에서 전문적인 지식을 기반으로 한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100여개국에서 공정 최적화를 통해 고객의 비즈니스 및 지속가능성 목표 달성을 지원한다. 알파라발은 천연자원의 효율적인 사용과 더불어 정화 정제 재활용을 위한 제품 및 솔루션을 공급한다. 에너지 효율과 열회수율을 높이고 수처리를 개선하며 배출가스 감소에 기여하므로써 고객뿐 아니라 사람과 지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2만300명의 직원이 알파라발에서 근무한다. 2022년 기준 연매출 SEK 52.1 billion(약 49억유로)이며 나스닥 스톡홀름에 상장돼 있다. 한국알파라발은 1979년 설립된 알파라발 그룹의 한국지사이다. 약 150명의 인원(세일즈 엔지니어 약 30명 고객 지원 30명)이 근무하고 있다. 평택 소재 국내 생산 설비 및 서비스 센터를 기반으로 국내 고객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노력한다.||||알파라발 탈탄소 선박 솔루션 웨비나: https://www.alfalaval.kr/info/event/marine-decarbo...웨비나 신청: https://manufacturingtv.co.kr/Event/209||웹사이트: http://www.alfalaval.kr||||||||연락처||||한국알파라발||커뮤니케이션||유미영 ||02-3406-0600||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한국알파라발||||||배포 분야||||산업||조선||행사||서울
Tue, 28 Nov 2023 10:00:00 +0900
-
스펙트럼 인스트루먼트, 초고속 디지타이저 및 AWG에 적용되는 디지털 파형 발생기 기능 출시
서울--(뉴스와이어)--디지타이저 및 제너레이터 전문기업 스펙트럼 인스트루먼트(Spectrum Instrumentation)가 초고속 디지타이저(최대 10GS/s)와 AWG(Arbitrary Waveform Generator)에 디지털파형발생기(Digital Pulse Generator DPG) 옵션을 추가한다고 밝혔다.||||||||||||||||||||||||이를 통해 스펙트럼은 중간 속도를 지닌 제품에 이어 초고속 제품까지 전 제품군에 DPG 옵션을 도입하게 됐다. 해당 저가형 옵션은 펄스 및 펄스 스트림 생성을 위한 3~4개의 독립적인 디지털 소스를 추가해 다양한 자동화 테스트 및 측정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200개 이상의 제품에 DPG 옵션을 추가하면 AI 로봇 공학 및 메카트로닉스를 활용하는 시스템에서의 실험 제어 혹은 폐쇄 루프 테스트에 필요한 자극 및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거나 전자 회로 부품 및 센서 평가 시 사용할 수 있다.||DPG 옵션이 적용된 디지타이저 및 AWG 제품은 디바이스의 샘플링 클럭에 기반한 타이밍 분해능으로 디지털 펄스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스펙트럼 플래그십 디지타이저 33xx 시리즈 중 하나와 DPG를 함께 사용하면 3.2ns의 타이밍 분해능으로 최대 4개의 개별 펄스 스트림을 생성한다. 동시에 12비트 디지타이저가 최대 10GS/s의 속도로 샘플링하며 전기적 신호를 수집하게 된다.||DPG는 기기의 온보드 FPGA 기술을 통해 실행되기에 펄스 생성과 동시에 아날로그 파형을 수집하거나 생성하는 일반적인 작업을 병행할 수 있다. 디지털 펄스는 전면 패널 다목적 I/O 커넥터를 통해 출력되며 오늘날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디지털 회로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펄스 진폭 수준은 3.3V LVTTL이며 부하 임피던스가 높을 경우를 위해 TTL도 호환된다.||또한 DPG는 단일 펄스 펄스 트레인 또는 연속 펄스 스트림 생성 등 펄스 특성을 조정할 수 있는 간단한 프로그래밍 구조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펄스 폭 주기 단계 또는 펄스 트레인의 펄스 수와 같은 주요 매개변수 프로그래밍도 가능하다. 이 기능을 활성화하면 DPG는 유효한 트리거를 수신하는 즉시 할당된 다목적 I/O 커넥터에 미리 프로그래밍된 펄스를 출력한다. 트리거는 유연성 극대화를 위해 소프트웨어 및 제품의 일반 내외부 트리거 소스 타 DPG 채널 등 다양한 소스에서 생성될 수 있다. 파형발생기 출력은 신호 수집 및 재생 기능과 동기화돼 있어 신호활성화 또는 신호전환을 생성하기에 적합하며 서로 다른 파형발생기를 캐스케이드(cascade)할 수 있어 펄스 반복 타임 스케일을 편리하게 변환할 수 있다.||DPG 옵션은 200개 이상의 다양한 PCIe PXIe 또는 LXI 디지타이저 및 AWG 제품에 설치 가능하다. 이 디지타이저는 최소 5MS/s에서 최대 10GS/s의 샘플링 속도와 8 12 14 16비트 ADC 분해능을 지원한다. 스펙트럼의 AWG는 40MS/s에서 최대 1.25GS/s의 출력 속도를 갖고 있으며 16비트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기술로 현저히 낮은 노이즈와 높은 재현성의 파형을 생성할 수 있다. 개별 디지타이저 및 AWG 카드는 1 2 4 또는 8채널을 가질 수 있다. 스펙트럼은 최대 128개의 채널 동기화로 대규모 멀티 채널 시스템을 구축을 지원하는 스타허브(Star-Hub)를 최근 출시했으며 독립형 이더넷/LXI는 2~48채널을 지원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펙트럼의 광범위한 제품군을 기반으로 본인의 사용목적에 가장 적합한 솔루션을 찾을 수 있다.||DPG 옵션(주문 코드 PulseGen)은 주문 즉시 사용이 가능하며 신규 및 기존 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 DPG가 장치에 적용되면 수집 및 생성 추가 기능 및 기타 외부 장비에 걸쳐 간편하게 동기화된 타이밍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스펙트럼인스트루먼트 소개||스펙트럼 인스트루먼트는 고유의 모듈식 개념으로 200개 이상의 다양한 디지타이저 및 제너레이터 제품을 PC 카드(PCIe 및 PXIe) 및 독립형 이더넷 장치(LXI)로 설계 및 생산한다. 1989년 설립된 이래 30년 간 업계 내 리딩 브랜드와 명문 대학 등의 전 세계 다양한 고객을 확보하고 있다. 독일 함부르크 인근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5년 보증과 설계 엔지니어가 직접 고객을 지원한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웹사이트: http://www.spectrum-instrumentation.com||||||||연락처||||스펙트럼인스트루먼트 홍보대행||호프만에이전시코리아 ||스펙트럼 인스트루먼트팀 ||이메일 보내기 ||||조경민 ||02-737-2945||AE 이메일 보내기 ||||강나연 ||02-752-7916||AAE 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스펙트럼인스트루먼트||||||배포 분야||||IT||반도체/부품||산업||로봇/제어계측||신상품||해외
Mon, 27 Nov 2023 17:28:49 +0900
-
롯데정밀화학 ‘ESG 최우수기업’으로 뽑혀… ESG경영에 대한 진심 통했다
서울--(뉴스와이어)--롯데정밀화학은 24일 한국ESG기준원이 주최한 ‘2023년 ESG 우수기업 시상식’에서 일반상장사부문 단 1개 사에게만 주어지는 ‘최우수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롯데정밀화학은 전사적 통합 리스크 관리체계를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실현을 가속화했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받았다. 특히 그린생태계 조성을 위한 청정기술 연구 개발 및 투자 확대로 글로벌 친환경 공급망을 구축하고 환경친화적 사업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그 외에도 전사적 통합 리스크 관리체계를 구축해 인권 공급망 지속가능성 등 사회적책임경영을 실천함과 동시에 이사회 중심 경영을 추구하고 있다.||롯데정밀화학은 10월 한국ESG기준원에서 진행한 ESG 등급 평가에서 평가대상 기업 1049개 사 중 상위 1.8%에 해당하는 종합 A+ 등급을 받은 바 있다. 이번 ESG 최우수기업을 수상한 회사는 최고등급 A+를 받았던 19개 사 중 롯데정밀화학이 유일하다.||아울러 글로벌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경연 대회로 세계 3개 어워드 중 하나로 꼽히는 ARC(Annual Report Competition)에서도 ‘Grand Award(대상)’을 수상했다. 이는 출품작 1560개 중 상위 2.5% 해당하는 성과이다. 그 외에도 LACP Vision Awards에서 최고상인 ‘Platinum상’을 수상하는 등 롯데정밀화학의 ESG 경영활동은 국내외에서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롯데정밀화학 김용석 대표이사는 “이번 수상은 친환경경영에 대한 의지를 가지고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체계를 만들어 나가고자 하는 노력이 다시 한번 인정받은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ESG경영을 고도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웹사이트: http://www.lottefinechem.com||||||||연락처||||롯데정밀화학||커뮤니케이션팀||오정택 수석||02-6974-4583||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롯데정밀화학||||||배포 분야||||산업||화학||수상/선정||서울
Fri, 24 Nov 2023 13:48:18 +0900
-
삼정펄프 임직원 ‘우리동네 쓰담쓰담’ 캠페인… 950ℓ 쓰레기 주워
평택--(뉴스와이어)--삼정펄프 임직원들은 22일 지역 사회와 상생을 위한 일상 속 실천을 독려하는 취지로 ‘우리동네 쓰담쓰담’ 캠페인을 진행했다.||||||||||||||||||||||||||||||||||||||삼정펄프가 진행하는 ‘우리동네 쓰담쓰담’ 캠페인은 가까운 우리 동네를 보살피고 쓰레기를 줍는 활동이다.||삼정펄프는 혜화동에 있는 사무실을 중심으로 4월부터 혜화문 성균관대학교 대학로 연극 거리 등 환경 정화 활동을 진행했다. 캠페인 활동 기간 임직원들과 시민들이 함께 참여해 총 950ℓ의 쓰레기를 주웠다.||캠페인에 참여한 한 삼정펄프 직원은 매일 다니는 대학로 거리를 내 손으로 직접 청소하니 뿌듯하다며 연극의 메카인 대학로에 많은 사람이 기분 좋게 머물다 가길 바란다는 소감을 말했다.||전성오 대표이사는 “캠페인이 일회성으로 끝나지 않고 일상 속 지속적 실천이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지역 사회 상생을 위한 작은 실천으로 세상의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앞장서겠다”고 말했다.||삼정펄프 소개||삼정펄프는 2023년 창립 50주년을 맞아 지역 사회 이바지를 위한 캠페인 활동과 친환경 제품을 만드는 등 지속 가능한 경영을 실천하고 있다. 고객이 일상에서 친환경 제품을 다양하게 경험하고 지속 가능한 삶을 실천할 수 있도록 1974년 설립 이후 현재까지 꾸준히 친환경 제품을 개발·제조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sjpulp.com||||||||연락처||||삼정펄프||영업기획팀||김현주 주임||02-762-5980||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삼정펄프||||||배포 분야||||산업||제지/포장||사회공헌||인천/경기
Fri, 24 Nov 2023 11:00:00 +0900
-
한화시스템-원웹,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 유통 계약
서울--(뉴스와이어)--한화시스템(대표이사 어성철)이 원웹과 23일 국내 서비스 개시를 위한 ‘저궤도 위성통신 유통·공급 계약(Distribution Partnership Agreement)’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이번 계약을 통해 한화시스템은 원웹의 저궤도 통신망을 활용한 초고속 인터넷 공급을 가시화하며 정부의 국경 간 공급 협정(Cross-Border Provision) 승인을 위한 수순을 밟는다.||각국에서 이용하는 위성통신망은 위성 주파수와 궤도로 이뤄지며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 국제 등록을 통해 확보된다. 해외 위성망을 사용하는 경우 위성통신 서비스가 주로 통신·항법·관측 등에 활용되는 특성상 통신 전파의 북한 월경(越境) 등 국가 안보 위협요소 방지를 위해 우리 정부의 국경 간 공급 승인을 받아야 한다.||한화시스템은 원웹의 위성망을 활용해 ‘우주 인터넷’ 네트워크를 확보하는 ‘상용 저궤도 위성 기반 통신체계’ 사업 참여를 추진 중이며 인터넷 접속이 어려운 격오지와 해상·공중 등에서 ‘위성통신 안테나’를 장착해 저궤도 위성으로부터 24시간 안정적인 ‘우주 인터넷’ 서비스를 받도록 하는 B2B 위성통신 서비스 공급을 준비하고 있다.||한화시스템은 7월 과기부에 기간통신 사업자 등록을 완료한 바 있으며 이달 말 원웹 유통·공급 계약서를 첨부해 국경 간 공급 협정서를 과기부에 제출할 예정이다.||김정호 한화시스템 항공·우주부문 사업대표는 “정부용 저궤도 통신 네트워크를 우선순위 과제로 추진 중”이라며 “한화시스템의 우주 인터넷 서비스는 인프라가 열악한 도서·산간과 재난재해와 지정학적 위기 상황 등 긴급 상황에서 끊김 없는 원활한 통신을 제공하며 이용 가치가 빛을 발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원웹은 9월 28일(현지 시각) 세계 3대 위성통신 기업인 프랑스 유텔셋과 인수합병(M&A) 절차를 마무리하고 유텔셋 원웹(Eutelsat OneWeb)*으로 사명 변경을 마쳤다. 정지궤도위성(GEO) 사업 규모가 큰 유텔셋은 원웹의 저궤도 위성(LEO) 사업 인수를 통해 시장을 더욱 확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텔셋 원웹은 올 5월 총 634기의 저궤도 통신위성을 모두 발사해 우주 인터넷망을 완성했으며 알래스카·캐나다 지역을 시작으로 서비스를 론칭했다. 원웹은 올해 말부터 글로벌 위성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웹사이트: https://www.hanwhasystems.com/kr/index.d...||||||||연락처||||한화시스템||커뮤니케이션팀||지선진 팀장||02-729-5906||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한화시스템||||||배포 분야||||산업||항공/무기||제휴||서울
Fri, 24 Nov 2023 09:56:42 +0900
-
대한전선, 영국 발포어 비티와 송배전 사업 공동 참여 MOU 체결
안양--(뉴스와이어)--대한전선이 영국에서 본격적인 사업 확장의 성과를 알렸다.||호반그룹의 대한전선(대표이사 송종민)은 영국 발포어 비티(Balfour Beatty)와 지중 송배전 사업에 대한 파트너십 구축 관련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4일에 밝혔다.||MOU 협약식은 현지 시간으로 23일 더 웨스틴 런던 시티 호텔에서 호반그룹 김선규 회장 발포어 비티 최고기술경영자(CTO) 크리스 존슨(Chris Johnson)과 송배전 총괄 대표 이안커리(Ian Currie) 대한전선 에너지해외사업부장 남정세 상무와 경영기획실장 백승 상무 영국 지사장 등 관계자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발포어 비티는 영국에 본사를 둔 글로벌 인프라 그룹으로 연 매출이 15조원에 달하는 대규모 회사다. LPT2(London Power Tunnels 2) 프로젝트를 포함해 영국의 국영 전력 회사인 내셔널 그리드(National Grid)가 발주한 대규모 전력망 프로젝트의 EPC(설계 조달 시공)를 다수 수행하고 있다. LPT2 프로젝트는 런던 전역의 전력 공급 안정화를 위해 도심을 가로지르는 지하 터널을 건설하고 전력망을 구축하는 초대형 사업으로 대한전선이 400kV급 전력망 일체를 공급한다.||이번 MOU는 양사의 협력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추진됐다. 두 회사는 향후 2030년까지 영국 내에서 진행되는 총 2억2000만파운드 이상의 다양한 송배전망 프로젝트 입찰에 공동으로 참여할 계획이다. 프로젝트 입찰 단계부터 기술 공유 및 업무 지원 등의 상호 협력을 통해 기술 경쟁력을 높이고 수주 가능성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미래를 위한 지속 가능한 에너지 솔루션과 비즈니스 모델 및 제품 개발을 위한 협력도 약속했다. 이를 위해 2024년 상반기 내에 사업 로드맵을 작성하고 기술 인력 교류를 통한 상생 협력 기반을 구축하기로 결정했다. 영국 정부가 2050년까지 넷-제로(Net-Zero) 목표 달성을 공표한 만큼 긴밀한 협력 관계 구축을 통해 다양한 사업 기회를 발굴하고 공략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이와 함께 대한전선은 MOU의 1차 성과로 약 360억원 규모의 전력망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이번 수주는 내셔널 그리드가 진행하는 사업으로 노스 웨식스 다운스(North Wessex Downs) 지역의 자연경관 개선을 위해 가공선(架空線)을 지중선(地中線)으로 교체하는 프로젝트다. 발포어 비티가 전체 EPC를 수행하고 대한전선이 400kV 초고압 전력망 공급과 전기공사를 진행한다.||대한전선은 본격적인 유럽 진출을 위해 2017년 영국지사를 설립하고 2019년 유럽 본부로 조직을 확대 개편하는 한편 네덜란드 영업 법인을 신설했다. 현재 덴마크 지사 스웨덴 지사 등 총 4개의 지사와 1개의 법인을 운영하며 유럽 내에서의 성과를 본격화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www.taihan.com||||||||연락처||||대한전선 ||홍보팀 ||김용건 대리 ||02-316-9293 ||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대한전선||||||배포 분야||||산업||중전기||제휴||인천/경기
Fri, 24 Nov 2023 09:35:21 +0900
-
제일전기공업, 국가품질경영대회서 9회 연속 ‘품질경쟁력우수기업’ 선정
서울--(뉴스와이어)--국내 스마트 배전기 분야 선도 기업 제일전기공업(코스닥 199820 대표이사 강동욱)이 11월 22일 서울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제49회 국가품질경영대회’ 시상식에서 품질경쟁력우수기업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국가품질경영대회는 산업통상자원부와 국가기술표준원이 주최하고 한국표준협회가 주관하고 있으며 제조 및 서비스 산업에서 품질혁신 활동을 통해 탁월한 성과를 창출하며 국가 산업 경쟁력 향상에 이바지한 기업과 개인에게 표창하는 행사다.||제일전기공업은 스마트 팩토리 및 공정 자동화 시스템 구축을 통한 지속적 품질혁신활동을 전개한결과 9회 연속 품질경쟁력우수기업으로 선정됐다. 또 꾸준한 투자와 제품 연구 개발을 통해 ‘AI스마트케어시스템’과 ‘디지털 아크차단기’ 등을 내놓으며 시장을 이끌고 있다는 평가를 얻었다.||회사는 이날 함께 진행된 ‘품질분임조경진대회’ 시상식에서도 은상을 받았다. 품질분임조경진대회는 임직원들의 자주적 활동을 통해 산업 현장 문제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우수 사례를 발표하는 행사로 이른바 ’산업계 전국체전’으로 알려져 있다.||제일전기공업은 자재팀 이정길 팀장 외 6명의 임직원으로 구성된 ‘Sample’ 분임조가 ‘주택용 분전반 프로세스 개선으로 작업시간 단축’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으며 해당 팀은 첫 출전 대회에서 은상을 받게 됐다.||강동욱 제일전기공업 대표이사는 “품질경쟁력 향상을 위한 임직원들의 꾸준한 노력을 인정받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며 “품질경영과 윤리경영을 지속 실천해 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가 산업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웹사이트: http://www.cheilelec.com||||||||연락처||||제일전기공업 홍보대행||서울IR네트워크 ||PR본부 ||제수현 매니저||02-783-0628||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제일전기공업||||||배포 분야||||경제||중소기업/창업||산업||소재/금속||수상/선정||부산/울산/경남
Thu, 23 Nov 2023 11:10:27 +0900
-
매니젬, 부아제르 광산에 관한 명백한 거짓 주장 반박
카사블랑카 모로코--(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책임 있는 광산 운영에 전념하는 매니젬 그룹(Managem Group)은 부아제르(Bou-Azzer) 광산 운영과 관련해 독일 신문 쥐트도이체 차이퉁(Sddeutsche Zeitung)에서 제기한 주장을 단호히 부정한다. 이러한 주장에는 사실적 근거가 없으며 매니젬은 다음 사실을 바탕으로 강력히 반박한다.||광부의 건강||하청업체를 포함한 직원의 건강은 일반적인 모범 관행에 따라 면밀히 모니터링된다. 광산의 모든 직원은 연간 2번의 종합 건강 검진을 받는다. 광산 운영 이후 비소 관련 직업병은 확인된 바 없으며 부아제르 광산 지역에서는 비소 관련 질병도 보고된 적 없다. 이는 가장 진보적인 국제 표준을 준수하는 산업 프로세스를 채택함에 따른 긍정적인 결과이다.||부아제르에서 광산 직원은 집단적 보호 조치(지하 광산의 환기 시스템)와 모든 직원 및 하청업체에 적합한 개인 보호 장비(PPE) 제공의 혜택을 받는다.||또한 수중 시추 및 무분진 습식 처리를 통해 광석을 안정적인 형태로 추출해 작업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장한다.||담당 운영자||범아프리카 광산 그룹인 매니젬은 환경 보호 사회적 관행 및 거버넌스 측면에서 가장 높은 국제 ESG 표준을 적용한다. 부아제르 광산은 업계 최고 표준의 효과적인 구현을 확인하는 주요 기관으로부터 국제 표준(ISO 45001 ISO 14001 ISO 9001 ISO 26000 CSR 라벨 RMI) 인증을 받았다.||수질||산업 현장에서 폐수를 포집하고 이를 산업 공정에 재투입하기 위해 대규모 투자가 선행됐으며 물 재활용률은 93%에 달한다.||협의 가능한 연간 감사(ISO 인증)에서는 식수 및 관개수 표준을 초과하는 농도 수준에 불규칙성이 없음을 보여준다. 저수조는 현재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한 사명에 따라 업그레이드되고 있다.||선도적인 국제 기업인 매니젬 그룹은 CSR 참여에 따라 직원 고객 및 당사가 운용하는 지역 사회를 위한 긍정적인 혜택을 강화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다.||매니젬은 부아제르 광산과 관련된 근거 없는 주장에 대해 법적 조치를 취할 권리가 있다.||출처: AETOSWire||본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웹사이트: https://www.managemgroup.com/en|| 이 보도자료의 영어판 보기||||연락처||||매니젬 그룹(Managem Group)||Communication@managemgroup.com||||||||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Managem Group||||||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선언/의견||해외
Thu, 23 Nov 2023 10:50:00 +0900
-
한화, NATO 호환 155mm 장약 첫 수출… 영국과 전방위 방산협력
창원--(뉴스와이어)--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영국의 글로벌 톱-티어 방산기업들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한다. 최근 전 세계적인 지정학적 위기로 수요가 급증하는 155mm 포탄의 장약 공급을 계기로 자유진영 우방국인 영국과 방산 분야에서 전방위적인 협력 관계를 확대하겠다는 것이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영국 BAE시스템즈와 1759억원 규모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이 사용하는 155mm 포탄의 모듈화 장약(modular charge system·MCS)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원통 모양으로 모듈화된 추진장약인 MCS는 탄두 뒤에 장전돼 폭발력으로 탄두를 정해진 사거리에 맞춰 포신 밖으로 날려보내는 핵심 탄약 구성품이다.||◇ 선제적으로 개발한 수출형 MCS… 자동장전 포탑 장착 자주포에 최적화||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번 계약을 통해 NATO 표준 155mm 포탄에 적용되는 장약을 처음으로 수출했다. 유럽의 지정학적인 위기로 NATO 회원국을 중심으로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판단해 2019년부터 선제적으로 NATO의 사거리 기준을 충족하는 추진장약 개발에 나서 올해 초 완료했다.||수출형 MCS는 자동장전 포탑을 탑재하는 자주포의 자동공급 기계의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외부 탄피의 강성을 높였다. 현재 컨소시엄 형태로 추진 중인 영국의 자주포 획득사업(Mobile Fires Platform·MFP)에 K9A2가 선정되면 MCS도 동시에 공급해 패키지 형태의 수출도 가능해진다.||◇ 대한민국 대표방산기업 한화 밥콕과 협력… 새로운 시너지 창출 가능||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22일(현지 시각)에 영국 방산 기업 밥콕(Babcock)과도 포괄적 사업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MOU에 따라 양측은 지상과 해양 하늘에서 글로벌 사업을 개발하기 위해 폭넓게 협력할 방침이다.||밥콕 인터내셔널 그룹은 방산 에너지 군수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진행 중이다. 특히 유지보수 부품 조달 등에서 영국 내 독보적인 지위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자주포 획득(MFP) 사업과 연계한 추가적인 솔루션 제공도 가능하다.||데이비드 록우드(David Lockwood) 밥콕인터내셔널 최고경영자(CEO)는 “양측의 강점을 살려 새로운 시너지를 창출하고 전 세계 고객에게 더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는 “NATO 회원국을 위한 MCS의 첫 수출을 계기로 영국 방산기업들과 다양한 방산 분야에서 협력관계를 확대해 대한민국의 방산 수출을 확대하고 자유진영 안보에도 기여하겠다”고 밝혔다.||||||웹사이트: https://www.hanwhaaerospace.co.kr/||||||||연락처||||한화에어로스페이스||커뮤니케이션팀||최선||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한화에어로스페이스||||||배포 분야||||산업||항공/무기||수주||부산/울산/경남
Thu, 23 Nov 2023 10:07:23 +0900
-
한국+스웨덴 녹색전환연합, 글로벌 푸드시스템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한국+스웨덴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포럼 개최
스톡홀름 스웨덴--(뉴스와이어)--한국+스웨덴녹색전환연합(영문명: Sweden+Korea Green Transition Alliance)은 테트라팩 코리아와 함께 글로벌 푸드 시스템의 전환과 탄소배출 감소를 주제로 한국+스웨덴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포럼을 11월 27일 서울 그랜드 하얏트에서 개최한다.||||||||||||||||||||||||이번 포럼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푸드시스템의 전환 및 탄소배출 감소를 주제로 스웨덴 기업 테트라팩과 국내 포장 재활용 식음료 산업의 주요 이해 관계자가 한자리에 모여 종이 용기와 포장재료의 재활용 가속화를 위한 방법을 논의하고 비전을 공유하고 재활용에 대한 인식 제고 및 저탄소 순환 경제 촉진을 통해 넷제로 가속화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한국+스웨덴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포럼은 다니엘 볼벤 주한스웨덴대사의 환영사와 유럽상공회의소 김보선 부총장의 축사를 시작으로 테트라팩 녹색기후기금 삼육식품 강원대학교의 지속가능한 푸드시스템으로 전환과 순환 경제와 관련된 주제 발표를 이어갈 예정이다. 발표는 △푸드시스템 전환에서 순환 경제의 중요성 △저탄소 순환 경제를 위한 종이 기반 패키징 전환 △종이화 트렌드에 대한 현주소화 귀중한 자원으로서의 섬유 기반 패키징에 대한 주제를 다룰 예정이다.||Material Economics가 발간한 ‘지속 가능한 포장 - 소재 대체의 역할’ 보고서에 따르면 섬유 기반 포장으로는 온실가스 배출을 65%까지 줄일 수 있지만 플라스틱 포장은 높은 재활용률에도 20%만 감소한다. 이 보고서는 플라스틱을 섬유 기반 포장으로 대체하는 것을 포장의 탄소배출 감소의 큰 잠재력 중 하나로 제안하고 있다. 스웨덴은 삼림자원을 기반으로 생산된 포장재(펄프 목재 등)가 재활용되도록 보장할 법적 기반 및 시스템이 갖춰져 있어 종이 포장의 80% 신문의 95% 그래픽 종이의 77%가 재활용되고 있다. 이번 포럼을 통해 푸드시스템 내에서의 스웨덴 기업과 한국 기업들의 순환 경제와 탄소 절감의 노력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패키징 재활용의 지속가능한 전환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이 포럼은 한국+스웨덴 녹색전환연합 프로그램의 하나로 사전 등록자에 한해 참석이 가능하다(관련 문의: 이재연 컨설턴트 jaeyeon.lee@business-sweden.se).||대한민국을 함께 녹색으로(Let’s make Korea Greener Together)||한국+스웨덴 녹색전환연합은 주한 스웨덴 기업과 주한스웨덴대사관 주한스웨덴무역투자대표부 및 주한스웨덴상공회의소가 함께하는 이니셔티브다. 한국의 녹색 및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을 위한 스웨덴의 지지와 국내 산업계 파트너 업체들의 협력을 도모하고자 한다.||스웨덴무역투자대표부 소개||주한스웨덴무역투자대표부는 스웨덴과 대한민국 양국의 무역 투자 분야 협력 및 관계 증진을 통해 스웨덴 기업의 한국 내 투자 및 세계화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스웨덴 정부 산하기관이다. 전 세계 60여개국에서 무역 관련 기관 상공회의소 및 대사관 영사관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www.business-sweden.com||||||||연락처||||스웨덴무역투자대표부||이재연 컨설턴트||070-4413-1690||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스웨덴무역투자대표부||||||배포 분야||||산업||제지/포장||에너지/환경||환경||행사||해외
Thu, 23 Nov 2023 10:00:00 +0900
-
글래스돔, SK C&C-비철금속협회와 ‘CBAM 대응 및 디지털 전환’ 관련 MOU
대구--(뉴스와이어)--탄소 배출 데이터 관리 솔루션 기업 글래스돔(대표 김대웅)은 SK C&C(사장 윤풍영) 한국비철금속협회(이하 비철금속협회 회장 박우동)와 함께 ‘EU CBAM(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탄소국경조정제도) 대응 및 디지털 전환 사업’에 관한 업무 제휴 협약을 체결했다.||||||||||||||||||||||||이번 업무 제휴 협약에 따라 3사(기관)는 유럽 연합(EU)의 배터리 규제와 CBAM 디지털 여권 도입 같은 글로벌 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밸류체인을 구축 디지털 전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제조 기업들이 더 빠르고 정확하게 환경 규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협력한다. 민감한 데이터의 유출 없이 탄소 발자국만을 계산할 수 있는 글래스돔의 기술력을 다양한 사업에 접목 기업들에 최적화한 기후테크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글래스돔은 자사의 소프트웨어 수직 통합 최적화 플랫폼을 통해 B2B 시장에서 ‘글래스돔 제품 환경 발자국 솔루션(Glassdome Product Environmental Footprint)’과 ‘글래스돔 제조 운영 최적화 솔루션(Glassdome Manufacturing Operations)’을 제공하고 있다.||실시간 데이터에 기반해 탄소 발자국 생애 주기 관리(Life Cycle assessment LCA)를 할 수 있는 기술력을 보유한 글래스돔은 ‘CBAM과 디지털 전환’ 사업 분야에서 플랫폼 개발 및 공급 유지 보수 커스터마이징 수행을 담당한다. 또 데이터 보안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도 꾸준히 힘쓸 계획이다.||SK C&C는 사업 기획 및 개발·마케팅을 주도하고 △CBAM과 디지털 전환 사업의 밸류체인 구축 △CBAM 관련 데이터 수집과 관리 △인공지능(AI)과 데이터 분석 및 모델 △에셋(Asset) 구현을 담당한다. 비철금속협회는 협회 회원사와 비회원사를 대상으로 한 홍보 및 마케팅을 진행하며 규제 대응 자문 정책 자금 지원 제안을 담당한다.||글래스돔은 2023년 10월부터 진행되고 있는 CBAM 대응에 발맞춰 비철금속협회 회원사들을 대상으로 프로모션을 추진한다. 11월 말까지 글래스돔 솔루션을 채택한 기업들에는 1년간 구독료 면제 혹은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또 당장 내년 1월부터 EU에 제출해야 하는 보고서 제출을 지원하며 규제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그에 맞춰 새로운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도 지원한다.||SK C&C 방수인 Digital ESG그룹장은 “ESG 디지털 넷제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SK C&C가 국내 비철금속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위한ESG 대응 전략 수립을 지원할 수 있게 돼 보람을 느낀다”며 “제조 기업들이 그린 비즈니스와 디지털 첨단 산업에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뤄나갈 수 있도록 협업을 확대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비철금속협회 이승훈 본부장은 “CBAM 같은 규제는 한 기업이 혼자 파악 대응하기에 너무 어렵고 복잡한 측면이 있었다. 특히 알루미늄 제조 기업의 경우 국내 내재 배출량보다 해외 상공정에서 배출되는 탄소량이 훨씬 더 많아 정확한 배출량 산정에 어려움을 겪었는데 글래스돔 및 SK C&C와 협업을 통해 실제 데이터 기준으로 정확한 배출량 산정이 가능해졌다”며 “협회 차원에서 이런 좋은 기회를 회원사들에 제공할 수 있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글래스돔 함진기 법인장은 “아직 국내 많은 기업이 CBAM 규제에 대해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거나 적절한 대응 방법을 찾지 못하는 상황에 있다”며 “이번 업무 협약은 글로벌 환경 규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다양한 기업들이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할 수 있도록 3사가 역량을 모으는 것인 만큼 글래스돔과 SK C&C 비철금속협회가 다양한 사업 협력을 이뤄가며 CBAM 대응과 디지털 전환 솔루션에서 속도를 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글래스돔 소개||탄소 배출 데이터 관리 솔루션 기업 글래스돔은 제조업계에 특화한 ‘소프트웨어 수직통합 최적화 플랫폼 - 글래스돔 플랫폼(The Glassdome Platform)’을 운영하는 회사다. SaaS 기반의 구독형 플랫폼 ‘글래스돔 플랫폼’은 합리적 비용으로 다양한 설치 옵션을 제공한다. 제조 기업들이 주로 쓰는 ERP MES 같은 기존 시스템뿐만 아니라 센서 PLC 등에서 나오는 데이터를 연결하며 강력한 데이터 통합 기술을 바탕으로 제조 기업들이 실시간으로 인사이트를 얻거나 지속 가능 경영에 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글래스돔은 자사의 소프트웨어 수직 통합 최적화 플랫폼을 통해 B2B 시장에서 크게 두 가지 솔루션 ‘글래스돔 제품환경발자국 솔루션(Glassdome Product Environmental Footprint)’과 ‘글래스돔 제조운영 최적화 솔루션(Glassdome Manufacturing Operations)’을 제공한다.||||||웹사이트: http://www.glassdome.com||||||||연락처||||글래스돔 홍보대행||오픈피알||황수연 애디터(additor)||이메일 보내기 ||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글래스돔||||||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에너지/환경||환경||제휴||대구/경북
Thu, 23 Nov 2023 09:40:34 +0900
-
현대엘리베이터, 2023 품질경쟁력 우수기업 선정
충주--(뉴스와이어)--현대엘리베이터가 22일 코엑스(서울 삼성동)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제49회 국가품질경영대회에서 ‘품질경쟁력 우수기업’에 선정됐다.||||||||||||||||||||||||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 주최하고 한국표준협회가 주관하는 품질경쟁력 우수기업 선정제도는 품질경영을 통해 품질향상 원가절감 생산성 향상 및 서비스 품질 개선으로 고객을 만족시키고 경영 성과를 거둔 기업을 발굴해 지속적인 품질경영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제도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올해까지 총 15회 선정됐으며 2015년에는 명예의 전당에 오른 바 있다.||현대엘리베이터는 전략관리시스템 기업문화 품질시스템 등 총 12개 분야 160개 항목에 대한 심사에서 △Vision 2030(글로벌 Top 매출 5조 해외사업 비중 50%) 달성을 위한 5대 전략의 체계적인 수립 △품질경쟁력 강화를 위한 품질경영활동 탁월 △각 품질 부문 전략 연계성 우수 △물류 제품개발 및 기술력 신뢰성 부분 관리 수준 매우 우수 △품질경쟁력을 위한 각 항목별 분명한 목적성 △체계적인 프로세스에 기반한 우수한 실행력을 높이 평가받았다.||조재천 대표이사는 “창립 초기부터 승강기 원천 기술을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품질경영에 힘써왔다”며 “최고의 제품과 서비스로 국내는 물론 세계의 고객들에게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현대엘리베이터는 6월 탑승객 안전 확보 고장 감소 로봇 연동 등을 통해 고객 만족도를 획기적으로 높인 첨단 유지관리 서비스 ‘미리’(MIRI)를 선보인 바 있다. 또한 11월 8~10일 개최된 2023 한국국제승강기엑스포에서는 UAM(도심항공모빌리티)의 허브가 될 H-PORT 시스템을 선보여 주목받은 바 있다.||||||웹사이트: http://www.hyundaielevator.co.kr||||||||연락처||||현대엘리베이터||커뮤니케이션팀||조찬호 부장||02-3670-0673||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현대엘리베이터||||||배포 분야||||산업||기계/플랜트||수상/선정||충북
Thu, 23 Nov 2023 09:10:22 +0900
-
한화시스템, 국내 최초 민간주도 관측 위성 연내 발사
서울--(뉴스와이어)--한화시스템(대표이사 어성철)이 자체 제작한 ‘소형 SAR위성’을 정부의 도움을 받아 제주도 남쪽 해상에서 연내 우주로 발사한다고 22일 밝혔다.||||||||||||||||||||||||그간 정부는 기(旣) 확보한 위성기술을 민간기업에 성공적으로 이관해 업체 주도로 위성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해오며 대한민국의 우주산업이 신속하게 뉴스페이스로 전환될 수 있도록 노력해왔다.||이번 위성 발사는 민간이 주도해 ‘한국형 뉴스페이스 산업’인 K-스페이스의 도약을 알리는 신호탄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한화시스템이 개발한 소형 SAR위성은 고해상도 지구관측 위성으로 일반 위성과 달리 탑재체·본체·태양전지판이 일체화된 형태다. 발사체에 최대한 많이 실을 수 있도록 설계돼 발사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SAR(합성개구레이다·Synthetic Aperture Radar): 공중에서 지상 및 해양에 레이다파를 순차적으로 쏜 후 레이다파가 굴곡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미세한 시간차를 선착순으로 합성해 지상 지형도를 만들어 내는 레이다 시스템으로 주야간 및 악천후에도 영상 정보 획득이 가능함||한화시스템은 위성을 성공적으로 발사한 후 자체적으로 보유한 지상관제 센터를 통해 발사 위성의 제어 및 실시간 지상 영상을 획득·분석하며 위성 개발·활용에 대한 경험을 쌓아나갈 계획이다.||||||웹사이트: https://www.hanwhasystems.com/kr/index.d...||||||||연락처||||한화시스템||커뮤니케이션팀||김수진 과장||02-729-2141||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한화시스템||||||배포 분야||||산업||항공/무기||실적||서울
Wed, 22 Nov 2023 09:42:43 +0900
-
아세아제지, 사무관리직 경력 사원 공채
서울--(뉴스와이어)--아세아그룹의 산업용지 전문 제조업체인 아세아제지가 대졸 경력사원을 모집한다.||이번 채용분야는 안전관리 분야로 채용 관련 상세 내용은 아세아제지 채용 홈페이지에서 11월 22일(수)부터 확인할 수 있다. 1차 서류 접수 마감은 11월 30일(목)까지이다. 서류 심사 후 실무진·임원면접 건강진단 순으로 진행되며 단계별 합격자는 개별 통보된다.||면접과 입사일정은 12월 초순이며 최종합격자들은 연수교육 후 현업 부서에 배치된다. 신규 입사자들이 합격한 직군 내에서 직무와 조직을 탐색하고 장기적 관점에서의 성장을 돕기 위해 교육과정과 교재를 개편했다.||지원 자격은 4년제 정규대학교 안전공학 보건공학 및 관련 전공 졸업자가 지원 가능할 수 있다. 제조업 경력자는 우대한다.||제출서류는 입사지원서 자기소개서 성적증명서 고교 생활기록부이며 지원 이메일은 recruit@asiapaper.co.kr이다.||특히 사업장 소재 청·장년 일자리 확대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는 취지에서 지역 출신 대학 지원자의 입사지원을 환영한다.||한편 아세아제지는 1958년 3월 7일 설립된 국내 최대 산업용지(골판지원지)제조업체로 유가증권시장(코스피 KS 02310) 상장기업이며 2022년 연결 기준 자산 1조349억원 매출 1조233억원 영업이익 1094억원을 기록했다.||아세아제지는 사내근로복지기금 운영 주택구입 및 임차자금 지원 학자금 전액 지원 동아리 활동지원 등 복지수준을 운영하고 있다. 회사 측은 정례적 지속적인 청년 일자리 창출을 통해 기업으로서 책임 경영을 다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공채를 통해 채용된 인재들과 함께 지속성장 가능한 제지업체로 도약할 것이라고 밝혔다.||||||웹사이트: http://kor.asiapaper.co.kr||||||||연락처||||아세아제지||기획관리팀||김조훈 부장 ||02-527-6882||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기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아세아제지||||||배포 분야||||산업||제지/포장||채용||서울
Wed, 22 Nov 2023 09:09:16 +0900
-
프리뉴, 드론 서비스 전문 업체 TERRA DRONE TECHNOLOGY MALAYSIA와 정식 대리점 계약 체결
안산--(뉴스와이어)--종합무인항공기 전문 제조/개발 기업 프리뉴가 TERRA DRONE TECHNOLOGY MALAYSIA(이하 TDMY)사와 정식 대리점 계약 체결을 했다고 21일 밝혔다. TDMY는 세계 2위 드론 서비스 업체인 일본 TERRA DRONE의 말레이시아 자회사다. 프리뉴는 TDMY와 대리점 계약을 통해 말레이시아에서 본격적인 영업 마케팅을 시작으로 현지 시장에 진출할 예정이다.||||||||||||||||||||||||||||||||||||||프리뉴는 국내 군 시장에 납품하며 축적된 정찰 드론 기술과 경험을 말레이시아 시장으로 확대하고 다양한 방산 정찰 드론 솔루션을 TDMY를 통해 현지 군·경에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 관련 TDMY의 IZWAN BIN ZAINAL ABIDIN 대표는 프리뉴 공장을 둘러보고 제조 기반을 확인한 뒤 프리뉴의 특수 주문 제작 드론 생산 기술에 주목했다. 특히 국내 다수의 드론 방위산업 프로젝트를 통해 검증을 마친 프리뉴의 독자적인 보안 모듈이 장착된 무인기 전용 데이터링크로 무인기가 수집하는 민감한 정보의 보안성을 강화함으로써 드론의 보안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차별화된 기술을 통해 말레이시아 방위산업 시장 진출에 대한 성공 가능성을 확인했다.||프리뉴는 방위산업뿐만 아니라 기존 TERRA DRONE의 서비스 플랫폼과 결합한 물류 측량 점검 등 다양한 드론 애플리케이션으로 말레이시아 내 다양한 민간 분야 드론 시장의 공동 개발에 대한 목표를 수립했으며 이번 협약을 시작으로 동남아 지역 신흥 경제 강국인 말레이시아 시장 공략의 발판 마련을 기대하고 있다.||특히 프리뉴의 정찰용 소형 전동형 헬리콥터 드론 ‘루펠(RUEPEL)’은 세계 시장에서 소수의 제조사만 해당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단연 성능과 활용성이 뛰어난 기체로 꼽혀 국내를 넘어 말레이시아 시장에서 상당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 내년 출시될 신규 수직이착륙 고정익 드론 ‘밀버스(MILVUS)’는 기존 대비 비행시간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영토가 넓은 말레이시아 시장을 공략할 전략 상품으로 기대가 높다.||이종경 프리뉴 대표는 “이번 대리점 계약 체결로 프리뉴의 제조 기술이 검증되고 동남아 지역에서 더 공고해진 해외 네트워크를 통해 성공적인 해외 진출 도약의 발판을 마련했다”고 밝혔다.||프리뉴 소개||프리뉴는 무인항공기(드론) H/W 제조 기술 S/W 개발 기술과 IT 핵심 기술의 융합을 통해 획기적인 드론 시스템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유일의 선도적인 드론 전문 기업이다. IT 기술과 융합을 통해 드론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플랫폼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웹사이트: https://www.preneu.com/||||||||연락처||||프리뉴||마케팅팀||박정화 주임||070-4639-1903||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프리뉴||||||배포 분야||||산업||항공/무기||제휴||인천/경기
Tue, 21 Nov 2023 13:00:00 +0900
-
세아제강지주, UAE서 대규모 계약 체결… 중동 시장 공략 가속화
서울--(뉴스와이어)--세아제강지주(대표이사 이주성 김태현)가 UAE서 2건의 대규모 강관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본격적인 중동 시장 공략에 나선다.||||||||||||||||||||||||세아제강지주는 UAE 생산법인 SeAH Steel UAE와 이탈리아 특수관 생산법인 이녹스텍(Inox Tech)을 앞세워 UAE 최대 국영 석유회사 아드녹(ADNOC)으로부터 대규모의 API송유관 및 클래드(CLAD) 강관을 수주했다고 21일 밝혔다.||SeAH Steel UAE는 아드녹이 진행하는 오일&가스 프로젝트에 5년간 약 20만톤 규모의 API 송유관을 공급하게 된다. SeAH Steel UAE가 공급하는 API 강관은 황화수소가 함유된 원유 및 천연가스를 운송하는데 사용되며 수소취성이 뛰어나고 내부식성의 성질을 가진 고사양의 강관 제품이다. 특히 UAE 현지에 제조기반을 두고 2011년부터 아드녹이 진행하는 에너지 프로젝트에 다양한 강관 제품을 공급하며 제품력을 인정받은 SeAH Steel UAE는 금번 장기 계약을 통해 안정적 공급 물량 및 수익성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이탈리아 특수관 생산법인 이녹스텍도 아드녹의 해일&가샤(Hail&Ghasha) 가스전 프로젝트에 약 1만4000톤 규모의 클래드 강관을 공급한다. 클래드 강관은 서로 다른 금속을 결합해 각 금속의 장점만을 조합한 강관 제품으로 이녹스텍은 내부식 합금강(CRA)과 탄소강을 조합한 클래드 강관을 2024년 상반기부터 해일&가샤 가스전에 순차적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이녹스텍의 클래드 강관은 기존 합금강에 준하는 강도와 내식성을 유지하면서도 원가 경쟁력이 뛰어난 혁신적인 강관 제품으로 세아제강지주는 클래드 강관 시장이 개화기라 판단하고 이번 이녹스텍 수주 실적을 기반으로 중동 시장 내 클래드 강관 시장 선점에 나설 방침이다.||||||웹사이트: http://www.seah.co.kr||||||||연락처||||세아홀딩스 ||커뮤니케이션실||이성규 수석||02-6970-0092||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세아홀딩스||||||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수주||서울
Tue, 21 Nov 2023 09:58:54 +0900
-
팀솔루션, 3D 매뉴얼 크리에이터 ‘DXE Manual’ 무료 체험… 교육 효과는 높이고, 관리비는 낮추고
울산--(뉴스와이어)--디지털 트윈 전문 기업 팀솔루션이 사용자 편의를 강조한 3D 매뉴얼 크리에이터 ‘딕시 매뉴얼(DXE Manual)’을 출시했다. 딕시 매뉴얼은 팀솔루션 디지털 트윈 플랫폼의 디지털 트윈 환경 편집 모듈 ‘딕시 에디터’에서 파생된 제품이다.||||||||||||||||||||||||||||||||||||||딕시 에디터가 3D 애니메이션 등의 콘텐츠와 데이터를 연결해 디지털 트윈 환경을 구성하고 편집하는 제품이라면 딕시 매뉴얼은 산업 설비 등의 3D CAD 모델을 불러와 3D 기반 매뉴얼을 생성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대부분의 산업 현장에서는 종이 PDF 등 문서 형태의 매뉴얼을 신규 인력 및 기존 작업자들에게 보급하고 있다. 또는 외부 강사진을 통해 단체 교육을 진행하거나 콘텐츠 용역업체 등 외주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방식은 최근 신재생 에너지와 협력사 작업자 외국인 작업자 고용 등 급변하는 업계 환경을 반영하기에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온다.||팀솔루션의 딕시 매뉴얼은 고객사 3D CAD를 활용해 작업 매뉴얼 제품의 작동 매뉴얼 등을 입체적으로 만들어 교육 장벽을 낮추는 한편 편집 기능을 통해 매뉴얼 변화나 제품 설계 변화 등을 신속히 반영할 수 있어 교육비용을 대폭 감소할 수 있다.||팀솔루션은 전사적 디지털 전환을 고민하는 고객들과의 만남을 통해 3D 매뉴얼과 같은 디지털 트윈 자산을 확보하는 것이 디지털 전환의 진입점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크고 작은 설비 및 작업 딕시 매뉴얼을 통해 콘텐츠 제작과 배포까지 손쉽게 이뤄져 기업 차원에서 비용 절감에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팀솔루션의 딕시 매뉴얼은 별도 신청서를 작성한 뒤 14일간 베타 버전을 무료로 사용해 볼 수 있다.||팀솔루션 소개||팀솔루션은 2017년 조선 등 제조 공정 전문가들이 모여 울산에서 창업한 기업으로 독자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조선·해양 자동차 석유 및 가스 우주항공 등 복잡성이 높은 산업을 중심으로 국내 최다 디지털 트윈 레퍼런스를 보유하고 있다. 최근 제품 출시와 더불어 글로벌 기업과의 공식 리셀러 협약 및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점차 해외 시장으로 영역을 확장해나가고 있다.||||||웹사이트: https://www.timsolution.io||||||||연락처||||팀솔루션||김아름 매니저||052-248-7009||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팀솔루션||||||배포 분야||||IT||소프트웨어||산업||기계/플랜트||신상품||부산/울산/경남
Mon, 20 Nov 2023 10:00:00 +0900
-
한화솔루션, 국제 친환경 인증 ISCC PLUS 제품군 확대
서울--(뉴스와이어)--한화솔루션이 기초 소재 제품군에 대한 국제 친환경인증 ISCC PLUS를 획득하며 수출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미국 유럽연합(EU) 등 주요국의 저탄소 정책에 대응해 주력 제품의 친환경인증 확보에 속도를 내겠다는 것이다.||||||||||||||||||||||||한화솔루션은 자사 제품 8종이 국제 친환경 인증 ISCC(International Sustainability & Carbon Certification) PLUS를 획득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에 인증이 부여된 한화솔루션 제품은 각종 산업의 불순물 제거 용도로 쓰이는 가성소다 제품군 △가성소다(NaOH) △염소(Cl2) 포장·접착제·케이블 등의 기초 소재인 PO 제품군 △LDPE △LLDPE △HDPE △전선용 컴파운드 △수첨석유수지 매트리스 폼 등의 원료인 △TDI다. 지난해 인증 받은 △EVA와 △PVC에 대해서도 갱신이 이뤄짐에 따라 한화솔루션은 모두 10종의 ISCC PLUS 인증 제품을 보유하게 됐다.||ISCC PLUS는 유럽연합의 재생에너지 지침에 따라 지속가능성 및 저탄소 제품에 부여하는 국제인증 제도다. 투명하고 엄격한 심사 기준에 따라 세계적으로 가장 공신력 있는 친환경 인증으로 손꼽히며 130여개의 글로벌 정유·화학사가 생산부터 판매에 이르는 과정에서 ISCC 인증을 활용하고 있다.||한화솔루션의 제품들은 옥수수 사탕수수 기반의 바이오매스와 폐유 등 바이오 폐기물에서 유래한 원료를 도입한 저탄소 생산 공정의 친환경성을 인정받았다. 또한 최근 이차전지 양극재의 소재로 쓰이며 주목받는 가성소다는 생산에 필요한 전력에서 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여 아시아 최초로 ISCC PLUS 재생에너지 활용 분야(Renewable)의 인증을 획득했다.||한화솔루션은 ISCC PLUS 인증 획득은 이를 공급받아 생산되는 최종 제품의 친환경 경쟁력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해외 고객사들의 공급망 내 저탄소원료 수요를 충족해 수출경쟁력을 확보하겠다고 설명했다.||||||웹사이트: https://www.hanwhasolutions.com||||||||연락처||||한화솔루션||전략부문 커뮤니케이션실 ||유용욱 프로||02-729-3131||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한화솔루션||||||배포 분야||||산업||화학||에너지/환경||친환경 기술||사업계획||서울
Mon, 20 Nov 2023 09:36:32 +0900
-
키넥시스, 브리타의 공급망 프로세스 최적화
오타와 온타리오--(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독일의 정수 필터링 회사인 브리타(BRITA SE)가 공급망에 동시 계획을 도입하기 위해 선도적인 공급망 관리 플랫폼인 Kinaxis®(토론토증권거래소: KXS)를 선정했다. 1966년에 설립된 브리타는 가정용 정수 필터 용기를 발명했으며 현재 개인 및 상업용으로 다양한 물 제품을 개발 생산 및 유통하고 있다. 최근 이 회사는 상당한 성장을 경험하면서 수요 계획 및 운영에 대한 압박이 가중되었다. 브리타는 키넥시스를 통해 전체 공급망에 대한 철저한 투명성을 확보하고 수요 계획 기능을 개선하여 모든 수요 변화에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적응하고 대응할 수 있게 될 것이다.||브리타의 공급망 관리 그룹 이사 올리버 쉴링(Oliver Schilling)은 “브리타는 사업 부문 수와 지리적 도달 범위 모두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기 때문에 한 지역의 중단이 공급망 전체에 즉시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은 매우 가치가 높다”며 “키넥시스와 4flow의 도움으로 최고 수준의 고객 서비스와 비즈니스 성장을 이루기 위해 전념하고 있다”고 밝혔다.||래피드리스폰스(RapidResponse®)를 통해 브리타는 여러 시나리오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어 기획자에게 수요 변화 및 시장 변동성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한다. 브리타는 이러한 인사이트를 보유하여 공급망에 대한 가장 스마트한 의사결정을 보다 빠르게 내릴 수 있다.||키넥시스의 글로벌 현장 영업 총괄부사장인 클레어 리클레브스키(Claire Rychlewski)는 “공급망은 핵심적으로 인간에게 봉사하기 위해 존재한다. 브리타는 전 세계 사람들이 자신의 고객에게 정수된 물을 제공하여 플라스틱 물병의 필요성을 줄일 수 있는 여과 제품을 제공한다”며 “브리타가 공급망을 혁신하고 회복력을 찾아 인간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돕게 되어 기쁘다”고 밝혔다.||래피드리스폰스(RapidResponse) 구현을 위해 브리타는 공급망 최적화 서비스 분야의 글로벌 리더이자 키넥시스의 파트너인 4flow와 협력하여 공급망의 디지털화를 지원할 예정이다.||4flow의 파트너이자 디지털 실무 책임자인 마크 슐리어 박사(Dr. Marc Schleyer)는 “글로벌 공급망과 관련 IT 인프라를 깊이 이해하고 있는 우리는 키넥시스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고객을 지원하고 의사 결정을 가속화하며 사일로를 허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브리타의 성공적인 구현을 돕고 공급망 운영의 지속 가능한 혁신을 보장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고 밝혔다.||키넥시스 소개||일상의 변동성과 불확실성은 빠른 행동을 요구한다. Kinaxis®는 통합된 비즈니스 계획과 디지털 공급망 전반에 걸쳐 신속하고 자신감 있는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민첩성을 제공한다. 사람들은 더 나은 계획을 세우고 더 나은 삶을 살고 세상을 바꿀 수 있다. 혁신적인 브랜드가 신뢰하는 키넥시스는 인간 지능과 AI 및 동시 계획을 결합하여 회사가 미래를 계획하고 리스크와 기회를 모니터링하며 변화의 속도에 맞춰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확장 가능한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으로 구동되는 키넥시스는 업계에서 입증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므로 모든 사람이 더 빨리 알고 더 빠르게 행동하고 낭비를 제거할 수 있다. 더 많은 키넥시스 뉴스를 보려면 Kinaxis.com을 방문하거나 링크트인 또는 트위터를 팔로우하면 된다.||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웹사이트: https://www.kinaxis.com/ko|| 이 보도자료의 영어판 보기||||연락처||||키넥시스(Kinaxis)||미디어 홍보||제이미 쿡(Jamie Cook) ||289-552-4640||jcook@kinaxis.com||||투자자 관계||릭 워즈워스(Rick Wadsworth) ||613-907-7613||rwadsworth@kinaxis.com||||||||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Kinaxis Inc.||||||배포 분야||||IT||소프트웨어||산업||기계/플랜트||수주||해외
Fri, 17 Nov 2023 13:35:00 +0900
-
케이피에프 ‘대한민국ESG·탄소중립대상’ 충북도지사상 수상
성남--(뉴스와이어)--케이피에프는 아름다운학교운동본부와 대한민국ESG·탄소중립대상 조직위원회 주최로 11월 13일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2023년 제2회 대한민국ESG·탄소중립대상’ 시상식에서 충북도지사상을 받았다고 밝혔다.||||||||||||||||||||||||대한민국 ESG·탄소중립 대상은 전국 기업 단체 및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ESG(환경·사회·지배 구조) 경영 우수 사례를 발굴 업계 전반에 ESG 경영을 확산시키고자 마련된 행사다.||시상식에는 ESG·탄소중립대상 조직위원회 박호군 위원장 홍성국 국회의원 최승재 국회의원 김형동 국회의원 조경태 국회의원 및 55개의 수상 기업과 기관 대표자들이 참석했다.||이날 ESG 부문에서 충북도지사상(지역 최우수상)을 수상한 케이피에프는 지속 가능 경영 정착을 목표로 환경 경영 공정 거래 및 상생 협력 사회공헌 및 직원 근무 환경 개선 활동을 꾸준히 실천하고 있다.||환경 경영 측면에서는 삼성이 지원하는 스마트 공장 혁신 활동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 모니터링 체계 구축 및 에너지 소비량 감축 성과를 이어가고 있으며 3정 6S 개선 활동으로 쾌적하고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함은 물론 신규 설비 도입 시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해 직원의 안전과 근무 만족도를 향상시켜 나가고 있다.||또 협력사와의 상생 협력 체계를 구축해 원·하청 간 윤리강령을 제정하고 협력사 직원에 대해 내부 직원과 차별없는 복리후생을 제공하는 등 항상 동등한 관계에서 공정한 거래가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케이피에프의 김형노 대표이사는 “매년 탄소 배출권 거래제 EU CBAM과 같은 탄소 중립 관련 규제와 공정 거래 법률 등이 강화되고 있어 초기에는 규제 준수를 위한 목적으로 ESG 경영에 관심을 두게 됐지만 이제는 회사의 경영 의사 결정에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다”며 “모두가 상생하기 위해 기업들의 자발적인 ESG 경영 동참은 꼭 필요하다고 본다”는 소감을 밝혔다.||케이피에프 소개||케이피에프는 건설 산업 기계 플랜트 중장비 및 풍력 등에 쓰이는 산업용 파스너(fastener·볼트·너트·와샤 등) 및 베어링 기어류 등 자동차용 부품을 개발·생산하는 기업이다. 한국볼트 사명으로 1963년 10월 1일 설립됐으며 2006년에는 자동차 부품 사업으로 확장하면서 사명을 케이피에프로 변경했다.||||||웹사이트: http://www.kpf.co.kr||||||||연락처||||케이피에프 ||여승준||031-8038-9777 ||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케이피에프||||||배포 분야||||산업||기계/플랜트||소재/금속||수상/선정||인천/경기
Fri, 17 Nov 2023 13:30:00 +0900
-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 현대엘리베이터 이사회 의장 사임
충주--(뉴스와이어)--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이 17일 현대엘리베이터 등기이사 및 이사회 의장직을 사임키로 했다고 밝혔다.||현 회장은 17일 열린 현대엘리베이터 임시이사회에 참석해 “최근 사회 전반에 기업 지배구조 선진화에 대한 인식과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현대엘리베이터 또한 업계 선도기업으로서 이사회 중심 경영이라는 핵심 가치에 부응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에 저는 현대엘리베이터 등기이사직 및 이사회 의장직을 사임하고자 한다”고 말했다.||현 회장이 이사회 의장직 사임 의사를 밝힘에 따라 현대엘리베이터는 다음 달 29일 임시주주총회를 열어 새로운 이사진을 구성하고 후속 임시이사회를 통해 신임 이사회 의장을 선임하기로 했다.||현대엘리베이터 측은 현 회장의 이번 등기이사 및 이사회 의장직 사임 결정은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는 이사회 중심의 투명하고 책임 있는 경영을 강화하고자 하는 현 회장의 선제적 결단이라며 차기 이사회 의장은 이사회의 전문성과 독립성을 제고하기 위해 사외이사 중에서 선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이러한 이사회 운영정책 개편과 함께 현대엘리베이터는 △지배구조 고도화를 위해 사외이사 선정 프로세스도 개선한다. 성과와 연동된 사외이사 평가 및 보상체계를 수립하고 감사위원회 별도 지원조직을 설치할 예정이다.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주주환원정책도 새로 마련했다. 향후 당기순이익의 50% 이상 배당이나 자사주 소각 등을 통해 주주들에게 돌려주고 최저배당제를 시행해 수익률에 대한 장기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주주들에게 안정적인 배당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또한 비경상 수익에 대해서도 별도의 배당 자사주 소각 등을 통해 주주가치를 제고할 계획이다.||현대엘리베이터는 수개월 간 현대그룹 지배구조 선진화 및 이사회 중심의 책임경영을 위해 시장·주주·전문기관 등의 의견을 수렴해 이사회 운영 개선 및 주주환원 등을 포함한 기업지배구조개선 방안을 발표한 것이라며 이를 통해 ESG 경영 체계를 확립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충실히 수행함으로써 주주와 사회 국가 경제에 더욱 큰 기여를 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도 국내 최고를 넘어 세계 모빌리티 시장을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는데 모든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웹사이트: http://www.hyundaielevator.co.kr||||||||연락처||||현대엘리베이터||커뮤니케이션팀||조찬호 부장||02-3670-0673||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현대엘리베이터||||||배포 분야||||산업||기계/플랜트||인사||충북
Fri, 17 Nov 2023 11:47:11 +0900
-
머티어리얼 스리잔, 인시아드 디지털 경험으로 아퀴아 2023년 인게이지 어워드 ‘가장 영향력 있는 기술 스택 통합’ 부문 수상
로스앤젤레스--(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글로벌 전략 및 고객 경험 혁신 컨설팅 기업 머티어리얼(Material)의 기술 및 엔지니어링 사업부인 스리잔(Srijan)이 인시아드(INSEAD) - The Business School for the World®와의 협업으로 ‘2023년 아퀴아 인게이지 어워드(Acquia Engage Award)’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기술 스택 통합(Most Impactful Tech Stack Integration)’ 부문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발표했다.||아퀴아 인게이지 어워드는 아퀴아 오픈 디지털 경험 플랫폼(Acquia Open DXP)을 활용하여 뛰어난 디지털 경험을 만들고 제공하는 데 있어 발군의 실력을 발휘한 조직에게 수여하는 상이다.||스리잔은 인시아드와 파트너가 되어 디지털 전략을 혁신하고 사용자 참여를 개선하며 브랜드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해 민첩하고 효율적인 통합 디지털 플랫폼을 구축하고 기술을 비즈니스 전략에 맞게 조율하여 성장과 성공을 이끌어냈다. 스리잔은 타사 통합과 CDP 구현을 활용하여 매력적이고 일관성 있으며 효과적인 디지털 경험을 통해 사용자 여정을 간소화했다.||머티어리얼의 최고납품책임자인 사우라브 다스(Saurabh Das)는 “우리가 제공한 맞춤형 솔루션 접근 방식을 통한 인시아드의 성공은 우수성과 가치에 대한 우리의 헌신을 진정으로 잘 보여준다”며 “이번 수상은 고객에게 전대미문의 가치를 제공하는 영향력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변함 없이 노력을 집중해온 우리 팀을 증거해준다”고 밝혔다.||인시아드 최고정보책임자 추탓소(Choo Tatt Saw)는 “스리잔과 맺은 전략적 파트너십에 대해 매우 감사하게 생각한다. 매우 도전적인 프로젝트였지만 스리잔은 기술적인 관점뿐 아니라 이해관계자 관리 전선에서도 우리와 긴밀히 협력하여 문제를 탐색하고 해결하는 데 있어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임을 입증했다”고 밝혔다.||인시아드의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디렉터인 도브 캠벨(Dov Campbell)은 “스리잔과의 강력한 협력을 통해 초기 비전에 충실하면서 강력하고 조절 가능하고 원활하게 통합된 웹사이트를 만들 수 있었다”고 전했다.||머티어리얼 납품 디렉터인 루파 미스트리(Rupa Mistry)는 “인시아드와의 파트너십은 역동적이고 매력적이었으며 맞춤형 솔루션과 우수성에 대한 공동의 노력을 통해 각 이정표를 달성할 수 있었다. 이번 수상은 이러한 민첩성과 협업 정신의 증거”라고 설명했다.||올해 인게이지 어워드에는 26개 부문에서 다양한 산업과 지역에 걸쳐 수백 가지가 출품작으로 접수되었다. 각 출품작은 존경받는 디지털 전문가 패널에게 제출되었으며 패널은 기능 통합 성능 결과 전반적인 사용자 경험 및 기타 기준에 따라 이를 평가했다. 여기에서 사례 연구를 통해 스리잔이 아퀴아 및 기타 기술 스택을 어떻게 활용했는지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머티어리얼 회사 스리잔 소개||머티어리얼 회사인 스리잔은 포춘 선정 500대 기업부터 전 세계 비영리 단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비즈니스를 위해 더 나은 미래로 가는 혁신적인 디지털 경로를 구축하는 글로벌 엔지니어링 회사이다. 일용소비재(FMCG) 항공 통신 기술 등에 걸쳐 유명 기업들에 고급 엔지니어링 역량과 애자일 관행을 제공한다. 스리잔은 350명 이상의 드루팔(Drupal) 엔지니어와 110여 가지 아퀴아 인증을 보유한 드루팔 엔터프라이즈 파트너 및 다이아몬드 인증 기여자(Drupal Enterprise Partner & Diamond Certified Contributor)이자 드루팔 리더이다.||2021년 스리잔은 심층적인 인간의 통찰력과 독점적인 과학 + 시스템 접근 방식이라는 현대 기술을 결합하여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브랜드와 혁신 기업의 참여와 성장을 가속화하는 글로벌 전략 파트너인 머티어리얼에 인수되었다. 고객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과 경험을 설계하고 구축하여 기업과 기업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들 간에 혁신적인 관계를 구축한다. 웹사이트: https://www.materialplus.io/||아퀴아 소개||아퀴아는 야심찬 디지털 혁신가들이 고객 직원 커뮤니티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가장 생산적이고 원활한 디지털 경험을 만들 수 있는 역량을 부여한다. 당사는 모두에게 안전하고 접근 가능하며 이용 가능한 디지털 미래를 만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오픈 소스 드루팔을 기반으로 구축된 세계 최고의 개방형 디지털 경험 플랫폼(DXP)을 제공하고 있다. 아퀴아 오픈 DXP를 사용하면 고객 데이터와 콘텐츠의 잠재력을 활용하여 시장 출시 시간을 단축하고 참여 전환 및 매출을 늘릴 수 있다. 웹사이트: https://acquia.com||세계를 위한 비즈니스 스쿨 인시아드 소개||세계 일류이자 최대 규모 경영대학원 중 하나인 경영대학원인 인시아드는 사람과 문화 아이디어를 통해 비즈니스와 사회를 변화시키는 책임감 있는 리더를 양성한다. 연구 교육 및 파트너십에는 이러한 글로벌 관점과 문화적 다양성이 반영된다.||유럽(프랑스) 아시아(싱가포르) 중동(아부다비)에 이어 현재 북미(샌프란시스코)에 이르기까지 분원을 두고 있는 인시아드의 비즈니스 교육 및 연구는 4개 지역에 걸쳐 있다.||40개국에서 온 162명의 저명한 교수진이 경영학 석사 MBA 글로벌 경영자 MBA 전문 석사(재무학 경영자 석사 변화 관리 경영자 석사) 및 박사 과정에서 매년 1300명 이상의 학위 과정 학생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 또한 매년 1만 명 이상의 중역 참가자들이 인시아드 경영자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인시아드는 모든 프로그램에서 최첨단 연구와 혁신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비즈니스 리더에게 어디서든 사업을 영위할 수 있는 지식과 인지도를 제공한다. 핵심 가치를 통해 학문적 우수성을 추구하고 세계를 위한 비즈니스 스쿨로서 글로벌 커뮤니티에 봉사한다.||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웹사이트: https://www.materialplus.io/|| 이 보도자료의 영어판 보기||||연락처||||머티어리얼(Material)||케이시 콜스워디(Casey Colesworthy)||208.720.0862||casey.colesworthy@materialplus.io||||||||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Material||||||배포 분야||||IT||소프트웨어||산업||기계/플랜트||수상/선정||해외
Fri, 17 Nov 2023 10:30:00 +0900
-
효성티앤씨, 젝시믹스에 ‘땀 냄새 없애는 스판덱스’ 단독 공급
서울--(뉴스와이어)--효성티앤씨와 국내 매출 1위 애슬레저 브랜드인 젝시믹스(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가 ‘크레오라 프레시(creora® Fresh)’ 섬유 단독 공급에 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효성티앤씨의 크레오라 프레시는 일상생활이나 운동 후 땀으로 인한 불쾌한 냄새를 없애 의류를 오래 쾌적하게 입을 수 있도록 돕는 기능성 스판덱스 섬유다.||냄새 유발 물질을 화학적으로 중화해 소취 기능이 뛰어나며 기존 스판덱스와 동일한 신축성 회복탄력성과 우수한 내구성을 갖고 있어 여러 번의 세탁 후에도 기능이 유지된다.||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기존 및 신제품 개발 협력 강화 △양사 간 인적자원 교류 및 육성 △효성의 개발 제품 및 트렌드 정보 공유 △국내의 패션 및 섬유 업계 조사 관련 공동 협력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효성티앤씨가 생산하는 크레오라 프레시 섬유는 국내 유수의 원단 업체를 거쳐 젝시믹스의 요가복 티셔츠 속옷 양말 등의 고객 맞춤형 액티브웨어 제품에 적용될 예정이다. 또한 기능성 짐웨어 외에도 골프웨어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해 양사 간 시너지를 낼 전망이다.||효성티앤씨의 크레오라는 2010년부터 스판덱스 섬유 생산에서 세계 시장점유율 1위를 지키며 쌓아온 기술력과 명성을 바탕으로 제품 공급을 넘어 패션 트렌드까지 제시하는 섬유 프리미엄 브랜드로 도약하고 있다. 또한 중국 베트남 인도 브라질 터키 등 대륙별 스판덱스 생산 거점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적시에 공급하고 있다.||김치형 대표는 “국내 브랜드와 협업을 통해 매출 확대는 물론 한국의 세계적인 섬유 기술력을 널리 알려 글로벌 시장 공략에도 이를 활용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웹사이트: http://www.hyosungtnc.com||||||||연락처||||효성||김민경 PM||02-707-7335||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효성티앤씨||||||배포 분야||||라이프 스타일||패션/쥬얼리||산업||소재/금속||수주||서울
Fri, 17 Nov 2023 09:40:06 +0900
-
애경케미칼, 미래 유망 바이오 화학소재 개발 박차
서울--(뉴스와이어)--애경케미칼과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석유 기반 화학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바이오 소재 연구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애경케미칼(대표 표경원)과 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김장성)은 16일 대전 애경종합기술원에서 ‘식물유 유래 바이오 소재 개발 및 산업화 연구를 위한 공동연구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계약식에는 애경케미칼 염선필 연구부소장 생명공학연구원 연구책임자 안정오 박사 등이 참석했다.||계약에 따라 애경케미칼과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바이오 나일론과 바이오 가소제 등의 원료가 되는 식물유 기반의 바이오 소재(C12 Di-acid) 개발에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다. 3년 내 개발을 목표로 한다.||애경케미칼은 바이오 소재를 신성장동력 중 하나로 꼽고 관련 기술 확보에 힘을 쏟고 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맺은 공동연구 계약도 이러한 노력의 일환이다. 애경케미칼과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바이오 공정을 개발하고 생산된 소재를 고순도로 분리·정제하는 기술도 마련할 계획이다.||바이오 소재는 환경과 인체에 친화적이고 기후 위기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각광받고 있다. 제조 과정에서 에너지 소비가 낮아 탄소배출량 저감이 가능하다. 세계 바이오 소재 시장은 2023년 기준 약 1200억달러로 2027년까지 2200억달러 수준으로 확대될 전망이다.||||||웹사이트: http://www.aekyungchemical.co.kr/||||||||연락처||||애경케미칼 ||커뮤니케이션팀||이진주 선임||02-6078-3042||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애경케미칼||||||배포 분야||||산업||화학||사업계획||서울
Fri, 17 Nov 2023 09:17:37 +0900
-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효성티앤씨와 원사 단독 공급 계약 체결
서울--(뉴스와이어)--미디어커머스 기업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각자대표 이수연 강민준)은 효성티앤씨와 기능성 ‘크레오라 프레시(creora® Fresh)’ 원사에 대한 단독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16일 본사 대회의실에서 진행된 업무협약 체결식에는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이수연 대표 상품그룹 정재웅 그룹장을 비롯해 효성티앤씨 글로벌 세일즈&마케팅 총괄 임장규 상무 섬유마케팅 유소라 상무 등이 참석했다.||양사는 이번 협약으로 △신규 개발(원사·원단·완제품) 및 정기적인 신제품 개발을 위한 협력 △양사 간 인적자원의 교류 및 교육 △효성의 FDC(Fashion Design Center) 개발 제품 및 트렌드 정보 공유 △국내의 패션 및 섬유 업계 조사 관련 공동 협력 등에 힘을 모을 계획이다.||특히 이번 체결을 통해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은 효성티앤씨에서 개발한 ‘크레오라 프레시’ 원사를 애슬레저 업계 최초로 단독 공급받게 됐다.||‘크레오라 프레시’는 일상생활이나 운동 후 생기는 땀 냄새 발 냄새 등을 없애 의류를 오래도록 쾌적하게 입을 수 있도록 돕는 기능성 스판덱스다.||땀 냄새 유발물질인 암모니아·초산을 화학적으로 중화해 소취 기능이 뛰어나며 내구성 또한 우수해 여러 번의 세탁 후에도 기능이 유지되는 강점이 있다.||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은 효성티앤씨와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액티브웨어 브랜드 젝시믹스의 일부 신제품 개발 과정에 해당 원사를 적용하고 향후 다양한 고객 맞춤형 기능성 제품들을 출시할 계획이다.||젝시믹스는 그간 기능성 짐웨어 외에도 골프웨어 요가웨어 출시에 이어 내년에는 남성 ‘라이프 비즈니스’(비즈니스 캐주얼) 라인 출시를 앞두고 있는 만큼 향후 양사 간 큰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이수연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대표는 “이번 업무협약과 공급계약 체결을 통해 한층 더 기능성이 강화된 젝시믹스 제품을 선보일 수 있게 됐다”며 “양사 간 파트너십 강화와 기술개발 협력으로 글로벌 애슬레저 시장에서의 입지를 넓혀가겠다”고 말했다.||||||웹사이트: http://www.brandxg.com/||||||||연락처||||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홍보팀||김지민 프로||02-6959-2362||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배포 분야||||라이프 스타일||패션/쥬얼리||산업||소재/금속||제휴||서울
Fri, 17 Nov 2023 09:04:15 +0900
-
사친 사푸테 노벨리스 아시아 사장 ‘일회용품 제로 챌린지’ 동참
서울--(뉴스와이어)--지속 가능한 알루미늄 솔루션을 공급하는 세계 최대 알루미늄 압연 및 재활용 기업 노벨리스는 17일 환경부가 진행하는 ‘일회용품 제로 챌린지’에 동참했다고 밝혔다.||||||||||||||||||||||||일회용품 제로 챌린지는 환경부가 올해 2월부터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고 다회용품 사용을 늘리기 위해 시작한 환경 릴레이 캠페인이다. 참가자는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겠다는 약속을 사회 관계망 서비스(SNS)에 게재하고 다음 참가자를 지목하는 방식으로 캠페인을 이어간다.||노벨리스는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해 임직원들과 함께 △사내 페이퍼리스(paperless) 캠페인 △전자 결재 시스템 확대 △다회용 텀블러 및 머그컵 사용 등을 진행하고 있다.||이영호 조일알미늄 대표이사 부회장 지목을 받아 이번 캠페인에 참여한 사친 사푸테 노벨리스 아시아 사장은 “탄소 발자국을 줄이고 지속 가능한 환경을 만들기 위한 캠페인에 참여하게 돼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다음 세대를 위해 ‘지속 가능한 세상을 함께 만든다’는 마음으로 임직원들과 일회용품 제로를 생활 속에서 실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사푸테 사장은 다음 챌린지 참여자로 삼아알미늄 하상용 사장 솔베이 코리아 서영훈 사장을 지목했다.||노벨리스코리아 소개||노벨리스는 ‘지속 가능한 세상을 함께 만든다’는 기업 목적을 표방한다. 노벨리스는 혁신적인 알루미늄 제품 및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선도 기업이며 세계 최대 알루미늄 재활용 기업이다. 노벨리스는 저탄소 지속 가능한 알루미늄 솔루션을 제공하는 선두 기업으로서 북미 유럽 아시아 및 남미 지역에서 항공 우주 자동차 음료 캔 산업 분야의 고객 및 공급업체들과 협력해 완전한 순환 경제를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 회계연도 2023년 순 매출은 185억달러를 기록했다. 노벨리스는 인도 뭄바이에 본사를 두고 있는 다국적 기업 아디트야 비를라 그룹(Aditya Birla Group)의 알루미늄 구리 금속 부문 주력 기업인 힌달코 인더스트리즈(Hindalco Industries Limited)의 자회사다. 더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웹사이트: http://novelis.com||||||||연락처||||노벨리스코리아||김정현 책임 ||+82 2-2259-1595||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노벨리스코리아||||||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인물동정||서울
Fri, 17 Nov 2023 09:00:00 +0900
-
애즈원, 국내 최초 노바스타와 7년 연속 총판 계약 체결
서울--(뉴스와이어)--애즈원은 10월 10일 노바스타와 7년 연속 총판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총판 체결로 노바스타와 국내 최초 7년 연속 꾸준한 협력 관계를 맺게 돼 더 큰 의미를 지닌다.||||||||||||||||||||||||애즈원은 LED 전광판을 제조 및 설계 설치 유지 보수하는 LED 디스플레이 토털 솔루션 전문 기업이다. 고품질의 LED 디스플레이 제품을 개발·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다. 노바스타는 글로벌 LED 프로세서 선도 기업으로서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개막식 2008 베이징 올림픽 등에서 뛰어난 기술력과 혁신적인 제품으로 전 세계 LED 컨트롤러 시스템 솔루션을 이끌고 있다.||이번 총판 계약으로 애즈원은 LED 컨트롤러 분야의 세계적인 기업 노바스타의 신제품 그리고 기술을 안정적으로 국내 시장에 소개할 수 있어 꾸준히 시장 점유율을 높일 수 있게 됐다. 노바스타 역시 국내 LED 전광판 분야를 대표하는 애즈원과 계약을 체결함으로써 한국에서 판매와 각종 대형 이벤트를 진행하며 브랜드 입지를 강화하고 경쟁력을 한층 높이게 됐다.||특히 2017년 대한민국 최초로 애즈원과 노바스타가 총판 계약을 체결한 이래 7년 연속 협력 관계를 이어온 부분이 더 남다르게 해석되고 있다. 양 사는 단순한 총판 관계를 넘어서 서로를 존중하며 함께 발전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실제 애즈원은 한국 시장에서 노바스타 제품을 사용하면서 얻은 노하우와 장단점을 노바스타 본사에 제공해 신제품 개발에 협력하고 있으며 노바스타 역시 더 적극적으로 기술진 교육과 월드 투어를 진행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애즈원은 이런 신뢰를 바탕으로 국내에서 더 쉽게 노바스타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올해 9월 노바스타 전문 온라인 스토어 ‘노바몰’을 오픈했다. 노바몰은 노바스타의 제품을 저렴한 가격에서 판매하는 B2B 온라인 스토어다. 노바스타 공식 인증을 받은 엔지니어의 상담을 통해 제품과 솔루션을 제공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애즈원은 우리만이 할 수 있는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LED 디스플레이 기술의 혁신과 발전에 주력하고 있다며 노바스타와의 꾸준한 협력 관계를 통해 시장에서 선도적 입지를 유지하겠다고 밝혔다.||자세한 내용은 애즈원의 공식 블로그(https://blog.naver.com/asonetech_)에서 확인할 수 있다.||애즈원 소개||‘ALL IN ONE ONLY ONE ASONE’ 애즈원은 눈으로 보는 기술의 혁신으로 LED 전광판 설계부터 디자인 제조 시공 유지 보수까지 직접 ALL IN ONE 시스템 솔루션으로 제공하는 전문 기업이다. LED 전광판 관련 기술 특허 및 1000건 이상의 현장 노하우와 기술력을 보유해 공공기관 기업 종교 등 다양한 분야의 고객 요구 사항과 관련해 다른 업체와 차별화·최적화된 유일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 옥외 로비 강당 회의실 등 공간에 맞는 하드웨어와 시공 기술력을 바탕으로 재계약률 100%의 높은 고객 만족도를 제공한다.||||노바몰: https://novamall.co.kr/||웹사이트: http://www.asonetech.co.kr/||||||||연락처||||애즈원||커뮤니케이션팀||박정현 차장||02-2088-0920||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애즈원||||||배포 분야||||산업||기계/플랜트||제휴||서울
Fri, 17 Nov 2023 07:00:00 +0900
-
씨아이에스, 꿈의 배터리 ‘전고체 이차전지’ 사업 확대에 날개 달아
서울--(뉴스와이어)--이차전지 전극공정 장비 업체 씨아이에스(코스닥 222080 대표이사 김동진)는 ‘50kg/batch 황화물 기반 고체전해질 제조공정기술 및 장비 개발’ 국책과제의 총괄 연구기관으로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이번 국책과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차세대 이차전지 소재부품기술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세부적으로는 △저비용 분리막용 전해질 제조기술 △고성능 복합양극용 전해질 제조기술 △전해질용 핵심 소재 제조 기술 개발 등으로 구분된다.||세부 과제별 연구기관은 씨아이에스 포스코제이케이솔리드솔루션 이수스페이셜티케미컬이 선정됐으며 모든 과제를 아우르는 총괄 연구기관으로 씨아이에스가 선정됐다. 그간 다수의 전고체 관련 국책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온 이력이 높이 평가된 결과다.||씨아이에스는 씨아이솔리드(자회사) 한국세라믹기술원 국민대학교 고려대학교 등과 연구단을 구성해 저비용 황화물 기반 고체 전해질 50kg/batch 양산을 위한 요소기술과 합성 장비 및 박막 분리막 공정 등을 개발할 예정이다.||이를 통해 전고체 이차전지 고체 전해질의 대량 합성을 가능케 하는 기술을 확보함은 물론 고에너지밀도 전고체 전지의 핵심 부품과 함께 양산 공정기술을 바탕으로 전고체 전지 소재 및 부품 장비 시장을 선점하는 등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이차전지 글로벌 시장에서 K-배터리가 글로벌 스탠다드로 자리매김하는 가운데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에 대한 선제적인 기술개발을 통한 시장 선점은 국가 차원의 산업경쟁력 확보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사안으로 평가 받고 있다.||씨아이에스는 다수의 전고체 관련 국책과제 수행으로 축적한 기술력을 토대로 이번의 새로운 국책과제 수행 경험을 통해 향후 회사의 전고체 관련 소재 장비 공정기술 역량과 신규 시장에서의 독보적인 지위를 확보할 수 있게 됐다며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최고 수준의 전고체 전극공정 장비/소재 공급업체로 비상할 것이라고 국책과제 수행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다.||||||웹사이트: http://www.cisro.co.kr/||||||||연락처||||씨아이에스 홍보대행||서울IR네트워크||PR본부||제수현 매니저 ||02-783-0628 ||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씨아이에스||||||배포 분야||||산업||기계/플랜트||화학||수상/선정||대구/경북
Thu, 16 Nov 2023 16:43:26 +0900
-
한국전기공사협회 경기도북부회, 따뜻한 겨울나기 사랑의 김장 나눔 행사 진행
고양--(뉴스와이어)--한국전기공사협회 경기도북부회(회장 김종욱)는 11월 15일(수) 고양시일산노인종합복지관 앞마당에서 ‘2023년도 전기공사기업인 사회공헌 실천의 날’을 맞이해 ‘따뜻한 겨울나기 사랑의 김장 나눔’ 행사를 진행했다.||||||||||||||||||||||||이번 행사에는 고양시(병) 홍정민 국회의원 고양특례시 신인선 시의원 고양시일산노인종합복지관 장기욱 관장 대한노인회 고양시일산동구지회 정영주 지회장 고양파주범죄피해자지원센터 희망나눔봉사단 마음행봉사단 이민자통합센터 외국인봉사단 등이 참여했다.||행사를 이끈 한국전기공사 경기도북부회의 김종욱 회장은 “바쁘신 와중에도 귀한 시간을 내 참석해주신 모든 분께 감사드린다”며 “사랑의 김장 나눔을 통해 어려운 이웃들이 따뜻한 겨울나기에 보탬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홍정민 국회의원은 “지난해 전기공사협회가 이 자리에서 사회공헌 활동을 했던 것을 기억한다. 지역 주민들을 위해 힘써주시는 김종욱 회장과 한국전기공사 중앙회 경기도북부회에 감사한 마음이 컸다”며 “올해도 잊지 않고 지역을 위해 힘을 모아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하다”고 말했다.||신인선 시의원은 “정성껏 담근 김장김치가 어려운 이웃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나눔 문화 활성화로 더 많은 분들께 도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김재홍 한국전기공사협회 경기도북부회 사무국장은 “우리 전기공사협회와 전기공사 기업인들은 마땅히 지켜야 할 사회적 책임과 도리를 잊지 않고 있다. 특히 올해 김장 나눔 행사는 고양시 관내 시각장애인쉼터 중증장애인생활시설 독거어르신들에게 김장을 전달함으로써 다가오는 추운 겨울철에 따뜻한 온정을 나누기 위해 마련됐다”고 말했다.||‘전기공사기업인 사회공헌 실천의 날’은 전기공사협회 중앙회와 전국 각 시도회가 매년 겨울을 앞둔 11월경 지역 주민들을 찾아 봉사활동을 하고 지역 사랑을 실천하는 날이다.||고양파주범죄피해자지원센터 소개||고양파주범죄피해자지원센터는 범죄로 피해를 입은 사람 및 유가족들에게 형사사법 절차상 권리를 보호하고 신체적 재산적 정신적 피해 등을 회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gpcvc.kcva.or.kr/||||||||연락처||||고양파주범죄피해자지원센터 ||조영곤 사무처장||031-932-8291||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고양파주범죄피해자지원센터||||||배포 분야||||산업||중전기||사회공헌||인천/경기
Thu, 16 Nov 2023 16:42:38 +0900
-
이케우치, SMT 공정에서 드라이 포그 이용한 습도 제어 시스템 소개
오사카 일본--(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일본의 스프레이 노즐 제조업체인 이케우치(H. IKEUCHI & CO. LTD.)가 드라이 포그 기술을 적용한 습도 제어 시스템을 소개하는 글로벌 캠페인에 착수했다. 이러한 시스템은 표면 실장 기술(SMT) 공정에서 정전기 문제를 효과적으로 완화할 뿐만 아니라 CO2 배출량과 에너지 비용을 크게 줄여준다.||||||||||||||||||||||||‘드라이 포그’는 이케우치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특수 스프레이 노즐을 통해 생성되며 각각 직경 10㎛ 이하인 초미세 물방울로 구성되어 있다. 차별화되는 점은 이 미세한 물방울이 물체에 접촉해 터지는 대신 튕겨져 나와 제품과 장비를 완전히 건조하게 유지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탁월한 기능 덕분에 시스템은 전자 제품 제조 특히 습기가 우려되는 SMT 공정에서 사용하기에 최적으로 만들어진다.||노즐에서 분사되는 드라이 포그는 공기 중으로 빠르게 분산되어 습도를 효과적으로 높여준다. 이를 통해 넓은 제조 시설에서조차 최적의 습도 환경을 보장하여 SMT 공정에서 건조 및 정전기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에는 정전기 방전(ESD) 손상 칩 실장 시 픽 앤 플레이스 오류 일관되지 않은 납땜 인쇄 품질 제품에 달라붙는 공기 중 입자 낮은 습도로 인한 작업자의 불편함 등이 있다. 드라이 포그 습도 제어 시스템을 도입하면 이러한 모든 알려진 문제를 방지하여 품질과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또한 드라이 포그 습도 제어 시스템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크게 줄여준다. 중유를 사용하는 기존 증기 가습기에서 드라이 포그로 전환하면 CO2 배출량이 현저하게 줄고 에너지 비용을 실질적으로 아낄 수 있다. 실제로 드라이 포그로 CO2 배출량을 70% 줄이고 연간 5만달러의 에너지 비용을 절감한 성공 사례들이 있다.||시스템을 추천하기 전에 전담 영업 담당자가 현장 평가를 수행하고 고객과의 철저한 논의에 참여한다. 이러한 협업적 접근 방식을 통해 각 현장에 맞춘 최적의 습도 제어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다.||이케우치는 글로벌 네트워크와 여러 국가에서 거둔 입증된 성공을 활용하여 고객이 직면한 문제 해결을 지원하고 각국의 SDG에 기여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네트워크: 미국 유럽 중국 대만 인도네시아 태국 일본.||사진/멀티미디어 자료: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53806686/en||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웹사이트: https://www.kirinoikeuchi.co.jp/eng/|| 이 보도자료의 영어판 보기||||연락처||||이케우치(H. IKEUCHI & CO. LTD.)||우에노 요시카즈(Yoshikazu Ueno)||overseas@kirinoikeuchi.co.jp||||||||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H. IKEUCHI & CO. LTD.||||||배포 분야||||산업||기계/플랜트||신상품||해외
Thu, 16 Nov 2023 16:20:00 +0900
-
스트라타시스, 지속 가능한 친환경 패션 산업을 위해 적층 제조 기술을 활용한 연구 결과 공유
성남--(뉴스와이어)--스트라타시스(Stratasys Ltd. 나스닥: SSYS)는 적층 제조가 패션 산업에 미치는 환경적 이점을 입증하는 적층 제조 녹색 무역 협회(AMGTA)의 의뢰를 받은 연구 결과를 공유했다.||||||||||||||||||||||||||||||||||||||패턴 그룹의 계열사로 이탈리아 최초의 럭셔리 패션 디자인 및 생산 허브인 DYLOAN Bond Factory(딜로언 본드 팩토리) AMGTA 및 스트라타시스는 1년간의 협업을 통해 8000켤레의 럭셔리 디자이너 신발을 위한 1만6000개의 로고 아플리케를 혁신적인 3DFashion 기술이 적용된 Stratasys J850 TechStyle 3D 프린터로 제작해 기존의 공정 방식과 연구 분석한 ‘비교 분석: 디자인 럭셔리 상품 제작에서 3D 재료 분사 방식과 기존 방식 비교(Comparative Analysis: 3D Material Jetting vs Traditional Methods for Designer Luxury Goods)’ 보고서를 발표했다.||연구 분석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적층 제조 프린트 투 텍스타일 생산 공정은 고객의 기존 공정과 비교했을 때 CO2e 배출량을 24.8% 줄인다.· 고객의 생산 규모(8000켤레의 신발에 1만6000개의 로고)를 고려할 때 적층 제조는 거의 1톤의 CO2e를 절감할 수 있다.· 적층 제조의 프린트 투 텍스타일은 공급망 전체에서 재고 자재의 49.9%를 절약해 운송 필요성을 줄이고 간소화한다.· Stratasys J850 TechStyle을 사용한 프린트 투 텍스타일은 측정된 전체 공급망에서 물을 사용하지 않는 공정으로 잠재적으로 30만 리터 이상의 물을 절약할 수 있다.· 적층 제조는 전기 에너지 소비를 64% 이상 절감한다.· 적층 제조로의 전환은 단일 적층 워크플로를 통해 공급망 의존성을 4개의 기술에서 1개로 줄인다(3개 공정에서 운송 및 물류가 생략).· 생산 및 물류 단계를 12개에서 2개로 최적화한다.||이 연구는 리브스 인사이트(Reeves Insight)가 수행했으며 ACAM 아헨 적층 제조 센터의 교차 검증을 거쳤다.||패턴 그룹의 R&D 디렉터인 로레토 디 리엔조(Loreto Di Rienzo)는 “지속 가능한 생산은 럭셔리 패션 업계 디자이너들에게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는 특히 패턴 그룹 회사인 딜로안 본드 팩토리에도 해당된다”고 말했다. 그는 “스트라타시스의 혁신적인 J850 TechStyle 3D 프린팅 기술을 통해 우리는 폐기물을 줄이고 천연자원에 대한 의존도를 최소화하며 전체 공급망의 환경 영향을 최적화함으로써 혁신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디 리엔조는 AMGTA 라이프사이클 연구와 관련해 “스트라타시스와 딜로안 본드 팩토리가 협업한 ‘비교 분석: 디자인 럭셔리 상품 제작에서 3D 재료 분사 방식과 기존 방식 비교’ 보고서에서 밝힌 바와 같이 적층 기술이 최종 결과물의 품질 저하 없이 디자인의 자유를 확장하는 동시에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진정으로 개선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입증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셰리 먼로(Sherri Monroe) AMGTA 전무이사는 “적층 제조 도입의 환경적 이점을 밝히기 위해 고안된 일련의 논문 중 세 번째 연구 결과를 발표하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 우리는 광범위한 비즈니스 사례를 위한 제조 주기의 일부로서 적층 제조 기술의 지속 가능한 가치를 더 잘 이해하는 데 필요한 연구와 출판을 발전시키는 데 전념하고 있다. 스트라타시스-딜로언 본드 팩토리 패션 라이프사이클 분석(LCA)은 프린트-투-텍스타일을 평가하는 스트라타시스의 첫 번째 폴리머 프로젝트다. 이 보고서는 세계에서 가장 오염이 심한 산업 중 하나에 영향을 미치는 적층 가공의 가치를 뒷받침하는 중요한 데이터를 제공한다”고 밝혔다.||이 보고서는 더 나은 내일을 위한 3D 프린팅을 위해 지속 가능성 효율성 및 혁신을 지원하는 접근 방식인 ‘Mindful Manufacturing’에 대한 스트라타시스의 노력을 보여준다. 환경 문제는 가장 중요하며 비즈니스 성과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스트라타시스는 고객과 함께 제조 방식을 재고하고 프로세스 제품 및 부품을 재설계하며 사람과 지구를 위해 운영을 최적화하고 있다.||스트라타시스의 CEO인 요아브 자이프(Yoav Zeif) 박사는 “스트라타시스의 ‘Mindful Manufacturing’ 접근 방식은 고객에 대한 약속”이라고 말한다. 그는 “지속 가능한 방식과 혁신적인 3D 프린팅 기술을 통해 스트라타시스는 당사와 사용자 모두의 탄소 발자국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연구는 고객이 스트라타시스의 혁신적인 3D 프린팅 솔루션을 도입함으로써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개선하는 제조 솔루션을 제공하는 동시에 디자인 생산 혁신을 통해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을 보여준다”고 말했다.||문종윤 스트라타시스코리아 지사장은 “이번 보고서를 통해 고객 파트너 및 3D 프린팅을 통한 더 나은 내일에 관심 있는 분들이 지속 가능한 생산을 향한 스트라타시스의 혁신적인 여정에 함께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스트라타시스와 Mindful Manufacturing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https://www.stratasys.com/en/about-us/sustainability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연구 결과 보고서는 여기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스트라타시스 소개||미국 미네소타주와 이스라엘 레호보트에 본사를 둔 스트라타시스(Stratasys Ltd. (NASDAQ: SSYS))는 항공 우주 자동차 소비재 디자인 교육 및 의료를 포함한 다양한 산업을 위한 3D 프린팅 및 적층 제조 분야의 글로벌 선두 주자다. 30년 이상의 고객 비즈니스 요구 사항에 대한 깊고 지속적인 초점은 설계 프로토타입에서 제조 도구 및 최종 생산 부품에 이르기까지 제품 라이프사이클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목적 있는 혁신을 촉진했다. 스트라타시스는 정확하고 반복 가능하며 안정적인 FDM 폴리젯(PolyJet) SAF P3 및 SL 등 업계를 선도하는 3D 프린팅 기술과 까다로운 설계 및 제조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 포괄적인 3D 프린팅 재료 그리고 복셀 수준의 제어가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제공 및 지원한다. 적층 제조의 실제 잠재력을 실현하는 스트라타시스는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가속화하고 가치 사슬을 최적화하며 비즈니스 성과 개선을 주도하는 획기적인 산업별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웹사이트: https://www.stratasys.co.kr||||||||연락처||||스트라타시스코리아||최승호||02-2046-2253||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스트라타시스||||||배포 분야||||산업||기계/플랜트||소재/금속||조사연구||인천/경기
Thu, 16 Nov 2023 08:00:00 +0900
-
효성첨단소재 ‘밀리폴 파리 2023’서 아라미드 섬유 ‘알켁스’ 홍보
서울--(뉴스와이어)--효성첨단소재가 11월 14일부터 17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밀리폴 파리(Milipol Paris) 2023’ 전시회에 참가해 자체 아라미드 섬유 브랜드 알켁스(ALKEX®) 세일즈에 나섰다.||||||||||||||||||||||||‘밀리폴 파리’는 프랑스 내무부가 주관해 2년마다 열리는 국제적인 국토 안보 및 안전산업 분야 전시회다. 2021년에는 800여 개의 업체가 전시에 참여하고 138개국 2만2000여 명이 방문하는 등 국제적인 비즈니스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다.||효성첨단소재는 이번 전시회에서 유럽 미주 중동 등 주요 고객들에게 자체 아라미드 섬유 브랜드 알켁스(ALKEX®)를 알리고 우수한 방탄 방검 솔루션을 제시해 아라미드 판매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강철보다 5배 강하며 500도의 고온을 견디는 슈퍼 섬유인 아라미드는 방탄복 방탄헬멧 광케이블 보강재 타이어보강재 소방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아라미드 시장은 향후 5년간 연평균 약 4%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한편 효성첨단소재는 2009년 자체 기술로 개발한 아라미드 섬유 브랜드 알켁스(ALKEX®)의 상업화에 성공했다. 또한 효성첨단소재는 늘어나는 아라미드 섬유 수요에 발맞춰 2021년 울산 아라미드 공장을 증설했으며 현재 3700톤의 아라미드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www.hyosung.com||||||||연락처||||효성 ||홍보팀 ||뉴미디어팀||김선우 Pro||02-707-7058||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효성||||||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전시/출품||서울
Wed, 15 Nov 2023 15:52:42 +0900
-
트릴리언트, 인텔리스마트의 인도 헤드엔드 시스템 구현을 위한 소프트웨어 파트너로 선정
자카르타 인도네시아--(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첨단 계량 인프라(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스마트 그리드 스마트 시티 IIoT 솔루션의 선도적 국제 제공업체인 트릴리언트는 인도의 선도적 첨단 계량 인프라 서비스 제공업체(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Service Provider AMISP)이자 디지털 솔루션 제공업체인 인텔리스마트 인프라스트럭처(IntelliSmart Infrastructure Private Limited)의 헤드엔드 시스템(Head-end System HES) 셀룰러 구현을 위한 소프트웨어 파트너로 선정됐다고 오늘 발표했다.||국가 인프라 투자 기금(National Infrastructure Investment Fund NIIF)과 에너지 이피션시 서비스(Energy Efficiency Services Limited EESL)의 조인트벤처인 인텔리스마트는 디지털 개입을 통해 전력 부문에 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회사는 인도 정부 전력부가 도입한 배전 부문 개편 개정 계획(Revamped Distribution Sector Scheme. RDSS)의 일환인 국영 배전회사(distribution companies DISCOM) 입찰에서 여러 스마트 계량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RDSS는 공급 인프라 강화를 위한 결과 연계형 재정 지원을 제공해 DISCOM의 운영 효율성과 재정적 지속 가능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 조치를 도입한다.||트릴리언트의 UnitySuite® HES는 탁월한 확장성으로 안정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스마트 그리드를 구동하는 데이터를 제공해 인텔리스마트의 모든 요구 사항을 충족했다. 트릴리언트는 인텔리스마트가 인도 고객을 위한 대규모 HES 프로젝트를 추진함에 따라 소프트웨어 파트너로서 HES 구현을 지원할 예정이다.||이번 파트너십 계약을 통해 트릴리언트는 특히 다음을 통해 인텔리스마트에 대한 지원을 제공한다.||· 연간 기술 서비스와 함께 HES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공급 및 통합· 선불 시스템으로 HES 프로비저닝· HES 애플리케이션의 설계 구축 테스트 및 배포를 포함한 구현 서비스 제공뿐 아니라 구성 사용자 지정 비즈니스 프로세스/시스템 통합 및 커미셔닝 담당· 분석 보고서 및 대시보드 개발· 전체 프로젝트에 대한 사용자 지정 및 업그레이드와 함께 배포된 시스템에 대한 연중무휴 운영 유지 관리 및 지원 서비스/연간 유지관리 서비스 제공||인텔리스마트 이사 겸 최고경영자인 아닐 라왈(Anil Rawal)은 “인도의 스마트 계량 프로그램은 정부가 민간 참여를 확대해 배전 부문을 현대화하기 위해 취하는 중요한 조치 중 하나”라며 “우리는 프로젝트에서 중요한 파트너십에 의존해 강력한 AMI 솔루션을 설계하고 배포해 DISCOM이 재무 효율성을 개선하고 전력 인프라를 디지털화하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트릴리언트와의 파트너십은 이를 실현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며 유틸리티 업계의 가장 선호하는 디지털 파트너가 되고 혁신적인 기술 솔루션을 통해 디지털화되고 탄력적인 전력 부문을 만들겠다는 우리의 비전을 실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트릴리언트의 아태지역 이사 유진 로크(Eugene Loke)는 “인텔리스마트는 유틸리티를 위한 디지털 솔루션의 진정한 리더이며 인도 전역에 스마트 미터를 배포하는 파트너 중 하나가 돼 영광”이라는 소감을 밝혔다. 이어 “트릴리언트의 UnitySuite 소프트웨어는 AMI 통합 시스템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디바이스 독립적이며 확장성이 뛰어나 조직이 네트워크 데이터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므로 인텔리스마트의 요구 사항에 적합하다. 인도에서 지속 가능하고 효율적인 에너지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는 이 회사를 계속 지원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트릴리언트의 UnitySuite는 계량기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network interface controllers NIC) 등을 비롯한 현장 디바이스를 관리하고 사람의 개입을 피하기 위해 자동으로 계량기 데이터를 수집하며 실시간 의사 결정에 필요한 곳으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대시보드 및 시각화를 통해 네트워크 성능을 모니터링하고 중앙화된 유틸리티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자산을 최적으로 사용하도록 해준다.||트릴리언트의 UnitySuite HES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https://trilliant.com/unitysuite-head-end-system/ 에서 확인할 수 있다.||트릴리언트는 2023년 11월 14일부터 16일까지 엔릿 아시아(Enlit Asia)에 참여한다. 401번 부스를 방문해 혁신적인 솔루션 데모를 체험하고 트릴리언트 주제별 전문가와 상담할 수 있다. 트릴리언트는 이 행사에서 발표도 할 예정이다. 웹사이트: https://trilliant.com/trilliant-to-focus-on-the-energy-transition-grid-modernization-and-ami-at-enlit-asia/||엔릿 아시아에서 트릴리언트와 일대일 데모 및 미팅을 예약하거나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려면 info@trilliant.com으로 문의하십시오.||인텔리스마트 소개||인텔리스마트 인프라스트럭처는 인도의 선도적인 스마트 계량 및 디지털 솔루션 제공업체이다. 에너지 이피션시 서비스(EESL)와 국가 투자 및 인프라 펀드(NIIF)의 조인트벤처로 유틸리티 업계에서 가장 선호하는 디지털 파트너가 되는 것을 핵심 목적으로 설립됐다. 조직 문화는 정직 존중 혁신 지속 가능성이라는 핵심 가치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이는 회사의 일상적인 노력과 집단적 관행에 영향을 미친다.||디지털 솔루션 제공업체인 인텔리스마트는 디지털 개입을 통해 배전 부문에 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목표로 하며 RDSS 아래에서 스마트 계량기의 대규모 출시를 담당하고 있다. 스마트 계량기 인프라 소비자 데이터 관리 AI/ML 기반 분석을 보유한 회사는 추가 수익원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국영 유틸리티를 위한 큰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한다. 장기적으로 스마트 계량은 인도의 증가하는 전력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재생 에너지를 원활하게 통합할 수 있는 강력하고 탄력적이며 유연한 스마트 그리드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웹사이트: https://www.intellismartinfra.in/||트릴리언트 소개||Trilliant®는 디바이스에 구애받지 않는 유일한 통신 플랫폼으로 전 세계 에너지 산업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유틸리티와 도시가 하나의 강력한 네트워크에서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목적에 맞게 구축된 포트폴리오는 한 기술 제공업체에 ‘갇힐(locked in)’ 필요 없이 선택할 수 있는 파워를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해 설계된다. 당사는 AMI 데이터 및 분석 스마트 그리드 및 스마트 시티를 지원하는 미션 크리티컬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자부심을 갖고 있다. 전 세계 고객은 유틸리티와 도시를 IIOT에 연결하는 트릴리언트의 유연성 지속 가능성 확장성의 고유한 조합과 에너지 전환을 위한 보다 전략적인 경로에서 혜택을 받는다. 웹사이트: www.trilliant.com||본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웹사이트: https://trilliant.com/|| 이 보도자료의 영어판 보기||||연락처||||트릴리언트(Trilliant)||트레이시 미첼(Tracey Mitchell)||tracey.mitchell@trilliant.com||||스트래티직앰퍼샌드(StrategicAmpersand Inc.) ||신디 왓슨/애니타 웡(Cindy Watson/Anita Wong)||TrilliantPR@stratamp.com||||||||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Trilliant Networks||||||배포 분야||||IT||소프트웨어||산업||로봇/제어계측||수상/선정||해외
Wed, 15 Nov 2023 13:30:00 +0900
-
애경케미칼, 토양 내 생분해성 우수한 완효성 비료 공동 개발 돌입
서울--(뉴스와이어)--애경케미칼과 조비가 토양 내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완효성 비료 개발에 돌입한다.||애경케미칼(대표이사 표경원)은 14일 국내 1위 완효성비료 제조업체 조비(대표이사 이승연)와 ‘생분해성이 우수한 완효성 피복 비료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에 따라 애경케미칼은 생분해성이 우수한 코팅용 수지를 개발하고 조비는 이를 활용해 완효성 비료 완제품을 생산하게 된다.||완효성 비료는 작물의 생육시기에 따라 필요한 성분량만큼만 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제품으로 겉 표면을 특수한 물질로 코팅해 용해 속도를 늦추는 형태를 띤다. 이와 관련 일부 완효성 비료의 경우 코팅제가 완전 분해되지 않아 토양 오염의 요인으로 지적되기도 한다. 이에 애경케미칼과 조비는 토양 내 생분해율을 높인 완효성 비료를 개발함으로써 환경 오염 요인을 줄여 나가기로 했다. 이와 함께 추후 생분해성 관련 글로벌 공인 인증을 획득하고 제품 출시와 사업화 방안도 논의해 나가기로 했다.||양사는 이번 업무협약에 앞서 식물성 오일 기반의 코팅용 수지가 적용된 완효성 비료를 개발해 시장에 선보인 바 있다. 식물성 오일 기반의 코팅용 수지는 미국 연방농무부의 바이오 소재 기반 인증(USDA)을 획득하기도 했다. USDA 인증 획득을 통해 친환경 제품에 대한 공신력을 확보하고 관련 시장 진출에 속도를 높여 나가는 중이다.||조비 이승연 대표는 “조비는 친환경 비료 개발과 탄소중립 그리고 이를 통한 ESG경영을 복합적으로 실천해오고 있다”며 “앞으로도 애경케미칼과 친환경 소재 및 기술 분야 공동연구를 강화해 관련 품목의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농업인들의 생산성 향상과 농산물 고품질화 농업환경 보전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표경원 애경케미칼 대표는 “애경케미칼은 2030년까지 친환경 제품 매출 비중을 50%까지 높이고 친환경 원료 비중을 50% 달성하며 탄소 배출량을 50% 감축한다는 내용의 ‘Green Initiative 3050’ 계획을 수립한 뒤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체질개선에 힘쓰고 있다”며 “앞으로도 조비와 같은 훌륭한 파트너사와의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친환경 기술을 연구하고 제품으로 개발해 나가는데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웹사이트: http://www.aekyungchemical.co.kr/||||||||연락처||||애경케미칼 ||커뮤니케이션팀||이진주 선임||02-6078-3042||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애경케미칼||||||배포 분야||||산업||화학||에너지/환경||친환경 기술||개발||서울
Wed, 15 Nov 2023 09:48:35 +0900
-
사우디 광물 기업 마덴, 미래 광물 포럼 2024에서 업계 난제 해소 위해 주요 역할 수행 예정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뉴스와이어)--미래 광물 포럼(The Future Minerals Forum 이하 FMF)은 15일 사우디아라비아의 광물 기업 마덴(Ma’aden)이 3년 연속 이번 행사의 창립 파트너로 참여한다고 발표했다. 중동 최대 규모의 다품종 천연자원 기업 마덴은 2024년 1월 개최되는 FMF 2024를 통해 글로벌 광물 부문 계획을 구체화하는 논의에서 다시 한번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이번 행사는 아프리카 서아시아 및 중앙아시아를 아우르는 자원이 풍부한 광물 ‘슈퍼 리전’(super region)에서 회복 탄력성이 높고 책임 있는 광물 가치사슬을 생성하는 것에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FMF 2024는 정부 리더 광업 경영진 투자자 및 기타 이해 관계자를 소집해 지속 가능한 부문에 기여하고 글로벌 광물 공급망을 강화하는 파트너십 및 성장을 도모한다.||지난해 FMF 행사에서 마덴은 에너지 전환에서 핵심적인 글로벌 광물 공급망을 지원하기 위해 PIF와 함께 주요 합작 투자 회사인 마나라 미네랄스(Manara Minerals)를 설립하겠다는 내용을 포함한 일련의 중대 발표를 한 바 있다. 또 마덴은 글로벌 광업 선도 기업인 아이반호 일렉트릭(Ivanhoe Electric) 및 배릭 골드 코퍼레이션(Barrick Gold Corporation)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광업 부문 개발을 촉진하는 데 도움을 주는 마일 스톤 협약 체결을 발표했다.||FMF 행사는 사우디아라비아 및 전 세계의 투자 및 파트너십을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FMF 2024에서 논의될 새로운 이니셔티브에는 우수 연구 센터(center of excellence CoE)를 통한 역내 인적 자원 역량 및 인재 강화 개최국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고 사회적 신뢰를 유지하는 지속 가능성 표준 수립 현대 기술 활용 및 처리 센터를 통한 슈퍼 리전 내 그린 메탈 허브 조성 방안 등이 포함된다.||FMF 2023은 9000명 이상의 참관객이 직접 참석하고 1만3000명 이상이 원격으로 참가하는 등 큰 성공을 거뒀다. 광업 및 광물 부문이 직면하고 있는 과제에 대한 실행 가능한 해결책에 주목할 FMF 2024는 더 광범위한 영향력을 발휘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신성한 두 사원의 수호자’(Custodian of the Two Holy Mosques)라 불리는 살만 빈 압둘하지즈 알 사우드(Salman bin Abdulaziz Al Saud) 국왕이 후원하는 FMF 2024는 2024년 1월 9일부터 11일까지 리야드의 킹 압둘하지즈 인터내셔널 컨벤션 센터(King Abdulaziz International Convention Center)에서 개최된다.||FMF 2024에 대한 자세한 정보 및 행사 참여 신청은 https://www.futuremineralsforum.com/registration/ 에서 확인할 수 있다.||미래 광물 포럼 소개||사우디아라비아가 주최하는 미래 광물 포럼(FMF)은 아프리카 서부 및 중앙아시아의 광활한 자원 매장 지역에서 탄력적인 광물 가치사슬을 형성할 수 있도록 고안된 플랫폼이다. 사우디아라비아는 광물 가치사슬의 허브가 되기 위한 비전 광물 부존량 대규모 시장 지역적 관계 적합한 지리적 조건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다. 미래 광물 포럼(FMF)은 국가와 민간 부문을 한데 모아 관련 논의를 이행에 착수하는 데 더욱 주력할 계획이다.||||||웹사이트: https://www.futuremineralsforum.com/||||||||연락처||||미래 광물 포럼||오마르 시린(Omar Shereen)||+96 65 0663 0489||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미래 광물 포럼||||||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전시/출품||해외||The Future Minerals ...
Wed, 15 Nov 2023 09:35:44 +0900
-
포스코인터내셔널, 우크라이나 미콜라이우주에 모듈러 제조시설 설립 추진
인천--(뉴스와이어)--포스코인터내셔널이 그룹의 역량을 모아 우크라이나 재건의 일환으로 모듈러(Modular) 사업을 추진한다.||포스코인터내셔널 정탁 부회장은 국내 민간기업 대표로는 최초로 13일부터 15일까지 우크라이나를 방문 미콜라이우주(州) 비탈리 김(Vitalii Kim) 주지사와 ‘스틸 모듈러 제조시설’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우크라이나 재건의 첫 단계로 모듈러를 선택한 배경은 주택 학교 병원 등 사회 기반시설 구축이 전후 복구과정에서 무엇보다 우선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기 때문이다. 모듈러 구조물은 블록처럼 조립하는 공법으로 공사 기간을 최대 60%까지 단축할 수 있어 전후 복구에 적합하다고 평가받고 있다.||모듈러 공급에는 포스코그룹의 사업역량이 한 데 어우러질 예정이다. 포스코 철강제품과 포스코A&C의 엔지니어링 기술에 더해 포스코인터내셔널의 현지 네트워크와 교섭력을 바탕으로 현지 사업화를 추진한다.||특히 그룹사인 포스코A&C는 모듈러 구조물의 설계 제작 시공까지 가능한 기업으로서 우크라이나 모듈러 사업 개발단계부터 함께 해왔다.||모듈러 구조물 제작시설은 우크라이나 남부 미콜라이우주(州)에 설립될 예정이다. 미콜라이우주(州)는 우크라이나 내 국내 유일한 투자 자산인 포스코인터내셔널 곡물터미널이 있는 지역이다. 또한 비탈리 김 주지사가 고려인이자 현지 유망 정치인이라는 점 또한 사업 전망을 밝게 하고 있다.||포스코인터내셔널은 이번 MOU를 계기로 우크라이나 식량사업에 이어 인프라 분야까지 사업영역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2019년 가동을 시작한 곡물터미널은 전쟁 전까지 3년간 약 250만톤의 우크라이나産 곡물을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등지로 수출하며 우크라이나 사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다. 전쟁 후 가동이 일시 중단되기도 했으나 현재까지 설비 피해를 받지 않았으며 현지 글로벌 직원들을 중심으로 부분 운영되고 있다.||정탁 부회장은 방문 기간 동안 현지 영농 기업 아스타르타(Astarta)의 빅토르 이반칙(Vicor Ivanchyk) CEO를 만나 해상봉쇄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크라이나산 곡물 수출 및 곡물터미널 활용방안과 전쟁 후 곡물분야 밸류체인 확장에 관한 논의도 이어갔다.||이에 앞서 정탁 부회장은 키이우에서 데니스 쉬미할(Denys Shmyhal) 총리를 비롯해 로스치슬라브 슈르마 (Rostyslav Shurma) 대통령실 부실장(경제 산업 총괄) 재건부 차관 유리 바시코프(Yurii Vaskov) 등 정부 핵심 인사를 차례로 만나 재건 사업에 대한 폭넓은 의견을 나눴다.||이 자리에서 정탁 부회장은 철강 에너지 건설 IT 등 포스코그룹의 모든 역량을 결집해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에 참여하겠다고 밝히며 새롭게 시작하는 모듈러사업에 중앙정부의 지원을 요청했다.||이에 쉬마할 총리는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제안해온 재건사업에 기대가 크다며 우크라이나 경제가 조속히 회복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를 부탁한다고 화답했다.||한편 정탁 부회장은 우크라이나에 이어 16일부터 17일까지 프랑스를 방문해 부산엑스포 집행위원으로서 활동을 이어간다. 28일 예정된 엑스포개최지 선정 투표에 앞서 국제박람회기구(BIE)의 회원국인 기니비사우 카보베르데 서아프리카 2국의 대사와 그리스 멕시코 등의 대표를 만나 2030부산엑스포 유치지원을 요청할 예정이다.||||||웹사이트: http://www.poscointl.com/kor/||||||||연락처||||포스코인터내셔널 ||커뮤니케이션실 홍보그룹||고영택 차장||02-759-2103||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포스코인터내셔널||||||배포 분야||||산업||기계/플랜트||사업계획||인천/경기
Wed, 15 Nov 2023 09:14:41 +0900
-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주주서한 발송
청주--(뉴스와이어)--김병훈 에코프로머티리얼즈 대표가 임직원 및 주주들에게 보내는 공식 서한을 통해 3분기 실적 부진에 대해 송구함을 표명하고 미래전략에 대한 비전을 다시 한번 천명했다.||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14일 김병훈 대표 명의의 주주 서한을 홈페이지에 올리고 사내 게시판에 공지했다.||김 대표는 이 서한을 통해 “대표이사로서 상장을 앞둔 시점에서 분기영업실적이 마이너스를 기록하게 된 점 매우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광물 가격 하락 원자재 재고 부담 등으로 수익성이 좋지 않았다”고 설명했다.||김 대표는 이어 “미국의 고금리 영향으로 소비자 부담이 커지고 유럽의 친환경 정책이 지연되며 글로벌 전기차 시장 성장세는 주춤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며 “당사도 이런 시장 환경에서 완전히 자유롭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김 대표는 또 “단기적으로 시장의 성장통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나 장기적인 시장의 방향성은 여전히 흔들림이 없다고 판단한다”며 “고가에 구입한 원재료가 모두 소진됐고 광물 가격 하락폭도 축소되고 있는 점은 희망적”이라고 덧붙였다.||김 대표는 단기적으로는 시장 상황이 좋지 않지만 이를 타개하기 위한 매출 다각화 등 향후 사업 전략에 대한 청사진도 밝혔다.||김 대표는 “2025년 30% 2027년 50%의 외부판매 계획을 제시한 바 있다”며 “현재 외부판매 계획은 매우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고 기존 제시된 외부판매 비중보다 상향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끝으로 김 대표는 “중국 회사들이 지배하는 전구체 시장에서 한국 전구체 대표 기업이라는 사명감으로 기술개발과 생산 캐파 확충에 전력을 다할 것”이라며 “위기는 옥석을 가릴 수 있는 기회이며 언젠가 먹구름 뒤에 감춰진 햇살이 드러날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보였다.||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3분기 매출 2400억원 영업이익 마이너스 69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3%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적자 전환했다. 3분기 누적 매출은 7641억원 영업이익은 86억원이다.||||||웹사이트: https://www.ecopro.co.kr/||||||||연락처||||에코프로||CSR 추진팀||안병욱||02-6903-1728||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에코프로||||||배포 분야||||산업||화학||투자||충북
Tue, 14 Nov 2023 17:32:04 +0900
-
아세아제지, 3분기 연결 영업이익 223억… 24분기 연속 흑자
서울--(뉴스와이어)--아세아제지(코스피 002310)가 2023년 3분기 매출 2259억원 영업이익 223억원 순이익 206억원의 실적을 11월 14일 공시했다.||이는 전분기 영업이익 284억원 대비 22% 순이익 249억원 대비 17% 이상 줄어든 결과다. 또한 전년 2분기 영업이익 235억원 대비 5% 순이익 208억원 대비 1% 감소한 수치이다.||3분기 누적실적의 경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6794억원 721억원 규모로 연간 영업이익 1000억원 달성에 대한 기대감을 한층 높였다. 전년 3분기 누적 매출은 7671억원 영업이익은 863억원을 기록했다. 어려운 상황에서도 건실한 영업이익률 기록을 통해 그동안 진행했던 체질 개선 효과 및 국내 선두기업의 경쟁력을 입증했다.||아세아제지 측은 3분기 손익 실적에 대해 인플레이션 지속 등 경기침체 상황에서 산재한 대외악재로 인해 제지 및 판지사업에서 출하량이 줄어들었고 글로벌 경기침체 지속 전력비 등 에너지 비용 증가 여름철 설비 대보수로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한 실적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제지연합회에 따르면 1~8월 누적기준 국내 골판지원지 생산량은 전년대비 4.9% 감소 출하량은 6.5% 감소 재고량은 23.2%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골판지업계에서는 2023년 상반기 택배시장의 물량은 1780백만개로 코로나에 따른 언택트 소비 트렌드 확산 이후 급속 성장이 지속됐던 택배시장은 엔데믹 이후 오프라인 재활성화 등으로 성장 폭의 일부 둔화 추세에 있으나 온라인 쇼핑 시장의 지속 성장에 따라 택배산업 또한 지속적인 동반 성장이 예상되며 주요 유통사들의 배송 서비스 경쟁 심화로 택배시장 규모는 지속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3분기에는 골판지 생산량 감소와 원자재 단가 하락으로 골판지원지 판매가격 인하 압박이 가중됐다.||수출시장에서는 시장 침체로 인한 물동량 감소로 해상 선임이 하향 안정세를 나타냈으나 중국시장의 제한적 리오프닝 효과가 주변 동남아시장 경기에 영향을 미쳐 제품가격이 하락했다.||또한 4분기 이후 업황 전망에 대해서는 4분기는 인플레이션 글로벌 소비 위축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이어 중동 분쟁 등에 따른 불확실성이 증가되면서 골판지포장 물동량은 둔화될 전망이 있지만 소비심리 개선 가능성이 높다는 전문기관의 전망을 바탕으로 포장수요 증가가 긍정적인 요인으로써 기대한다고 밝혔다.||다만 영업리스크 측면에서는 제조업 가동 부진으로 종이원료인 폐지 발생량이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시장 침체와 더불어 큰 폭의 변동세를 보인 펄프 등 수입원자재 구매가격 리스크를 극복하는 것이 중요 과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폐지 등 종이자원 수요와 시장 가격은 소폭 상승 예상하나 상승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유가 상승 및 최근 발표한 산업용 전력비 추가 인상 등에 따른 에너지 비용 가중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아세아제지는 4분기에는 국제 정세에 따른 수요 부진과 원가 부담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핵심 사업 부문 전반에 대한 강도 높은 경영 효율화를 통해 수익성 개선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주환원정책 적극 이행 의지 밝혀||한편 아세아제지는 7월 12일에 적극적이고 투명한 주주환원 정책 확립을 통한 기업 가치 제고를 목표로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을 공시한 바 있다.||2023년부터 2026년까지 매년 단계적으로 △현금 배당 확대 실시 △자기주식 취득 △자기주식 소각 △주식(액면)분할을 포함한 중장기주주환원 정책 실시가 주요 골자다.||아세아제지는 7월 17일에 공시한 150억원 규모의 자사주 취득 결정에 대해 2024년 1월 16일까지 6개월 동안 진행 중이다.||아세아제지는 이번 150억원 자사주 취득을 통해 올 연말까지 누적 2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취득해 대내외 불확실한 경영환경에서도 우수한 자본적정성과 안정적 수익창출력에 기반을 두어 차별화된 주주환원정책을 펼쳐나가고 있다.||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주주환원 정책을 발표한 7월 12일 이후 아세아제지의 외국인 지분율은 5.34%(47만8640주)에서 6.63%(59만3626주 11/13 현재)로 1.29%p 늘어났다.||아세아제지는 2023년 3월부터 2023년 11월 13일까지 48만3000주의 자사주를 취득하고 있으며 체결금액 누계는 181억2000만원으로 나타났다. 발행주식수의 5.4%에 해당하는 규모이다.||||||웹사이트: http://kor.asiapaper.co.kr||||||||연락처||||아세아제지||기획관리팀||김조훈 부장 ||02-527-6882||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아세아제지||||||배포 분야||||산업||제지/포장||실적||서울
Tue, 14 Nov 2023 16:52:56 +0900
-
대한전선 3분기 누적 영업이익 591억, 전년 연간 영업이익 돌파
안양--(뉴스와이어)--대한전선이 2023년도 3분기 경영 실적을 발표했다.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성장하며 상반기의 실적 호조세를 이어갔다.||||||||||||||||||||||||대한전선(대표이사 송종민)은 연결 재무제표 기준으로 3분기 매출 6300억원 영업이익 174억원을 달성했다고 14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5688억원에서 11% 영업이익은 28억원에서 531% 증가한 실적이다. 당기순이익도 122억원을 기록해 작년 3분기 83억원에서 47% 확대됐다.||3분기 누적 매출은 2조883억원 영업이익은 591억원으로 작년 동일 기간과 비교해 각각 16% 107% 개선됐다. 당기순이익은 343억원으로 전년 97억원에서 254% 증가한 성과다.||상반기에 이어 3분기 실적까지 상승하면서 대한전선의 3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인 482억원을 22% 이상 넘어섰다. 당기순이익도 지난해 연간 218억원에서 57% 이상 성장한 성과를 냈다. 하반기로 갈수록 실적이 개선되는 전선업의 특성을 감안하면 연말까지 실적 호조세를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실적 상승의 주요 요인은 신규 수주 확대 및 기(旣) 확보한 수주 잔고의 매출 촉진으로 분석된다. 대한전선은 미국과 유럽 중동 등 인프라 투자가 확대되고 있는 주요 지역에서 대규모 전력망 사업을 수주하며 고부가가치 프로젝트 위주로 수주 잔고를 늘려왔다. 올해에는 독일 바레인에서 초고압 케이블을 수주하며 신규 시장 개척에 성공했다.||특히 미국에서는 지난해 진출 이후 처음으로 3억달러의 수주고를 올리며 실적 상승을 견인했다. 실제로 올해 미국 법인(T.E.USA)은 3분기 누적 매출 2089억원을 기록하며 지난해 대비 43% 이상 성장했다.||||||웹사이트: http://www.taihan.com||||||||연락처||||대한전선 ||홍보팀 ||김용건 대리 ||02-316-9293 ||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대한전선||||||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실적||인천/경기
Tue, 14 Nov 2023 15:02:46 +0900
-
세아제강지주, 2023년 3분기 실적 공시
서울--(뉴스와이어)--세아제강지주가 2023년 3분기 잠정 실적을 공시했다.||◇ 세아제강지주 (연결기준)·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6.2% 감소) 및 영업이익(28.5% 감소) 감소 배경||북미 오일&가스(Oil&Gas) 산업 내 공급 병목 현상이 해소되며 에너지향 강관 제품 가격 조정으로 유정용강관 및 송유관 제품 가격이 전년동기 대비 하락했다.||에너지향 강관 제품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북미 시장 내 관련 수요가 견조해 높은 판매량이 유지되며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이 소폭 감소했다.||판매 가격 하락으로 영업이익은 전년비 감소했으나 한국 미국 베트남 등 세아제강지주의 글로벌 생산법인들의 안정적 공급망 및 판매전략을 통해 실적을 점진적으로 회복해 나갈 계획이다.||◇ 세아제강 (별도기준)·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5.3% 감소) 영업이익(17.6% 감소) 감소 배경||전방산업의 전반적인 시황 악화 높은 수준을 유지하던 미국 내 오일&가스향 에너지용 강관 가격의 일부 조정 등의 영향으로 수익성이 감소했다.||계절적 성수기 진입에 따른 판매량 회복 및 북미 에너지용 강관 산업의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4분기 수익성 반등 및 해상풍력&LNG 향 친환경에너지용 강관 판매 지속 증가 추세로 실적 회복이 기대된다.||◇ 향후 전망 및 대책||국가별 에너지 안보에 기초한 기후변화 대응 위한 에너지 전환 가속화가 글로벌 트렌드인 만큼 에너지 시설투자 증가 기조는 수십년간 지속될 전망이다.||OPEC의 감산 개도국 에너지 소비 증가 유럽 및 중동 등 글로벌 지정학 리스크 확산 우려 등으로 고유가 기조가 지속될 전망이다. 이로 인한 미국 내 높은 수준의 시추 활동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며 에너지향 강관제품의 글로벌 수요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에너지 안보 측면에서의 신규 글로벌 LNG 프로젝트들이 전개되며 내고강도 내부식 성징을 요하는 고부가가치 제품인 클래드(CLAD) 강관 수요 증가 및 해상풍력향 하부구조물 제품 수요가 지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글로벌 에너지 전환 지역 블록화 등 거시환경의 패러다임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기 위해 세아제강·세아창원특수강·동국제강 3개 사 간 클래드 제품 소재 공동 개발 저탄소 솔루션 (CCUS 수소) 개발 등과 같은 전략적 활동 강화를 통한 신시장 창출 및 시장 지위를 공고히 할 계획이다.||||||웹사이트: http://www.seah.co.kr||||||||연락처||||세아홀딩스 ||커뮤니케이션실||이성규 수석||02-6970-0092||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세아홀딩스||||||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실적||서울
Tue, 14 Nov 2023 14:22:10 +0900
-
앵글로골드 아샨티, 2023년 3분기 생산 업데이트
덴버--(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개요||앵글로골드 아샨티(AngloGold Ashanti plc)(이하 앵글로골드 아샨티 AGA 또는 회사)는 3분기 금 생산량이 2분기 대비 개선됨에 따라 2023년 연간 생산 가이던스를 재확인했으며 올해 1분기와 2분기에 각각 브라질과 기니의 광산에서 직면한 차질에서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다. 회사는 2023년 9월 30일에 마감된 9개월 동안 사망자를 기록하지 않았다.||앵글로골드 아샨티는 2023년 9월 30일에 마감된 3개월 분기 동안 모멘텀을 계속 구축하여 올해 2분기 대비 3%의 금 생산량 증가를 기록했다. 금 생산량은 2023년 2분기 65만2000oz에서 2023년 3분기 67만3000oz로 증가했는데 이는 주로 광석 처리 톤수 증가가 전체적인 회수 등급 감소로 일부 상쇄되었기 때문이다.||전 분기 대비 금 생산량 증가는 이두아프리엠(Iduapriem)(+27%) 시귀리(Siguiri )(+22%) 키발리(Kibali)(+13%) 세라 그란데(Serra Grande)(+9%) 게이타(Geita)(+6%) 트로피카나(Tropicana)(+3%) 등에서 나타났다. 이러한 전 분기 대비 금 생산량 증가는 오부아시(Obuasi)(-19%) AGA 미네라커(AGA Minerao)(-13%) 세로 반가르디아(Cerro Vanguardia)(-5%) 및 선라이즈 댐(Sunrise Dam)(-3%)의 생산 실적 감소로 인해 부분적으로 상쇄되었다. 브라질의 코레고 두 시치우(Crrego do Stio CdS)의 관리 및 유지보수에 따른 조정 결과 금 생산량은 전 분기 대비 5% 증가했다.||앵글로골드 아샨티는 국제 동종 업체와의 가치 격차를 줄이기 위해 적극적으로 조치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비용 효율성을 높이고 광산의 수명을 연장하는 동시에 안전을 우선시하고 현금 흐름을 최적화하며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납품을 보장하기 위한 이니셔티브를 수반한다. 이 기간 동안 회사는 또한 2023년 9월 25일에 뉴욕증권거래소(NYSE)로 1차 상장의 이전을 완료하여 세계 최대 자본 시장에 대한 접근성 제고를 가능하게 하였고 금 산업에서 가장 높은 가치를 지닌 기업들과의 비교 입지를 개선했다.||최고경영자 알버트 칼데론(Alberto Calderon)은 “금 생산량은 2023년 3분기에 개선되었으며 올해 남은 기간 우리의 가이던스에 따라 다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당사는 동종 업체에 비해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여러 방면에서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 당사는 기업 구조조정을 완료했고 운영 및 프로젝트에 지속해서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탈탄소화 약속 이행을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앵글로골드 아샨티는 경영 초점을 좁히고 회사의 티어(Tier) 1 및 티어(Tier) 2 운영 자산과 고수익 개발 프로젝트에 자본을 할당하기 위한 접근 방식의 일환으로 2023년 8월에 손실을 내는 CdS 광산을 관리 및 유지보수하는 프로세스를 시작했으며 그래말로테(Gramalote) 프로젝트에 대한 간접 지분 50%d를 B2골드(B2Gold Corp.)에 매각하는 작업을 완료했다.||회사는 미국 네바다의 비티 마이닝 디스트릭트(Beatty Mining District)에서 첫 번째 개발과 관련된 연구를 계속 진행하고 있으며 그곳에서 초기 8.4Moz의 광물 자원이 보고되었고 메를린(Merlin) 광산에서만 6.0Moz에서 8.0Moz 사이의 초기 탐사 목표가 올해 초에 공개되었다. 앵글로골드 아샨티는 일단 적절한 허가를 받으면 2024년에 노스 불프로그(North Bullfrog)에 대한 최종 투자 결정을 내릴 것으로 예상한다.||또한 탈탄소화 프로그램이 탄자니아의 게이타(Geita) 현장과 서호주의 트로피카나(Tropicana) 현장 두 곳에서 진행되고 있다. 재생 가능 에너지원의 전력 믹스 비율이 높은 탄자니아 전력망에 광산 부지를 연결하기 위한 준비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으며 트로피카나에서는 62MW 풍력 및 태양광 시설 건설을 위한 프로젝트 작업이 시작되었다.||2023년 3분기의 추가적인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다.||· 게이타는 2023년 전 분기에 비해 향상된 금 생산량을 기록했으며 500koz의 생산 목표로 올해를 강력하게 마무리하려는 중이다.· 키발리의 금 생산량은 2023년 전 분기 대비 13%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했다. 실적 개선은 주로 더 높은 광석 톤수 처리 및 회수 등급에 의해 주도되었다. 성공적인 탐사 결과는 올해 채굴로 고갈된 매장량을 대체하고도 남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두아프리엠은 새로운 광미 저장 시설의 가동 후 광산 처리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 분기 대비 27%의 생산 개선을 기록했으며 더 높은 등급의 블록에 대한 접근을 가속한 후 등급이 향상되었다.· 시귀리는 2023년 2분기 동안 탄소 여과액(Carbon-in-leach CIL) 탱크 고장 이후 광산 생산량이 거의 정상 수준으로 회복됨에 따라 전 분기 대비 생산량이 크게 증가했다. 처리량이 증가하는 동안 나머지 CIL 탱크를 재가동하여 처리 회로에 다시 투입함에 따라 연말까지 회수율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선라이즈 댐의 전체 자산 잠재력(Full Asset Potential)(FP) 검토 프로그램은 지하 광석 채굴량이 꾸준한 개선을 보여주면서 계속해서 긍정적인 결과를 제공하고 있다. 2023년 3분기 동안 이 광산은 지하 광석 처리량이 전년 동기 대비 18% 개선을 기록했다.· 오부아시의 금 생산량은 주로 현재 채굴면 고등급 지역의 열악한 지반 조건으로 인해 낮아졌다.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겠다는 약속에 따라 당사는 이러한 고등급 지역에 사용되는 채굴 방법을 검토하기로 결정했다. 그 검토에 따라 서브 레벨 오픈 스토핑(Sub-level Open Stoping)에서 언더핸드 컷 앤 필(Underhand Cut And Fill)로의 전환에 대한 파일럿 연구가 현재 진행 중이다.· AGA 미네라커에서는 2023년 8월에 CdS 광산을 관리 및 유지 보수하기 위한 결정을 내렸다.||2023년 9월 30일에 마감된 9개월 동안 금 생산량은 1.909Moz였다(작년 같은 기간은 1.971Moz). 2023년 9개월 동안 전년 동기 대비 생산량 부족은 주로 기니 시귀리 광산에서 2023년 2분기 동안 CIL 탱크 고장으로 인해 29koz(귀속분)의 생산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며 2023년 1분기 브라질 쿠이아바(Cuiab) 광산의 칼시나도스 TSF(Calcinados TSF)에 대한 폐기물 퇴적 중단과 같이 우리가 이전에 경고한 문제 때문이고 정광 금 생산으로의 전환과 그에 따른 약 5koz의 생산 손실이 필요했다. 시귀리 탱크는 수리되었고 광산이 다시 최대 생산량으로 증가했으며 쿠이아바는 올해 목표 금 생산량인 180koz(중량 측정 금 60koz와 정광 금 120koz로 구성)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부족을 더욱 가중한 것으로는 2023년 3분기에 오부아시에서 36koz의 생산량이 감소한 것이었는데 이는 고등급 광산 지역의 열악한 지반 조건의 결과였다.||(표의 내용은 pdf 참조. 다운로드: https://bit.ly/47mZmTo)||운영 주요 사항||아프리카 지역에서 2023년 9월 30일 마감 분기의 금 생산량은 39만7000oz였다(2022년 9월 30일 마감 분기는 44만3000oz). 금 생산은 주로 오부아시 시귀리 및 게이타의 금 생산량 감소로 인해 전년 대비 10% 감소했으며 이두아프리엠(Iduapriem)과 키발리(Kibali)의 금 생산량 증가로 일부 상쇄되었다.||금 생산은 2023년 2분기의 36만5000oz에 비해 2023년 3분기에 39만7000oz로 전 분기 대비 9% 증가했는데 이는 주로 키발리 게이타 이두아프리엠 및 시귀리의 금 생산량 증가로 인해 오부아시의 금 생산량 감소로 일부 상쇄되었다.||가나의 이두아프리엠에서 2023년 9월 30일 마감 분기의 금 생산량은 7만1000oz였다(2022년 9월 30일 마감 분기는 6만6000oz). 금 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8% 더 높았는데 이는 광산이 블록 7 및 8 컷 2 A 및 B의 채굴을 가속하였고 새로운 TSF의 가동으로 가공 공장 처리량이 증가함에 따라 주로 이전 기간에 비해 전반적으로 회수 등급이 높아졌기 때문이다.||이두아프리엠에서 금 생산은 2023년 2분기의 5만6000oz에 비해 2023년 3분기에 7만1000oz로 전 분기 대비 27% 증가했으며 이는 주로 광석 처리 톤수 증가와 전체 회수 등급 증가에 기인했다.||오부아시에서 2023년 9월 30일 마감 분기의 금 생산량은 4만6000oz였다(2022년 9월 30일 마감 분기는 7만2000oz). 금 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36% 감소했는데 이는 주로 지하 광석 처리 톤수 감소와 전체 회수 등급 감소에 기인했다.||오부아시에서 금 생산은 2023년 2분기의 5만7000oz에 비해 2023년 3분기에 4만6000oz로 전 분기 대비 19% 감소했으며 이는 주로지하 광석 처리 톤수 감소와 전체 회수 등급 감소에 기인했다.||생산은 일부 상위 등급 채굴장 내의 열악한 지반 조건으로 인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았다. 8월에 광산의 고등급 채굴장 중 한 곳에서 지면 붕괴 사고로 인해 일부 지하 채굴 장비가 유실되었다. 이 사고로 인한 부상자는 없었지만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처리 속도를 늦추는 결정이 내려졌다.||10월 한 달 동안 당사는 새로운 채굴장을 구축하기 위해 훨씬 더 큰 시추 장비(V30 리머)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이를 통해 당사는 안전하게 생산량을 늘리고 작년에 달성한 것과 유사한 수준의 생산량에 도달할 수 있다. 앞으로 오부아시는 고등급 지역의 채굴 접근 방식을 어려운 지반 조건과 고등급 광석(언더핸드 컷 앤 필(Underhand Cut And Fill))에 적합한 보다 선택적인 방법으로 변경하려고 한다. 더 높은 등급의 영역에서 이 새로운 방법으로 전환은 초기 시험 기간 후 2024년 내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채굴 방식의 변화로 인해 이제 오부아시는 2023년에는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달성하고 이를 계속 증가시켜 2024년에는30만oz 가까이 생산할 것으로 예측된다.||탄자니아의 게이타에서 2023년 9월 30일 마감 분기의 금 생산량은 12만6000oz였다(2022년 9월 30일 마감 분기는 15만6000oz). 금 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했는데 이는 주로 광석 처리 톤수 감소와 전체 회수 등급 감소가 합쳐진 것에 기인했다. 게이타는 2023년 50만oz 금 생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계속 작업 중이다.||게이타에서 금 생산은 2023년 2분기의 11만9000oz에 비해 2023년 3분기에 12만6000oz로 전 분기 대비 6% 증가했으며 이는 주로 광석 처리 톤수 증가와 전체 회수 등급 증가에 기인했다.||기니의 시귀리에서 2023년 9월 30일 마감 분기의 금 생산량은 5만5000oz였다(2022년 9월 30일 마감 분기는 6만6000oz). 금 생산은 주로 채굴된 다양한 지역에서 더 낮은 피드 등급과 2023년 2분기 동안 CIL 탱크 고장으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17% 감소했다. 금 생산은 추가 고용 기회와 관련하여 일부 노천광에서 지역사회의 시위로 인해 더욱 부정적인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시위들은 그 후 가라앉았다.||시귀리의 금 생산은 처리 능력 회복에 따라 2023년 2분기 4만5000oz에서 2023년 3분기 5만5000oz로 증가하여 전 분기 대비 크게 회복되었다. 금 생산은 전 분기 대비 22% 증가했는데 이는 주로 광석 처리 톤수가 증가했기 때문이며 전체 회수 등급 하락으로 부분적으로 상쇄되었다. 나머지 CIL 탱크가 재가동되어 처리 회로에 다시 도입됨에 따라 연말까지 회수율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DRC의 키발리에서 2023년 9월 30일 마감 분기의 금 생산량은 9만9000oz였다(2022년 9월 30일 마감 분기는 8만3000oz). 금 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했는데 이는 주로 광석 처리 톤수 증가와 전체 회수 등급 증가에 기인했다.||키발리에서 금 생산은 2023년 2분기의 8만8000oz에 비해 2023년 3분기에 9만9000oz로 전 분기 대비 13% 증가했으며 이는 주로 광석 처리 톤수 증가와 전체 회수 등급 증가에 기인했다.||미주 지역에서 2023년 9월 30일 마감 분기의 금 생산량이 13만6000oz였다(2022년 9월 30일 마감 분기는15만2000oz). 금 생산은 주로 AGA 미네라커 및 세로 반가르디아의 금 생산량 감소로 인해 전년 대비 11% 감소했으며 세라 그란데의 금 생산량 증가로 일부 상쇄되었다.||금 생산은 2023년 2분기의 14만7000oz에 비해 2023년 3분기에 13만6000oz로 전 분기 대비 7% 감소했는데 이는 주로 세로 반가르디아 및 AGA 미네라커의 금 생산량 감소로 인해 것으로 그 감소에는 2023년 8월에 CdS 광산의 관리 및 유지보수에 착수한 것이 포함되었다.||브라질의 AGA 미네라커에서 2023년 9월 30일 마감 분기의 금 생산량은 7만7000oz였다(2022년 9월 30일 마감 분기는 8만6000oz). 금 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10% 감소했는데 이는 주로 CdS의 채굴 활동 중단에 기인했다. 쿠이아바에서 금 생산은 2023년 3분기에서 6만7000oz였으며 이는 2만1000oz의 중량 측정 금과 4만6000oz의 정광 금으로 구성되어 있었다.||AGA 미네라커의 금 생산량은 2023년 2분기의 8만8000oz에 비해 2023년 3분기에 7만7000oz로 전 분기 대비 13% 감소했는데 이는 주로 CdS에서 채굴 활동 중단에 기인했다.||세라 그란데에서 2023년 9월 30일 마감 분기의 금 생산량은 2만4000oz였다(2022년 9월 30일 마감 분기는 2만2000oz). 금 생산은 전 분기 대비 9% 증가했는데 이는 주로 광석 처리 톤수가 증가했기 때문이며 전체 회수 등급 하락으로 부분적으로 상쇄되었다.||세라 그란데에서 금 생산은 2023년 2분기의 2만2000oz에 비해 2023년 3분기에 2만4000oz로 전 분기 대비 9% 증가했으며 이는 주로 광석 처리 톤수 증가에 기인하고 전체 회수 등급 하락에 의해 부분적으로 상쇄되었다.||아르헨티나의 세로 반가르디아에서 2023년 9월 30일 마감 분기의 금 생샨량은 3만5000oz였다(2022년 9월 30일 마감 분기는 4만4000oz). 금 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20% 감소했는데 이는 주로 광석 처리 톤수 감소와 전체 회수 등급 감소에 기인했다.||세로 반가르디아에서 금 생산은 2023년 2분기의 3만7000oz에 비해 2023년 3분기에 3만5000oz로 전 분기 대비 5% 감소했으며 이는 주로 광석 처리 톤수 감소와 전체 회수 등급의 한계적 증가에 기인했다.||호주 지역에서 2023년 9월 30일 마감 분기의 금 생산량은 14만oz였다(2022년 9월 30일 마감 분기는 14만3000oz). 금 생산은 주로 트로피카나의 금 생산량 감소로 인해 전년 대비 2% 감소했으며 선라이즈 댐의 금 생산량 증가로 부분적으로 상쇄되었다.||금 생산은 14만oz로 전 분기 대비 변동이 없었는데 이는 트로피카나의 금 생산 증가가 선라이즈 댐의 금 생산량 감소로 상쇄되었기 때문이다.||선라이즈 댐에서 2023년 3분기의 금 생산량은 6만4000oz였다(2022년 9월 30일 마감 분기는 5만7000oz). 금 생산은 전년 대비 12% 증가했는데 이는 주로 고등급 지하 채굴 지역에서 소싱된 광석의 결과로 밀 피드 등급의 개선에 기인했다. 선라이즈 댐의 주요 개선 영역인 지하 광석 처리 톤수는 FP 검토 프로그램의 이점이 지속적으로 현실화함에 따라 전년 대비 18% 증가했다.||선라이즈 댐의 금 생산은 2023년 2분기의 6만6000oz에 비해 2023년 3분기에 6만4000oz로 전 분기 대비 3% 감소했는데 이는 주로 노천광 처리 톤수 감소에 기인했다. 전 분기 대비 6% 증가한 지하 광석 톤수를 늘리는 것이 여전히 초점이 되고 있다.||트로피카나에서 2023년 3분기의 금 생산량은 7만6000oz였다(2022년 9월 30일 마감 분기는 8만6000oz). 금 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했는데 이는 주로 광석 처리 톤수 감소와 전체 회수 등급 감소에 기인했다.||트로피카나에서 금 생산은 2023년 2분기의 7만4000oz에 비해 2023년 3분기에 7만6000oz로 전 분기 대비 3% 증가했으며 이는 주로 전체 회수 등급 증가에 기인하고 광석 처리 톤수 감소에 의해 부분적으로 상쇄되었다.||가이던스||회사는 이전에 2023년 가이던스를 제공했으며 이는 변경되지 않은 채 유지되었다. 회사는 전체 연도 금 생산 가이던스를 달성하기 위한 궤도를 유지하고 있다. 금 생산은 하반기에 더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4분기 금 생산은 올해 모든 분기 중 가장 강할 것으로 예상된다.||안전||회사는 2023년 9월 30일에 마감된 9개월 동안 사망자를 기록하지 않았다.||2023년 9월 30일에 마감된 9개월 동안의 총기록 부상 빈도 비율(Total Recordable Injury Frequency Rate TRIFR)은 작년 같은 기간의 100만 시간 작업당 1.33건의 부상에 비해 100만 시간 작업당 1.16건의 부상으로 13% 개선되었다. 회사의 TRIFR은 2022년 국제 광업 및 금속 협의회(International Council on Mining and Metals) 회원의 평균 TRIFR인 100만 시간 작업당 2.66 건의 부상과 비교할 때 더 낮다. TRIFR은 100만 시간 작업당 발생하는 기록 가능한 부상 및 사망 건수의 총수를 기준으로 작업장 안전을 측정한다.||자본 프로젝트 업데이트||오부아시||향후 몇 년 동안 전반적인 채굴 유연성과 더 높은 등급의 블록 11 지역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KMS 샤프트 주변의 기존 인프라를 탈수 및 개조하는 것과 주로 관련된 우오부아시 재개발 프로젝트의 3단계는 2023년 3분기 동안 전체 완료율의 82%에 도달했다.||50레벨 이하의 프로젝트 작업 속도는 주로 예상치 못한 폭우로 지하에서 펌핑을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해지고 해당 지역의 탈수 후 예상치 못한 수준의 잔류 진흙이 발견됨으로 인해 느려졌다. 이로 인해 프로젝트의 예정 인도 시기가 현재 내년 하반기로 지연되었지만 프로젝트의 전체 자본 예산은 변경되지 않은 채 유지된다.||프로젝트 지연에도 불구하고 기존 인프라의 성공적인 병목 현상 해소를 통해 기존 경사갱 및 KRS 수갱에서만 약 6000tpd의 자재를 이동할 수 있는 능력이 확보되었다. 일단 KMS 수갱이 재가동되면 오부아시의 전체 자재 호이스팅 능력과 유연성이 크게 향상되어 전체 최대 호이스팅 능력이 약 1만2000tpd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따라서 밀 피드의 최적화는 북쪽의 코트 도르(Cote D’or) 경사갱을 통해 8km 스트라이크 광체(strike ore body) 전체로 확장되고 오부아시 광체의 중앙 부분에 위치한 KMS 수갱을 통해 더 깊은 블록 11의 고등급 광석이 KRS 수갱 및 오부아시 개발 경사갱을 통해 광체의 남쪽 한계까지 확장된다.||다음과 같은 활동이 2023년 3분기 동안 진행되었다.||· 헤드 기어 작업을 포함한 최종 KMS 암반 와인더 업그레이드 완료. 와인더는 현재 6000tpd를 호이스트할 수 있는 등급이다.· 향후 탈수를 허용하는 새로운 펌프와 파이프라인은 5000레벨에서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다.· 수동 와인더 BSVS 및 KMVS 수갱 작업은 진행 중이다.· 진흙 제거 및 50레벨 스테이션 구축||트로피카나||하바나 지하 사전 타당성 조사가 완료되었으며 현재 타당성 조사가 진행 중이다. 타당성 조사는 운영 준비 및 세부 설계에 중점을 둘 것이다. 접근 경사갱의 건설은 2024년 6월 분기에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트로피카나 재생 가능 프로젝트(Tropicana Renewable Project)는 현장 공사를 시작했으며 예정대로 진행되고 있다. 이 새로운 시설은 2050년까지 넷제로 범위 1 및 범위 2 GHG 배출량(Net Zero Scope 1 And Scope 2 GHG Emissions)을 달성하기 위한 로드맵의 하나로 2030년까지 범위 1 및 범위 2 온실가스(GHG) 배출량 30% 감축(2021년 기준 대비)을 달성하려는 앵글로골드 아산티의 전략을 지원하는 데 있어서 다른 현안 프로젝트와 향후 프로젝트와 함께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네바다||앵글로골드 아샨티는 2023년 10월에 노스 불프로그 프로젝트(North Bullfrog Project NBP)에 대한 타당성 조사(Feasibility Study FS)를 완료했다. 이 프로젝트는 세부 엔지니어링 단계로 계속 진행되도록 승인되었으며 적절한 허가를 받는 조건부 승인과 함께 2024년에 노스 불프로그에 대한 최종 투자 결정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NBP는 광석 가공을 위해 중력 선광과 퇴적 침출(Heap Leaching) 모두를 활용하는 노천 채굴 대안을 제안했으며 NBP에 대한 허가 절차가 진행 중이다. 운영 계획 및 환경 기준 연구는 주 및 연방 기관에서 최종적인 것으로 승인되었으며 필요한 보충 환경 보고서가 준비되고 검토되었다. 연방 및 주 허가 과정은 2024년 1분기 동안 공식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며 2025년 1분기에 건설 승인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확대 실리콘 프로젝트(Expanded Silicon Project)에 대한 개념 연구(Conceptual Study CS)는 계속 진행되고 있다. 이 CS는 대규모 채굴 가능성과 함께 규모의 경제와 통합 인프라의 증가로 인한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확대 실리콘 프로젝트에 대한 CS 및 광물 자원 선언은 2023년 4분기 중에 완료될 것으로 예상된다.||쿠에브라도나(Quebradona) ||2021년 11월에 콜롬비아 국립환경청(National Environmental Agency ANLA)이 쿠에브라도나 프로젝트(Quebradona Project)와 관련된 회사의 환경 허가 신청서를 보관하기로 결정하고 2022년 4월에 그러한 결정을 확인한 후 앵글로골드 아샨티는 터널 정렬 구역에서 필요한 데이터 획득을 완료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또한 물관리 운영 유연성 유지 보수성 및 시공성을 개선하기 위해 최적화된 FS가 현재 진행 중이다. 이전에 보고된 바와같이 새로운 환경 허가 신청서는 2026년에 ANLA에 제출될 것으로 예상된다.||그래말로테||2023년 9월 18일에 앵글로골드 아샨티는 그래말로테 프로젝트에 대한 전체 50% 간접 지분을 B2골드에 총 6000만달러에 매각하기로 합의했다. 거래는 2023년 9월 29일에 종료되었으며 앵글로골드 아샨티는 2023년 10월 5일에 2000만달러의 현금 지불을 받았으며 잔액 지불은 그래말로테 프로젝트가 도달하는 프로젝트 건설 및 생산 이정표에 따라 달라진다.||기업 업데이트||기업 구조조정||앵글로골드 아샨티는 2023년 9월에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주식을 1차 상장하고 영국에 기업 주소를 두면서 기업 구조조정을 완료했다. 기업 구조조정은 2023년 5월 12일에 처음 발표되었고 2023년 8월 18일에 앵글로골드 아샨티의 주주들에 의해 승인되었다. 앵글로골드 아샨티의 보통주는 2023년 9월 25일에 NYSE에서 티커 기호 AU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거래를 시작했다. 앵글로골드 아샨티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요하네스버그 증권 거래소(JSE)와 A2X Markets(A2X) 가나의 가나 증권 거래소(GhSE)에 계속 전념하고 있으며 각 증권 거래소에서 2차 상장을 유지했다.||초기 발표에서 밝혔듯이 기업 구조조정은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호주에서 다양한 세금 납부를 유발했다. 이 세금 납부액은 현재 총 2억 8600만달러로 결정되었다. 2023년 9월 22일 시장가인 종가 18.15달러 발행 주식 4억1968만5792주 NYSE 종가 시가총액 76억달러 등에 근거하여 계산된 세액은 다음과 같다.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호주에서 최종 미국 달러 세금 납부 금액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Rand) 및 호주 달러(Australian Dollar)로 납부하는 시점의 환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남아프리카 공화국:||· 배당금 원천징수세: 41억8000만랜드 또는 2억2100달러· 증권 양도세: 3억5100만랜드 또는 1900만달러||호주:||· 추정 토지보유세: 7천200만호주달러 또는 4천600만달러||코레고 두 시치우 관리 및 유지보수||2023년 8월 25일 회사는 브라질의 미나스 제라이스 주에 있는 CdS 광산을 금 가격을 훨씬 웃도는 열악한 생산 및 비용으로 특징지어지는 도전적인 운영 결과가 지속된 후 관리 및 유지 보수에 착수했다고 발표했다.||이사회 변경 사항||2023년 8월 25일에 회사는 리처드 조르딘슨(Richard Jordinson)을 2023년 10월 1일부터 회사의 최고운영책임자(COO) 및 이사회 위원으로 임명했다고 발표했다. 2023년 10월 1일부터 마르셀로 고도이(Marcelo Godoy)는 회사의 최고 기술 책임자 역할을 재개했으며 제이슨 메이(Jason May)는 임시 최고기술책임자(Interim Chief Technology Officer) 역할에서 물러났다.||임시 그룹 회사 비서의 임명||회사는 2023년 9월 25일부터 헬렌 그랜섬(Ms. Helen Grantham)을 앵글로골드 아샨티의 임시 그룹 회사 비서로 임명했다. 앵글로골드 아샨티는 새로운 영구 그룹 회사 비서를 찾는 과정을 계속하고 있으며 적절한 시기에 영구 그룹 회사 비서 임명을 주주들에게 통지할 것이다.||업데이트 보고||앵글로골드 아샨티는 개정된 1934년 미국 증권거래법의 목적상 미국에서 외국 사모 발행자(FPI)의 자격을 갖추고 있으며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양식 20-F의 연례 보고서와 양식 6-K의 현재 보고서를 제출하고 있다. 앵글로골드 아샨티는 2024년 2분기 10-Q 제출을 시작으로 FPI가 사용할 수 있는 보고 양식을 제출하는 대신 양식 10-K에 대한 연례 보고서 양식 10-Q에 대한 분기별 보고서 및 양식 8-K에 대한 현재 보고서를 SEC에 자발적으로 제출할 계획이다. 앵글로골드 아샨티는 미국 국내 발행자가 사용할 수 있는 양식에 자발적으로 제출하기 전에 양식 20-F에 2023년 연례 보고서를 제출하고 2024년 1분기 보고서에서 각 광산에 대한 생산 정보 및 주요 프로젝트 업데이트만 제공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앵글로골드 아샨티는 2023년 3분기에 대한 이 보고서에서 각 광산 및 주요 프로젝트 업데이트에 대한 생산 정보만 제공한다. 앵글로골드 아샨티는 2024년 2월에 자세한 재무 및 운영 정보가 포함된 2023년 온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영업실적 요약||(표의 내용은 pdf 참조. 다운로드: https://bit.ly/47mZmTo)||숫자 반올림 처리는 계산상 불일치로 이어질 수 있다.||영업실적 요약||(표의 내용은 pdf 참조. 다운로드: https://bit.ly/47mZmTo)||숫자 반올림 처리는 계산상 불일치로 이어질 수 있다.||관리 및 기업 정보||앵글로골드 아샨티(AngloGold Ashanti plc)는 영국 및 웨일스에서 설립되었다.||등록 번호 14654651LEI 번호 2138005YDSA7A82RNU96||주식 코드:||ISIN: GB00BRXH2664CUSIP: G0378L100NYSE: AUJSE: ANGA2X: ANGGhSE(Shares): AGAGhSE(GhDS): AAD||앵글로골드 아샨티 웹사이트www.anglogoldashanti.com||앵글로골드 아샨티는 투자자에게 중요할 수 있는 정보를 웹사이트 ww.anglogoldashanti.com 의 메인 페이지와 메인 페이지의 ‘투자자(Investors)’ 탭에 게시한다. 이 정보는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된다. 앵글로골드 아샨티는 광범위하고 비배제적인 방식으로 중요한 비공개 정보를 대중에게 공개하고 공개 의무를 준수하기 위한 수단으로 웹사이트를 사용할 계획이다. 따라서 투자자는 보도 자료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하거나 제공하는 문서 공개 콘퍼런스 콜 및 웹캐스트를 추적하는 것에 더해 앵글로골드 아샨티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얻으려면 이 웹사이트를 정기적으로 방문해야 한다. 앵글로골드 아샨티 웹사이트의 어떠한 자료도 본 문서의 일부를 구성하거나 참조를 통해 본 문서에 통합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앵글로골드 아샨티 웹 사이트의 참조는 그러한 통합의 원인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작성자: 앵글로골드 아샨티||전망적 진술||역사적 사실에 대한 진술을 제외하고 금광 산업의 경제 전망 금 가격 생산 총 현금 비용 모든 비용을 포함한 유지 비용 모든 비용을 포함한 비용 비용 절감 및 기타 운영 결과 자기자본이익률 생산성 향상 성장 전망 그리고 개별적으로 또는 총체적으로 프로젝트 이정표 달성 앵글로골드 아샨티의 탐사 및 생산 프로젝트의 특정 부분에 대한 상업적 운영의 시작 및 완료 인수 처분 또는 합작 투자 거래의 완료 앵글로골드 아샨티의 유동성 및 자본 자원 및 자본 지출 COVID-19 팬데믹의 결과 잠재적이거나 계류 중인 소송 또는 규제관련 소송진행이나 환경 보건 및 안전 문제 등의 결과 및 결론을 포함하는 앵글로골드 아샨티의 운영 전망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이 문서에 포함된 특정 진술들은 앵글로골드 아샨티의 재무 보고서 운영 경제적 성과 및 재무 상황에 대한 전망적 진술이다. 이러한 전망적 진술 또는 예측은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지 않지만 당사의 현재 믿음과 미래 사건들에 대한 예상을 반영하고 일반적으로 ‘믿다’ ‘기대하다’ ‘목적으로 하다’ ‘예상하다’ ‘의도하다’ ‘예상하다’ ‘예측하다’ ‘계획하다’ ‘추정하다’ ‘가능성이 높은’ ‘일 수 있다’ ‘그럴 수도 있다’ ‘일 수 있다’ ‘해야 한다’ ‘그럴 것이다’ ‘추구하다’ ‘계획하다’ ‘예정된’ ‘가능한’ ‘계속하다’ ‘잠재적’ ‘전망’ ‘표적’ 또는 기타 유사한 단어 구 및 표현과 같은 전망적 단어 구 및 표현의 사용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단 그런 단어 구 및 표현의 부재가 진술이 전망적이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음을 전제로 한다. 비슷하게 당사의 목표 계획 또는 목적을 기술하는 진술은 전망적 진술이거나 전망적 진술일 수 있다. 이러한 미래 예측 진술 또는 예측에는 앵글로골드 아샨티의 실제 결과 성과 조치 또는 업적이 이러한 전망적 진술에서 명시되거나 암시된 예상 결과 성과 조치 또는 업적과 실질적으로 다를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는 알려져 있거나 알려져 있지 않은 위험 불확실성 및 기타 요인이 관련된다. 앵글로골드 아샨티는 이러한 전망적 진술 및 예측에 반영된 기대가 합리적이라고 믿지만 그러한 예상이 옳았음이 입증될 것이라는 보장은 있을 수 없다. 따라서 결과 성과 행동 또는 성취는 인플레이션 또는 국제 분쟁 비즈니스 및 운영 이니셔티브의 성공 규제 환경의 변화 및 환경 승인을 포함한 기타 정부 조치 금 가격 및 환율의 변동 계류 중이거나 향후 소송 절차의 결과 공급망 중단 공중 보건 위기 팬데믹 또는 전염병(COVID-19 팬데믹 포함) 기타 비즈니스 및 운영 위험 및 과제와 광산 사고를 포함한 기타 요인과 관련된 것을 포함하여 다른 요인들보다도 경제 사회 정치 및 시장 상황의 변화의 결과로 전망적 진술에 명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위험 요인에 대한 논의에 대해서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된 2022년 12월 31일 마감 연도에 대한 앵글로골드 아샨티의 연례 보고서(양식 20-F) 및 2023년 6월 23일에 SEC에 처음 제출된 양식 F-4에 대한 앵글로골드 아샨티의 등록 명세서를 참조하면 된다. 이러한 요인들은 반드시 앵글로골드 아샨티의 실제 결과 성과 조치 또는 업적이 전망적 진술에 표현된 것과 실질적으로 다를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의 전부는 아니다. 기타 알려져 있지 않거나 예측할 수 없는 요인들도 앵글로골드 아샨티의 향후 결과 성과 조치 또는 업적에 중대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독자들은 전망적 진술에 과도하게 의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앵글로색슨 아샨티는 관련 법률에서 요구하는 범위를 제외하고 본 문서의 날짜 이후의 사건 또는 상황을 반영하거나 예상치 못한 사건의 발생을 반영하기 위해 이러한 전망적 진술에 대한 일체의 수정사항을 공개적으로 업데이트하거나 발표할 의무를 지지 않는다. 앵글로골드 아샨티 또는 앵글로골드 아샨티를 대리하는 사람에 기인하는 모든 후속 서면 또는 구두의 전망적 진술은 본 문서 내의 경고 진술에 의해 제한된다.||비-GAAP 재무 척도||이 커뮤니케이션에는 특정 ‘비-GAAP’ 재무 척도가 포함될 수 있다. 앵글로골드 아샨티는 비즈니스 관리에 특정 비-GAAP 성과 척도 및 비율을 활용한다. 비-GAAP 재무 척도는 보고된 영업 결과 또는 영업 현금 흐름 또는 IFRS에 따라 작성된 기타 실적 척도에 대한 대안이 아닌 부가적인 것으로 보아야 한다. 또한 이러한 척도의 제시는 다른 회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사한 제목의 척도와 비교할 수 없다.||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첨부자료:||ashanti.pdf||||||웹사이트: https://www.anglogoldashanti.com/|| 이 보도자료의 영어판 보기||||연락처||||앵글로골드 아샨티(AngloGold Ashanti plc)||투자자 관계 연락처||야티쉬 초우티(Yatish Chowthee)||+27 11 637 6273||휴대전화: +27 78 364 2080||yrchowthee@anglogoldashanti.com||||안드레아 맥시(Andrea Maxey)||+61 08 9425 4603||휴대전화: +61 400 072 199||amaxey@anglogoldashanti.com||||||||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AngloGold Ashanti plc||||||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실적||해외
Tue, 14 Nov 2023 11:00:00 +0900
-
아이스아이, 새로운 위성 4기 발사 통해 세계 선도적인 레이더 영상 군집위성 위치 강화
에스포 핀란드--(뉴스와이어)--레이더 영상 위성을 이용한 지속적인 지구관측 분야의 글로벌 리더이자 자연재해 솔루션 전문 기업 아이스아이(ICEYE)는 11월 11일 새로운 SAR (Synthetic-Aperture Radar: 합성개구레이더) 위성 4기를 성공적으로 발사하고 자사의 위성군을 확장했다고 밝혔다.||||||||||||||||||||||||이번 발사는 소형 위성 승차 공유(Rideshare) 임무를 수행하는 스페이스X(SpaceX)의 트랜스포터-9(Transporter-9)를 이용 엑소론치(Exolaunch)를 통해 미국 캘리포니아 반덴베르그 우주군 기지(Vandenberg Space Force Base)에서 이뤄졌다. 각 우주선과의 통신 설정이 성공적으로 구축됐으며 현재 일상적인 초기 작전이 수행되고 있다.||아이스아이는 2018년부터 현재까지 31기 위성을 배치하고 SAR 위성 기술 분야에서 세계적 리더십을 더 강화하고 있다. 최대 규모의 SAR 위성군을 소유 및 운영하고 있는 아이스아이는 고객들이 긴급 상황에서 가장 빠르게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높은 율의 반복적 현상에 대한 가장 높은 빈도의 재방문율을 제공하고 있다.||아이스아이의 공동 창립자이자 최고 경영자(CEO) 라팔 모드르제브스키(Rafal Modrzewski)는 “이번 발사 및 배치는 위성군에 단순히 위성을 추가한 것이 아니라 고객을 지원하기 위해 꾸준히 기술 발전을 추구해 온 아이스아이의 노력을 입증한 것”이라며 “빠른 주기로 영상이 필요한 가장 까다로운 고객의 요구 사항까지 충족시키기 위해 높은 재방문율과 최첨단 기능을 갖춘 탄력적인 위성군을 배치하고 있다”고 밝혔다.||이날 발사된 아이스아이의 3세대 위성 4기의 기능에는 지금까지의 아이스아이 위성 영상 기능을 더 발전시켜 구현한 50㎝ 지상 해상도로 지구 영상을 수집할 수 있는 스폿 파인(Spot Fine) 모드와 고도의 수집 기술을 활용해 지상의 변화를 거의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드웰(Dwell) 모드가 포함돼 있다.||아이스아이의 데이터 제품 책임자 존 카트라이트(John Cartwright)는 “전 세계 아이스아이 고객들의 고해상 위성 영상 용량에 대한 요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런 고객들은 실행 가능한 정보와 신뢰할 수 있는 의사결정을 위해 아이스아이의 영상을 이용하고 있다”며 “2023년에도 3차례에 걸친 위성 발사를 통해 가장 큰 규모의 SAR 위성군을 구축 및 운영하고자 하는 아이스아이의 의지를 다시 한번 입증했다”고 말했다.||최근 아이스아이가 발사한 위성에는 유럽과 미국 팀이 제작 및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차세대 위성이 포함돼 있다. 캘리포니아 어바인에 본사를 둔 아이스아이 미국 자회사는 미 국립해양대기국(NOAA)과 라이선스를 체결하고 미국 정부 및 기업 고객을 지원하기 위한 위성을 제작 및 운영하고 있다.||지구는 약 70%가 구름으로 덮여 있으며 시간대에 따라 절반의 지역은 어둠 속에 머무르게 된다. SAR 위성은 마이크로파를 지상에 조사한 뒤 위성에 반사되는 에너지를 통해 영상을 생성한다. SAR은 주간 및 야간은 물론 모든 기상 조건에서도 탁월한 영상 품질을 제공하기 때문에 관측 및 탐색 애플리케이션에서 기존의 전자 광학식 영상보다 뛰어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런 기능은 보험 자연재해 대응 및 복구 국가 안보 국방 및 정보 인도주의적 구호 활동 및 기후 변화 관측 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에 매우 적합하다.||||||웹사이트: http://www.iceye.com||||||||연락처||||아이스아이(ICEYE) 한국 홍보대행||CPR||노지훈 매니저||02-739-7348||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아이스아이||||||배포 분야||||산업||항공/무기||실적||해외
Tue, 14 Nov 2023 10:30:55 +0900
-
지아이텍, 3분기 매출액 95억원·당기순이익 23%… 4분기 어닝서프라이즈기대
아산--(뉴스와이어)--2차전지 및 수소연료전지 전극용 장비 제조기업 지아이텍(대표이사 이인영)은 3분기 실적을 13일 공시했다.||지아이텍은 3분기 매출액 95억원으로 전분기대비 93.4% 늘었고 영업이익은 20억원 당기순이익은 25억원으로 전분기대비 각각 631% 319% 증가를 기록했다.||지아이텍은 부품사업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증가했고 장비사업매출은 고객사의 투자지연으로 전년대비 감소했지만 회사의 사업다각화 전략에 따라 장비사업분야에 지속적으로 투자와 수주영업을 진행한 결과로 Norching 장비 영역에도 진출해 생산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남은 기간 적극적인 매출 증대를 위해 전 임직원이 최선을 다해 노력해 안정적인 영업이익율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이야기했다.||지아이텍은 국내외 배터리 제조사들의 증설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해외 신규 고객에 대한 마케팅 강화노력도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고 사업다각화 전략에 따라 장비사업분야에 지속적으로 투자와 수주영업을 진행해 매출목표 달성이 예상된다고 밝혔다.||||||웹사이트: http://www.gitec.kr/||||||||연락처||||지아이텍||재무팀||유호성 과장||041-543-1301 ||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지아이텍||||||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중전기||실적||대전/충남
Tue, 14 Nov 2023 09:32:10 +0900
-
센스타임-씨넥스존, 국내 독점 유통 계약 체결
서울--(뉴스와이어)--선도적인 글로벌 인공지능(AI) 개발 기업인 센스타임(SenseTime)과 씨넥스존이 AI 로봇 시스템의 국내 유통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IT 디지털 유통 및 솔루션 공급 기업 씨넥스존(대표 김광일)은 센스타임과 국내 독점 유통 계약을 체결하고 다양한 AI 로봇 시스템을 국내에 선보이기로 했다.||센스타임은 ‘원천 기술을 고수해 AI가 인류의 발전을 이끌도록 한다’는 사명을 바탕으로 AI 첨단 연구에서 앞서가는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이다. 업계를 선도하는 풀 스택 AI 능력을 통해 인지 지능 자연어 처리 의사결정 지능 스마트 콘텐츠 생성 등의 AI 관련 핵심 기술 분야를 모두 아우르고 있다.||씨넥스존은 다양한 AI 로봇 시스템 유통의 시작으로 AI 바둑 로봇인 ‘센스로봇 고(SenseRobot Go)’의 국내 출시를 알렸다.||센스로봇 고는 센스타임의 최첨단 AI와 로봇 팔 기술을 통합해 사용자가 실제 바둑판에서 AI 기술의 도움으로 바둑을 연습하고 멀리 떨어진 이용자와도 마주 앉아 있는 것처럼 바둑을 둘 수 있게 해준다. 센스로봇 고는 바둑을 배우는 어린이들과 바둑 애호가들에게 호응을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바둑을 즐기는 노년층에는 이상적인 일대일 지능형 동반자로 사고력과 집중력 향상이 필요한 어린이층에는 자기 주도적 사고 능력을 자연스럽게 키울 수 있는 학습 도구로 안성맞춤이다.||센스타임의 국내 독점 수입원이 된 씨넥스존은 IT/디지털 디바이스 및 솔루션 공급을 주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이번 계약을 통해 AI/IoT 시스템의 국내 유통 사업 역량을 강화했다.||씨넥스존 김수동 전무는 “B2B에서만 주목받던 AI 기술이 점차 생활 속으로 들어오고 있다”며 “이번 계약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브랜드의 앞서가는 AI 기술이 국내 소비자들의 생활을 더 윤택하게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노력을 펼치겠다”고 계획을 밝혔다.||씨넥스존 소개||씨넥스존은 IT/디지털 유통 및 솔루션 전문 공급 기업이다. 인텔 필립스 구글 등의 다양한 제품을 국내에 선보이고 있으며 디지털 디바이스 브랜드 ‘앤커(ANKER)’ PC용 파워서플라이 및 쿨러 전문 브랜드 ‘에너맥스(ENERMAX)’ 세계 CCTV 1위 ‘하이크비전(HIKVISION)’ 글로벌 인공지능(AI) 리딩 기업 ‘센스타임(SenseTime)’의 국내 공식 수입원으로서 다양한 글로벌 브랜드 제품 라인업의 국내 유통 및 고객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www.cynex.co.kr||||||||연락처||||씨넥스존||기획마케팅팀||장석주 이사||070-5138-2396||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씨넥스존||||||배포 분야||||IT||소프트웨어||산업||로봇/제어계측||제휴||서울
Tue, 14 Nov 2023 08:00:00 +0900
-
아트라스콥코, 새로운 그룹 브랜딩 발표
스톡홀름 스웨덴--(뉴스와이어)--아트라스콥코 그룹은 그룹 로고와 비주얼 아이덴티티 ‘미래를 변화시키는 기술(Technology that transforms the future)’이라는 메시지가 포함된 새로운 그룹 브랜딩을 발표했다.||||||||||||||||||||||||||||||||||||||현재 아트라스콥코 브랜드가 사용하는 파란색과 흰색의 로고는 기존과 동일하게 모든 제품과 서비스에 사용되며 그룹 내 다른 브랜드의 로고 역시 그대로 유지된다. 그룹에는 에드워드 이스라 비전 라이볼트 레와 시카고 뉴매틱과 같은 개별 브랜드 고유의 아이덴티티를 담은 50개 이상의 브랜드가 있으며 모든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는 기존과 동일하다.||아트라스콥코 그룹의 마츠 람스트롬 회장은 “아트라스콥코 그룹이 보유한 강력한 브랜드 포트폴리오는 비즈니스의 성공을 견인하는 주요한 원동력이며 그룹의 중요한 전략 과제 중 하나”라고 밝혔다. 또 “새로운 아트라스콥코 그룹 브랜드는 그룹 내 모든 브랜드의 상위 개념으로 존재하게 되며 각 브랜드가 가진 독자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더욱 큰 그림에서 브랜드 파워를 키워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새로운 그룹 메시지인 ‘미래를 변화시키는 기술(Technology that transforms the future)’은 아트라스콥코 그룹이 사회 전반에 다양한 기술을 통해 기여함을 의미한다.||마츠 회장은 “우리 고객의 대다수는 업계를 변화시키는 선도적인 위치에 있거나 새로운 개발을 주도해 나가고 있으며 아트라스콥코는 그 과정에서 고객에게 생산성 안전성 품질 및 에너지 효율 향상을 지원하고 있다”며 “이것이 바로 아트라스콥코 그룹이 보유한 기술과 열정적인 직원들이 맡은 역할”이라고 강조했다.||더 자세한 사항은 아트라스콥코 그룹 홈페이지에서 찾아볼 수 있다.||아트라스콥코 소개||아트라스콥코 그룹은 미래를 변화시키는 기술을 제공한다. 우리는 고객의 성공을 위한 핵심적인 제품 서비스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해 혁신한다. 그룹의 사업 영역은 압축 공기 시스템 진공 솔루션 에너지 솔루션 양수용 및 산업용 펌프 산업용 파워 툴과 조립 솔루션 머신 비전 솔루션을 포함한다. 2022년 기준 그룹의 전체 매출은 약 17조6000억원이며 약 4만9000명의 직원이 전 세계에서 일하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웹사이트: http://www.atlascopco.com||||||||연락처||||아트라스콥코 홀딩 코리아||최주희 이사||031-620-0721||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아트라스콥코||||||배포 분야||||IT||반도체/부품||산업||기계/플랜트||사업계획||해외
Mon, 13 Nov 2023 17:00:00 +0900
-
대한전선 기술연구소 ‘서울 서초구 시대’ 막 연다
안양--(뉴스와이어)--대한전선이 기술연구소 이전을 통해 R&D 강화와 시너지 확대에 나섰다.||대한전선(대표이사 송종민)은 기술연구소를 서울 서초구로 이전했다고 13일에 밝혔다. 공장이 있는 충남 당진에서 본사가 위치한 호반파크(서울 서초구 소재)로 11월 초에 연구소 이전을 완료하고 13일 오전 현판식을 진행했다.||이날 현판식에는 김선규 호반그룹 회장과 송종민 대한전선 부회장 김대헌 호반그룹 기획총괄 사장 김현주 대한전선 생산/기술부문 전무 등 호반그룹 경영진과 대한전선 임직원 등이 참석했다.||1983년에 설립해 올해로 개소 40년을 맞은 대한전선 기술연구소는 케이블과 솔루션 분야의 신제품 연구 개발과 산학연 협력 등을 전담하는 조직이다. 2015년에 안산에서 충남 당진으로 옮긴 이후 HVDC케이블 해저케이블 등 차세대 전략 제품을 개발하며 대한전선의 기술 경쟁력을 구축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다.||이번 기술연구소 이전은 연구개발(R&D) 역량 강화와 본사와의 시너지 확대를 위해 추진됐다. 대한전선은 인적 물적 자원이 풍부한 서울 이전을 통해 전문 연구 인력을 추가 확보하고 연구소의 기능과 조직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신사업 발굴 및 사업부 기술을 지원하는 팀도 신설해 영업 부서 등 현업과의 시너지를 확대한다.||현판식에서 대한전선 송종민 부회장은 “이번 기술연구소 이전은 연구개발(R&D)을 강화하겠다는 것을 넘어서 대한전선의 성장과 혁신에 대한 강한 의지”라고 강조하며 “서초 기술연구소를 기반으로 케이블 산업의 미래를 선도할 수 있도록 기술 개발과 역량 강화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웹사이트: http://www.taihan.com||||||||연락처||||대한전선 ||홍보팀 ||김용건 대리 ||02-316-9293 ||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대한전선||||||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사업계획||인천/경기
Mon, 13 Nov 2023 14:29:25 +0900
-
디지털 트윈 전문기업 팀솔루션, 고객사 실증 거친 ‘팀플로우’ 출시
울산--(뉴스와이어)--디지털 트윈 전문 기업 팀솔루션(TIM Solution 대표 김지인)이 제조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더욱 쉽고 유연하게 하는 통합 디지털 트윈 플랫폼 ‘팀플로우(TIM FLOW)’를 새롭게 출시한다고 밝혔다.||||||||||||||||||||||||2021년 반제품 버전으로 출시된 ‘팀플로우’는 2년간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요꼬가와전기 등과 함께한 약 5건의 고객 실증을 거쳐 표준성과 범용성을 업그레이드해 이번에 리뉴얼 출시됐다.||기존 팀플로우는 데이터 통합 시각화를 위한 4개의 모듈이 독립적으로 고객사 시스템과 연결되는 데 한계가 있었던데 반해 새로운 팀플로우는 CAD를 활용한 3D 모델 생성 기능의 범용성과 상용성을 모두 개선해 단독 제품으로도 판매되고 있다.||또한 기존에는 3D 모델과 데이터 연결이 중심이었지만 3D 모델을 활용해 매뉴얼을 생성하는 등의 간편한 기능도 추가하며 제품의 활용성을 더했다.||특히 리뉴얼된 팀플로우는 기업 및 프로젝트의 규모와 무관하게 단계적인 도입이 가능해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허들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디지털 인프라가 부족한 중소기업도 팀플로우를 활용하면 초기투자비 부담 없이 완제품 3D 매뉴얼을 함께 생성해 전달할 수 있다.||팀솔루션 김지인 대표는 “고객사 실증을 통해 보다 고도화된 팀플로우의 출시를 계기로 대기업 중심의 실증 적용처에서 중견·중소기업으로 사업 영역을 적극 확대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팀솔루션 소개||팀솔루션은 2017년 조선 등 제조 공정 전문가들이 모여 울산에서 창업한 디지털 트윈 전문 기업이다. 독자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조선·해양 자동차 석유·가스 우주·항공 등 복잡성이 높은 산업을 중심으로 국내 최다 디지털 트윈 레퍼런스를 보유하고 있다. 최근 제품 출시와 더불어 글로벌 기업과의 공식 리셀러 협약 및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점차 해외 시장으로 영역을 확장해나가고 있다.||||||웹사이트: https://www.timsolution.io||||||||연락처||||팀솔루션||조윤정 매니저||052-248-7009||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팀솔루션||||||배포 분야||||IT||소프트웨어||산업||기계/플랜트||신상품||부산/울산/경남
Mon, 13 Nov 2023 10:20:00 +0900
-
한국제지, 최고급 러프글로스지 ‘ARTE’로 인쇄한 2024년 기업 캘린더 출시
서울--(뉴스와이어)--한국제지가 최고급 러프글로스지 ‘ARTE’로 제작한 2024년 기업 캘린더를 출시했다고 13일 밝혔다.||||||||||||||||||||||||ARTE는 미도공 무광택 용지로 전시도록·화보·사진집·달력 등의 고급 인쇄물에 사용된다.||이번에 발행된 2024년도 한국제지 캘린더에는 맑고 상쾌한 컬러감으로 편안한 분위기의 4계절을 그리는 유명 글로벌 일러스트레이션 작가의 작품들이 담겼다.||한국제지는 매년 고객들을 대상으로 캘린더 증정 이벤트를 지속 실시하고 있으며 올해도 온라인 이벤트를 통해 총 80명에게 캘린더를 배포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제지 공식 인스타그램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한국제지는 소아암 환자에 항균복사지 기부 독도사랑운동본부 후원 소상공인 친환경 카페컵 지원 등 다양한 사회공헌활동뿐만 아니라 친환경 제품 개발 등을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위한 ESG 경영 실천을 위해 노력해 나가고 있다.||안재호 한국제지 대표는 “앞으로도 한국제지는 다양한 분야에 있어 사회공헌과 ESG 경영을 실천하는 기업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한국제지 소개||한국제지는 1958년 설립돼 ‘종이를 통해 우리나라 문화 발전에 기여한다’는 창업 정신을 실천하는 반세기 역사의 인쇄용지 전문 생산 기업이다. 한국제지의 대표 제품으로는 국내 시장점유율 1위 복사지 ‘miilk’ 최고급 러프글로스지 ‘ARTE’ 화장품·식품 포장재 ‘KAce’와 플라스틱(PP/PE) 코팅이 필요 없는 친환경 포장재 ‘Green Shield’가 있다.||||한국제지 스마트스토어: https://smartstore.naver.com/hankukstore한국제지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hankukpaper_official/복사지 ‘밀크’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miilk_paper/||웹사이트: http://www.hankukpaper.com||||||||연락처||||한국제지 ||전략마케팅팀||유진희 사원||02-3475-7272||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한국제지||||||배포 분야||||산업||제지/포장||판촉활동||서울
Mon, 13 Nov 2023 10:10:00 +0900
-
효성티앤씨, 글로벌ESG 평가에서 ‘리더’로 우뚝
서울--(뉴스와이어)--효성티앤씨가 모건스탠리캐피털 인터내셔널(MSCI) ESG 평가에서 지난해보다 두 단계 상승한 ‘AA등급’을 획득하며 국내를 넘어 글로벌 ESG 경영 리더로 자리매김했다.||MSCI ESG 평가(MSCI ESG Ratings)는 글로벌 주요 기업들이 참고하는 대표적인 글로벌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 지수이다.||MSCI는 1999년부터 매년 전 세계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ESG 관련 핵심 이슈를 평가해 가장 낮은 ‘CCC’부터 가장 높은 ‘AAA’까지 총 7단계의 등급을 부여하고 있다.||효성티앤씨는 업계를 선도하는 탄소 저감 전략으로 2019년과 2020년에 ‘BB등급’ 2021년에 ‘BBB등급’을 획득했고 지난해 평가에서는 ‘AA’ 등급을 획득하며 동종업계인 글로벌 원자재 화학사들 사이에서 가장 높은 ‘리더’ 그룹으로 분류됐다.||특히 △탄소배출(Carbon emission) △유독성 물질 배출 및 폐기물(Toxic emission & Waste) △물 부족(Water Stress) △화학적 위험성(Chemical safety) 등 4개 항목에서 최상위 성적을 기록했다.||효성티앤씨 김치형 대표는 “효성티앤씨는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쳐오고 있다”며 “ESG 각 부문에서 지속가능한 경영을 실현함으로써 글로벌 일류 화학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효성티앤씨는 2023년 한국ESG기준원(KCGS) 평가에서도 종합 ‘A등급’을 받으며 3년 연속 ‘A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환경 부문에서는 전년 대비 한 단계 상승한 ‘A+등급’을 받았다. 효성티앤씨가 펼쳐온 다양한 ESG 캠페인 리사이클·바이오 섬유 사업 등에 대한 노력을 인정받은 것이다.||한편 효성티앤씨는 지속가능한 경영을 실천하고 협력사와의 동반성장을 강화하기 위해 3년째 사내 임직원을 대상으로 페트병을 모으는 ‘리젠 되돌림’ 캠페인을 실시하고 있다. 국내 사업장 4곳(서울 본사 울산 구미 대구)에 페트병 수거함을 마련하고 임직원이 페트병을 모아오면 국내 대표 리사이클 섬유인 리젠이 적용된 국내 친환경 패션 스타트업 브랜드들의 가방을 증정하는 캠페인이다.||||||웹사이트: http://www.hyosungtnc.com||||||||연락처||||효성||안재홍 Pro||02-707-7675 ||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효성티앤씨||||||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화학||수상/선정||서울
Mon, 13 Nov 2023 10:00:29 +0900
-
정기선 HD현대 사장, 부회장 승진
서울--(뉴스와이어)--HD현대(회장 권오갑)가 10일(금) 올해 그룹 사장단 인사를 단행했다.||||||||||||||||||||||||이날 인사에서는 HD현대 정기선 사장이 부회장으로 승진했으며 HD현대인프라코어 오승현 대표이사 부사장과 HD현대중공업 강영 부사장이 각각 사장으로 승진했다. 강영 사장은 현재 기업결합이 진행 중인 STX중공업의 인수 추진 TF를 맡을 예정이다.||또 HD한국조선해양 김성준 부사장 HD현대로보틱스 김완수 부사장 HD현대케미칼 고영규 부사장이 각각 새 대표이사로 내정됐다. HD현대중공업 노진율 사장은 공동대표이사로 내정돼 안전경영 및 동반성장을 담당한다. 이들 내정자들은 향후 이사회 및 주총을 거쳐 대표이사에 선임될 예정이다.||정기선 부회장은 세계 조선경기 불황으로 전사적 어려움에 처한 상황에서 회사의 체질개선과 위기 극복에 앞장섰으며 선박영업과 미래기술연구원에 근무하면서 회사 생존을 위한 일감 확보와 기술개발을 통한 미래 준비에도 온 힘을 쏟았다. 2016년에는 선박서비스 시장의 성장 가능성에 주목해HD현대글로벌서비스 출범에 주도적 역할을 하기도 했다.||이후 정기선 부회장은 조선사업 외에도 정유 건설기계 전력기기 등 그룹 내 주요사업의 경쟁력 확보와 혁신에 앞장섰으며 동시에 수소 AI 등 미래 성장동력 발굴에도 집중해 왔다.||2021년에는 그룹의 수소 사업 비전인 ‘수소 드림 2030’을 통해 수소의 생산부터 운송 저장 활용까지 HD현대 전 계열사의 역량을 결집한 ‘수소밸류체인’ 구상을 공개했으며 2022년 미국 소형모듈원자로(SMR) 기업 테라파워에 대한 투자계약 세계 최고 빅데이터 기업인 미국 팔란티어와의 MOU 체결 등 새로운 사업 영역 확대에도 힘을 쏟고 있다.||정기선 부회장은 주요 해외 사업을 총괄하며 경영자로서의 활동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2015년 사우디 국영회사 아람코와의 전략적 협력관계 구축사업을 진두지휘하며 합작조선소 IMI 설립을 주도한 이후 2021년에는 아람코와 수소 및 암모니아 관련 MOU 체결했으며 지난해 11월에는 무함마드 빈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를 직접 만나 양자 간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하기도 했다.||또한 올해 초 CES 2023에서는 바다에 대한 관점과 활용 방식의 근본적 변화를 기반으로 하는 ‘오션트랜스포메이션’(Ocean Transformation)을 그룹의 미래전략으로 제시하기도 했다. 정기선 부회장은 내년 초에 열리는 CES 2024에서는 기조연설을 할 예정이다.||정기선 부회장은 새로운 조직문화 구축에도 힘쓰고 있다. 지난해 12월 50주년 기념 비전 선포식 행사에서 “새로운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업문화가 필요하며 정말 일하고 싶은 회사 직원들이 꿈을 마음껏 펼칠 수 있는 회사가 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이후 HD현대는 자녀 유치원비 지원 직장 어린이집 개원 유연근무제 도입 임직원 패밀리 카드 사내 결혼식장 무료 지원 및 포토부스 제공 직원들이 직접 참여하는 문화 행사 개최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즐겁게 일할 수 있는 기업문화를 조성해 가고 있다.||한편 이날 인사에서 사장으로 승진한 오승현 사장은 HD현대인프라코어의 공동 대표로서 조직 안정화 및 시너지 창출에 기여했으며 전문성을 바탕으로 기술력 향상 및 회사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또 강영 사장은 그룹 내 원가회계 전문가로서 현재 기업결합이 진행 중인 STX중공업 인수추진 TF를 맡을 예정이다.||HD현대는 이날 사장단 인사에 이어 조만간 후속 임원인사를 단행할 예정이다.||||||웹사이트: http://www.hdhyundai.co.kr/||||||||연락처||||HD현대||홍보팀||이민규 사원||02-746-5732||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HD현대||||||배포 분야||||산업||기계/플랜트||조선||인사||서울
Fri, 10 Nov 2023 16:10:55 +0900
-
한화시스템, 미래 해군의 핵심전력 ‘초대형급 무인잠수정 시작품’ 개발 착수
서울--(뉴스와이어)--한화시스템(대표이사 어성철)이 국방과학연구소가 주관한 약 250억 규모의 ‘초대형급 무인잠수정 체계 기술 검증 시작품(試作品)’ 제작 구매 사업 계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이번 사업은 미래 해군이 단독으로 수중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모듈형 무인잠수정(MRXUUV Mission Reconfigurable eXtra-large Unmanned Underwater Vehicle) 체계 개발’을 위한 초석으로 향후 초대형급 정찰용·전투용 무인잠수정 개발을 위한 기반 기술을 확보하는 사업이다.||초대형급 무인잠수정은 장거리 수중 감시정찰·기뢰부설 등 광범위한 수중 해역에서 다양한 임무수행이 가능해 적의 비대칭전력에 맞설 수 있는 미래 첨단 해양 무기체계로 주목받고 있다.||한화시스템은 2027년 8월까지 원거리 자율임무수행이 가능한 초대형급 무인잠수정의 기반 기술 검증을 위한 시작품을 제작한다. △임무에 따라 변형 가능한 모듈별 무인잠수정 플랫폼을 설계·통합하고 △무인잠수정의 자율제어와 원격통신 임무제어가 가능한 임무통제장비 △무장 운용을 위한 임무탑재체 △수중·수상 운용 환경에 특화된 마스트* 등을 포함한 초대형급 무인잠수정 체계검증 시작품을 제작할 예정이다.||* 마스트: 잠수함에는 잠수함 잠망경·레이더 및 전자전 장비와 같은 탐지장비·통신장비 등 여러 마스트가 존재한다.||이번 사업은 한화시스템과 한화오션이 컨소시엄으로 참여해 한화 방산 계열사 간 시너지를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이기도 하다. 한화오션은 무인잠수정의 통합·점검·시험이 원스톱으로 가능한 무인체계 전용 인프라와 해상교통관제시스템의 제약 없이 언제든지 해상 시험이 가능한 해역을 보유하고 있어 한화시스템은 이러한 시설을 활용해 초대형급 무인잠수정 시작품을 시험 및 검증할 계획이다.||박도현 한화시스템 지휘통제사업 부문 사업대표는 “현대전에서 무인잠수정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주요 선진 국가들도 소형급부터 초대형급까지 무인잠수정 연구를 활발히 추진 중”이라며 “한화시스템은 수중 무인체계 핵심 기술을 고도화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기술적 우위를 선점해 우리 해군이 잠재적 안보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미래 전력을 확보해 나갈 수 있도록 적극 기여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한편 한화시스템은 국방과학연구소가 주관한 정찰용 대형급 무인잠수정 개발 사업(무인잠수정용 자율제어 검증시제 2017년~2022년)에 참여했으며 국내 최초로 대형급 잠수함 플랫폼 개발을 위한 기반 기술을 확보한 바 있다.||||||웹사이트: https://www.hanwhasystems.com/kr/index.d...||||||||연락처||||한화시스템||커뮤니케이션팀||김수진 과장||02-729-2141||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한화시스템||||||배포 분야||||산업||항공/무기||개발||서울
Fri, 10 Nov 2023 11:16:40 +0900
-
오토닉스, 2023년 명문장수기업 선정
서울--(뉴스와이어)--국내를 대표하는 산업 자동화 전문 기업 오토닉스(대표 박용진 www.autonics.com)가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3년 명문장수기업’에 선정됐다고 10일 밝혔다.||||||||||||||||||||||||‘명문장수기업’은 장기간 기업 운영으로 사회에 기여한 바가 크고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되는 중소·중견기업을 발굴하는 사업이다. 45년 이상 업종을 유지한 기업을 대상으로 서면평가 현장평가 정부기관·언론 집단의 심층평가 등 엄격한 절차를 통과해 선정된다.||이번에 ‘명문장수기업’에 선정된 오토닉스는 1977년 설립돼 올해로 46년째를 맞은 장수 기업이자 국내를 포함해 총 12개의 해외 법인을 보유한 글로벌 기업이다. 오토닉스의 생산품인 산업용 센서 제어기기 모션 디바이스는 반도체 자동차 포장 물류 등 산업 전반에 적용돼 종합적인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특히 오토닉스는 자동화 제품을 국산화해 온 R&D 중심 기업으로 유명하다. 유럽 미국 일본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세이프티 LiDAR 머신비전 등의 하이엔드 제품을 자체 기술과 독자 브랜드로 국산화해왔다. 이를 통해 국가 차원의 원천 기술을 확보함과 동시에 한국 기술의 위상을 제고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또한 93% 이상의 정규직 비율로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으며 핵심 인재 학위 지원 시간선택제 근무 등 다양한 제도를 시행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건강한 조직 문화 확산에 일조하고 있다.||스마트 팩토리 구축 노하우 전수 무상 기술 교육 제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생의 가치를 실현하며 협력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다.||이러한 노력과 역량을 바탕으로 오토닉스는 이번 수상 외에도 △뿌리산업 발전 유공 대통령 표창(2023) △우수 기업 연구소(2023 2019)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유공 장관 표창(2022)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 기업(2021)에 선정되며 명문장수기업의 모범적 모델로써 행보를 보여주고 있다.||오토닉스 소개||오토닉스는 산업 자동화 분야 핵심인 센서 제어기기 모션 디바이스 레이저 마킹 시스템 세이프티 등 6000여종의 제품을 생산·판매하며 종합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산업 자동화 전문기업이다. 현재 한국 본사를 포함해 중국 일본 베트남 튀르키예 러시아 미국 브라질 등 12개 현지 법인을 통해 전 세계에 대한민국의 기술을 알리며 스마트 팩토리 부문 리더로써 자리매김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www.autonics.com||||||||연락처||||오토닉스||마케팅기획팀||김은정 과장 ||02-2048-1566||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오토닉스||||||배포 분야||||IT||소프트웨어||산업||기계/플랜트||수상/선정||부산/울산/경남
Fri, 10 Nov 2023 10:00:00 +0900
-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투자기업 첫 상장… 주인공은 ‘컨텍’
제주--(뉴스와이어) 2023년 11월 09일 --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센터장 이병선 이하 제주센터)의 투자기업이 첫 상장에 성공했다. 상장 주인공은 우주항공 분야 스타트업 컨텍(대표 이성희)이다.||||||||||||||||||||||||||||||||||||||||||||||||||||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는 투자기업 컨텍이 9일 코스닥에 성공적으로 상장했다고 밝혔다. 앞서 컨텍은 올해 9월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해 공모를 진행했다.||컨텍은 우주 지상국 데이터의 송·수신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이다. 제주센터는 2018년 제주도 출연금을 활용해 3000만원을 투자했고 지난해 11월 투자금 일부를 회수해 14배의 이익을 실현했다.||제주센터 시드머니 투자 이후 컨텍은 2021년 120억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한 데 이어 2022년 610억원 규모 시리즈C 투자 유치에 성공하는 등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컨텍이 이러한 성장을 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제주센터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이 있었다. 제주센터는 제주도와 협의해 컨텍이 우주지상국 설립에 필요한 부지를 마련할 수 있도록 후속 지원에 나섰다. 그렇게 컨텍은 2020년 6월 제주 용암해수단지에 아시아 최초의 민간 우주 지상국 구축을 완료하며 인공위성 데이터 사업의 첫발을 내디뎠다. 이후 전 세계에 지상국을 추가 건설해 현재는 12개의 우주지상국을 운용하고 있다.||컨텍은 제주를 우주지상국 기반시설의 주요 거점으로 삼을 계획으로 제주시 한림읍 상대리에 국내 최대 규모의 민간 우주지상국을 설립하고 있다. 5기의 위성안테나를 먼저 설치하고 2024년까지 7개의 안테나를 추가 설치해 총 12기의 안테나를 갖추고 우주지상국 서비스를 개시한다는 방침이다.||한편 제주센터는 2018년부터 제주도 출연금을 활용한 투자사업을 시작했다. 또한 비전벤처파트너스와 벤처투자조합을 설립하고 크립톤과 개인투자조합을 설립하는 등 민간 투자사와 협력해 펀드를 운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현재까지 누적 35개사에 약 27억9000만원을 직접 투자했다.||제주센터 이병선 센터장은 “컨텍의 상장은 제주센터가 시드머니를 투자한 지 5년 만에 거둔 성과라는 점에서 제주 창업생태계의 역동성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이를 계기로 지역 창업생태계의 선순환 구조를 더욱 고도화시켜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소개||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는 ‘새로운 연결을 통한 창조의 섬 제주’라는 비전을 통해 제주의 스타트업 생태계 기반 마련과 창업가 육성 지역혁신을 중점으로 추진하고 있다. 액셀러레이팅 사업 직접 투자사업 팁스 립스 등으로 지역 맞춤형 액셀러레이팅과 스케일업 기능을 강화하고 로컬크리에이터 발굴과 지역 가치 기반 혁신 프로그램으로 지속가능한 제주형 특화사업의 기반을 다져나가고 있다.||||컨텍 홈페이지: http://contec.kr/||웹사이트: https://ccei.creativekorea.or.kr/jeju/||||||||연락처||||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전략기획팀||박윤혁||064-710-1923||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배포 분야||||경제||중소기업/창업||산업||항공/무기||투자||제주
Thu, 09 Nov 2023 14:10:00 +0900
-
아트라스콥코, 팬스타테크솔루션과 ‘조선해양 컴프레셔 비즈니즈 활성화’ 위한 업무 협약
성남--(뉴스와이어) 2023년 11월 09일 -- 아트라스콥코 코리아(www.atlascopco.com/ko-kr)와 팬스타테크솔루션은 ‘조선해양 컴프레셔 비즈니스 확대를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이번 업무 협약은 아트라스콥코 코리아가 보유한 조선해양 솔루션과 서비스 팬스타테크솔루션의 풍부한 경험 및 기술력의 상호 교류로 조선해양 컴프레셔 비즈니스의 선도적 역할을 강화하고 시장 개척을 통한 동반 성장을 도모하고자 마련됐다.||세부적으로는 △조선해양 고객 네트워크 공동 개발 및 구축 △아트라스콥코 코리아 공식 조선해양 서비스(Aftermarket) 에이전트 등록 △리트로핏(Retrofit) 비즈니스 업무 확대 등을 위한 영업 및 마케팅 부문에서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특히 전 세계적으로 탄소 규제가 확대되는 가운데 양사는 이에 적극 대응하고자 선체 표면에 공기를 공급해 마찰 저항을 줄여 연료 및 탄소 배출을 절감시키는 공기윤활시스템(ALS Air Lubrication System) 확대와 선박용 컴프레셔 라이프 타임 관리 서비스의 협력 강화 등을 다각적으로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아트라스콥코 코리아 압축기 서비스 사업부 김익수 전무는 “조선해양 산업의 환경 규제 강화로 공기윤활시스템 리트로핏과 같은 친환경 선박 솔루션 시장의 성장 가능성은 매우 높다”며 “팬스타테크솔루션과의 이번 업무 협약으로 조선해양 비즈니스 경쟁력 제고는 물론 아트라스콥코 코리아의 높은 엔지니어링 역량과 기술력 순정 부품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하며 양사 모두 동반 성장 동력을 구축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아트라스콥코 소개||아트라스콥코의 산업적 아이디어는 고객이 성장하고 사회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이것이 우리가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 가는 방법이다. 아트라스콥코는 1873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시작된 글로벌 산업 장비 그룹이다. 2022년 연간 총 매출은 한화 약 18조6000억원이며 약 4만9000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더 많은 정보는 홈페이지에서 찾아볼 수 있다.||||||웹사이트: http://www.atlascopco.com||||||||연락처||||아트라스콥코 코리아||조현우 대리||031-620-0722||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아트라스콥코||||||배포 분야||||산업||조선||에너지/환경||친환경 기술||제휴||해외
Thu, 09 Nov 2023 14:00:00 +0900
-
스트라타시스, 향상된 정밀도와 제작 속도 구현하는 FDM 기술 기반 ‘F3300 3D 프린터’ 출시
성남--(뉴스와이어) 2023년 11월 09일 -- 3D 프린팅 솔루션 선도 기업 스트라타시스(Stratasys Ltd. SSYS)가 11월 7일부터 10일까지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리는 폼넥스트(Formnext) 전시회에서 용융 적층 모델링(FDM) 기술 기반의 신규 3D 프린터 ‘F3300’을 선보였다.||||||||||||||||||||||||||||||||||||||||||||||||||||||F3300은 인건비 절감 장비 가동 시간 극대화 부품 품질 및 생산 수율 향상을 실현해 고객에게 탁월한 가치를 제공한다.||제조 용도로 개발된 F3300 3D 프린터는 3D 프린팅 업계에서 가장 정교한 산업용 3D 프린터가 될 것이다. 프린터 외관과 향상된 기능은 항공 우주 자동차 및 정부 기관 같은 까다롭고 고성능이 요구되는 산업에 그동안 적층 제조가 활용돼 온 기존 방식을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F3300이 제공하는 대표적 기능은 아래와 같다.||· 향상된 제작 속도 - 빠른 압출 속도 및 자동 보정을 통한 프린트 빌드 속도 향상· 부품 품질 및 수율 향상 - 프린터 자동 보정 기능 및 정확도·반복성이 최대 25% 향상· 가동 시간 극대화 - 장비 모니터링 중복 압출 기능 및 작업자의 사용 편의성에 중점을 둔 인터페이스 설계· 비용 절감 - 기존 스트라타시스 FDM 솔루션 대비 25~45% 절감||스트라타시스의 제조 산업 사업 부문 최고 책임자 리치 개리티(Rich Garrity)는 “이 차세대 적층 제조 시스템은 고객의 생산량을 확장 가능하게 하고 적층 제조 솔루션과 기존 제조 솔루션 사이에서 타협할 필요성을 줄일 수 있도록 지원한다”며 “글로벌 공급망 문제 기존 생산 능력 한계 애플리케이션 복잡성 증가로 제조 기업에 엄청난 스트레스가 가중되고 있다. 스트라타시스 F3300 3D 프린터는 제품 개발을 가속해 고객의 혁신을 돕고 생산 문제를 극복하고 시장 출시 기간을 단축해 투자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F3300 3D 프린터는 F123 시리즈 F770 Fortus450mc 및 F900을 포함하는 스트라타시스 FDM 제품군에 추가된 최신 제품이며 신뢰성 대용량 고성능 소재 사용으로 잘 알려진 스트라타시스의 F900 기반 제품이다.||문종윤 스트라타시스코리아 지사장은 “3D 프린터를 통해 기업이 비용을 절감하고 납기를 단축시켜 제조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가장 큰 목표로 삼고 있다”며 “스트라타시스는 다양한 산업 내 사용자들의 요건에 맞게 적층 제조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새롭게 출시된 F3300 3D 프린터는 이미 검증된 FDM 기술로 다양한 글로벌 사례를 바탕으로 대한민국 제조 혁신을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스트라타시스 소개||미국 미네소타주와 이스라엘 레호보트에 본사를 둔 스트라타시스(Stratasys Ltd. (NASDAQ: SSYS))는 항공 우주 자동차 소비재 디자인 교육 및 의료를 포함한 다양한 산업을 위한 3D 프린팅 및 적층 제조 분야의 글로벌 선두 주자다. 30년 이상의 고객 비즈니스 요구 사항에 대한 깊고 지속적인 초점은 설계 프로토타입에서 제조 도구 및 최종 생산 부품에 이르기까지 제품 라이프사이클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목적 있는 혁신을 촉진했다. 스트라타시스는 정확하고 반복 가능하며 안정적인 FDM 폴리젯(PolyJet) SAF P3 및 SL 등 업계를 선도하는 3D 프린팅 기술과 까다로운 설계 및 제조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 포괄적인 3D 프린팅 재료 그리고 복셀 수준의 제어가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제공 및 지원한다. 적층 제조의 실제 잠재력을 실현하는 스트라타시스는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가속화하고 가치 사슬을 최적화하며 비즈니스 성과 개선을 주도하는 획기적인 산업별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웹사이트: https://www.stratasys.co.kr||||||||연락처||||스트라타시스코리아||최승호||02-2046-2253||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스트라타시스||||||배포 분야||||산업||기계/플랜트||소재/금속||신상품||인천/경기
Thu, 09 Nov 2023 10:00:00 +0900
-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우리사주조합 청약 완판
청주--(뉴스와이어) 2023년 11월 08일 -- 에코프로머티리얼즈가 임직원을 대상으로 진행한 공모주 청약에서 청약률 100%를 기록했다. 임직원들이 회사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해 청약에 대거 참여했다는 분석이 나온다.||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8일 우리사주조합 몫으로 배정된 231만6160주가 청약률 100%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우리사주조합 물량은 전체(1158만800주)의 20% 수준이다. 청약은 공모가 3만6200원을 기준으로 이뤄졌다.||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3~7일 임직원을 대상으로 공모주 수요조사를 진행했다. 청약 가능 대상자 565명 중 529명이 청약 의사를 표했고 우리사주 몫으로 배정된 공모주 전량을 매입했다. 우리사주 조합 1인당 평균 청약 대금은 1억5800만원이다.||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공모주 일반청약은 8~9일 이틀간 진행된다. 청약은 대표주관사인 미래에셋증권 공동주관사인 NH투자증권 인수사인 하이투자증권을 통해 이뤄진다.||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일반청약을 마친 후 17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다. 상장 시가총액은 확정공모가 기준 2조4698억원이다.||2017년 출범한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이차전지의 핵심소재인 전구체를 대량 생산하는 국내 유일기업이다. 전기차(EV) 및 Non-IT 기기에 탑재되는 최고 수준의 하이니켈 전구체를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니켈 코발트와 같은 핵심 원료의 금속 정제 및 생산 기술 개발에도 성공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도 했다.||||||웹사이트: https://www.ecopro.co.kr/||||||||연락처||||에코프로||CSR 추진팀||안병욱||02-6903-1728||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에코프로||||||배포 분야||||산업||화학||투자||충북
Wed, 08 Nov 2023 15:03:21 +0900
-
현대엘리베이터, 2023 한국국제승강기 엑스포서 신기술 선봬
충주--(뉴스와이어) 2023년 11월 08일 -- 현대엘리베이터가 8일 개최되는 2023 한국국제승강기엑스포(ILEK·International Lift Expo Korea)에서 신기술을 선보인다.||||||||||||||||||||||||현대엘리베이터는 8일부터 10일까지 킨텍스(KINTEX·경기 고양) 제1전시장에서 개최되는 2023 한국국제승강기엑스포에서 업계 최대 규모의 부스를 운영한다고 밝혔다.||2010년 1회를 시작으로 일곱 번째를 맞은 ILEK에는 국내외 승강기 관련 200여개 업체가 참가하며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된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스마트 시티를 위한 수직 이동 수단과 미리(MIRI) 서비스’를 주제로 핵심 기술들을 체험형으로 선보일 예정이다.||조재천 대표이사는 “2023년 승강기 산업은 4차 산업혁명 기술과 모빌리티의 융합으로 전례 없는 변화의 시기를 마주하고 있다”며 “이번 엑스포 기간 동안 도심항공 모빌리티 로봇과 승강기의 연동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이 융합된 디지털 승강기 신기술을 통해 승강기 산업의 미래 청사진을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이번 전시에서 가장 주목받는 기술 중 하나는 7월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국토부·사우디아라비아 신도시 개발사업 네옴 로드쇼에서 선보였던 ‘H-Port’다. 스마트 시티의 주요 교통수단인 도심항공교통(UAM)의 허브가 될 H-Port는 현대엘리베이터만의 독보적 기술인 자동 주차 시스템을 활용한 격납고(Sky Garage)와 UAM 버티-포트 내 드론의 자동 주차 및 자동 충전 탑승객의 승하차 등을 통합 관제할 수 있는 건축물이다. UAM 상용화 시 도심 내 공간 제약을 해소시켜 줄 솔루션으로 기대된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이를 차세대 주력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6월 선보인 첨단 유지관리 서비스 ‘미리(MIRI)’의 주요 기술도 현장에서 만날 수 있다.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클라우드 기술이 접목된 미리는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예지 보전 기술을 바탕으로 고장으로 인한 멈춤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인 서비스다. 특히 건물관리시스템(BMS) 로봇 출입문 등과의 연동을 통해 확장성을 높이는 한편 인공지능 카메라와 음성인식 기술을 적용해 구급 상황이나 범죄 상황으로부터 승객의 안전을 지키는 ‘미리 뷰’도 체험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해 현대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밖에서 내부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미리 뷰 플러스’ 기술을 새롭게 선보인다. 범죄 예방 효과는 물론 반려견 등 탑승 시 승강기 외부에서 미리 인지하고 대비할 수 있다.||독일 레드닷 iF 어워드 일본 굿디자인 어워드에서 심미성과 효용성을 인정받은 움직임 인식 버튼 ‘모션콜’과 ‘에어터치’ 사용자가 다양한 조명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는 DIY 디자인 엘리베이터 ‘엘 키트’ 음성 인식으로 가고자 하는 층을 선택할 수 있는 ‘스마트 인디케이터’ 등 4대의 목업에 설치된 다양한 기능과 수려한 디자인도 또 하나의 볼거리다.||||||웹사이트: http://www.hyundaielevator.co.kr||||||||연락처||||현대엘리베이터||커뮤니케이션팀||조찬호 부장||02-3670-0673||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현대엘리베이터||||||배포 분야||||산업||기계/플랜트||전시/출품||충북||2023 한국국제승강기...
Wed, 08 Nov 2023 14:01:43 +0900
-
신타비아, AMCM의 확장된-Z M 8K 인수 의향서 서명
플로리다 할리우드--(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 2023년 11월 08일 -- 항공우주 및 방위 산업 분야의 첨단 적층형 부품 OEM 업체인 신타비아(Sintavia LLC)가 독일 슈타른베르크 소재 AMCM GmbH와 의향서에 서명했다고 오늘 발표했다. 이로써 지금까지 제조된 최대 규모의 파우더 베드 융합 3D 프린터 중 하나인 M 8K 프린터의 북미 출시 고객이 됐다. 신타비아가 구입한 8개의 nLIGHT AFX-1000 레이저가 장착된 820mm×820mm×1600mm 크기의 M 8K는 소형 프린터에 비해 생산성과 디자인 자유도 측면에서 엄청난 도약을 보여준다. 첫 번째 북미 M 8K가 신타비아에 인도될 시기는 2025년 초로 예상된다.||||||||||||||||||||||||신타비아의 설립자이자 CEO인 브라이언 네프(Brian Neff)는 “AM에 규모의 경제가 없다고 말하는 사람은 대형 프린터를 운영해 본 적이 없는 것”이라며 “1㎥가 넘는 변위와 8개의 차세대 nLIGHT 레이저를 갖춘 신타비아의 신상품 M 8K는 매우 크고 복잡한 구성 요소를 설계하고 인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작은 단위의 단가를 대폭 낮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경험에 비춰봤을 때 빌드 챔버 크기가 선형적으로 증가하면 제품 설계 유틸리티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해 M 8K는 가장 큰 빌드 체임버를 갖추게 된다”고 전했다.||AMCM GmbH의 전무이사인 마틴 불레머(Martin Bullemer)는 “지난 6년 동안 브라이언을 비롯한 그의 팀과 함께 항공우주 및 방위 산업 전반에서 더 크고 빠른 기계의 한계를 뛰어넘는 일을 함께 진행할 수 있어 기뻤다”며 “북미 최초의 M 8K이자 확장된 Z축을 갖춘 최초의 M 8K가 신타비아와 함께하는 것은 당연하다. 신타비아 팀과 협력해 게임의 판도를 바꾸는 이 기술을 어떻게 적용할지 연구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밝혔다.||신타비아는 현재 2021년 인수한 M 4K 프린터 2대를 포함해 AMCM 및 EOS GmbH 프린터 17대를 운영하고 있다. M 8K 아키텍처는 M 4K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며 이는 매우 성공적인 EOS M400-4 멀티 레이저 프린터의 아키텍처를 기초로 한다. AMCM은 유럽 출시 고객인 아리안그룹(ArianeGroup)과 함께 2023년 9월 M 8K를 공식 출시했다. 에어버스(Airbus)와 사프란(Safran)의 합작 회사인 아리안그룹은 2025년 초에 인도되는 최초의 M 8K를 사용해 프로메테우스(Prometheus) 로켓 엔진용 대형 연소실을 프린팅할 예정이다. 신타비아의 M 8K는 니켈 합금을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신타비아 소개||신타비아는 항공우주 및 방위 산업을 위한 차세대 전력 및 열역학 부품을 설계하고 적층 제조한다. 적층제조 녹색 무역협회(Additive Manufacturer Green Trade Association)의 창립 멤버인 신타비아는 업계 최고의 품질 표준을 준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다양한 미국항공우주국(Nadcap) 및 기타 항공우주 인증을 보유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intavia.com.||AMCM GmbH 소개||AMCM(Additive Manufacturing Customized Machines)은 금속 3D 프린팅의 기준을 설정하는 검증된 EOS 기술과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맞춤형 AM 솔루션을 제공한다. 기계는 처음부터 설계하거나 수정 및 향상된 EOS 시스템으로 다양한 수준의 사용자 정의를 통해 제작된다. 여기에는 새로운 레이저 사용 조정된 가열 개념 다양한 스폿 크기 수정된 빌드 볼륨 등 프로세스 맞춤화가 포함된다. AMCM은 EOS 그룹 회사이다. 웹사이트: https://amcm.com/||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사진/멀티미디어 자료: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53746437/en||||||웹사이트: http://www.sintavia.com/|| 이 보도자료의 영어판 보기||||연락처||||신타비아(Sintavia) ||LLC린지 루이스(Lindsay Lewis)||+1 954.474.7800||||||||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Sintavia LLC||||||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항공/무기||사업계획||해외
Wed, 08 Nov 2023 13:40:00 +0900
-
뉴몬트, 뉴크레스트 인수로 세계 최고의 금광 사업 창출 성공
덴버--(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 2023년 11월 08일 -- 뉴몬트(Newmont Corporation)(뉴욕증권거래소: NEM 토론토증권거래소: NGT 호주증권거래소: NEM 포트모르즈비증권거래소: NEM)는 오늘 강력한 구리 생산 능력을 갖춘 세계 최고의 금 회사를 만들기 위해 뉴크레스트 마이닝(Newcrest Mining Limited) 인수를 완료했다고 발표했다.||뉴몬트의 사장 겸 최고경영자인 톰 팔머(Tom Palmer)는 “오늘은 뉴몬트의 뉴크레스트 인수를 성공적으로 완료하면서 우리 회사와 업계에 역사적인 이정표를 세운 날”이라며 “이제는 뉴몬트의 입증된 운영 모델에 뉴크레스트의 자산과 인력을 안전하고 효율적이며 책임감 있게 통합해 모든 이해관계자를 위한 가치 중심 전략 제공을 가속하는 데 관심을 쏟겠다”고 밝혔다.||전 세계 티어1(Tier 1) 자산*의 절반 이상을 보유한 뉴몬트는 수명이 긴 사업장 가치 증대 프로젝트 풍부한 탐사 기회 월드 클래스 인재를 갖춘 비교 불가한 포트폴리오를 통해 세계에서 가장 유리한 관할 구역에서 수익성 높은 생산을 뒷받침할 예정이다. 이 확장된 포트폴리오에는 수십년간 탄탄하고 오래 지속되는 수익을 창출하는 동시에 동급 최고의 지속 가능성 성과를 지원할 수 있는 규모 마진 가행년수(mine life)를 갖춘 사업장이 포함된다.||이제 거래가 완료됨으로써 뉴몬트의 뉴크레스트 인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수십 년간 안전하고 수익성 있으며 책임감 있는 금과 구리 생산을 뒷받침하는 10개의 티어1 사업장*을 포함해 저위험 관할권에 집중된 고품질 사업장 프로젝트 및 매장량을 결합해 책임감 있는 금 채광 업계 리더로서 뉴몬트의 입지를 강화· 인수 후 첫 24개월 이내에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는 연간 세전 5억 달러의 시너지 효과와 함께 거래 성사 후 첫 2년간 포트폴리오 최적화를 통해 최소 20억 달러의 현금 개선 효과를 창출· 뉴몬트의 균형 잡힌 자본 배분 우선순위와 업계 최고 수준의 구속력 없는 배당금 지급을 유지(뉴몬트는 2019년 골드코프(Goldcorp) 인수를 완료한 이후 50억 달러 이상의 배당금을 지급해 주주에 대한 노력을 추가로 입증한 바 있음)· 노련한 리더 주제별 전문가 광범위한 채굴 업계 경험을 갖춘 호주와 캐나다의 기존 지역 팀으로 구성된 훌륭한 인적 자원 보유· 환경 사회 및 거버넌스 성과에서 업계 리더십 유지 및· 거래와 관련해 뉴몬트는 뉴몬트 보통주인 신규 주 3억5769만1627주(뉴 뉴몬트 주식 1572만585주 뉴 뉴몬트 CDI 기반 3억4179만2611주 뉴 뉴몬트 PDI 기반 17만8431주 포함)를 발행||뉴몬트 소개||뉴몬트는 세계 선도적 금광 회사이자 구리 은 아연 납 생산업체다. 회사가 보유한 세계적 수준의 자산 잠재 고객 및 인재 포트폴리오는 아프리카 호주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북미 파푸아뉴기니의 유리한 채굴 관할 구역에 기반을 두고 있다. 뉴몬트는 S&P 500 지수에 상장된 유일한 금 생산업체이며 원칙을 지키는 환경 사회 및 거버넌스 관행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 회사는 강력한 안전 표준 탁월한 실행력 기술 전문성을 바탕으로 가치 창출에 있어 업계 리더가 됐다. 뉴몬트는 1921년에 설립됐으며 1925년부터 상장됐다.||뉴몬트의 목적은 지속 가능하고 책임감 있는 광업을 통해 가치를 창출하고 삶을 개선하는 것이다. 뉴몬트의 지속 가능성 전략 및 이니셔티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www.newmont.com 에서 확인할 수 있다.||미래예측진술에 관한 주의 사항||본 보도자료에는 1933년 개정된 미국 증권법 제27A조 및 1934년 개정된 미국 증권거래법 제21E조의 의미 내에서 해당 조항 및 기타 관련 법률에 의해 만들어진 세이프 하버(safe harbor)가 적용되는 “미래예측진술” 및 호주 관련 증권법의 의미 내에서 “미래예측정보”가 포함돼 있다. 미래예측진술이 미래의 사건이나 결과에 대한 기대나 믿음을 표현하거나 암시하는 경우 그런 기대나 믿음은 선의로 표현된 것이며 합리적인 근거를 가진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해당 진술은 리스크 불확실성 및 기타 요인의 영향을 받으며 이로써 미래예측진술에서 표현 예상 또는 암시한 미래 결과와 실제 결과가 실질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미래예측진술은 예상되는 미래 비즈니스 및 재무 성과와 재무 상태를 다루는 경우가 많고 종종 “예상하다” “의도하다” “계획하다” “~할 것이다” “~일 것이다” “추정하다” “기대하다” “잠재력” 등의 단어를 포함한다. 미래예측진술에는 미래 비용 생산 및 수익성에 대한 기대 주주 수익 및 미래 배당에 대한 기대 미래 투자 및 재무제표 건전성에 대한 기대 예상 시너지에 대한 추정 예상되는 현금 흐름 창출 증가 및 포트폴리오 최적화 기회에 대한 추정 미래 업계 리더십에 대한 기대치 합병 비즈니스에 대한 다른 기대치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다.||미래 사건이나 결과에 대한 추정 또는 기대는 특정 가정을 기반으로 하며 이후 부정확한 것으로 판명될 수 있다. 합병 비즈니스 및 미래 성과에 대한 미래예측진술과 관련된 리스크에는 △금 및 기타 금속 가격 변동성 △환율 변동 △운영 리스크 △생산 비용 증가 △광석 등급(ore grade) 또는 회수율(recovery rates)이 채굴 계획 가정과 다른 경우 △정치적 리스크 △지역사회 관계 △분쟁 해결 △정부 규제 및 사법적 결과 △기타 리스크 등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실제 결과가 미래예측 진술과 다를 수 있는 실질적인 리스크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즉 △재무 또는 기타 예상과 관련된 내재적 불확실성 △뉴몬트와 뉴크레스트 사업의 신속하고 효과적인 통합과 거래에서 예상되는 시너지 및 가치 창출을 달성하는 능력 △2023년 5월 15일자로 수시로 수정될 수 있는 계획이행증서(scheme implementation deed)와 관련해 당사자 및 기타 당사자들을 상대로 제기됐거나 제기될 수 있는 법적 소송의 결과 △뉴크레스트 통합과 관련된 예상치 못한 어려움이나 지출 △계획 약인의 가치와 관련된 리스크 △예상되는 시장 규모와 뉴몬트의 자원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 △보류 중인 거래 관련 현안에 관한 경영 시간 분산 등이다. 이런 위험과 기타 요인에 대한 보다 자세한 논의는 2023년 2월 23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된 2022년 12월 31일 마감 회계연도에 대한 뉴몬트의 10-K 양식 연례 보고서(2023년 7월 20일 SEC에 제출된 8-K 양식의 최신 보고서로 업데이트됨) 및 2023년 9월 5일 SEC에 제출된 최종 위임장권유신고서 2023년 10월 26일 SEC에 제출된 ‘리스크 요인’이라는 제목의 양식 10-Q 등 뉴몬트의 기타 SEC 제출 서류 그리고 SEC 웹사이트 또는 www.newmont.com 에서 확인할 수 있는 SEC에 제출된 뉴몬트 보고서에서 식별된 기타 요인을 참조할 수 있다. 2023년 6월 30일 마감 회계연도에 대한 뉴크레스트의 최신 연례 재무 보고서와 뉴크레스트가 호주 증권 규제 당국에 제출한 기타 서류는 호주증권거래소 웹사이트(www.asx.com.au) 또는 www.newcrest.com 에서 확인할 수 있다. 뉴몬트는 본 보도자료 날짜 이후의 사건이나 상황을 반영하거나 예상치 못한 사건의 발생을 반영하기 위해 전망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 ‘미래예측진술’의 수정본을 공개적으로 배포할 의무를 지지 않는다(관련 증권법에 따라 요구되는 경우는 예외). 투자자는 과거에 발표된 ‘미래예측진술’에 대한 업데이트가 없음을 해당 진술의 재확인이라고 가정해서는 안 된다. ‘미래예측진술’에 계속 의존하는 것은 투자자 본인이 책임을 져야 한다.||본 보도자료에 사용된 시너지 효과 및 가치 창출은 설명 목적으로 제공된 경영진 추정치이며 GAAP 또는 비 GAAP 재무 지표로 간주돼서는 안 된다. 시너지 효과는 경영진이 추정 목적을 위해 활용했던 뉴몬트와 뉴크레스트의 사업 통합의 결과로 경영진이 예상한 세전 시너지 효과 공급망 효율성 및 전체 잠재력 개선에 대한 합산 추정치를 나타낸다. 시너지 추정치는 발생한 특정 실제 비용과 뉴몬트와 뉴크레스트의 사업이 통합되지 않았을 경우 발생했을 비용에 대한 경영진 추정치 간의 차이를 반영하므로 해당 추정치는 부정확할 수밖에 없으며 수많은 판단과 가정에 근거한다. 시너지 효과는 실제 가치 창출이 예상 또는 과거의 시너지 효과와 달라지게 만들 수 있는 리스크 불확실성 및 기타 요인에 영향을 받는 ‘미래예측진술’이다.||이 보도자료에서 사용된 포트폴리오 최적화는 설명 목적으로 제공된 경영진 추정치이며 GAAP 또는 비 GAAP 재무 지표로 간주돼서는 안 된다. 현금 흐름 개선은 뉴몬트와 뉴크레스트의 사업 통합 부재 시 현금 흐름에 대한 경영진 추정치와 특정한 실제 현금 흐름 간의 차이를 추정하므로 해당 추정치는 부정확할 수밖에 없으며 수많은 판단과 가정에 근거한다. 현금 흐름을 개선하기 위한 포트폴리오 최적화는 개선된 현금 흐름이 예상과 달라지게 만들 수 있는 리스크 불확실성 및 기타 요인에 영향을 받는 ‘미래예측진술’이다.||* “티어 1 자산” 또는 “티어 1 사업장”은 해당 자산의 가행년수 동안 평균적으로 다음을 보유한 것으로 정의된다. 즉 (1) 연결(consolidated) 기준 연간 50만 금환산온스(gold equivalent ounce) 이상의 생산량 (2) 업계 비용 곡선의 하반부(lower half)에 속하는 온스당 평균 총유지비용(All-In Sustaining Cost “AISC”) (3) 10년 이상의 예상 가행년수 (4) 무디스 S&P 피치에서 A 및 B 등급 범위로 분류되는 국가에서 운영 중인 사업장 등이다. 뉴몬트와 관련된 이런 용어 및 지표의 정의는 SEC에 제출된 10-K 양식의 뉴몬트 연례 보고서를 참조할 수 있다. 뉴크레스트의 자산과 관련된 해당 용어 및 지표는 뉴크레스트가 계산하고 호주 증권거래소에 제출한 공개 서류에 공개돼 있다. 업계의 다른 자산과 관련해 해당 용어 및 지표는 해당 자산과 관련해 보고하는 제3자 법인의 공개 서류에 게시된 대로이다. 운영 지표(예: AISC)를 계산하는 당사의 방법과 타사가 게시하는 유사한 제목의 지표는 방법론의 차이로 인해 서로 다를 수 있다.||토론토 증권거래소 승인 관련 참고 사항||뉴몬트는 토론토 증권거래소(“TSX”)의 승인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뉴크레스트 마이닝 인수와 관련해 토론토증권거래소에 대한 의무를 충족하기 위해 토론토증권거래소 기업 매뉴얼(TSX Company Manual) 섹션 602.1에 명시된 “적격 국제상장 발행자(Eligible International Interlisted Issuer)” 면제에 의존했다.||사진/멀티미디어 자료: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53748353/en||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웹사이트: https://www.newmont.com/|| 이 보도자료의 영어판 보기||||연락처||||뉴몬트(Newmont Corporation)||미디어 연락처 ||제니퍼 파크라두니(Jennifer Pakradooni)||+1.720.236.8170||jennifer.pakradooni@newmont.com||||투자자 연락처||대니얼 호턴(Daniel Horton)||+1.303.837.5468||daniel.horton@newmont.com||||||||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Newmont Corporation||||||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인수/합병||해외
Wed, 08 Nov 2023 13:35:00 +0900
-
로크웰 오토메이션, 지속 가능한 인간 중심 미래 산업 기술을 개발하는 모멘타 펀드에 전략적 투자 실행
밀워키--(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 2023년 11월 08일 -- 산업 자동화 및 디지털 혁신에 전념하는 세계 최대 기업인 로크웰 오토메이션(Rockwell Automation Inc.)(뉴욕증권거래소: ROK)은 오늘 모멘타(Momenta)의 인더스트리 5.0 펀드에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이 펀드는 탄력적이고 지속 가능하며 인간 중심의 산업 운영에 중점을 둔 기업가를 지원하는 벤처 캐피털이자 가치 창출 펀드이다. 따라서 로크웰이 산업 시장을 뒤흔들고 지속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혁신 기술에 조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줄 것이다.||스위스에 본사를 둔 모멘타는 EU 집행위원회와 협력해 집행위원회의 인더스트리 5.0 이니셔티브를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스타트업을 지원하기 위한 1억 달러 규모의 펀드를 출범했다. 이 이니셔티브는 지속 가능하고 인간 중심적이며 탄력적인 산업으로의 전환을 위한 동력인 연구와 혁신을 강조하며 주주 가치에서 이해관계자 가치로 초점을 이동시킨다. 정보와 기술을 통해 명확성과 자신감으로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사람을 중심에 둔다. 에너지 제조 스마트 공간 공급망의 디지털 혁신을 주도하는 초기 성장 단계의 혁신가를 대상으로 하는 인더스트리 5.0 펀드는 유럽과 북미의 기업가에게 벤처 캐피털 투자와 직접 가치 창출을 제공할 예정이다.||로크웰은 펀드의 앵커 투자자이며 그 벤처 팀이 모멘타 및 포트폴리오 기업과 긴밀히 협력해 폭넓은 전문성과 로크웰의 전략적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이번 투자는 로크웰의 비유기적 성장 전략을 보완해 디지털 혁신을 주도하지만 아직 초기 개발 단계에 있는 차세대 기술에 대한 인사이트와 접근성을 제공한다.||로크웰의 수석 부사장 겸 최고기술책임자인 시릴 퍼두캣(Cyril Perducat)은 “업계의 지각 변동을 일으키고 인간의 가능성을 확장한다는 우리의 목적에 부합하는 스타트업을 찾기 위해 모멘타와 협력하게 돼 기쁘다”며 “모든 이해관계자에게 유익한 기술을 지원하고 채택하는 일은 본질적으로 우리 주주들에게도 유익하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로크웰은 향후 전 세계 고객을 더욱 탄력적이고 민첩하며 지속 가능하게 만들어 줄 혁신적 기술을 조기에 지원하고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독보적 위치에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모멘타의 창립 파트너인 켄 포스터(Ken Forster)는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을 인더스트리 5.0 펀드의 투자자로 모시게 돼 영광이다. 로크웰은 북미에서 산업 자동화와 디지털 혁신을 정의하고 있으며 탁월한 리더십 팀이 이끄는 가운데 글로벌 입지를 확장하고 있다. 모멘타는 지난 10년 동안 산업에 영향력이 있는 기업들에 투자하는 데 초점을 맞춰왔고 이번 인더스트리 5.0 펀드를 위해 로크웰 오토메이션보다 더 적합한 파트너는 생각할 수 없다.”||로크웰 오토메이션 소개||로크웰 오토메이션(뉴욕증권거래소: ROK)은 산업 자동화 및 디지털 혁신 분야의 글로벌 리더이다. 사람들의 상상력과 기술의 잠재력을 연결해 인간의 가능성을 확장하고 세상을 더 생산적이고 지속 가능하게 만들고 있다. 미국 위스콘신주 밀워키에 본사를 둔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100여 개국에서 고객을 위한 전담 문제 해결사 약 2만9000명을 고용하고 있다. 산업 기업 전반에서 커넥티드 엔터프라이즈를 실현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면 www.rockwellautomation.com 을 방문하십시오.||모멘타 소개||모멘타는 선도적인 산업 영향력 벤처 캐피털 + 성장 회사로 에너지 제조 스마트 공간 공급망의 디지털화에 전념하는 기업가 및 리더들이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한다. 2012년부터 심층적인 업계 운영자로 구성된 팀이 수상 경력에 빛나는 임원 검색 및 전략 자문 실무를 통해 50여 기업가에게 투자했고 150여 업계 리더의 확장을 도왔다. 웹사이트: www.momenta.one||본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웹사이트: http://www.rockwellautomation.com|| 이 보도자료의 영어판 보기||||연락처||||로크웰 오토메이션(Rockwell Automation Inc.)||미디어 문의 ||에드 모어랜드(Ed Moreland)||정부 업무 및 대외 커뮤니케이션 책임자||+1 571-296-0391||Edward.Moreland@RockwellAutomation.com||||투자자 관계 담당자||아이자나 젤너(Aijana Zellner)||투자자 관계 및 시장 전략 책임자||+1 414-382-8510||AZellner@RockwellAutomation.com||||||||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Rockwell Automation Inc.||||||배포 분야||||산업||기계/플랜트||로봇/제어계측||투자||해외
Wed, 08 Nov 2023 10:37:47 +0900
-
아이티브AI, 한국금속재료연구조합 회원사 가입
용인--(뉴스와이어) 2023년 11월 08일 --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열화상/실화상 영상 분석 전문 기업 아이티브AI가 11월 3일 한국금속재료연구조합의 회원사로 가입하고 명패 전달식을 진행했다.||||||||||||||||||||||||아이티브AI는 머신비전과 AI를 통한 영상 및 수치 해석을 기반으로 자동화 솔루션을 구축해 철강 산업 전반에 다양한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으며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탄소중립 핵심기술 개발사업’ 국책 과제의 철강 분야(총괄02 - 1세부 2세부) 참여 기업으로 선정돼 기술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또 탄소중립이라는 목표 아래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세아베스틸 등 주요 철강사를 대상으로 철강 산업의 공정 효율화를 위한 다양한 솔루션을 구축하고 있다.||철강 산업 분야에 AI를 접목하는 아이티브AI의 노력은 이번 한국금속재료연구조합 회원사 가입을 통해 더 큰 미래를 만들 것으로 예상된다.||한국금속재료연구조합은 우리나라 금속 소재 분야의 공통 애로 기술 첨단 기술 등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함으로써 금속재료 기술 개발을 통한 소재 산업의 성장 및 발전 도모를 위해 힘쓰는 단체다. 금속재료 신규 기술 수요 조사를 바탕으로 혁신 R&D 사업 발굴과 기획을 도모하고 있으며 연구 사업 컨소시엄을 구성해 정부 R&D 사업 수행을 통한 연구 성과 홍보 및 확산 기술 사업화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한국금속재료연구조합 회원사로서 아이티브AI는 조합의 혁신 R&D 사업 발굴과 기술 사업화를 돕고 철강 공정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공정 자동화 솔루션 도입 확대를 도모함으로써 국제적 문제로 떠오르는 온실가스의 감축을 위한 국가 정책인 ‘2050 탄소중립’에도 큰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된다.||아이티브AI의 열화상카메라 및 실화상카메라를 이용한 공정 자동화 솔루션은 철강 산업의 전 공정(제선 소결 정련 연주 슬라브 등)에 적용시킬 수 있다. 특히 열화상카메라의 특징을 이용해 용강 용선과 슬래그를 구분해 검출하거나 분진이 많이 발생하는 공정에서도 분진을 투과해 공정 상태를 분석하는 아이티브AI 솔루션은 그동안 정성적으로 판단하던 공정 상태를 정량적으로 판단함으로써 공정의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강점이 있다. 또 파악된 공정 상태를 공정망과 연동해 공정 자동화 즉 스마트 팩토리를 구축할 수 있다.||아이티브AI 소개||아이티브AI는 2020년 설립 이후 안전이 최우선으로 고려되는 자동차/산업 현장에 신뢰도 높은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와 고객 환경에 최적화된 엔지니어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www.itivai.com||||||||연락처||||아이티브AI||윤나라 과장||031-5174-9890||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아이티브에이아이||||||배포 분야||||IT||소프트웨어||산업||소재/금속||행사||인천/경기
Wed, 08 Nov 2023 10:23:56 +0900
-
에코프로, 니켈 자립도 강화한다
청주--(뉴스와이어) 2023년 11월 08일 -- 에코프로가 이차전지 핵심 광물인 니켈 확보를 위한 지분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에코프로는 중국 GEM이 인도네시아에서 운영 중인 니켈 제련소 ‘QMB’ 2기 투자를 위한 계약서에 서명했다고 8일 밝혔다.||송호준 에코프로대표는 이와 관련 지난주 인도네시아를 방문해 GEM 허개화 회장과 만나 QMB 2기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QMB는 중국 GEM이 운영하는 인도네시아 니켈 제련소로 술라웨시(Sulawesi)주의 모로왈리 산업단지(IMIP)에 위치해 있다. QMB는 현재 니켈 금속 기준 연 3만톤의 니켈중간재(MHP) 생산 설비를 구축하고 있으며 이번 2기 확장을 통해 생산용량이 니켈 금속 기준 총 연 5만톤으로 증가될 예정이다.||에코프로는 지난해 QMB 1기 투자로 지분 약 9%를 취득했으며 이에 따라 연간 약 6000톤가량의 니켈 공급을 확약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2기 투자로 에코프로는 QMB에 총 8600만달러를 투자하게 되며 공급받는 니켈 물량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8월에는 400톤의 니켈이 포항항을 통해 처음으로 반입돼 해외 니켈 원료 투자의 첫 결실을 맺기도 했다.||QMB에서 공급받은 니켈은 에코프로머티리얼즈가 이차전지용 전구체 원료인 황산니켈로 전환한 뒤 전구체로 제조해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이엠 등 양극재 생산 가족사에 공급한다. 에코프로비엠과 에코프로이엠은 니켈 비중이 90%가 넘는 하이니켈 소재를 생산하기 때문에 니켈의 안정적 수급은 사업 확장에 매우 중요하다.||에코프로와 GEM은 오랜 신뢰관계를 바탕으로 인도네시아 니켈 개발 사업을 비롯해 새만금산업단지 내 전구체 합작사업 등 다양한 부문에서 협력하고 있다.||송호준 에코프로 대표이사는 “QMB 지분 참여를 통해 원료와 중간소재 양극재에 이르는 수직계열화가 강화됐다”며 “에코프로는 에코프로그룹의 지주사로서 원료 투자 확대를 통해 사업 수익성 증가와 더불어 안정적인 원료 공급망 구축에 더욱 집중하겠다”고 말했다.||에코프로는 치열한 이차전지 원료 수급 경쟁에서 안정적인 물량 확보와 가격 경쟁력 강화를 꾀하기 위해 공급망 다변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에코프로는 3월 주주총회에서 사업 목적에 ‘국내외 자원의 탐사·채취·개발사업’을 추가하는 정관 변경안을 의결하는 등 다양한 협력선을 발굴해 나갈 방침이다.||||||웹사이트: https://www.ecopro.co.kr/||||||||연락처||||에코프로||CSR 추진팀||안병욱||02-6903-1728||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에코프로||||||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화학||투자||충북
Wed, 08 Nov 2023 10:12:29 +0900
-
두산에너빌리티, 무탄소 에너지에 필요한 기술과 역량 모두 보유
창원--(뉴스와이어) 2023년 11월 08일 -- 두산에너빌리티는 ‘2023 인베스트 코리아 써밋’에 참가해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한 에너지 산업의 역할’을 주제로 발표했다고 8일 밝혔다. ‘2023 인베스트 코리아 써밋’은 외국인 투자유치 활성화와 2030 세계박람회 부산 유치 홍보를 위해 11월 6일부터 사흘간 부산 벡스코에서 열렸다.||국내 앵커기업[1] 자격으로 발표에 나선 두산에너빌리티 정연인 사장은 “지구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에너지 분야는 탄소중립을 위해 노력해야 하고 그 과정에서 에너지 안보도 반드시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탄소중립과 에너지 안보를 동시 달성하는 가장 현실적인 방안은 재생에너지와 함께 원자력 수소 등 고효율 무탄소 에너지를 활용하는 무탄소 에너지의 확산”이라고 설명했다.||정 사장은 무탄소 에너지에 기반한 에너지 시스템에 대한 구상을 밝혔다. 정 사장은 “대형원전 SMR 해상풍력 등을 통해 무탄소 전기를 공급하고 남는 전기는 수전해로 청정 수소를 생산해 각종 산업 운송 등에 사용할 수 있다”며 “또 전력이 부족한 상황에선 수소를 두산에너빌리티가 개발 중인 수소터빈에 공급해 다시 전기를 만들거나 수소연료전지를 통해 분산전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상세히 설명했다. 정 사장은 이어 “이렇게 무탄소 에너지를 활용한 에너지 시스템을 구축하면 탄소중립은 물론 국내 에너지 자립에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두산에너빌리티는 무탄소 에너지 핵심 기술을 지속 개발하고 사업화 속도를 높이고 있다. 우선 청정 전기 생산을 위한 대형원전 SMR 해상풍력 등 무탄소 발전 주기기 경쟁력을 높이며 공급을 확대하고 있다. 청정 수소 생산 기술도 고도화 중이다. 풍력발전과 연계한 청정 수소 생산 시스템은 개발 완료했고 원전을 활용한 수소생산 기술도 개발하고 있다. 아울러 청정 수소로 전기를 생산하는 수소터빈은 2027년 400MW급 수소전소터빈 개발을 목표로 매진하고 있다.||정 사장은 “지속 가능한 지구를 위한 에너지 기술을 제공하겠다는 의지를 담아 지난해 두산에너빌리티로 사명을 변경했다”며 “무탄소 에너지에 필요한 모든 기술과 역량을 보유한 만큼 앞으로 이를 통해 탄소중립과 에너지 안보라는 두 목표를 모두 달성할 수 있도록 적극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다.||[1] 특정 산업이나 지역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기업||||||웹사이트: https://www.doosanenerbility.com/kr||||||||연락처||||두산에너빌리티||커뮤니케이션팀||이성민 수석||031-5179-3033||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두산에너빌리티||||||배포 분야||||산업||기계/플랜트||행사||부산/울산/경남||인베스트 코리아 써밋...
Wed, 08 Nov 2023 09:13:25 +0900
-
에코프로머티리얼즈, 공모가 확정… 8일 청약 시작
청주--(뉴스와이어) 2023년 11월 07일 -- 국내 최대 전구체 생산 기업 에코프로머티리얼즈가 10월 30일부터 11월 3일까지 5일간 국내외 기관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한 결과 최종 공모가를 3만6200원으로 확정했다고 7일 밝혔다.||이번 수요예측은 제도 개선 취지에 따라 실수요에 기반해 진행됐으며 국내외 1141개 기관이 참여해 총 1억925만8000주를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단순 경쟁률은 17.2대 1로 공모금액은 약 4192억원 상장 후 시가총액은 약 2조5000억원 규모가 될 전망이다.||2017년 출범한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이차전지의 핵심소재인 전구체를 대량 생산하는 국내 유일기업이다. 전기차(EV) 및 Non-IT 기기에 탑재되는 최고 수준의 하이니켈 전구체를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니켈 코발트와 같은 핵심 원료의 금속 정제 및 생산 기술 개발에도 성공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도 했다.||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이번 상장을 통해 확보된 공모자금을 추가 공장 등 설비투자와 원재료 매입 등에 활용할 예정이다. 친환경 배터리 시장의 성장으로 전구체 수요도 지속해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생산능력 확대를 위한 투자를 이어갈 방침이다.||에코프로머티리얼즈 김병훈 대표이사는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기술력과 성장성을 믿고 수요예측에 참여해주신 투자자분들께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며 “이번 상장을 계기로 지속적인 연구개발(R&D) 및 생산능력 투자를 기반으로 기술력 우위를 유지하고 RMP(순도가 낮은 중간재를 투입해 고순도의 황산 메탈을 제련하는 공정) 기반 원가경쟁력 강화를 통해 지속해서 배터리 양극소재 시장을 리드할 것”이라고 밝혔다.||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11월 8 ~9일 청약을 거쳐 11월 17일에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 상장 대표 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이며 공동주관사는 NH투자증권이다.||한편 재무적 투자자(FI)와 전략적투자자 등은 6개월 최대주주 및 일부 특수관계인은 30개월로 의무보유 기간을 정했다. 투자업계 안팎에서는 보호예수 기간을 길게 잡은 건 중장기적으로 주가 흐름을 긍정적으로 전망한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잠재적 대량 매도 물량(오버행) 우려도 해소됐다는 평가다.||||||웹사이트: https://www.ecopro.co.kr/||||||||연락처||||에코프로||CSR 추진팀||안병욱||02-6903-1728||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에코프로||||||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화학||투자||충북
Tue, 07 Nov 2023 17:28:34 +0900
-
씨아이에스, 역대 최대 수주 잔고 8169억원 확보… 4~5공장 추가 가동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1월 07일 -- 씨아이에스(코스닥 222080 대표이사 김동진)가 역대 최대 수주 잔고를 바탕으로 본격적인 매출 확대에 나선다.||이차전지 전(前)공정에 해당하는 극판제조장비 제조 전문 업체인 씨아이에스가 8월 준공한 제3공장 외 최근에 임차한 4 5공장 가동을 본격 시작했다고 7일 밝혔다.||7일 공시된 3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회사의 수주 잔고는 역대 최대인 약 8169억원 규모다. 3분기 이후 공시된 단일판매공급계약 2건을 포함하면 수주 잔고는 더 늘어날 예정이며 꾸준히 늘어나는 수주 잔고를 바탕으로 3분기 이후 매출이 확대될 전망이다.||씨아이에스는 올해 3분기 영업이익 65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흑자 전환했다. 누적 영업이익도 약 86억원으로 집계돼 작년 동기 대비 약 19.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누적 매출액은 888억원으로 지난해 794억원 대비 약 11% 성장했다.||씨아이에스는 극판제조장비 수주 물량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3공장 준공 이후에도 생산공장이 부족해 인근 현풍4공장 및 성서5공장을 추가 임차해 생산을 진행하고 있다며 3공장 및 임차 4 5공장이 본격 가동되면서 생산력 향상 효과가 극대화될 전망이며 수주된 장비에 대한 생산에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성서공단에 위치한 신규 3공장은 대지면적 약 8452평(약 2만7940㎡) 규모(생산면적 약 3145평(약 1만396㎡))로 이는 기존 1공장과 2공장의 총 생산면적과 비슷하다. 회사 측은 이미 기존 대비 2배의 생산능력(CAPA)을 확보했지만 늘어나는 수주에 대응하기 위해 추가로 총 생산면적 3500평(약 1만1570㎡) 규모의 4공장 및 5공장을 임차해 장비를 생산하고 있다.||회사는 원활한 생산체제 구축을 위해 지난해 전년 대비 약 35%의 신규 채용에 이어 올해도 신규 인력을 꾸준히 채용하고 있다. 10월 말 기준 전년 대비 약 18%의 신규 채용을 진행했으며 장비 수주가 꾸준히 이뤄지고 있는 만큼 인력 충원도 지속할 계획이다.||김동진 씨아이에스 대표는 “3공장 및 임차 4 5공장을 본격 가동하며 늘어나는 시장 수요와 고객사 요구에 더 적극적인 대응이 가능해졌다”며 “3~5공장 가동 후 매출이 본격적으로 인식되는 내년에는 큰 폭의 매출액 증가 달성이라는 목표를 이룰 수 있도록 전사적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또한 “최대주주인 SFA와의 협업을 통해 당사의 장비에 스마트팩토리 기술을 접목해 장비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고 해외 영업망 및 인프라 공동 구축 등을 통해 씨아이에스가 장차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전극공정 제조장비 전문업체로 도약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덧붙였다.||||||웹사이트: http://www.cisro.co.kr/||||||||연락처||||씨아이에스 홍보대행||서울IR네트워크 ||PR본부 ||제수현 매니저 ||02-783-0628 ||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씨아이에스||||||배포 분야||||경제||중소기업/창업||산업||화학||실적||대구/경북
Tue, 07 Nov 2023 15:35:10 +0900
-
효성중공업, 컨테이너형 스태콤을 통해 해외시장 개척 박차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1월 07일 -- 효성중공업이 6일 경남 함안에서 일본 니신전기(Nissin Electric Co. Ltd.)에 납품하는 컨테이너형 스태콤(STATCOM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출하기념식을 가졌다.||||||||||||||||||||||||이번 출하된 제품은 효성중공업이 보유한 MMC(Modular Multilevel Converter) 스태콤 기술을 최초로 컨테이너에 설치한 타입이다. ‘MMC’기술이란 지능형 전력망을 활용해 대용량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방식이다. 이 제품은 일본 니신전기를 통해 일본의 주요 철강업체 중 하나인 고베제강에 납품되는 건으로 추후 일본 시장 개척의 교두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스태콤은 전력전자 기술을 이용해 송배전 과정에서 변동되는 전압을 안정적으로 제어해 주는 설비이다. 풍력 태양광 등 기상 상황에 따라 전압이 급변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에도 출력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해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철강회사 등 대규모 전기를 소비하는 공장에서 생기는 플리커[1]를 제어해 전력 품질을 높여준다.||이번에 납품된 컨테이너형 스태콤은 기존 건물형 스태콤에 비해 설치 시간이 짧고 간단해 경제성이 높다. 또한 스태콤이 컨테이너에 설치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해 일시적인 전력 부하 문제와 자연재해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효성중공업 요코타 타케시 대표이사는 “전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 도입 및 기존 산업의 탄소 저감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며 “당사의 기술력과 고객 중심 경영을 통해 증가하는 컨테이너 스태콤 글로벌 수요에 빠르게 대응하겠다”고 밝혔다.||한편 효성중공업은 해외 스태콤 시장 개척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효성중공업은 올해 상반기 미국 동부지역에 스태콤을 공급하는 계약을 3건(150Mvar 2기 50Mvar 1기) 체결했고 7월에는 대만 전력청(TPC)에 최초로 200Mvar 스태콤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1] 플리커(Flicker): 전압의 급격한 변동으로 인해 전기를 사용하는 불빛(전구 등)이 반짝이는 현상||||||웹사이트: http://www.hyosung.com||||||||연락처||||효성 ||홍보팀 ||뉴미디어팀||백수정 PM||02-707-7642||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효성||||||배포 분야||||산업||기계/플랜트||중전기||사업계획||서울
Tue, 07 Nov 2023 09:57:25 +0900
-
씨아이에스, 신개념 전극공정 장비 ‘하이브리드 코터’ 론칭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1월 03일 -- 씨아이에스(코스닥 222080 대표이사 김동진 이하 CIS)는 기존 전극공정 장비 가운데 건조공정 설비인 코터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신개념 장비 ‘하이브리드 코터’를 새롭게 론칭했다고 3일 밝혔다.||||||||||||||||||||||||코터란 집전체에 양극과 음극 슬러리를 일정한 두께로 코팅 후 건조하는 공정으로 이차전지 배터리 성능의 효율을 결정하는 전극공정의 핵심 장비다.||CIS는 9월 5일 SFA에서 개최한 ‘테크데이’에서 발표한 ‘하이브리드 코터’의 장비 시연회를11월 1일 진행한 바 있다. 회사 측은 SFA와의 기술적 융합을 통해 이번 장비의 본격적인 사업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글로벌 배터리 업체들로부터 관심과 러브콜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CIS는 기존 건조공정 설비인 코터에 적용되는 열풍 대류 건조 방식의 기술적 한계인 느린 건조 속도와 낮은 건조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열풍 건조로에 레이저 건조가 추가된 하이브리드 건조 시스템을 개발했다. 해당 설비 도입 시 기존 설비 대비 생산 속도를 2배가량 높일 수 있으며 소비 전력은 약 50~60%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차전지 전극 품질 향상 및 충·방전 속도 개선 에너지 밀도 증가 등도 기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회사는 이에 만족하지 않고 SFA의 스마트 솔루션 분야의 핵심 기술 가운데 하나인 PdM(예지 보전 관리 시스템)을 접목할 예정이다.||PdM 기술은 실시간 설비 상태 모니터링 및 데이터 관리를 통해 장비의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시점을 예측 설비가 다운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어 제조 장비의 생산성 극대화와 효율적인 설비 운영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솔루션이다. 회사 측은 이런 스마트 솔루션이 탑재된 하이브리드 코터를 통해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CIS는 전극공정 핵심 장비인 코터 프레스 슬리터를 시장에 공급하고 있으며 글로벌 배터리 업체들에서 업계 최고의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매출 약 11%를 차지하는 코터는 아직까지 매출 규모와 비중이 크지 않으나 2021년 161억원 2022년 1293억원 수주에 이어 2023년 상반기까지 1130억원을 수주하는 등 수주 규모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회사는 앞으로 하이브리드 코터 개발로 차별적인 경쟁 우위를 확보함은 물론 하이브리드 코터라는 신시장 창출을 통한 지속적인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CIS 김동진 대표이사는 “이번 하이브리드 코터 장비 개발은 전극공정 기술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을 만한 신개념 장비를 CIS와 SFA 간 화학적 결합을 통해 만들어 낸 첫 사례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꾸준한 기술 역량 융합을 통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세계 최고 전극공정 제조 장비 전문 업체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웹사이트: http://www.cisro.co.kr/||||||||연락처||||씨아이에스 홍보대행||서울IR네트워크 ||PR본부 ||제수현 매니저||02-783-0628||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씨아이에스||||||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화학||신상품||대구/경북
Fri, 03 Nov 2023 11:51:07 +0900
-
아비바코리아, 현대건설과 플랜트 디지털 트윈 구현 위한 MOU 체결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1월 03일 -- 산업용 소프트웨어 글로벌 리더 아비바코리아(대표 오재진 www.aveva.com/ko-kr)가 현대건설의 플랜트 디지털 트윈 구축을 위해 상호 협력에 나선다. 양사는 이를 위해 11월 2일 서울 종로구 현대건설 본사에서 전략적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아비바코리아와 현대건설은 이번 협약을 통해 플랜트 디지털 트윈과 통합 플랫폼의 운영전략 및 수행방안 도출을 위해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전문 역량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나아가 양사의 상생 발전을 위해 플랜트 현장에 대한 디지털 기술 적용 및 사업화를 위해 전략적이고 포괄적인 상호 협력을 지속할 예정이다.||디지털 트윈을 적용하면 물리적인 자산을 디지털 자산으로 전환 구축하고 운영 표준 정보를 바탕으로 엔지니어링 데이터 오퍼레이션 데이터 등을 취합해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데이터를 통해 운영 가시성을 얻고 예상하지 못한 위험에 미리 대응하며 올바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현대건설은 이번 협약을 통해 엔지니어링 및 산업용 소프트웨어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아비바와 손잡아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하게 됐다. 현대건설은 플랜트 사업 분야의 디지털전환 가속화에 대응해 EPC(설계·조달·시공) 디지털 트윈 환경을 구축하고 수행 현장에서 각종 데이터 수집 및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업무 효율화와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며 나아가 AI 분석 및 예측까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디지털 트윈을 구축하는 아비바의 제품군은 EPCC(설계·구매·시공·시운전) 통합 플랫폼으로 플랜트의 기본 설계부터 시공 가동 등 단계별 솔루션을 갖추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플랜트 건설에 선진 프로젝트 관리 공법(Advanced Work Packaging)을 적용해 공정에 맞춰 필요한 구성 요소를 미리 준비하고 작업에 방해가 되는 간섭 요소를 사전에 제거하는 등 효율성과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오재진 아비바코리아 대표는 “아비바는 EPC 시장의 디지털 트윈 프로바이더로서 플랜트 산업이 경쟁 우위를 확보하는 동시에 지속 가능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다양한 국내외 레퍼런스를 통해 다져온 전문성을 고객의 고유 환경에 맞춤화해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할 만한 사례를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아비바코리아 소개||아비바(AVEVA)는 엔지니어링 및 산업용 소프트웨어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서 자본 집약형 산업에서 전체 자산 및 운영 수명 주기 전반에 걸쳐 디지털 혁신을 촉진하고 있다. AVEVA의 엔지니어링 계획 및 운영 자산 성능 모니터링 및 제어 솔루션은 전 세계 1만6000명 이상의 고객에게 입증된 성과를 제공해왔다. AVEVA의 고객은 4200개 파트너와 5700명의 공인 개발자를 포함해 최대 규모의 산업용 소프트웨어 에코시스템을 통해 지원을 받을 수 있다. AVEVA는 영국 케임브리지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40개국 80개 지역에 4400명이 넘는 직원을 보유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s://www.aveva.com/ko-KR||||||||연락처||||아비바코리아 홍보대행||웨이브컴||정보람 부장||02-3672-6595||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아비바코리아||||||배포 분야||||IT||소프트웨어||산업||기계/플랜트||제휴||서울
Fri, 03 Nov 2023 10:13:04 +0900
-
텔레픽스, 중남미 발판으로 글로벌 진출 강화
성남--(뉴스와이어) 2023년 11월 03일 -- 우주항공 스타트업 텔레픽스는 10월 17일 멕시코의 Thruster Unlimited사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양 사는 지구 관측 위성과 위성 영상을 활용한 부가가치서비스(VAS) 제품 개발을 위해 상호 긴밀히 협력할 예정이다.||||||||||||||||||||||||||||||||||||||텔레픽스는 초소형 위성 탑재체 위성영상 빅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개발 등을 주요 사업으로 추진하면서 중남미와 유럽 등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노력해왔다. 지구 관측 위성을 운영하는 멕시코 기업 Thrusters Unlimited와는 1년 전부터 협력 방안을 모색해오다가 이번에 파트너십을 체결했다.||양 사 간 파트너십에 따라 텔레픽스는 Thrusters Unlimited의 요구사항에 맞는 위성에 대한 정보뿐 아니라 선박과 해양 부유조류 탐지를 위한 VAS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Thrusters Unlimited는 인공위성과 VAS에 대한 중남미 시장의 잠재 고객과 시장 인사이트를 제공할 예정이다.||텔레픽스는 또 다른 멕시코 우주 기업 Space Zero Gravity와 6월 2일 업무협약 체결을 시작으로 멕시코를 기반해서 중남미 시장 진출에 본격 나서고 있으며 10월 5일 폴란드 기업 SatRev와 위성정보 제공 계약을 맺는 등 유럽 시장 진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한편 텔레픽스는 10월 19일과 20일 멕시코 시티에서 열린 ‘제1회 한-중남미 혁신·무역 포럼’의 부대 행사인 스타트업 피치데이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기획재정부와 미주개발은행(Inter-American Development Bank)이 공동 주최한 이 포럼은 한-중남미 수교 60주년을 계기로 민간 부문 협력 강화를 위해 열린 행사다. 20일 열린 스타트업 피치데이에는 헬스케어 자율 주행 등 혁신 기술 분야 한국 기업 8개 중남미 기업 8개 등 총 16개 기업이 참여했다. 텔레픽스는 실시간 스트리밍 우주 데이터로 기후 문제를 해결하는 솔루션을 발표해 대상을 차지했다.||텔레픽스는 2019년 설립한 우주 스타트업으로 2024년 자체 개발한 위성 ‘블루본’을 발사할 예정이며 세계 최초로 해양생태계의 탄소 흡수원인 ‘블루카본’을 관측하는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블루카본 관측에는 텔레픽스가 보유한 세계 최고 수준의 인공위성 영상 기반 해양 부유조류 초해상도 정량탐지 기술이 사용된다.||텔레픽스는 혁신기술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글로벌디지털혁신네트워크(옛 본투글로벌센터)의 멤버사다.||글로벌디지털혁신네트워크 소개||글로벌디지털혁신네트워크는 세계 각국의 투자 기관 및 혁신 기술 스타트업 육성 기관과 협력해 유망한 한국 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고 있다. 2013년 9월 개소 이후 1만9000건 이상의 해외 진출 전문 컨설팅 서비스를 지원해왔으며 1200여 건에 달하는 해외 지식 재산권 출원 800여 건에 달하는 해외 사업 계약·제휴 120건의 해외 법인 설립을 지원했다.||||텔레픽스 홈페이지: https://www.telepix.net||웹사이트: http://www.gdinfoundation.com||||||||연락처||||글로벌디지털혁신네트워크||홍보팀||이종민 팀장||031-8039-6726||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회사가 작성해 제공한 보도자료입니다.뉴스와이어는 제공 회사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뉴스 내용의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회사와 관심 분야의 보도자료를 메일과 RSS로 무료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뉴스 제공글로벌디지털혁신네트워크||||||배포 분야||||IT||소프트웨어||산업||항공/무기||제휴||인천/경기
Fri, 03 Nov 2023 09:00:00 +0900
-
에이치시티, 2분기 이어 3분기 최대 매출액 경신 지속… 영업 이익 27억원, 전년 대비 41% 상승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1월 02일 -- 시험인증·교정 산업 선도 기업 에이치시티(코스닥 072990 대표이사 허봉재)가 스마트폰의 시험인증 수주 확대와 교정 매출 증가에 힘입어 분기 기준 최대 매출액을 경신했다고 2일 밝혔다.||||에이치시티는 연결 기준 잠정 실적 공시를 통해 올해 3분기 매출액 196억원 영업 이익 27억원을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전년 같은 기간 대비 매출액과 영업 이익 각각 12%(+20억원) 41%(+7억원) 증가했으며 이를 통해 분기 기준 최대 매출액 경신을 이어갔다. 3분기 누적 기준 실적은 매출액 543억원 영업 이익 60억원이다. ||||에이치시티는 5G 무선통신 분야에 대한 기술적 강점을 살려 스마트폰 시험인증 신규 수주를 확대해 가고 있고 콜드체인 분야 및 신규 거래처 개발로 교정 매출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며 주력 사업 분야의 전방 산업 회복과 함께 꾸준한 성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또 에이치시티는 EV용 고전압챔버 신설과 방산원전 분야에 대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완료 예상 시점은 올해 연말 안이며 내년부터는 CPAEX(자본적 지출) 확대에 따른 추가 매출 성장도 기대하고 있다. ||||에이치시티 허봉재 대표이사는 “지난 수년간의 방산 분야 투자 확대 성과 가운데 하나로 82억원 규모의 군(軍) 교정 자동화 시스템 제조 사업 계약을 10월 31일 체결할 수 있었다”며 “회사의 주력 사업인 무선통신 분야 시험인증이나 교정 사업을 방산 배터리 등 다양한 분야와 연계해 매출 및 수익성 확대로 이어질 수 있도록 주력하겠다”고 말했다.||||||웹사이트: http://www.hct.co.kr||||||||연락처||에이치시티 ||박현범 부장||031-645-6308 ||||에이치시티 홍보대행||서울IR ||박정민 책임||02-783-0629||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에이치시티||||||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실적||인천/경기
Thu, 02 Nov 2023 15:05:23 +0900
-
포테닛, 스마트 농산물산지유통센터의 농업 물류 자동화 위한 지게차형 자율운전 이송로봇 개발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1월 02일 -- 포테닛(대표 남형도)은 자율주행 기술 및 인공지능(AI) 비주얼 인식 기술을 통해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의 농산물 실내 물류를 첨단화하는 지게차형 자율주행 이송로봇(이하 무인지게차)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포테닛은 2010년 설립 이래 자율주행 모바일 로봇과 제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국내 강소 로봇기업이다.농림축산식품부는 현재 농산물 디지털 유통을 선도할 스마트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 구축을 추진 중에 있다. 스마트 APC는 로봇·센서·통신 등 첨단 기술을 이용해 농산물의 저장·선별·포장 등의 기능을 자동화한 APC로 디지털화한 정보를 바탕으로 농장에서 소비지까지 전후방 산업과 연계하는 첨단 산지유통시설이다.포테닛은 농식품부의 ‘신선 농산물 풀필먼트(Fulfillment) 산지유통센터(APC) 구축 및 핵심기술 개발’ 과제의 일환으로 이번에 내부의 물류 시스템과 연동 가능한 무인지게차와 관제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농업 물류 작업의 무인화·기계화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무인지게차에 팔레트 포켓을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기술을 탑재해 스마트 APC의 첨단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접어들면서 농업 물류 현장의 무인화 기술은 시장 수요가 점진적으로 성장해왔으며 코로나19 팬데믹을 기점으로 전자상거래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유통 물류가 폭발적으로 증가해 무인화 기술 도입이 더욱 시급해졌다는 것이 현장의 목소리다.포테닛 남형도 대표는 “농업의 전통적인 유통·소비 체계에서 탈피해 무인화/기계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 및 데이터 기반 산업으로 전환하는 농산물 관리의 스마트화는 반드시 필요하다”며 “당사의 무인지게차를 통해 스마트 APC 내부 물류의 반복적이고 단순한 업무를 자동화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인력 절감 농산물 상품성 향상 운영 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포테닛은 2026년까지 스마트 유통관리 및 물류유통 자동화 사업을 통해 농수산물 유통 간소화 및 산지유통센터(APC)의 생산성 향상을 목표로 기술 고도화 과제를 진행할 예정이다.포테닛 소개포테닛(POTENIT)은 무인지게차 무인운반로봇(AMR) 제품과 솔루션의 R&D 및 물류 시스템 구축을 주력으로 하는 전문 기업이다. 스마트 제조 및 물류에 집중해 고객사가 비용을 절감하고 스마트 공장을 실현할 수 있도록 가치를 창출하며 고객의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항상 노력한다. 포테닛의 사업 영역은 자율주행로봇 제조 및 판매 그리고 스마트 물류센터 공급이다.||||||웹사이트: http://www.potenit.com||||||||연락처||포테닛||경영관리팀||이중빈 대리||02-957-7816||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포테닛||||||배포 분야||||농수산||농업||산업||로봇/제어계측||개발||서울
Thu, 02 Nov 2023 08:00:00 +0900
-
새로운 적층제조 녹색무역협회 연구, 패션 신발에서 3D 소재 분사의 환경적 이점 시연
할리우드 플로리다--(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 2023년 11월 01일 -- 지속 가능한 적층 제조(Additive Manufacturing AM) 산업 관행을 촉진하는 데 중점을 둔 글로벌 옹호 단체인 적층제조 녹색무역협회(Additive Manufacturer Green Trade Association “AMGTA”)는 오늘 ‘비교 분석: 디자이너 럭셔리 상품을 위한 3D 재료 분사와 기존 방법’이라는 제목의 전과정 목록(life-cycle Inventory LCI)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적층제조 녹색무역협회의 의뢰를 받고 영국에 기반을 AM 컨설팅 기업인 리브즈 인사이트(Reeves Insight)가 AM 기술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스트라타시스(NASDAQ: SSYS) 및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엔지니어링 및 생산 분야 선두 주자인 패턴 그룹의 회사인 딜론 본드 팩토리와 협력해 수행한 이 연구는 직물에 인쇄되고 재료 분사 공정으로 생산되는 고급 디자이너 신발의 로고 아플리케를 만드는 과정에서 전통적인 제조 방법에서 고급 AM으로의 전환을 분석했다. 결과는 기존의 방법에 비해 CO2 당량 배출량이 급격하게 24.8% 감소하고 공급망 전반에 걸쳐 재고 재료가 49.9% 감소했음을 보여줬다.“우리는 적층 제조 채택의 환경적 이점을 밝히기 위해 고안된 일련의 독립적으로 의뢰된 일련의 논문에서 세 번째 연구 단체를 발표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우리는 광범위한 비즈니스 사례에 대한 제조 주기의 일환으로 AM 기술의 지속 가능한 가치를 더 잘 이해하는 데 필요한 연구 및 출판을 발전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라고 적층제조 녹색무역협회의 전무 이사인 쉐리 먼로(Sherri Monroe)는 말했다. “인쇄에서 직물로의 공정의 영향을 평가하는 스트라타시스 및 딜론 본드 팩토리와의 공동 연구는 폴리머와 관련된 첫 번째 연구 작업입니다. 이는 세계에서 가장 역사적으로 오염이 심한 산업 중 하나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AM의 가치를 뒷받침하는 중요한 데이터를 제공합니다.”이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온실 가스 배출 감소: 적층 제조 인쇄-직물 생산 공정은 기존 공정과 비교할 때 CO2 당량 배출량의 24.8% 감소를 보여줬다.· 재료 사용량 감소: AM 인쇄-직물 공정은 공급망 전반에 걸쳐 재고 재료의 49.9% 감소를 보여줬고 관련 운송 니즈를 줄이고 간소화했으며 결과적인 3D 프린팅 로고 구성요소의 재료가 50.0% 감소했음을 보여줬다.· 물 사용량 감소: AM 공정은 1만6000개의 로고 구성요소에서 30만리터 이상의 물을 절약했음을 보여줬다.· 전력 소비 감소: 적층 제조 공정은 전기 에너지 소비량을 64% 줄였다.· 공급망 의존성 감소: AM으로의 전환은 공급망 의존도를 4가지 기술에서 1가지 기술로 줄였으며 단일 적층 작업흐름을 통해 3개 공정에 대한 운송 및 물류 영향이 제거됐다.14개월 동안 진행된 이 연구는 고급 운동화의 꿈치에 부착된 3차원 그래픽 구성요소의 제품의 탄생에서부터 공장 출하(cradle-to-gate)까지의 과정을 분석했다. 적층제조 녹색무역협회는 2022년에 적층 방식(패션)을 생각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지 않을 수 있는 산업에서 적층 설계 및 제조의 잠재적인 환경적 이점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연구를 의뢰했다. 이 연구는 전통적인 방법과 적층 방법을 통해 3D 구성요소의 제조를 비교했으며 전체 신발이 아닌 이 단일 구성요소로 범위가 제한됐다. 이 연구는 8000켤레의 신발에 1만6000개의 로고 구성요소를 생산하기 위해 두 공정을 모두 평가했으며 에이시에이엠 아헨 첨가제 제조 센터 지엠비에이치(ACAM Aachen Center for Additive Manufacturing GmbH)의 동료 검토를 받았다.기존의 다단계 공정에는 2D 잉크젯 프린팅과 시트 폴리우레탄 소재를 사용한 사출 성형 부품의 열 용접이 포함된다. 간소화된 적층 공정에는 훨씬 더 적은 단계로 광경화성 액체 수지를 사용한 재료 분사가 포함됐다. 추가적인 환경 및 운영 효율성은 공급망 의존성 감소 및 생산 공정의 단계 감소와 관련해 문서화됐다.이 연구의 주요 내용은 적층제조 녹색무역협회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연구 및 적층제조 녹색무역협회가 의뢰한 다른 연구에 대한 추가 정보는 적층제조 녹색무역협회 웹사이트www.AMGTA.org 에서 확인할 수 있다.적층제조 녹색무역협회 소개적층제조 녹색무역협회는 세계 경제 전반에 걸쳐 적층 제조의 환경적 이점을 더 잘 이해하고 홍보하기 위해 2019년에 출범했다적층제조 녹색무역협회 회원은 설계 및 원자재에서 최종 제품 및 사용자에 이르기까지 제조 스펙트럼 전체를 대표하며 최고의 첨가제 방식을 통해 더 우수하고 더 지속 가능하며 재정적으로 유리한 제품을 혁신하는 데 중점을 둔다.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쉐리 먼로(Sherri Monroe)에게 문의하거나 www.AMGTA.org 를 방문하면 된다.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사진/멀티미디어 자료 :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53709235/en||||||웹사이트: https://amgta.org/|| 이 보도자료의 영어판 보기||||연락처||적층제조 녹색무역협회(Additive Manufacturer Green Trade Association)||셰리 먼로(Sherri Monroe) ||954.308.0888 ||smonroe@amgta.org||||||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Additive Manufacturer Green Trade Association||||||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에너지/환경||환경||조사연구||해외
Wed, 01 Nov 2023 15:10:00 +0900
-
에코프로, 리튬 추출 기술 개발 나선다
청주--(뉴스와이어) 2023년 11월 01일 --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이 호주의 리튬 업체 ‘아이오니어(Ioneer)’와 리튬 개발과 관련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미국 네바다주 리튬 광산 개발을 추진한다.||||김윤태 에코프로이노베이션 대표와 제임스 캘러웨이 아이오니어 회장은 지난달 31일 에코프로 포항캠퍼스에서 리튬 클레이에서 리튬을 추출해 수산화리튬을 생산하는 기술을 공동으로 진행하는 내용의 연구개발(R&D) MOU를 맺었다고 1일 밝혔다.||||아이오니어는 에코프로이노베이션과 MOU 체결 사실을 공시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아이오니어는 샘플과 기초적인 데이터를 에코프로이노베이션에 제공하고 정기적인 미팅을 통해 기술 개발 과제들을 조율해 나갈 계획이다. 협약에 따라 연구개발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에코프로이노베이션과 아이오니어는 북미에 수산화리튬 전환 공장 건설을 추진할 계획이다.||||전환 공장 건설 시 아이오니어는 미국 네바다주에 위치한 광산에 매장된 리튬 클레이를 에코프로이노베이션에 무상 제공하고 수산화리튬 생산에 따른 이익을 공유하는 구조로 사업을 협력할 예정이다. 리튬 클레이는 리튬이 섞여 있는 점토 형태의 물질을 의미한다.||||네바다주 광산에는 7740만톤의 리튬클레이가 매장돼 있는데 불순물을 제거하고 순도 높은 리튬을 추출해 내는 기술력 확보가 관건이다. 광산업계에서는 리튬클레이에서 리튬을 추출하는 비율을 통상적으로 2000PPM으로 추산하고 있어 7740만톤의 리튬클레이에서는 약 100만톤의 수산화리튬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리튬은 이차전지 소재인 양극재 생산에 사용되는 주요 원료 중 하나다. 고순도 수산화리튬은 안정적인 배터리 품질 확보를 좌우한다. 광산이나 염호에서 리튬을 추출한 뒤 가공을 통해 수산화리튬으로 전환해 이를 양극재 생산에 활용한다.||||에코프로이노베이션은 양극소재에 공급되는 수산화리튬 전환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아이오니어가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을 기술 파트너로 선정한 것은 리튬 전환 공정에 대한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의 기술력을 높게 평가한 것으로 분석된다.||||에코프로이노베이션의 지난해 매출은 4236억원 영업이익은 1428억원이었으며 6월 Pre IPO를 거쳐 기업가치 3조원 평가를 통해 400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에코프로이노베이션은 2021년 10월부터 연산 1만3000톤의 수산화리튬 상용화 제조공장을 운영 중이며 공업용 탄산리튬 및 리사이클된 리튬을 원료로 배터리급 고순도 수산화리튬을 생산하고 있다. 또한 2024년 2월 양산을 목표로 포항 캠퍼스 내 2공장을 건설 중이다.||||제임스 캘러웨이(James Calaway) 아이오니어 회장(Chairman)은 “에코프로와 아이오니어의 궁극적인 목표는 미국 전기차 공급망을 위한 정제된 리튬 재료의 공급을 늘리고 네바다주 등에 질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김윤태 에코프로이노베이션 대표는 “클레이로부터 리튬 추출 기술은 다량의 불순물을 제거해야 하는 복잡하고 어려운 기술”이라며 “대한민국 최초 수산화리튬 양산 공장 운영 경험과 폐배터리에서 리튬 추출에 대한 원천 특허 및 기술개발 노하우를 바탕으로 빠른 시일 내에 성과를 내어 경쟁 우위를 점할 것”이라고 말했다.||||||웹사이트: https://www.ecopro.co.kr/||||||||연락처||에코프로||CSR 추진팀||송충현||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에코프로||||||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화학||제휴||충북
Wed, 01 Nov 2023 11:23:19 +0900
-
포스코인터내셔널,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에 이차전지 동박 원료 60만톤 공급추진
인천--(뉴스와이어) 2023년 11월 01일 --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에 6조원에 달하는 대규모 동박 원료를 공급한다.||||포스코인터내셔널(부회장 정탁)은 1일 롯데 시그니엘호텔에서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와 ‘동박원료 공급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포스코인터내셔널 정탁 부회장 김병휘 친환경본부장을 비롯해 롯데케미칼 김교현 부회장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김연섭 대표이사 등이 참석했다.||||이번 협약으로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에 하이엔드 동박 생산을 위한 원료를 2033년까지 10년간 60만톤 공급한다. 이를 통한 기대 매출은 약 6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동박은 이차전지의 음극재를 감싸는 두께 10㎛(1㎛=100만분의 1m) 이하의 얇은 구리 박(薄)으로 음극재에서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를 모으거나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SNE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이차전지용 동박 시장은 2021년 26만5000t에서 2025년 74만8000t 규모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 규모도 2021년 3조5000억원에서 2025년에는 10조원 규모로 빠르게 커질 전망이다.||||포스코인터내셔널이 이번 계약을 통해 공급하는 원료는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경영 측면에서도 의미가 크다. 전 세계 네트워크를 통해 수거한 스크랩을 전량 원료로 재활용해 자원순환을 이끌어냄으로써 공정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탄소배출도 저감하게 된다.||||포스코인터내셔널은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와 파트너십을 강화하기 위해 양사 임원과 실무진으로 구성된 공동협의체도 구성했다. 향후 포스코인터내셔널은 해외 네크워크와 영업 노하우를 활용해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에 안정적으로 원료를 공급함과 동시에 컨설팅도 제공할 예정이다.||||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가 추진하고 있는 말레이시아 스페인 미국 등 신규 해외 생산기지의 원료공급 및 동박 원료 사용을 위한 공정 개발과 거점 설립에도 최우선적으로 협력한다는 방침이다.||||포스코인터내셔널이 공급망 위기가 날로 심화하고 있는 가운데 리튬 흑연 니켈 등 소재 공급사업에 발 빠르게 나설 수 있었던 것은 1990년대 후반부터 이어온 비철금속 트레이딩의 경험과 폭넓은 해외 네트워크가 한 몫 했다는 평가다.||||포스코인터내셔널은 미국 중동 동남아 등 전 세계 80여개 사와 구리 거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으며 현재 동박원료 공급에 있어서 ‘국내 최대 공급사’이기도 하다.||||||웹사이트: http://www.poscointl.com/kor/||||||||연락처||포스코인터내셔널 ||커뮤니케이션실 홍보그룹||안성민 대리||02-759-3825||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포스코인터내셔널||||||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화학||수주||인천/경기
Wed, 01 Nov 2023 11:00:00 +0900
-
롯데정밀화학, 한국ESG기준원 평가서 A+등급 획득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1월 01일 -- 롯데정밀화학은 국내 대표 ESG 평가기관인 한국ESG기준원 KCGS(Korea Institute of Corporate Governance and Sustainability)에서 시행하는 ESG 평가에서 종합 ‘A+’ 등급을 받았다고 1일 밝혔다.||||한국ESG기준원은 국내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ESG평가기관으로 2011년부터 매년 국내 상장사를 대상으로 환경 사회 지배구조 부문의 지속가능경영 수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ESG 등급을 발표하고 있다.||||롯데정밀화학은 지난해까지 6년 연속 A등급을 기록했으나 올해는 한 단계 상승해 평가 대상 기업 중 최고 등급에 오른 것이다. 올해 A+ 등급을 획득한 기업은 평가대상 기업 1049개 사 중 롯데정밀화학을 포함해 19개 사로 이는 상위 1.8%에 해당한다.||||부문별로 살펴보면 환경 A+ 사회 A+ 지배구조 A 등급을 획득했다. 특히 올해에는 환경 등급이 지난해 대비 한단계 상향됐다. 이는 글로벌 청정 수소·암모니아 공급망 구축 및 관련 기술 연구와 지속적인 환경 투자 확대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 유해물질 및 폐기물 저감 등 친환경경영에 대한 의지와 실천이 높게 평가된 결과다.||||또한 수자원 리스크를 분석하고 글로벌 이니셔티브 참여 및 CDP 보고서를 발간하는 등 기후변화 전략을 수립하고 실천해 나가는 부분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이 외에도 사회 부문에서는 협력사와 함께 ESG 오픈 이노베이션을 추진하고 협력사 금융 기술 및 교육 지원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공급망 구축하는 등의 노력으로 A+를 달성했다. 지배구조 부문에서는 기업지배구조보고서 공시 이사회 중심 경영 등의 노력으로 지난해와 같은 A를 달성했다.||||롯데정밀화학 김용석 대표이사는 “이번 평가는 급변하는 경영 여건과 환경 속에서도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멈춤 없이 도전한 결과”라며 “ESG경영에 대한 확고한 의지와 노력을 바탕으로 탄소중립 시대에 걸맞은 지속가능경영을 실천하는 글로벌 선도 기업의 모범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웹사이트: http://www.lottefinechem.com||||||||연락처||롯데정밀화학||커뮤니케이션팀||오정택 수석||02-6974-4583||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롯데정밀화학||||||배포 분야||||산업||화학||수상/선정||서울
Wed, 01 Nov 2023 09:34:16 +0900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3분기 매출 1조9815억, 영업익 1043억원
창원--(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31일 --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방산 분야 수출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갔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1조9815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31% 영업이익은 1043억원으로 65%가 증가했다고 31일 밝혔다.||||당기순손실은 민간 항공엔진 사업의 일회성 비용 반영 등으로 36억원을 기록했다. 글로벌 항공엔진 제작사인 P&W(프랫앤휘트니)와 RSP(Risk and Revenue Sharing Program) 형태로 개발에 참여한 GTF엔진의 결함 가능성으로 사업 참여율(2%)만큼 일회성 손실 충당금 1561억원을 반영한 것이다. RSP는 항공엔진 개발 단계부터 생산 판매 정비까지의 수익과 리스크를 공유하는 파트너십 계약이다.||||사업별로 보면 방산 사업은 내수 및 수출 물량 증가와 4월 합병된 한화방산 실적이 포함되면서 매출 7627억원 영업이익 53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17% 483%가 증가했다. 특히 글로벌 무기 수요 증가로 수출액이 2분기(714억원) 대비 177%가 증가한 1975억원에 달해 매출과 이익 상승을 견인했다.||||항공 사업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매출은 19% 늘어난 3902억원 영업이익은 72%가 감소한 42억원이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 측은 글로벌 방산 수요 증가로 4분기에도 유럽과 중동 중심으로 수주가 늘고 기존 수출 물량 실적도 본격 반영될 것이라며 신규 항공기 발주 증가로 항공 사업의 실적도 개선될 전망이라고 밝혔다.||||||웹사이트: https://www.hanwhaaerospace.co.kr/||||||||연락처||한화에어로스페이스||커뮤니케이션팀||김동휘||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한화에어로스페이스||||||배포 분야||||산업||항공/무기||실적||부산/울산/경남
Tue, 31 Oct 2023 15:34:22 +0900
-
효성첨단소재, 북미 최대 복합소재 전시회 ‘CAMX 2023’ 참가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31일 -- 효성첨단소재는 미국 애틀랜타에서 10월 30일부터 11월 2일까지 열리는 ‘CAMX(the Composites and Advanced Materials Expo) 2023’ 전시회에 참가했다.||||CAMX 전시회는 미국 최대 복합소재 산업 협회인 SAMPE와 ACMA가 공동으로 개최하는 북미 최대 복합소재 전시회로 효성첨단소재는 2014년 이후 매년 참가해오고 있다.||||효성첨단소재는 이번 전시회에서 탄소섬유 고압용기 자동차 휠 전선심재 등을 전시해 자체 탄소섬유 브랜드 ‘탄섬(TANSOME®)’을 알리고 주요 고객들과 미팅을 진행한다.||||탄소섬유는 철에 비해 무게는 1/4 수준이면서도 강도는 10배 이상 강한 ‘슈퍼섬유’로 CNG 수소 고압용기 자동차 부품 풍력 블레이드 등 여러 분야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북미 시장에서는 고압용기와 전선심재를 중심으로 탄소섬유 수요가 늘고 있으며 글로벌 탄소섬유 수요는 향후 3년간 연평균 14%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한편 효성첨단소재는 2011년 고강도 탄소섬유 ‘탄섬(TANSOME®)’을 국내 최초 독자 기술로 개발했으며 지난해 10월에는 세계에서 3번째로 초고강도 탄소섬유를 개발한 바 있다. 또 2013년부터 운영 중인 전주 공장을 비롯해 중국 베트남 등에 글로벌 생산기지를 구축해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www.hyosung.com||||||||연락처||효성 ||김선우 프로||02-707-7058||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효성||||||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화학||전시/출품||서울
Tue, 31 Oct 2023 15:29:57 +0900
-
현대로템, 3년 연속 ESG 종합평가 A등급 달성
의왕--(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31일 -- 현대로템이 3년 연속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종합평가 A등급을 획득했다.||||현대로템은 한국ESG기준원(KCGS)이 발표한 ‘2023년 상장기업 ESG 평가 및 등급 공표 결과’에서 통합 A(우수)등급을 받았다고 31일 밝혔다.||||한국ESG기준원의 ESG 평가는 국내 상장기업들의 지속가능경영을 장려하고 이해관계자들이 해당 기업의 ESG 경영 수준을 가늠할 수 있도록 돕는 지표를 제공하기 위해 2011년부터 실시되고 있다. ||||현대로템은 2021년과 2022년에 이어 올해도 사회 부문에서 A+(매우 우수)등급을 부여받았고 환경과 지배구조 부문에서도 각각 A(우수)등급을 획득했다. 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영 활동이 강조되는 글로벌 추세에 따라 선순환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지속적인 개선 노력을 인정받았고 그 결과 우수한 등급을 3년 연속 유지할 수 있었다.||||우선 환경 부문에서 현대로템은 수소 모빌리티와 수소 인프라 동력분산식 고속철도차량 등 친환경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포트폴리오를 확대하며 전 제품군 생애주기(Life Cycle) 저탄소화를 추진하고 있다. ||||실제 지난해 연결매출 기준 전체 사업 매출의 54%(2021년 48.2%) 레일솔루션 매출의 95%가 탄소중립을 유도하기 위해 마련된 정부의 친환경 경제활동 지침인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Taxonomy)에 적격한 것으로 나타났다.||||사회 부문에서는 협력사와의 동반 성장 기반을 다지고 인권경영 준수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인정받았다. 현대로템은 지속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모든 협력사를 대상으로 ESG 행동규범을 제정하고 정기적으로 현황을 파악하고 있다. 또한 상생펀드 등 협력사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포함해 공동 연구개발과 시험 장비 지원 기술 보호 수요 맞춤형 직업능력 훈련 일자리 창출 협의 채널 구축 등 기술·교육지원 프로그램도 함께 시행 중이다.||||임직원과 협력사 직원 이해관계자들의 인권 보호를 위한 정기적인 인권 교육과 인권 영향평가조사 대표이사 주관 안전·보건 협의체 안전보건평가 등도 병행하면서 건전한 사업장 환경 조성에도 집중하고 있다. ||||현대로템은 전문적이고 효율적인 의사결정 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감사위원회와 투명경영위원회 보수위원회 사외이사 후보추천위원회와 같은 이사회 산하 위원회를 운영하며 견제와 감시를 기반으로 한 선진 지배구조 구축에도 나서고 있다. ||||특히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해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된 투명경영위원회의 경우 공정거래자율준수 프로그램 이행 여부와 주요 경영 사안을 심의하며 지속가능경영 토대를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현대로템은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산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한편 현대로템은 4월 재해 없는 사업장 구축을 위한 안전실천 결의대회를 개최한 데 이어 7월에는 ‘2023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하는 등 꾸준한 ESG 경영활동을 전개해 나가고 있다.||||||웹사이트: https://www.hyundai-rotem.co.kr/ko/main/...||||||||연락처||현대로템||홍보팀 ||최지웅 매니저 ||031-8090-8123 ||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현대로템||||||배포 분야||||산업||기계/플랜트||수상/선정||인천/경기
Tue, 31 Oct 2023 10:09:56 +0900
-
김병훈 에코프로머티리얼즈 대표, 상장 앞두고 사내메시지 게시
청주--(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31일 -- 김병훈 에코프로머티리얼즈 대표가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차별화한 기술력과 고객 다변화를 통해 성장동력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 상장을 통해 조달한 자금으로 생선시설을 확대해 중국에 의존해 오던 전구체 시장의 자립도를 높이겠다는 계획도 밝혔다.||||김 대표는 31일 직원들에게 보내는 사내 공지를 통해 “우리는 상장을 통해 전구체 자립도를 높여 우리 배터리 산업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가족사 입장에서도 우리의 상장은 에코프로그룹 미래 경쟁력을 높이는데 주요한 분기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이어 “지난주 해외 IR(기업설명회)을 다녀왔는데 시장은 잠시 주춤하겠지만 장기적으로 이차전지 성장성에 의문을 표하는 고객은 없었다”며 “한국의 유일한 전구체 회사인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상장과 우리의 미래 비전에 관심이 높았다”고 설명했다.||||◇ 차별화한 기술력으로 가격경쟁력 확보||||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하이니켈 배터리에 탑재되는 NCM811 NCM 9½½ 전구체를 생산하는 업체다. 전기차 시장으로 이차전지의 주 수요처가 확대되며 고용량 고출력 배터리에 대한 수요가 늘고 하이니켈 위주의 시장이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김 대표는 해외 투자자들에게 에코프로머티리얼즈만의 차별화한 기술력을 중심으로 설명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경쟁력으로 꼽히는 기술은 RMP 공정이다. RMP는 순도가 낮은 중간재를 투입해 고순도의 황산 메탈을 제련하는 공정이다. RMP 공정을 거치면 광산에서 생산되는 중간재 원료뿐 아니라 폐배터리를 재활용해 1차 정제된 원료에서도 고순도의 전구체 원료를 생산할 수 있다. 타사의 제련 공정과 비교해 원가 경쟁력이 탁월하다.||||국내 경쟁업체들은 니켈 브리켓 파우더 등을 LME(런던금속거래소) 시세대로 매입해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데 비해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RMP공정을 통해 LME 시세 대비 20~40% 저렴한 MHP(니켈 및 코발트수산화 혼합물) 및 MCP(금속복합 침전물)를 매입한다. 이후 정제과정을 거쳐 전구체 제조공정(CPM)으로 투입한다. 광물 가격 변동을 100% 반영하는 방식과 비교해 광물 가격 변동에 대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작고 스크랩 재활용을 통해 99% 이상의 수율을 확보할 수 있다.||||김 대표는 “과거에는 니켈 같은 고순도 원재료를 비싸게 매입해 가공하다 보니 가격 경쟁력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며 “RMP 공정으로 저순도 니켈 혼합물을 최대 30% 정도로 저렴하게 매입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신규 고객 확보로 수익성도 개선||||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주요 고객은 현재 에코프로비엠이다. 생산 중인 전구체의 상당량을 현재 에코프로비엠이 소비하고 있다. 김 대표는 잠재적 투자자들이 외부 고객 확보 노력에 관심을 표했다고 소개한 뒤 신규 고객 확보를 통해 고객 다변화 노력을 지속적으로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김 대표는 “시장에서 우리가 생산한 물량을 에코프로비엠에 전량 공급해 내부 거래 비율이 높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을 잘 안다”며 “고객 다변화 노력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3 4년 뒤 생산 물량의 40~50%는 외부 판매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했다.||||관련 업계에서는 2024년 2분기 이후 신규고객사에 납품이 시작되면 현재 3% 수준인 이익률이 큰 폭으로 개선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최근 기업공개를 앞둔 일부 업체가 상장을 철회하고 전기차 수요 둔화로 이차전지 시장의 투자 심리가 저하하고 있지만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이 같은 경쟁력이 시장에서 가치를 인정받을 것이란 전망도 있다.||||증권업계에서는 30일부터 시작된 기관투자가들의 수요예측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 배터리 셀 업체 및 자동차 OEM들의 전기차 물량 축소 전망 광물 가격 하락등으로 투자심리가 좋지는 않지만 장기적 성장성 관점에서 공모 물량을 상당부문 확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한편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30일부터 11월 3일까지 기관 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한다. 희망 공모가는 주당 3만6200원에서 4만4000원이며 최고가액 기준 예상 시가총액은 3조1200억원이다.||||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공모를 통해 마련한 자금을 추가 공장 등 설비투자와 원재료 매입 등에 활용할 예정이다.||||김 대표는 “포항 영일만 산업단지에 추가 공장을 건설해 생산능력을 2027년 21만톤으로 확장할 것”이라고 밝혔다.||||||웹사이트: https://www.ecopro.co.kr/||||||||연락처||에코프로||CSR 추진팀||송충현||02-6903-1728 ||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에코프로||||||배포 분야||||산업||화학||자동차||부품/정비||선언/의견||충북
Tue, 31 Oct 2023 09:29:05 +0900
-
아카에이아이, 익산 이리공업고등학교에 인공지능 학습 로봇 ‘뮤지오’ 공급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31일 -- 아카에이아이(AKA AI 대표 정명원)는 전라북도 익산에 위치한 이리공업고등학교와 인공지능(AI) 영어학습 로봇 ‘뮤지오(Musio)’의 공급 계약을 맺고 설치를 완료했다고 31일 밝혔다.전국 교육 현장에서는 AI 및 빅데이터 기술을 사용해 미래형 교육 과정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초·중학교뿐 아니라 고등학교에서도 이러한 기술을 적극 활용해 혁신과 발전을 추구하고 있다. 이리공업고등학교의 뮤지오 도입은 그러한 발전을 위한 중요한 시작으로 평가될 수 있다. 특히 이번 도입은 뮤지오가 고등학교에 공급된 첫 사례로 어떤 교육 혁신을 이끌어낼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뮤지오는 아카에이아이가 개발한 커뮤니케이션 AI 엔진 ‘뮤즈(Muse)’를 탑재한 인공지능 로봇으로 영어 회화 학습 시스템과 실력 측정 알고리즘을 내장하고 있다. 학생들은 뮤지오와의 대화를 통해 자연스러운 영어 소통을 경험하면서 영어 실력을 측정하고 향상시킬 수 있다.정명원 아카에이아이 대표는 이번 이리공업고등학교의 뮤지오 공급을 통해 기존 고등학교 영어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정명원 대표는 “현재 고등학교에서는 영어 교육이 시험 준비를 위한 목적으로 제한되는 경우가 많은데 뮤지오를 활용해 학생들은 실제 대화를 통한 의사소통 중심의 영어 학습을 할 수 있다”며 “이러한 의사소통 중심의 영어 교육은 현대 사회에서 요구되고 있으며 뮤지오가 그 요구를 실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해결책이 될 것”이라 강조했다.2020년 3월 제주 무릉초·중학교에서 AI 서비스를 시작한 이래 뮤지오를 도입한 교육기관은 전국 50곳 이상이며 일본 내 사례까지 합치면 250곳에 달한다. 아카에이아이는 2021년부터 2년 연속 ‘KOREA AI START UP 100’에 선정됐고 2021년 미국 ‘Edison Awards’의 파이널 리스트로 선정돼 기술 및 시장 혁신성을 입증받았다.아카에이아이 소개아카에이아이(AKA AI)는 인공지능(AI) 엔진 ‘뮤즈’와 그 엔진에 기반한 AI 로봇 ‘뮤지오’를 개발한 업체다. 뮤즈의 AI 엔진을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형식으로 제공하는 사업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소프트뱅크의 소셜 로봇 ‘페퍼(Pepper)’에 당사의 엔진이 도입되는 등 글로벌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하고 있다. 아카에이아이의 목표는 AI 기술과 소셜 로봇을 통해 인간의 지능적인 능력을 돕거나 대체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AI 기술이 우리의 삶을 바꾸고 풍요롭게 만드는 실용적 변화를 만들고자 한다.||||||웹사이트: http://themusio.com||||||||연락처||아카에이아이(AKA AI)||사업팀||홍수정 비즈니스 매니저||02-537-7201||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아카에이아이||||||배포 분야||||교육||청소년/입시||산업||로봇/제어계측||수주||서울
Tue, 31 Oct 2023 08:00:00 +0900
-
롯데정밀화학, 2023년 3분기 잠정실적 발표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30일 -- 롯데정밀화학은 30일 3분기 매출액 4012억원 영업이익 351억원의 잠정실적을 발표했다. 전분기 대비 케미칼사업부문 염소계열 제품들의 국제가 하락으로 매출액은 7.0% 감소 영업이익은 49.2% 감소했다. 전방 산업의 시황 약세에도 불구하고 전략 시장 판가 대응으로 롯데정밀화학은 업황 악화에 대한 방어력을 보여줬다.||||부문별로 살펴보면 케미칼사업부문 매출액은 전분기 대비 4.5% 감소한 2809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염소계열 에폭시 수지 원료인 ECH의 국제가 하락이 주요 원인이다. 그린소재사업부문 매출액은 전분기 대비 12.2% 감소한 1203억원을 기록했다. 셀룰로스 계열 전방 산업 수요 감소로 제품 판매량이 감소한 영향이다.||||한편 롯데정밀화학은 고부가 스페셜티 소재 사업 강화를 위해 550억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 중이다. 연말까지 반도체 현상액 원료 TMAC 공장 증설에 160억원을 투자해 기계적 준공을 완료할 계획이다. 또한 셀룰로스 계열 식의약용 생산라인 추가 증설에 390억원 규모의 투자를 통해 2025년 상반기까지 완료해 성장성이 기대되는 대체육 용도와 식물성 의약용 캡슐 시장에서 우위를 점한다는 계획이다.||||롯데정밀화학은 3분기 실적은 염소계열 주요 제품의 국제가 하락했으나 4분기에는 국제가 상승이 전망돼 실적 회복이 기대된다며 고부가 스페셜티 소재에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반도체 대체육 용도 등 성장하는 시장에서 우위를 점할 것이라고 밝혔다.||||||웹사이트: http://www.lottefinechem.com||||||||연락처||롯데정밀화학||커뮤니케이션팀||오정택 수석||02-6974-4583||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롯데정밀화학||||||배포 분야||||산업||화학||실적||서울
Mon, 30 Oct 2023 14:52:39 +0900
-
‘중고 산업기계 직거래 플랫폼, 파인드머신’ 발표한 커넥트팩토리, 창업 2개월 만에 투자사 ‘러브콜’ 받아
시흥--(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30일 -- 커넥트팩토리(대표 강종호)가 중고산업기계 직거래 플랫폼 ‘파인드머신(FIND MACHINE)’ 발표 후 여러 투자사들로부터 러브콜을 받았다고 밝혔다.||||커넥트팩토리는 정보통신기술 분야 벤처(스타트업) 기업 지원을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부) 주최 벤처기업협회 주관으로 25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열린 ‘2023년 6차 ICT벤처 투자유치설명회(IR)’에 참여해 투자설명회를 통해 ‘파인드머신’을 공개했다.||||커넥트팩토리의 투자 발표가 끝난 후 다수의 국내 벤처캐피탈리스트 및 투자사들로부터 투자 검토를 위한 자료와 별도의 미팅 기업 탐방 등의 절차를 요청받는 등 긍정적인 논의를 이어가고 있으며 현재 시드투자를 검토 중에 있다.||||커넥트팩토리가 참여한 이번 ICT벤처 투자유치설명회는 국내 ICT 중소·벤처기업의 투자유치 역량 강화 및 자금조달 애로 해소를 도모하고자 역량강화 교육 1:1 투자 멘토링 등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투자유치역량강화교육 IR리허설 투자자와 1:1 상담 등이 지원됐다.||||최종 선정된 기업은 총 16개 기업으로 커넥트팩토리는 이날 ‘중고 산업기계 직거래 플랫폼 파인드머신’에 대해 소개했다.||||‘파인드머신’의 핵심 키워드는 ‘안심 직거래’다. 권리분석 및 중고기계 감정평가사를 통한 기계의 가치평가 기준을 확립하고 적정 판매가 예측 서비스 및 연식에 따른 시세 정보와 예상 수리 비용 정보 저렴한 금융 상품을 제공한다.||||강종호 커넥트팩토리 대표는 “현재 중고 산업기계 시장은 정보의 비대칭이 가장 심각한 시장이다. 적정가격의 개념이 약하고 판매자(유통사)에 의해 가격이 결정되는 구조적 한계를 지닌다. 현재 판매되고 있는 특정 중고 산업기계는 개인 유통사 별로 수배에 이르는 가격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권리관계와 적정 가격에 대한 정보를 조회할 수 없는 문제로 인해 악용 사례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며 “중고 산업기계 시장의 체계적인 시스템 개선과 점검 항목 및 평가 항목 개발 등을 공개하고 실거래가격 정보를 제공해 문제를 해결해나가고자 한다”고 밝혔다.||||한 투자사는 중고 산업기계 시장은 정보의 비대칭성 문제 해결에 대한 니즈가 크다고 진단하고 커넥트팩토리가 비즈니스에 대한 가치를 잘 설정한 것으로 보이며 해당 시장에 기회가 있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강종호 대표는 “이번 투자설명회 기업선정은 창업 2개월 만의 성과로 대외적으로 당사를 알릴 수 있어 기쁘게 생각한다”며 “커넥트팩토리와 파인드머신에 관심을 준 투자사 및 벤처투자협회 관계자 그리고 행사를 준비하기 위해 노력해준 관계사분들에게 감사드리며 서비스 고도화와 사용성을 개선해 가시적인 성과를 빠른 시간 내에 보여주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커넥트팩토리의 중고 산업기계 직거래 플랫폼 ‘파인드머신’은 12월 중 오픈 예정이다.||||커넥트팩토리 외 최종 선정된 기업은 아바타메이드 케이저 공카 플레듀 에스엠티비전 에이아이노미스 케이엘큐브 스페이스플로 딥테크놀로지 카인드소프트 아고스비전 오로지랩헬스케어 에스엔솔루션즈 팀스페이스팜 에스모듈 등 총 16개 기업이다.||||커넥트팩토리 소개||||커넥트팩토리는 중고 산업기계 직거래 플랫폼 ‘파인드머신’을 통해 중고 산업기계 유통시장을 혁신하고자 한다. 중고기계의 ‘안심 직거래’라는 핵심가치를 중심으로 온라인 기술을 활용해 △권리 분석 및 중고 기계 감정평가사를 통한 중고 기계의 가치 평가 기준 확립 △‘중고기계 적정 판매가’ 예측 서비스 및 연식에 따른 시세 정보 수리 내역 등을 쉽게 조회 △구매·설치·납품 및 A/S 안전결제 서비스 저렴한 금융 상품까지 제공하는 플랫폼 서비스 등을 이뤄나갈 계획이다. 시화 MTB 한국기계거래소 시화기계유통단지와 꾸준히 협업해 중고 산업기계 유통 시장의 표준을 만들고 있으며 유통사를 적절히 견제하고 공존하는 건강한 중고 산업기계 유통 시장을 통해 ‘제조강국 대한민국’을 지키는 큰 힘이 되도록 노력하고 있다.||||파인드머신: https://findmachine.kr||웹사이트: https://www.connectfactory.co.kr||||||||연락처||커넥트팩토리||홍보팀||안희영 전무||070-5030-1845||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커넥트팩토리||||||배포 분야||||경제||중소기업/창업||산업||기계/플랜트||투자||인천/경기
Mon, 30 Oct 2023 14:00:00 +0900
-
한화시스템, 3분기 매출 6208억원·영업익 373억원 기록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30일 -- 한화시스템(대표이사 어성철)이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3년 3분기 매출액 6208억원 영업이익 373억원 당기순이익은 411억원을 기록하며 시장 전망치를 크게 웃도는 실적을 냈다.||※ 금융정보 제공업체 에프앤가이드는 한화시스템 3분기 컨센서스(전망치 평균)로 매출 5224억원 영업익 210억원 순이익 107억원을 제시한 바 있다.||||한화시스템은 컨센서스 4배 가까운 당기순이익을 거두며 호실적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614억원 증가 영업이익은 368억 증가 당기순이익은 385억 증가한 수치다. 한화시스템 측은 K-방산 열풍에 힘입어 수출 및 양산사업이 확대되고 지난해 집중한 대규모 신사업 투자가 구축·운영 단계에 접어들면서 뚜렷한 실적 반등세를 나타냈다고 설명했다.||||한화시스템 방산 부문은 TICN(전술정보통신체계) 4차 양산 사업 30mm 차륜형 대공포 양산 군위성통신체계-II 망제어 시스템 및 지상단말기 양산 등 대형사업이 깜짝 실적을 견인했다. 지난해 한화시스템이 아랍에미리트(UAE)에 수출한 중거리지대공 유도무기체계(M-SAM) 천궁-II 다기능레이다(MFR) 매출이 본격적으로 잡히기 시작한 점도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한화시스템은 2022년 1월 아랍에미리트(UAE)애 약 11억달러(당시 환율로 약 1조3000억원) 규모의 천궁-II 다기능레이다(MFR) 수출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ICT 부문은 한국교과서협회가 주관하는 AI디지털교과서 공동 플랫폼 구축 신한라이프 FC&GA 영업지원시스템 구축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시스템 통합 및 전사적 자원관리(ERP) 시스템 구축 사업 등을 중점 추진 중이다. EBS 메타버스 플랫폼 ‘위캔버스’ 및 AI 기반 교육 플랫폼 사업 또한 적극 전개하고 있다.||||한화시스템은 신사업 부문에서 ‘우주 인터넷’으로 일컬어지는 저궤도 위성통신 사업 미래 모빌리티 UAM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플랫폼 등 초연결·초지능·초융합 시대를 이끌 사업 분야를 개척하며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나서고 있다. 원웹의 위성망을 활용해 ‘상용 저궤도위성 기반 통신체계’ 사업 참여를 추진하며 지상망(LTE)을 융합한 하이브리드 ‘해양위성통신서비스(Maritime Satcom Service·MASS)’도 준비 중이다.||||||웹사이트: https://www.hanwhasystems.com/kr/index.d...||||||||연락처||한화시스템||커뮤니케이션팀||지선진 팀장||02-729-5906||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한화시스템||||||배포 분야||||산업||항공/무기||실적||서울
Mon, 30 Oct 2023 11:23:12 +0900
-
예지보전 솔루션 모터센스, 신제품 유선 진동 센서 11월 출시
성남--(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30일 -- 데이터 기술 전문 기업 이파피루스(대표 김정희)가 인공지능(AI) 모터 고장 예측 솔루션 ‘모터센스(Motorsense)’의 진동 센서 유선 모델 ‘프로브 앤 닥(Probe & Dock)’을 11월 중 출시한다.||||‘프로브 앤 닥’은 이파피루스가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 기반 예지보전 솔루션 ‘모터센스(MotorSense)’의 구성품이다. 배터리와 와이파이가 내장된 무선 방식의 기존 센서와 달리 신제품 ‘프로브 앤 닥’은 전원과 통신 모두 유선 방식을 채택했다. 한 번 설치하고 나면 배터리를 교체할 필요가 없어 관리가 간편하고 데이터 수집 및 전송도 안정적인 것이 특징이다.||||이파피루스 모터센스 영업부 최재욱 이사는 신제품에 대해 “정식 출시 전인데도 불구하고 이전부터 ‘모터센스’에 관심을 보여왔던 몇몇 고객들이 이미 테스트를 진행하면서 좋은 평을 들려주고 있다”고 귀띔하며 “설치 위치가 기계 내부 등 접근이 어려워 무선 센서의 배터리 교체 등 유지관리 작업이 힘들거나 무선 통신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기존 무선 센서보다 유선 센서인 ‘프로브 앤 닥’을 추천한다”고 말했다.||||‘프로브 앤 닥’은 이름대로 진동 및 온도 센서인 ‘프로브’와 센서 제어기인 ‘닥’으로 구성돼 있다. 센서인 ‘프로브’를 산업용 모터 펌프 압축기 팬 등의 기계에 부착하고 제어기인 ‘닥’에 연결하면 센서가 상시 측정한 진동 및 온도 데이터가 ‘닥’을 거쳐 모터센스 서버로 전송되고 이를 인공지능이 분석해 어떤 종류의 고장이 몇 퍼센트의 확률로 일어날지 휴대폰 문자 메시지로 미리 알려준다. ‘데이지 체인(Daisy chain)’ 방식을 채택해 제어기 한 대에 최대 30개의 센서를 연결할 수 있으며 유사 제품 대비 설치와 확장이 용이하다. 센서인 ‘프로브’ 제어기인 ‘닥’ 모두 방수·방진 기능 인증을 획득 거친 산업 현장에서도 문제 없이 동작한다.||||기존 무선 센서에 없었던 신기능도 더해졌다. ‘트리거(Trigger)’ 기능은 진동을 측정하는 시점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게 해준다. 서로 다른 모터에서 정확히 같은 시점의 데이터를 수집해 비교하거나 같은 기계 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 센서의 데이터를 비교해 상관 관계를 분석할 수도 있다.||||또 하나의 신기능 ‘웨이크 업(Wake up)’은 시간 대신 진동 크기 기준으로 데이터 측정 여부를 설정하는 기능이다. 기계에서 특정 크기 이상의 진동이 발생하면 활성화 상태로 대기 중이던 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진동 데이터를 측정한다. 매우 간헐적으로 가동되는 기계의 경우 ‘웨이크 업’ 기능을 사용하면 실제 작동할 때만 데이터를 측정하므로 보다 정확한 분석과 고장 예측이 가능하다. ‘트리거’와 ‘웨이크 업’ 기능 모두 ‘모터센스’가 제공하는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 화면을 통해 PC와 모바일로 언제 어디서나 설정할 수 있다.||||유선 진동 센서 ‘프로브 앤 닥’은 11월 8일부터 10일까지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제5회 스마트공장구축 및 생산자동화전(SMATEC 2023)’ 모터센스 부스에 전시될 예정이다. 무선 진동 센서인 ‘노드’와 실시간 모니터링 화면도 현장에서 함께 확인할 수 있다.||||이파피루스 모터센스 홈페이지: https://motorsense.io/||||이파피루스 소개||||경기도 성남시 판교에 위치한 이파피루스는 전자문서 및 데이터 기술 전문기업이다. 이파피루스는 풍부한 노하우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 문서 환경과 스마트 공장을 위한 인공지능(AI) 예지보전 솔루션을 개발하고 제공한다. 전자문서 부문 대표 제품으로는 PDF 스트리밍 뷰어 ‘스트림닥스(StreamDocs)’ PDF 변환 솔루션 ‘피디에프 게이트웨이(PDF Gateway)’ 통합 웹문서 뷰어 ‘스트림닥스 뷰!(StreamDocs Vu!)’ 인공지능 이미지 문자 해석(OCR) 솔루션 ‘텍스트센스(TextSense)’ 등이 있다. 이들 제품은 국세청 대법원 등 국내 주요 공공기관과 네이버 포스코 KB증권 등의 대기업 업무 시스템에 사용되고 있다. 인공지능 전동기 고장 예측 솔루션인 ‘모터센스(MotorSense)’ 또한 삼성전자 한화큐셀 현대케피코 CJ제일제당 등 산업 현장 전 분야에서 활약 중이다.||||||웹사이트: https://epapyrus.com/||||||||연락처||이파피루스||마케팅팀||심가영 팀장||02-2023-1703||이메일 보내기 ||||제품 문의||02-2023-1744||||||||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이파피루스||||||배포 분야||||IT||소프트웨어||산업||기계/플랜트||신상품||인천/경기||제5회 스마트공장구축...
Mon, 30 Oct 2023 09:00:00 +0900
-
한국제지, 면사랑에 재활용 생분해 가능한 ‘그린실드’ 트레이 전환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30일 -- 한국제지는 식품 전문 제조기업 면사랑과 ESG 협력을 통해 오뚜기에 납품되는 냉장면 트레이를 플라스틱에서 친환경 포장재 ‘그린실드(Green Shield)’로 전환했다고 30일 밝혔다.||||현재 국내 식품 기업들은 집에서 간편히 요리해 먹는 밀키트(가정간편식 요리)를 앞다투어 출시하며 시장 선점에 나서고 있지만 대부분의 면 찌개 떡볶이 등을 담는 포장 용기로 플라스틱 트레이를 사용하고 있다.||||면사랑에서 국내 최초로 전환한 그린실드 트레이는 재활용 및 생분해가 가능한 친환경 종이 트레이로 오뚜기에 납품되는 투움바파스타 등에 적용됐으며 자사 브랜드 제품에도 적용될 예정이다.||||한국제지의 친환경 포장재 ‘그린실드’는 플라스틱(PE/PP) 코팅을 대체해 친환경 코팅으로 재활용이 가능하며 매립되는 경우에도 3개월 안에 생분해되는 환경친화적 제품이다. 트레이 외에도 종이컵 원형용기 접시 몰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한국제지는 친환경 포장재 ‘그린실드’를 친환경 패키징의 주력 제품으로 선보이고 있으며 ESG 경영을 선언한 롯데시네마 CGV 현대백화점 농협 대한항공 아워홈 작은영화관 등에 납품하고 있다. 지난달에도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팩 엑스포(PACK EXPO)’에 참가해 재활용 생분해가 가능한 친환경 패키지를 주제로 홍보했으며 최근 그린실드 온라인몰을 론칭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안재호 한국제지 대표는 “앞으로도 친환경 포장재 그린실드 전환을 통한 ESG 기업들과의 협업을 통해 용도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한국제지 소개||||한국제지는 1958년 설립돼 ‘종이를 통해 우리나라 문화 발전에 기여한다’는 창업 정신을 실천하는 반세기 역사의 인쇄용지 전문 생산 기업이다. 한국제지의 대표 제품으로는 국내 시장점유율 1위 복사지 ‘miilk’ 최고급 러프글로스지 ‘ARTE’ 화장품·식품 포장재 ‘KAce’와 플라스틱(PP/PE) 코팅이 필요 없는 친환경 포장재 ‘Green Shield’가 있다.||||한국제지 스마트스토어: https://smartstore.naver.com/hankukstore한국제지 인스타: https://www.instagram.com/hankukpaper_official/밀크 인스타: https://www.instagram.com/miilk_paper/||웹사이트: http://www.hankukpaper.com||||||||연락처||한국제지 ||전략마케팅팀||유진희 사원||02-3475-7272||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한국제지||||||배포 분야||||산업||제지/포장||에너지/환경||환경||제휴||서울
Mon, 30 Oct 2023 08:30:00 +0900
-
에스제이엠, 한국항공우주산업과 ‘KF-21 항공소재부품 국산화’ 위한 MOU 체결
안산--(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30일 -- 에스제이엠(대표이사 김휘중 이하 SJM)과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10월 18일 ‘항공소재부품 국산화’를 위해 양산 MOU를 체결했다.||||SJM은 지난해부터 KAI와 긴밀한 상호 협력을 통해 항공기용 배관부품 개발을 위해 협의를 진행해왔고 이번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3)’에서 항공용 짐벌 조인트(Gimbal Joint) 개발을 통한 KF-21 전투기 부품의 국산화 전투기 추가 성능 개량을 위한 부품 개발 및 항공용 특수 익스팬션 조인트(Expansion Joint) 추가 개발에 대해 상호 협력할 것을 합의했다.||||SJM 플랜트사업본부(본부장 김대현)는 조선해양 분야 LNG선용 익스팬션 조인트를 국내 최초로 국산화 개발해 현재 전 세계 시장 점유율 85%를 차지하고 있으며 건축 석유화학 방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국내 1위 익스팬션 조인트 전문 기업으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또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 및 수소 운반선 분야의 부품 개발을 통해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최근 우리나라의 KF-21 전투기 누리호 발사체 등에 적용되는 부품 개발을 통해 항공우주산업 분야 배관용 특수 전문 기업으로 발돋움하고자 힘쓰고 있다.||||SJM 김휘중 부회장은 “이번 KAI의 항공소재부품 국산화를 위한 MOU를 시작으로 항공 및 우주산업용 배관부품의 국산화 및 새로운 산업군으로 진출을 통해서 신성장 동력의 확보와 우리나라 항공우주산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말했다.||||에스제이엠 소개||||에스제이엠(SJM 코스피 123700)은 1975년 성진기공으로 설립해 일반 산업용 익스팬션 조인트뿐만 아니라 자동차용 벨로스(Bellows)를 생산하고 있는 플렉서블 파이핑 시스템(Flexible Piping System) 전문 기업으로 산업 전반에 사용되는 배관용 핵심부품을 생산하는 회사다. 회사는 자동차 배기계용 벨로스 글로벌 2위 제조 기업으로 대부분의 글로벌 완성차 기업에 공급하고 있고 최근 자동차의 전동화 트렌드에 맞추어 전동화 부품 쿨링(Cooling) 솔루션 기업을 인수해 미래 신사업으로 사업을 확장해 가고 있다.||||||웹사이트: http://www.sjmflex.co.kr||||||||연락처||에스제이엠||플랜트사업본부 영업팀||김동철 부장||031-496-3348||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에스제이엠||||||배포 분야||||산업||항공/무기||자동차||부품/정비||제휴||인천/경기||서울 국제 항공우주 ...
Mon, 30 Oct 2023 08:00:00 +0900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통합 상생협력협의회 출범… 56곳과 공정거래 협약
창원--(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27일 -- 대한민국의 대표 방산·항공·우주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협력사들과 공정거래 협약을 맺었다. 지난해부터 한화디펜스와 한화방산을 순차적으로 통합하면서 기존의 상생협력협의회도 통합·재편했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26일 경남 창원 소재 그랜드 머큐어 엠베서더 창원에서 ‘통합 상생협력협의회’ 출범 총회를 열고 공정거래 협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이날 협약식에는 손재일 대표이사를 비롯한 주요 경영진과 협력사 56개 업체 대표가 참가했다. 지난해 말부터 올해 4월까지 한화디펜스 한화방산을 순차적으로 합병하면서 새롭게 재편된 통합 상생협력협의회는 앞으로 LS 분과 PGM 분과 항공 분과 등 3개 분과로 나뉘어 운영된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날 총회를 통해 협력사들에게 경영 현황과 정책을 공유하고 하도급 관련 법령 준수와 공정한 계약의 체결 및 이행 등 상생협력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약속했다. 또 금융지원 기술지원·보호 인력·채용 지원 등 다방면에서 협력사 지원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구체적으로 시중은행과 공동으로 조성한 자금으로 금리 감면 대출을 진행하고 신제품 공동개발 ESG 교육·평가·컨설팅 협력사 인력채용도 지원할 계획이다.||||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는 “최근 규모가 확대되는 수출사업에서 협력사 임직원들께서 큰 도움을 주고 계시다”며 “진정한 상생협력이 되도록 항상 협력사 입장에서 고민하고 돕겠다”고 강조했다.||||상생협력협의회장인 조정현 SG솔루션 대표는 “협력사의 경쟁력이 한화의 경쟁력이라 생각한다”며 “양측이 함께 성장한다는 자부심으로 국내는 물론 해외시장에서 모든 분야 최고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웹사이트: https://www.hanwhaaerospace.co.kr/||||||||연락처||한화에어로스페이스||커뮤니케이션팀||최선||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한화에어로스페이스||||||배포 분야||||산업||항공/무기||제휴||부산/울산/경남
Fri, 27 Oct 2023 13:41:36 +0900
-
나루씨큐리티, 드론 무인 무기체계 보안은 우리가 지킨다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27일 -- 국방부 침해사고 원인분석 공식 자문업체 나루씨큐리티는 무인 시스템 구축 전문 기업인 베이리스의 주관으로 군의 무인체계 신뢰성/생존성 강화를 위한 통합 사이버 쉴드 기술 개발의 핵심 분할 과제에 대한 계약을 마치고 36개월간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이번 사업은 현재 군에서 운용하는 다양한 무인 무기체계에 대한 신뢰성/생존성 강화를 위한 통합 사이버 쉴드 플랫폼을 개발하는 것으로 무인 임무 시스템의 사이버 위협 탐지 및 대응 기술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베이리스와 나루씨큐리티는 그간 군 무인체계의 사이버 쉴드 기술개발 연구과제를 지속적으로 진행해왔으며 이번 사업은 연구과제의 연장선상에서 연구 결과물을 플랫폼의 시작품으로 구현하는 프로젝트다.||||베이리스와 나루시큐리티 컨소시엄은 무인체계 연구과제에서 검증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사업을 추진해 향후 드론봇 전투체계의 정찰용 공격용 지원용 무인 전력의 전투력 강화를 이끌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www.narusec.com/||||||||연락처||나루씨큐리티||사업본부||엄미정 팀장||02-522-7912||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나루씨큐리티||||||배포 분야||||IT||보안||산업||항공/무기||수주||서울
Fri, 27 Oct 2023 13:17:27 +0900
-
동국제강그룹, 철강 사업법인 2개사 3분기 실적 발표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27일 -- 동국제강그룹 철강 사업법인 2개사 동국제강(대표이사 최삼영)과 동국씨엠(대표이사 박상훈)이 2023년 3분기 잠정 실적을 공시했다.||||양 사 모두 6월 1일 인적 분할을 통해 설립한 신설 법인이다. 이번 실적 발표는 7월부터 9월까지의 경영 실적이며 전 분기(2분기) 실적은 6월 한 달간의 실적이다.||||열연 사업법인 동국제강은 K-IFRS 별도 기준 2023년 3분기 매출 1조790억원 영업이익 1054억원 순이익 593억원을 기록했다. 전 분기 대비 매출은 150.7% 증가 영업이익은 104.7% 증가 순이익은 52.0% 증가했다.||||분할 전 동국제강 열연 사업부문 2022년 3분기 실적과 비교 시 매출은 14.9%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6.7% 감소에 그쳤다. 부채 비율은 전 분기 121.5%에서 3분기 107.6%까지 개선했다.||||동국제강 3분기 실적은 건설 등 전방산업 침체에도 △원가 관리 조업 및 △극저온 철근·내진 철근·대형 H형강·후판특수강 등 고부가 제품 판매를 확대한 결과다. 동국제강은 수익성 중심의 판매 포트폴리오 확대 전략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냉연 사업법인 동국씨엠은 K-IFRS 별도 기준 2023년 3분기 매출 5542억원 영업이익 312억원 순이익 244억원을 기록했다. 전 분기 대비 매출 195.4% 증가 영업이익 454.9% 증가 순이익 690.8% 증가했다.||||분할 전 동국제강 냉연 사업부문 2022년 3분기 실적과 비교하면 매출은 8.3%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은 85.7% 증가했다. 고금리 장기화 속 건설·가전 등 전방산업 침체로 매출이 감소했으나 △럭스틸·앱스틸 등 고부가 제품 판매 확대 △수출 중심 판매 전략으로 긍정적 영업이익을 거둘 수 있었다.||||동국씨엠은 3분기 항저우 아시안게임 등으로 가전향 수요가 늘며 컬러강판 판매가 늘었고 라미나 필름 생산라인 구축·멕시코 제2코일센터 증설 등으로 수익을 개선할 수 있었다고 판단하고 있다. 동국씨엠은 블랙프라이데이 등 연말 가전 성수기를 맞아 프리미엄 컬러강판 판매 확대에 주력할 계획이다.||||||웹사이트: http://www.dongkuk.co.kr||||||||연락처||동국제강 ||커뮤니케이션팀 ||정지욱 과장 ||02-317-1048||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동국제강||||||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실적||서울
Fri, 27 Oct 2023 11:38:24 +0900
-
대한전선, ESG 평가에서 3년 연속 통합 ‘A등급’ 획득
안양--(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27일 -- 대한전선이 높은 ESG 등급을 유지하며 ESG 경영의 선도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대한전선(대표이사 송종민)은 한국ESG기준원(KCGS)에서 실시한 ‘2023년 ESG 평가’에서 ‘통합 A 등급 (우수)’을 받았다고 27일 밝혔다. 2021년에 전선업계에서 유일하게 통합 A 등급을 받은 이후로 3년 연속 A 등급을 획득한 것이다.||||올해 평가에서 대한전선은 환경 부문(E) A 사회 부문(S) A+ 지배구조 부문(G) B+ 등급을 받았다. 특히 환경 부문은 지난해 B+ 등급에서 한 단계 상향된 A 등급을 획득했다. 전년 대비 폐기물의 발생량을 줄이고 친환경 구매 비율을 높이는 동시에 주요 정보들을 투명하게 공개한 결과다.||||사회 부문은 지난해와 동일한 A+ 등급으로 S 등급을 받은 기업이 없는 상황을 고려하면 이번 평가에서 가장 높은 등급을 획득한 것이다. 지배구조 부문도 B+의 양호한 성적을 거두면서 전 부문에서 고른 평가를 거두었다.||||대한전선은 이번 성과의 배경을 ESG에 대한 전사적인 실천 의지와 다각적인 활동으로 분석했다. 실제로 건전한 기업 문화 확립을 위해 컴플라이언스 시스템을 고도화했으며 헌혈 캠페인과 지역사회를 위한 봉사 및 기부 등을 전개해 기업의 사회적 가치를 실현했다. 더불어 생물 다양성 보존 활동과 해안 정화활동 등 전방위적인 환경 활동도 지속 전개했다.||||한국ESG기준원은 국내 기업의 ESG 현황을 평가하고 각 분야 및 통합 등급을 부여해 지속가능경영 수준을 평가하는 기관이다. 올해 1049개 사(社)를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했으며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 791개에 대해서 ESG 등급을 부여했다.||||||웹사이트: http://www.taihan.com||||||||연락처||대한전선 ||홍보팀 ||김용건 대리 ||02-316-9293 ||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대한전선||||||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중전기||수상/선정||인천/경기
Fri, 27 Oct 2023 10:39:50 +0900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첨단엔진 소재 국산화 위한 ‘협력 생태계’ 구축 강조
창원--(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27일 -- 대한민국의 안보와 미래 산업화를 위한 유·무인 전투기의 엔진 개발을 위해서는 현재 전량 수입하는 항공기용 엔진 소재의 국산화부터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안종기 항공소재연구센터장은 26일 대구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3년 대한금속재료학회 추계 심포지엄’에서 ‘항공용 가스터빈엔진의 소재 국산화 방향’을 발표하며 이렇게 밝혔다.||||한국이 항공엔진 소재를 100% 수입하는 가운데 중동과 유럽에서의 지정학적 위기 무인전투기에 대한 미사일 기술통제 체제(MTCR) 등의 자주국방을 위한 불확실성에 대응하려면 소재부품 국산화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다.||||안 센터장은 “국산화한 소재의 신뢰성을 보증하기 위한 민·관 중심의 인증 및 평가 기술 체계 정립이 필요하다”고도 강조했다. 현재 항공엔진 소재 부품으로는 인코넬 계열 초내열 합금에 대한 승인시스템이 적용된 개발 사례가 없다. 현재 산업통상자원부 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진행 중인 인코넬 718 소재 개발 및 인증과정이 첨단 항공엔진 소재 국산화의 좋은 선례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또한 항공엔진의 신뢰성을 위해서는 국내 유일 항공엔진 업체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중심으로 국내 소재 전문업체들과 소재 원천기술을 보유한 정부출연연구소 및 대학 전문가들의 협력 생태계 구축의 필요성도 설명했다.||||항공엔진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특수합금인 인코넬 718을 비롯한 첨단엔진용 소재는 항공기 운항 시 발생하는 초고온·초고압·초고속의 극한 환경을 견디기 위한 강한 내구성과 기동성을 위한 경량성을 동시에 갖춰야 한다.||||이광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항공사업부장은 “소재 국산화를 위해선 정부와 산·학·연 협업이 필수적”이라며 “한화에어로스페이스도 엔진 개발 역량을 강화해 글로벌 군용 엔진 OEM 기업으로 도약하고 민수용 항공엔진 시장에도 진출하겠다”고 말했다.||||40여 년 동안 항공엔진을 생산해 온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올해 9월 국방기술진흥연구소 주관 ‘TIT 1800K급 터보팬 항공 엔진 저압터빈 내열 합금코팅 기술’ 개발 과제의 우선 협상 대상자로 선정돼 첨단엔진 국산화 선도 기업 역할을 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s://www.hanwhaaerospace.co.kr/||||||||연락처||한화에어로스페이스||커뮤니케이션팀||김동휘||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한화에어로스페이스||||||배포 분야||||산업||항공/무기||선언/의견||부산/울산/경남
Fri, 27 Oct 2023 10:10:40 +0900
-
삼양사, 미국 식품소재전시회 참가… 스페셜티 소재 확산 가속화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27일 -- 삼양사가 저칼로리 식음료나 건강기능식품에 적용할 수 있는 스페셜티(Specialty 고기능성) 소재의 미국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한다.||||삼양그룹 식품/화학 계열사 삼양사(대표 최낙현)는 25일부터 26일까지 이틀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식품소재전시회 ‘2023 SSW(Supply Side West)’에 참가했다고 밝혔다.||||SSW는 전 세계 식품산업 종사자가 참여하는 글로벌 식품소재전시회로 올해는 1100여 개의 기업과 1만5000여 명의 참관객이 운집해 성황을 이뤘다. 2022년에 이어 2년 연속 참가한 삼양사는 작년보다 부스 크기를 1.5배 키우고 고객사별 니즈에 따라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했다.||||삼양사는 이번 전시회에서 주력제품인 알룰로스 홍보에 역점을 뒀다. 내년 상반기 완공 예정인 국내 최대 규모의 알룰로스 신공장 증설 시기에 발맞춰 삼양사 알룰로스의 우수성을 알리고 해외 판로를 확대하겠다는 전략이다.||||알룰로스는 무화과 포도 등에 함유된 단맛 성분으로 설탕 대비 70% 정도의 단맛을 내지만 칼로리는 제로인 대체 감미료이다. 과당과 유사한 물성과 깔끔한 단맛이 나는 특성 덕분에 음료 스낵 유제품 소스 등에 두루 적용할 수 있다. 현재 삼양사는 ‘넥스위트(Nexweet)’라는 브랜드로 액상 결정 형태의 알룰로스를 생산하고 있다.||||아울러 현지 건강기능식품 시장 공략을 위해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케스토스 같은 프리바이오틱스 소재도 함께 전시했다. 실제 각 소재들이 적용된 콤부차(발효차) 단백질 바 젤리 등을 시식 샘플로 제공해 방문객들의 이해를 도왔다.||||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은 식이섬유 함량이 85%인 수용성 식이섬유로 △배변활동 원활 △식후 혈당 상승 억제△혈중 중성지질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이다. 설탕 대비 당류 함량이 적고 감미도가 낮아 식이섬유 함량 강화 및 당류 저감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케스토스는 프락토올리고당의 주요 성분 중 하나로 삼양사는 국내 최초로 85% 이상의 고순도 케스토스를 개발했다. 삼양사에서 개발한 케스토스는 액상뿐만 아니라 결정 제형으로도 구현이 가능한 차세대 제품으로 제품 출시에 앞서 국내외 식품 관련 전시회를 통해 특장점을 적극 알리고 있다.||||삼양사 이상훈 식품BU(Business Unit)장은 “삼양사는 알룰로스의 주요 수출국이 북미인 점을 감안해 2022년부터 미국에서 열리는 주요 식품 박람회에 적극적으로 참가하며 현지 고객사와의 접점을 늘리는 등 미국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스페셜티 소재의 우수성을 알릴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고민할 것”이라고 말했다.||||||웹사이트: http://www.samyang.com||||||||연락처||삼양홀딩스 ||커뮤니케이션팀 ||이상수 차장||02-740-7183||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삼양홀딩스||||||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유통||식품/음료||전시/출품||서울||SupplySide West 2023
Fri, 27 Oct 2023 09:15:50 +0900
-
알파인 인베스터스, 에이펙스 서비스 파트너스의 꾸준한 성장 지원 위한 34억달러의 단일 자산 컨티뉴에이션 거래 완료
샌프란시스코--(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26일 -- 오래 지속되는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기업을 구축하는 데 전념하는 비콥 인증(Certified B Corp)의 사람 중심 사모펀드 회사인 알파인 인베스터스(Alpine Investors 이하 알파인)가 에이펙스 서비스 파트너스(Apex Service Partners 이하 에이펙스)와의 파트너십을 지속하기 위해 34억달러 규모의 단일 자산 2차 시장 거래를 완료했다고 오늘 발표했다. 에이펙스는 공조 배관 및 전기 서비스 업계의 리더이자 알파인 인베스터스 VII 및 VII-A(이하 펀드 VII) 포트폴리오 회사이다.||||2019년에 설립되어 플로리다주 탬파에 본사를 둔 에이펙스는 주거용 HVAC 배관 및 전기 서비스 플랫폼으로 미국 전역의 주요 공급업체와 협력하고 있다. 전국에 8000여 명의 직원을 보유한 에이펙스는 리소스 모범 사례 및 전문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강력한 업계 리더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직원 역량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고객에게 비교 불가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이번 거래는 에이펙스의 추가 확장만을 위한 것으로 서비스 플랫폼을 다음 단계로 성장시키려는 알파인의 노력과 유한 책임 파트너에게 유동성을 제공하는 알파인의 헌신을 강조한다. 이번 발표는 최근 알파인의 최신 펀드인 알파인 인베스터스 IX(이하 펀드 IX)가 펀드의 LP 약정액 45억달러의 하드캡에 도달하며 마감된 이후에 이루어졌다. 펀드 IX는 컨티뉴에이션 펀드(continuation fund)와 함께 에이펙스에 4억5000만달러를 투자했다.||||알파인 인베스터스의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 그레이엄 위버(Graham Weaver)는 “에이펙스는 선도적인 브랜드와 뛰어난 인재를 결합한 독특한 모델을 보유하고 있다”며 “그 결과 에이펙스는 고객에게 탁월한 경험을 제공하고 폭발적인 성장을 계속 경험하고 있다. 에이펙스의 비범한 인재들은 그들 앞에 펼쳐진 시장 기회에서 아직 표면만 긁고 있을 뿐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이들의 성장을 계속 지원하고 투자자들에게 이 협력적인 2차 프로세스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하게 되어 기쁘다”고 밝혔다.||||에이펙스 투자액에는 블랙스톤 스트래티직 파트너스(Blackstone Strategic Partners) 하버베스트 파트너스(HarbourVest Partners) 렉싱턴 파트너스(Lexington Partners) 판테온(Pantheon)의 투자금과 알파인의 펀드 IX의 투자금이 포함된다. 펀드 VII의 유한 책임 파트너는 2019년 투자금에 대한 유동성을 수령하거나 투자금의 일부를 컨티뉴에이션 펀드로 이연하여 이해관계자로 남을 수 있었다. 알파인의 투자자 친화적인 프로세스에 맞추어 유한 책임 파트너들에게 선호도에 따라 유동성 및 롤오버 옵션을 다양하게 조합할 기회도 제공했다.||||에이펙스 서비스 파트너스의 최고경영자인 AJ 브라운(AJ Brown)은 “에이펙스 서비스 파트너스는 불과 4년 만에 우리 플랫폼 내에서 뛰어난 직원과 선도적인 지역 브랜드를 위한 전력승수(force multiplier) 역할을 함으로써 전국을 이끄는 비즈니스를 구축했다”며 “알파인의 업계 경험과 리소스 사람 우선을 통한 지원은 우리의 성장에 큰 힘이 되었고 뛰어난 인재를 채용 교육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알파인은 우리 여정의 단계마다 진정한 사고 파트너가 되어 주었으며 기존 및 신규 투자자의 도움으로 새로운 차원으로 확장해 나가는 동안 알파인을 우리 곁에 두게 되어 기쁘다”고 말했다.||||AJ 브라운은 알파인의 CEO-인-레지던스(CEO-in-Residence) 프로그램에 참여했으며 이전에는 알파인의 포트폴리오 회사였던 건설 소프트웨어 회사 아비트루(Avitru)의 최고재무책임자를 역임했다. 에이펙스의 윌 맷슨(Will Matson) 사장은 알파인의 인재 육성 프로그램을 통해 채용된 또 다른 사례로 알파인의 CEO-인-트레이닝(CEO-in-Training) 프로그램을 통해 고용되었다. 두 사람 모두 다음 성장 단계에서도 에이펙스를 계속 이끌어 나가는 데 대한 기대가 크다.||||에버코어(Evercore Inc.)는 JP 모건(J.P. Morgan) 코웬(Cowen)과 함께 이번 거래의 수석 재무 자문사로 활동했으며 커클랜드 앤 엘리스(Kirkland & Ellis)가 알파인의 법률 자문사로 참여했다. 모리슨 포어스터(Morrison Foerster)는 부채 관련 법률 자문을 맡았다.||||에이펙스 서비스 파트너스 소개||||에이펙스 서비스 파트너스는 주거용 HVAC 배관 및 전기 서비스 그룹으로 세계적 수준의 서비스 제공업체와 협력하여 업계를 선도하는 전국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에이펙스는 리소스 모범 사례 및 전문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강력한 업계 리더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직원의 능력을 활용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고객에게 비교 불가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Apex 서비스 파트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www.apexservicepartners.com 에서 확인할 수 있다.||||알파인 인베스터스 소개||||알파인 인베스터스는 비범한 인재들과 함께 일하고 배우고 발전함으로써 오래 지속되는 기업을 구축하는 데 전념하는 사람 중심의 사모펀드 회사이다. 알파인은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산업에 대한 투자를 전문으로 한다. 알파인의 피플퍼스트(PeopleFirst) 전략에는 인수 후에 경영진의 추가 또는 신규 선임이 필요한 상황에 알파인에서 리더십을 뽑을 수 있도록 허용하는 인재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알파인은 2023년 6월 30일 현재 160억달러의 자산을 운용하고 있으며 샌프란시스코 뉴욕 솔트레이크시티에 3개의 사무소를 두고 있다.[1] 제3자 진술 및 인증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전체 법적 고지와 알파인 오퍼레이션 그룹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www.alpineinvestors.com 및 https://alpineinvestors.com/terms-conditions/ 에서 확인할 수 있다.||||[1]2023년 10월 20일 기준 컨티뉴에이션 펀드에 대한 추가 약정 및 2023년 6월 30일 기준 공정 시장 가치 포함||||사진/멀티미디어 자료: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53680352/en||||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웹사이트: https://alpineinvestors.com/|| 이 보도자료의 영어판 보기||||연락처||알파인 인베스터스(Alpine Investors)||미디어||오드리 해리스(Audrey Harris)||마케팅 책임자||aharris@alpineinvestors.com||||사라 브라운스타인(Sarah Braunstein)||sbraunstein@sloanepr.com||||||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Alpine Investors||||||배포 분야||||IT||소프트웨어||산업||기계/플랜트||투자||해외
Thu, 26 Oct 2023 17:15:00 +0900
-
엔클로니, CPHI 바르셀로나 참가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25일 -- 제약 외관 검사 및 인쇄 겸용 자동화 장비 전문 업체 엔클로니(대표이사 이경호)가 26일(현지 시각)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글로벌 제약·바이오 전시회 ‘CPHI(Convention on Pharmaceutical Ingredients)’에 참여한다고 25일 밝혔다.||||CPHI는 기계 장비 완제의약품 포장 및 약물 운송 원료의약품 부형제 정밀화학제품 등 제약 및 바이오 업계에 관련된 다양한 산업 분야를 다루는 제약 및 바이오업계 최대 박람회로 매년 가을 유럽 주요 도시에서 개최된다. 이번 행사에는 글로벌 150여 개국에서 2500여 개 업체 4만7000여 명의 업계 관계자가 참석한다.||||엔클로니는 이번 행사에 주력 제품인 제약 외관검사 및 인쇄 겸용 장비(PLPI) 등을 선보인다. PLPI는 비전 머신과 레이저를 활용해 정제 외관 검사와 표면 인쇄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자동 선별 및 인쇄 통합 장비로 시간당 35만정의 물량을 처리할 수 있다. 엔클로니는 9월 글로벌 제약 회사 화이자와 이 장비에 대한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성공적으로 수출을 개시한 바 있다.||||이경호 엔클로니 대표이사는 “엔클로니는 창사 이후 매년 CPHI에 참여해 왔다”며 “엔클로니의 자동화 장비는 생산성 향상과 비용 절감 더 빠르고 정확한 품질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이번 전시를 글로벌 시장에 엔클로니 장비의 뛰어난 품질을 알리는 기회로 삼고 글로벌 빅파마 제품 공급 레퍼런스를 기반으로 신규 해외 판로 개척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한편 엔클로니는 2021년 독일 법인 설립에 이어 올해에는 일본에도 현지 법인을 설립하고 활발한 글로벌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이 밖에도 회사는 다양한 글로벌 전시회에 참가하며 업계 내 인지도 강화에 매진하고 있다.||||엔클로니 소개||||2013년 설립된 엔클로니는 의약품 품질 관리를 위한 자동화 검사 장비를 전문으로 개발 및 생산하고 있다. 주력 품목은 제약 외관 자동화 검사 선별 장비 PLANET과 자동 선별 및 인쇄 겸용 장비인 PLPI다. 엔클로니는 뛰어난 기술력을 기반으로 글로벌 빅파마를 고객사로 확보하고 제약 시장에 장비를 공급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www.enclony.com||||||||연락처||엔클로니 홍보대행||서울IR ||김민지 매니저 ||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엔클로니||||||배포 분야||||건강||제약||산업||기계/플랜트||전시/출품||서울||CPHI Worldwide 2023
Wed, 25 Oct 2023 14:44:27 +0900
-
다나까귀금속공업, 귀금속으로만 구성된 세계 최초 고엔트로피 합금 분말 개발 성공
도쿄--(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25일 -- 다나까귀금속그룹의 핵심 기업이자 산업용 귀금속 사업을 전개하는 다나까귀금속공업(본사: 도쿄도 치요다구 대표이사 사장 집행임원: 다나카 코이치로)는 10m 이하의 미세한 입경과 높은 결정성을 겸비하고 조성 균일성이 우수한 귀금속으로 구성된 고엔트로피 합금 분말 개발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이 제품은 백금(Pt) 팔라듐(Pd) 이리듐(Ir) 루테늄(Ru) 로듐(Rh)의 5종류 귀금속으로만 구성된 세계 최초의 고엔트로피 합금 분말로 이미 양산 공정을 확립했으며 10월부터 샘플이 제공될 예정이다.||||다나까귀금속공업은 해당 제품에 사용되는 5종류 이상의 귀금속 합금 분말 자체와 분말 제조 방법을 확립해 2023년 6월에 기본 특허를 취득했다(특허 제7300565호)[1]. 이 제품에 사용되는 귀금속 합금 분말은 내식성 도전성 등은 물론 우수한 귀금속의 특징을 유지한 5종 이상의 귀금속 원소로만 이루어진 합금으로 공업용으로 사용하기 좋은 마이크로 오더[2]의 합금 분말이다. 기존 나노 오더의 귀금속 고엔트로피 합금과 달리 결정자 크기가 커 합금이지만 더 안정적이며 기계적 강도 개선 내식성 향상 열팽창률 제어 등 합금 본연의 요구특성을 만족한다. 또한 합금의 조성 비율에 따라 성질이 크게 달라지는 귀금속 합금의 기능 및 특성 개선에 이바지하리라 기대된다.||||이 제품은 귀금속 합금이 분말 형태로 돼 있어 3D 프린터 조형이나 로드 성형(분말을 굳혀 막대 모양의 소재를 성형하는 것) 각종 회로와 센서에 많이 이용되는 페이스트 형태로 활용할 수 있다. 고엔트로피 합금의 특징인 고강도화 및 고내열성을 살린 촉매나 높은 내구성이 요구되는 전도막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1] 고엔트로피 합금 분말에 대한 2023년 6월 29일 특허 취득 완료(특허 제7300565호). 이 제품에 사용되는 귀금속 합금 분말은 △5종 이상의 귀금속 원소의 합금으로 만든 귀금속 합금 분말 △평균 입경이 10m 이하 △결정 크기가 60nm 이상 △X선 회절 스펙트럼 회절 각도 2θ가 38~44°에서 관찰되는 피크 수가 1개인 경우로 정의한다.||[2] 오더: 물리학 또는 공학 분야에서 수치의 크기를 대략 표현하는 용어. 자릿수나 단위의 정도를 나타낸다.||||산업 사업 글로벌 웹사이트||https://tanaka-preciousmetals.com/kr/||||제품 문의 양식||다나까귀금속공업주식회사||https://tanaka-preciousmetals.com/kr/inquiries-on-industrial-products/||||보도기관 문의처||TANAKA홀딩스 주식회사||https://tanaka-preciousmetals.com/kr/inquiries-for-media/||||고엔트로피 합금||||고엔트로피 합금은 5종 이상의 원소가 동등하게 함유된 합금으로 함유량의 절반을 넘는 주요 원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새로운 카테고리의 금속 재료로 주목받고 있으며 함유된 금속 및 귀금속의 성질에 따라 고강도화 고내열성 등의 특성이 동시에 나타나거나 새로운 특성이 생길 수 있어 전 세계적으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다나까귀금속 그룹 소개||||다나까귀금속 그룹은 1885년 창업 이래 귀금속을 중심으로 한 사업 영역에서 폭넓은 활동을 전개해 왔다. 일본에서 톱클래스의 귀금속 취급량을 자랑하며 오랜 기간에 걸쳐 산업용 귀금속 제품의 제조·판매 및 자산용이나 보석품으로서의 귀금속 상품을 제공하고 있다. 귀금속 분야에 종사하는 전문가 집단으로서 일본 내외의 그룹 각 사가 제조 판매 그리고 기술 개발에 연계 및 협력해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22년도(2023년 3월 말 결산)의 연결 매출액은 6800억엔이며 5355명의 직원이 있다.||||||웹사이트: http://www.tanaka.co.jp||||||||연락처||다나까 홀딩스 홍보대행||JCN Newswire||카즈요 다케다(Kazuyo Takeda)||+81-3-6859-8575||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TANAKA홀딩스||||||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개발||해외
Wed, 25 Oct 2023 11:47:09 +0900
-
사우디 수출입은행-트라피구라, 신용편의 계약 체결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25일 -- 사우디 수출입은행(Saudi Export-Import Bank Saudi EXIM)이 글로벌 원자재 업계 선도 기업인 트라피구라(Trafigura)와 3년간 미화 5억달러 규모의 신용편의 계약을 체결했다.||||이 계약은 제레미 위어(Jeremy Weir) 트라피구라 회장 겸 CEO가 참석한 가운데 나예프 알-샤마리(Naif Al-Shammari) 사우디 수출입은행 부행장과 크리스토프 살몬(Christophe Salmon) 트라피구라 CFO가 서명했다. 계약을 통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생산된 상품의 구매를 활성화하고 트라피구라는 사우디 생산업체를 전 세계 156개 이상의 시장에 연결할 수 있게 된다.||||알-샤마리 박사는 이번 계약에 대해 “이와 같은 신용편의는 사우디 수출의 글로벌 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일환”이라며 “트라피구라와의 협력은 비전 2030(Vision 2030) 목표와 일치하며 사우디와 전 세계 국가의 유망한 투자 및 무역 기회를 창출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이번 전략적 협력은 글로벌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국제 무역을 발전시키는 토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제레미 위어 회장은 “사우디 수출입은행과 사우디에서의 비즈니스 관계를 더욱 발전시킬 중요한 금융 계약을 체결하게 돼 기쁘다”면서 “이를 통해 구리 금 및 다운스트림 제품과 같은 원자재를 생산하는 사우디 생산업체들이 글로벌 시장에 접근할 기회가 더욱 확대될 것이다. 우리는 글로벌 자원 심도 있는 시장 지식 공급망 물류에 대한 전문성을 활용해 이를 촉진할 것”이라고 밝혔다.||||사우디 수출입은행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우디의 비석유 수출을 늘리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금융 서비스 보증 수출 신용 보험을 제공하고 있다.||||사우디 수출입은행 소개||||사우디 수출입은행은 사우디의 비석유 수출을 늘리고 글로벌 시장의 다양한 부문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2020년에 설립됐다. 이는 사우디 제품에 대한 신뢰를 강화하고 2030년까지 비석유 산업의 기여도를 현재 16%에서 50%로 늘리기 위해 금융 서비스 보증 및 신용 보험을 제공해 달성할 계획으로 사우디의 비전 2030의 주요 목표이다. 수출입은행은 사우디 국가개발기금(Saudi National Development Fund)의 감독을 받는 개발기금 중 하나이다.||||연락처:||||* 이메일:info@saudiexim.gov.sa||* 웹사이트:https://saudiexim.gov.sa||* X: @SaudiEXIM||* 링크트인: @SaudiEXIM||||트라피구라 소개||||트라피구라는 30년 전에 설립된 최고 원자재 그룹으로 직원들이 소유하고 있다. 글로벌 공급의 중심에 있는 트라피구라는 필수 자원을 연결해 전 세계를 발전시키고 건설한다. 트라피구라는 인프라 시장 전문성 전 세계 물류 네트워크를 활용해 석유 및 석유 제품 금속 및 광물 가스 전력을 생산지에서 필요한 곳으로 이동시키고 공급망을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하며 지속 가능하게 만드는 강력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트라피구라는 저탄소 경제로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와 기술에 투자하고 있으며 합작 투자 회사인 H2Energy 유럽(H2Energy Europe)과 나라 리뉴어블즈(Nala Renewables)를 통해 이를 지원하고 있다.||||또한 트라피구라 그룹은 종합 금속 생산업체 니르스타(Nyrstar) 연료 저장 및 유통업체 푸마 에너지(Puma Energy) 임팔라 터미널(Impala Terminals) 합작회사 등 산업 자산 및 운영 사업을 보유하고 있다. 당사는 1만20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으며 156개국에서 활동하고 있다.||||웹사이트:www.trafigura.com||||사진/멀티미디어 자료: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53652035/en||||출처:AETOSWire||||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이 보도자료의 영어판 보기||||연락처||사우디 수출입은행(The Saudi Export-Import Bank)||기업 커뮤니케이션||투르키 빈 엠바스(Turki Bin Mgbas) 이사||tmgbas@saudiexim.gov.sa||||사우디 수출입은행||기업 커뮤니케이션 ||tmgbas@saudiexim.gov.sa||||트라피구라||홍보실 ||00410225924528 ||media@trafigura.com||||||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The Saudi Export-Import Bank||||||배포 분야||||금융||은행||산업||소재/금속||제휴||해외
Wed, 25 Oct 2023 10:00:00 +0900
-
엔발리오 DSM, 엔지니어링 소재 내화학성 검증도구 공급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25일 -- 글로벌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공급기업 엔발리오(Envalior)가 사출성형 소재의 내화학성 검증도구를 국내에 공급한다고 밝혔다.||||엔발리오에서 공급하는 사출성형 소재의 내화학성 검증도구는 재료의 내화학성을 신속하게 계산하는 것은 물론 재료가 화학 물질에 장기간 노출됐을 때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인장 강도와 파단신율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또한 유체(글리콜/수성 냉각수)와 접촉하는 재료의 기계적 거동을 시간과 온도의 함수로 예측할 수 있어 과도한 설계 없이 자동차 응용 분야에 가장 적합한 재료 등급을 선택할 수 있다. 재료 노화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노화 후 재료의 기계적 성능이 전기자동차 재료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지도 확인 가능하다.||||전기자동차 애플리케이션에 종종 필요한 저온 및 장기간 노화를 예측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뿐만 아니라 내연기관 차량 냉각 시스템 구성 요소에 사용되는 재료의 내화학성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검증도구를 사용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제품의 등급과 매체(일반적으로 물/글리콜 50:50) 노출온도 테스트 온도만 있으면 된다. 이를 토대로 △시간 경과에 따른 인장 강도 또는 파단 연신율의 변화를 보여주는 시간 종속 그래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원래 속성이 얼마나 잘 유지되는지를 0~100% 범위로 보여주는 유지 그래프 △인장 강도 또는 파단 연신율에 대한 다양한 노화 온도에 대한 반감기 시간을 보여주는 반감기 그래프를 제공한다.||||엔발리오는 내화학성 검증도구를 통한 제품 개발 서비스는 다양한 액체의 화학적 노화를 다루는 대규모 실험 데이터 세트를 기반으로 하는 내화학성 모델을 구성해준다면서 현재 자동차 응용 부품부터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지만 수요에 따라 추가적인 맞춤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엔발리오 소개||||엔발리오는 글로벌 사모펀드 회사인 어드벤트 인터내셔널(Advent International)과 특수 화학제품 회사인 랑세스(LANXESS)의 오너십 아래 DSM 엔지니어링 머티리얼즈(DSM Engineering Materials)와 랑세스 하이 퍼포먼스 머티리얼즈(LANXESS High Performance Materials)의 합작 회사다. 엔발리오는 사업 분야 기업 구성원 등 모든 면이 DSM 엔지니어링 머티리얼즈과 동일하게 운영된다.||||||웹사이트: https://envalior.com/||||||||연락처||엔발리오 홍보대행||크레이지피알||이민호||070-7096-0002||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엔발리오||||||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신상품||서울
Wed, 25 Oct 2023 08:00:00 +0900
-
대웅이엔지, 2023 소부장뿌리 기술대전서 ‘로봇 무인자동화 솔루션’ 공개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24일 -- 대웅그룹의 글로벌 토탈 기술 서비스 전문기업 대웅이엔지(대표 박영호)는 18일부터 20일까지 산업통상자원부가 개최하는 ‘2023 소부장뿌리 기술대전’에 참가해 ‘공장 로봇 무인자동화 솔루션’을 선보였다고 24일 밝혔다.||||소부장뿌리 기술대전은 산업공급망 기업의 주요성과 전시를 통한 비즈니스 협력 교류의 장을 마련하고 글로벌 미래 비전을 제시하기 위한 박람회다. 대웅이엔지는 이번 박람회에서 △AIBOT △AIDA(SCADA) △자동화 시스템 △RPA를 주력으로 소개했다.||||먼저 AIBOT은 다관절 협동 복합 형태의 로봇을 통한 반복적이고 일정한 작업의 자동화가 특징이다.||||AIDA(SCADA)는 작업 현장에 투입된 모든 설비의 실시간 제어·분석 및 데이터를 적재한다.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서는 공장 내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및 품질 최적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RPA는 단순하고 규칙적인 업무를 프로그램이 수행하고 프로세스를 자동화해 업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대웅이엔지 솔루션의 가장 큰 강점은 기존 설비에 최신식 설비를 쉽게 접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 솔루션 도입 시 공장 전체를 업그레이드할 필요 없어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ROI 측면에서 효율이 뛰어나기 때문에 고객사는 합리적인 비용으로 충분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현재 국내 제조업에 필수적인 공장은 산업별 규모별로 다루는 설비와 시스템의 수준이 판이하다. 대웅이엔지의 솔루션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고객이 필요로 하는 공장 소프트웨어와 로봇을 제공해 스마트팩토리 수준을 끌어올리고 실제 생산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첨단산업뿐만 아니라 규모의 크기와 상관없이 낙후된 설비 외산 설비 및 타 업체의 시스템에도 쉽게 연동이 가능하도록 개발돼 범용성이 높다.||||실제 국내 자동화 사업 업계 최초로 대웅이엔지의 AI 기반 레이저 커팅기·레이저 절곡기는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의 AI 실증을 인증받았으며 시설 설계 및 기술검사 서비스 부문에서 한국가치경영인증원(KVM)의 품질경영시스템(9001) 인증을 획득했다. 이 외에 11회 정부 과제 수행을 통해 기술력을 입증한 바 있다.||||대웅이엔지는 향후 대리점 영업을 통한 시스템 판매와 더불어 국내외 스마트 보급 사업 정부 과제에 Nipa 스마트제조혁신단 KIAT 등과 함께 참여해 2030년까지 1000억원 매출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1000억원 규모의 AI 로봇 보급화를 목표로 진행 중에 있으며 일반 프로젝트로도 협동 로봇 플랫폼화 작업과 함께 디지털트윈 플랫폼화 무인 시스템을 연구하고 있다.||||박영호 대웅이엔지 대표는 “대웅이엔지는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외 기업들과 협력하고 스마트팩토리 선진화에 앞장서고 있다”며 “이번 전시회를 통해 대웅이엔지의 기술력을 널리 알려 국내 스마트팩토리 대표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웹사이트: http://www.daewoong.co.kr||||||||연락처||대웅제약 ||홍보실 ||조영득 과장||02-2190-6929 ||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대웅제약||||||배포 분야||||산업||로봇/제어계측||전시/출품||서울||2023 소부장뿌리 기술...
Tue, 24 Oct 2023 10:43:35 +0900
-
롤스로이스, 자사의 최신형 가스터빈과 디젤발전기가 장착된 대한민국 해군의 대구급 신형 호위함 사업 성공적 완료
런던--(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24일 -- 롤스로이스(Rolls-Royce)는 국내업체와의 협업을 통해 함정의 심장인 엔진을 대구급 신형 호위함 사업의 마지막 함정에 공급해 대한민국 해군에 인도 10년간 진행된 FFX 배치 II(Batch II)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밝혔다.||||롤스로이스는 2012년 대한민국 해군의 대구급 신형 호위함 추진체계의 주동력원 공급업체로 선정된 후 8척의 호위함에 MT30 함정용 가스터빈을 공급해 왔다. MT30은 인도 당시와 동일한 최대 파워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작동 편의성과 주당 약 1시간에 불과한 짧은 유지보수 시간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롤스로이스의 대한민국 해군 사업 개발을 총괄하는 이종열 롤스로이스 한국지사장은 “롤스로이스는 FFX 배치 II를 구성하는 8척의 모든 호위함을 위한 MT30 엔진을 단 하루의 지연도 없이 비교적 짧은 기간 안에 인도하고 성공적으로 사업을 완료하게 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며 “롤스로이스는 대한민국 해군의 성공적인 군사 작전과 승조원들의 안전을 기원한다”고 밝혔다.||||롤스로이스는 FFX 배치 II 프로그램 전반에 걸쳐 파트너사인 HD현대중공업(현대 엔진기계사업부 및 특수선사업부) 및 한화오션과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해 왔으며 첫 번째 대구급 호위함은 2018년에 취역했다.||||이종열 지사장은 “오늘날 MT30 가스터빈은 탁월한 성능과 높은 신뢰성을 바탕으로 전 세계는 물론 특히 환태평양 지역의 많은 21세기 전투함에 채택됐다”며 “앞으로도 광범위한 플랫폼과 미래의 요구사항을 지속적으로 충족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MT30 가스터빈은 함정의 하이브리드 전기-기계식 추진체계에서 전기 추진 모터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4대의 롤스로이스 MTU 12V 4000 M53B 디젤 발전기와 함께 고속을 제공하는 부스터 엔진으로 운용된다. 또한 중요 임무 수행 중 함정의 가용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기계적 소음 수준을 대폭 감소시켜 대잠수함전에서 유리한 위치를 유지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MT30 엔진은 미 해군의 프리덤(Freedom)급 연안전투함(Littoral Combat Ship LCS)과 줌왈트(Zumwalt)급 구축함 영국 해군의 퀸엘리자베스(Queen Elizabeth)급 항공모함 이탈리아 해군의 다목적 상륙함(Landing Helicopter Dock LHD) 일본 해상자위대의 모가미(Mogami)급 호위함 등을 비롯해 전 세계 해군의 최신형 함정에 동력을 공급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또한 영국 해군의 시티(City)급 호위함의 동력원으로도 선정됐으며 호주와 캐나다의 글로벌 전함(Global Combat Ship)급 최신함에도 적용돼 있다.||||||웹사이트: https://www.rolls-royce.com/||||||||연락처||롤스로이스 홍보대행||CPR||노지훈 매니저||02-739-7348||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롤스로이스||||||배포 분야||||산업||항공/무기||조선||실적||해외
Tue, 24 Oct 2023 10:14:52 +0900
-
벤틀리시스템즈, 2023 Going Digital 인프라 어워드 우승자 발표
싱가포르--(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24일 -- 인프라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회사인 벤틀리시스템즈(Nasdaq: BSY)는 오늘 2023 Going Digital 인프라 어워드의 우승자를 발표했습니다. 매년 열리는 이 시상식 프로그램은 전 세계의 인프라 설계 건설 및 운영을 발전시킨 벤틀리 소프트웨어 사용자의 놀라운 성과를 기립니다. ||||결선 진출자들은 싱가포르에서 열린 2023 Year in Infrastructure and Going Digital Awards 행사에서 전 세계 언론과 12명의 독립 심사위원단 앞에서 프로젝트를 발표했습니다. 심사위원단은 51개국 235개 이상의 조직에서 출품한 약 300개 이상의 후보 중에서 최종 후보에 오른 36명의 결선 진출자 중 12개 수상 부문의 우승자를 결정했습니다. ||||2023 Going Digital 인프라 어워드의 수상자들은 다음과 같습니다.||||교량 및 터널||WSP Australia Pty Ltd.||Southern Program Alliance||멜버른 빅토리아주 호주||||건설||Laing ORourke||SEPA Surrey Hills 철도 건널목 제거 프로젝트||멜버른 빅토리아주 호주||||기업 공학||Mott MacDonald||UK Water Industry를 위한 인 제거 계획의 납품 표준화||영국||||시설 캠퍼스 및 도시||vrame Consult GmbH||Siemensstadt Square - 베를린의 디지털 캠퍼스 트윈||베를린 독일||||프로세스 및 전력 발전||SHENYANG ALUMINUM & MAGNESIUM ENGINEERING & RESEARCH INSTITUTE CO. LTD. (SAMI)||Chinalco China Resources의 전해 알루미늄 엔지니어링 디지털 트윈 애플리케이션 프로젝트||뤼량 산시성 중국||||철도 및 수송||AECOM Perunding Sdn Bhd ||Johor Bahru-싱가포르 고속 교통 시스템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도로 및 고속도로||I-70 Floyd Hill부터 Veterans Memorial 터널 프로젝트||AtkinsRalis||아이다호 스프링스 콜로라도 미국||||구조 엔지니어링||Hyundai Engineering||STAAD API를 사용한 토목 및 건축 구조물의 설계 자동화||서울 대한민국||||지하 모델링 및 해석||Arcadis||South Dock Bridge||런던 잉글랜드 영국||||조사 및 모니터링||Italferr S.p.A.||성 베드로 대성전의 구조 모니터링을 위한 디지털 트윈||바티칸 시국||||송전 및 배전||POWERCHINA Hubei Electric Engineering Co. Ltd.||셴닝 츠비 500kV 변전소 프로젝트의 전체 수명 주기 디지털 애플리케이션||셴닝 후베이성 중국||||상하수 및 오수||Project Controls Cubed LLC||EchoWater Project||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미국||||Going Digital 인프라 어워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벤틀리시스템즈 소개||||벤틀리시스템즈(나스닥: BSY)는 인프라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회사입니다. 우리는 전 세계 경제와 환경을 유지하는 세계의 인프라를 발전시키기 위한 혁신적인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업계 최고의 소프트웨어 솔루션은 도로 및 교량 철도 및 수송 상하수도 공공 작업 및 유틸리티 건물 및 캠퍼스 광업 및 산업 시설의 설계 건설 및 운영을 위해 모든 규모의 전문가 및 조직에 의해 사용됩니다. 이런 제품에는 인프라 디지털 트윈을 위한 iTwin 플랫폼(MicroStation 포함)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위한 벤틀리 개방형 애플리케이션 Seequent의 지질 전문가용 소프트웨어 Bentley Infrastructure Cloud 프로젝트 납품을 위한 ProjectWise 시공 관리를 위한 SYNCHRO 자산 운영을 위한 AssetWise가 포함됩니다. 벤틀리시스템즈는 194개국에 5000명 이상의 동료가 있으며 연간 10억달러 이상의 매출을 올리고 있습니다. www.bentley.com|||| 2023 Bentley Systems Incorporated. Bentley Bentley 로고 Bentley Infrastructure Cloud Bentley Open AssetWise iTwin LumenRT MicroStation ProjectWise Seequent 및 SYNCHRO는 Bentley Systems Incorporated 또는 직간접적으로 전체를 소유한 자회사의 등록 또는 미등록 상표이거나 서비스 마크입니다. 기타 상표 및 제품명은 각 소유주의 상표입니다.||||||웹사이트: http://www.bentley.com||||||||연락처||벤틀리시스템즈(Bentley Systems Incorporated)||Christine Byrne||+1 203 805 0432||Christine.Byrne@bentley.com||||||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Bentley Systems Incorporated||||||배포 분야||||IT||소프트웨어||산업||기계/플랜트||수상/선정||해외
Tue, 24 Oct 2023 09:40:00 +0900
-
벤틀리시스템즈, 2023년 Going Digital 인프라 어워드 - Founders’ Honors 발표
싱가포르--(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24일 -- 인프라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기업인 벤틀리시스템즈(Bentley Systems Incorporated Nasdaq: BSY)는 오늘 2023 Going Digital 인프라 어워드 Founders Honors를 발표했습니다. 오늘 개최된 2023 Year in Infrastructure and Going Digital Awards 행사에서 15개 프로젝트가 Founders’ Honors의 영예를 안았습니다.||||Greg Bentley와 Keith Bentley는 회사 고위 경영진의 의견을 수렴하여 회사의 2023 Going Digital 인프라 어워드프로그램에 제출된 300개 이상의 후보 중에서 매력적인 프로젝트를 선택했습니다. Greg Bentley Keith Bentley 벤틀리 CSO Katriona Lord-Levins 벤틀리의 이사 Rodrigo Fernandes가 각 프로젝트의 Founders’ Honors로 인정받은 이유에 대해 설명하는 비디오를 시청하려면 링크를 참조하십시오.||||2023 Going Digital 인프라 어워드 - Founders’ Honorees는 다음과 같습니다.||||Benesch||AI/ML 기반 포장 균열 감지||미국||||Collins Engineers Inc.||역사적인 Robert Street Bridge Rehabilitation을 위한 디지털 트윈 및 인공 지능||미니애폴리스 미네소타주 미국||||Contact Energy||타우하라 지열 발전 프로젝트 시추 캠페인||타우포 와이카토 뉴질랜드||||Dublin City University||스마트 더블린 시립대학교 디지털 트윈||더블린 아일랜드||||Kalpataru Power Transmission Limited (KPTL)||카메룬에 225KV 송전선로 2개 및 변전소 2개 건설||카메룬||||Kenya Geological Survey||케냐 전국 항공 지구 물리학 조사||나이로비 케냐||||Kovalska Nerukhomist LLC||Kovalska 디지털화||키예프 우크라이나||||Port Authority of New South Wales||Port Authority of New South Wales : 디지털 혁신 사례 연구||시드니 뉴사우스웨일즈주 호주||||PT Hutama Karya(Persero)||IKN 유료 도로 3A에서 “Nusantara”시의 지속 가능성을 지원하는 지질 공학||발릭파판 동 칼리만탄 인도네시아||||PT. WASKITA Karya (Persero) Tbk||인도네시아의 새로운 수도를 위한 디지털 생태계로 진화||프나잠 파세르 우타라 동 칼리만탄 인도네시아||||Shanghai Investigation Design & Research Institute Co. Ltd. (SIDRI)||Kubuqi 2000MW 태양광 사막화 제어 프로젝트(섹션 I)||오르도스 내몽골 자치구 중국||||Vanasse Hangen Brustlin Inc. (VHB)||모델 기반 설계 - 디지털 납품의 미래를 위한 준비||워터타운 매사추세츠 미국||||WISDRI Engineering & Research Incorporation Limited||Yukun Iron & Steel 작업량 업그레이드 프로젝트의 새로운 용광로 프로젝트||위시 윈난 중국||||WSP Australia ||인프라 프로젝트에 대한 디지털 워크플로 구현||멜버른 빅토리아주 호주||||Yuba Water Agency||불라즈 바 댐||새너제이 캘리포니아 미국||||프로젝트 설명과 이미지를 보려면 Founders’ Honors 웹페이지를 방문하십시오. 모든 출품 프로젝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벤틀리 2023 Infrastructure Yearbook 인쇄판 및 디지털 버전으로 2024년 초에 간행될 예정입니다. 본 출간물의 지난 버전은 Bentley’s Infrastructure Yearbooks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벤틀리시스템즈 소개||벤틀리시스템즈(나스닥 : BSY)는 인프라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회사입니다. 우리는 전 세계 경제와 환경을 유지하는 세계의 인프라를 발전시키기 위한 혁신적인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업계 최고의 소프트웨어 솔루션은 도로 및 교량 철도 및 수송 상하수도 공공 작업 및 유틸리티 건물 및 캠퍼스 광업 및 산업 시설의 설계 건설 및 운영을 위해 모든 규모의 전문가 및 조직에 의해 사용됩니다. 이러한 제품에는 인프라 디지털 트윈을 위한 iTwin 플랫폼(MicroStation 포함)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위한 Bentley Open Application Seequent의 지질 전문가용 소프트웨어 Bentley Infrastructure Cloud 프로젝트 납품을 위한 ProjectWise 시공 관리를 위한 SYNCHRO 자산 운영을 위한 AssetWise가 포함됩니다. 벤틀리시스템즈는 194개국에 5000명 이상의 동료가 있으며 연간 10억달러 이상의 매출을 올리고 있습니다. ||www.bentley.com|||| 2023 Bentley Systems Incorporated. Bentley Bentley 로고 Bentley Infrastructure Cloud Bentley Open AssetWise iTwin LumenRT MicroStation ProjectWise Seequent 및 SYNCHRO는 Bentley Systems Incorporated 또는 직간접적으로 전체를 소유한 자회사의 등록 또는 미등록 상표이거나 서비스 마크입니다. 기타 상표 및 제품명은 각 소유주의 상표입니다.||||사진/멀티미디어 자료: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53594584/en||||본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웹사이트: http://www.bentley.com||||||||연락처||벤틀리시스템즈(Bentley Systems Incorporated)||Christine Byrne||+1 203 805 0432||Christine.Byrne@bentley.com||||||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Bentley Systems Incorporated||||||배포 분야||||IT||소프트웨어||산업||기계/플랜트||수상/선정||해외
Tue, 24 Oct 2023 09:10:18 +0900
-
커넥트팩토리, 시흥시 라이징 스타즈 스타트업 통합 IR 데이에서 중고 산업기계 직거래 플랫폼 ‘파인드머신’ 선보여
시흥--(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23일 -- 커넥트팩토리(대표 강종호)는 10월 16일 시흥시 유망 스타트업 발굴 및 육성을 목적으로 열린 ‘2023 시흥시 라이징 스타즈 챌린지 통합 IR 데이’에서 자사의 중고 산업기계 직거래 플랫폼 ‘파인드머신’을 선보였다고 밝혔다.||||이번 IR 데이는 시흥시 유망 스타트업 발굴 및 육성을 목적으로 시흥산업진흥원이 개최했다.||||서울대학교 시흥캠퍼스 컨벤션홀에서 열린 이번 행사는 개회식 참가 기업 IR 발표 대학과 도시 포럼 취·창업 박람회 등 다채로운 구성으로 진행됐으며 시흥시 관계자 시흥시의원 유관 기관 관계자 기업 관계자 시민 등이 참석해 스타트업에 대한 관심과 응원을 전했다.||||‘라이징 스타즈 챌린지(Rising Stars Challenge)’라는 주제로 개최된 통합 IR 데이는 시흥시 시흥시의회 시흥산업진흥원 시흥창업센터 경기청년협업마을을 포함해 서울대 시흥캠퍼스 창업센터 한국공학대 창업보육센터 경기과기대 창업보육센터 등 관내 창업 지원 기관이 공동 주관하며 창업 7년 미만 콘텐츠 또는 혁신기술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보육센터 입주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본선 진출 및 발표 기업은 △넥스트케이(대표 고현준) △엔바이오셀(대표 정호섭) △로드원(대표 선상원) △엔이엔텍(대표 김선천) △솔루션(대표 김우섭) △JK테크놀로지(대표 김래현) △커넥트팩토리(대표 강종호) △이트렌코텍(대표 민경찬) △이니티움(대표 이영은) △강서물산(대표 서한석) 등 총 10개 기업이 선정됐다.||||심사 결과 대상은 IOT 센서 기반 안전 관제 시스템을 개발한 ‘넥스트케이’ 최우수상은 벌집 형태 플라스틱 구조체인 허니콤 볼라드를 개발한 ‘로드원’ 우수상은 블록식 미디어 컨트롤러 블록 피아노를 개발한 ‘이니티움’이 수상했다.||||수상 기업에는 대상 500만원 최우수상 300만원 우수상 200만원의 상금과 앞으로 수상 기업을 포함해 본선 진출 10개 기업에 대한 시흥창업투자펀드의 투자 심사 대상 특전 및 2024년도 시흥창업센터 지원사업 가산점 부여 사업화 지원금 혜택 등이 제공될 예정이다.||||시흥산업진흥원 유병욱 원장은 “앞으로도 시흥시 관내에 있는 우수 스타트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투자와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시흥시의 새로운 성장 동력인 스타트업의 발굴 및 육성을 위해 스타트업 친화적 생태계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강종호 커넥트팩토리 대표는 “창업 2개월 만의 성과로 대외적으로 우리 기업을 알릴 수 있어 기쁘게 생각한다”며 “우리 기업에 관심을 보여준 투자사 및 시흥산업진흥원 관계사 그리고 행사를 준비하기 위해 노력해주신 관계사분들에게 감사드린다. 서비스 고도화와 사용성을 개선해 가시적 성과를 이른 시간 안에 보여드리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한편 커넥트팩토리의 ‘파인드머신’은 기술특허 3건 등록을 완료했으며 올해 12월 베타 서비스를 통해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커넥트팩토리 소개||||커넥트팩토리는 중고 산업기계의 ‘안심 직거래’라는 핵심 가치를 중심으로 온라인 기술을 활용해 △권리 분석 및 중고 기계 감정평가사를 통한 중고 기계의 가치 평가 기준 확립 △‘중고기계 적정 판매가’ 예측 서비스 및 연식에 따른 시세 정보 수리 내역 등을 쉽게 조회 △구매·설치·납품 및 A/S 안전결제 서비스 저렴한 금융 상품까지 제공하는 플랫폼 서비스 등을 통해 중고 산업기계 유통 시장을 혁신하고자 한다. 시화 MTB 한국기계거래소 시화기계유통단지와 꾸준히 협업해 중고 산업기계 유통 시장의 표준을 만들고 있으며 유통사를 적절히 견제하고 공존하는 건강한 중고 산업기계 유통 시장을 통해 ‘제조강국 대한민국’을 지키는 큰 힘이 될 것이다.||||파인드머신: https://findmachine.kr/||웹사이트: https://www.connectfactory.co.kr||||||||연락처||커넥트팩토리 ||홍보팀 ||안희영 전무 ||070-5030-1845||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커넥트팩토리||||||배포 분야||||경제||중소기업/창업||산업||기계/플랜트||수상/선정||인천/경기
Mon, 23 Oct 2023 12:00:00 +0900
-
현대엘리베이터, 세계 4대 디자인 대회 ‘일본 굿디자인 어워드’ 수상
충주--(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23일 -- 현대엘리베이터가 세계 4대 디자인 대회로 꼽히는 ‘2023 일본 굿디자인 어워드 본상’을 수상했다.||||2022년 11월 출시한 공기제균청정기(PI-DD)는 엘리베이터 내부 층 표시기에 공기살균 및 청정 기능을 결합한 제품으로 타공된 홀 디자인으로 별도의 디스플레이 분리 없이 탑승자나 관리자가 자연스럽게 작동 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디자인했다. 또한 공기 흡입구와 배출구를 상부에 배치해 심미성을 높이고 자석식 커버를 적용해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했다.||||PI-DD를 디자인한 윤학남 현대엘리베이터 디자인연구소 매니저는 “코로나19로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내의 공기 정화 및 살균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다는 점에 착안했다”며 “기존에는 별도의 살균기를 추가로 설치하는 방법이 사용됐으나 PI-DD는 층 표시기에 이를 접목해 공간 효율과 심미성을 높였다”고 설명했다.||||심사단은 공기청정기와 살균기의 수요가 높지만 기존 부착형 제품은 엘리베이터 인테리어 디자인을 해치는 측면이 있었다며 PI-DD는 전체적인 디자인을 해지지 않으면서도 관리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1957년부터 일본산업디자인진흥회가 주최하고 있는 굿 디자인 어워드는 일반 소비재부터 시스템 서비스 건축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역의 디자인 사용성 혁신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대회다. 독일의 레드닷(Red Dot) iF 디자인 어워드 미국의 IDEA와 함께 세계 4대 디자인 어워드로 꼽힌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이번 수상으로 세계 4대 어워드를 모두 석권하는 쾌거를 이뤘다.||||||웹사이트: http://www.hyundaielevator.co.kr||||||||연락처||현대엘리베이터||커뮤니케이션팀||조찬호 부장||02-3670-0673||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현대엘리베이터||||||배포 분야||||산업||기계/플랜트||수상/선정||충북
Mon, 23 Oct 2023 11:20:18 +0900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자동차연구원과 ‘친환경 수소연료전지’ 공동 개발
창원--(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23일 --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한국자동차연구원과 함께 친환경 동력 및 자율주행 등 미래 모빌리티 분야의 핵심 기술 개발에 나선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국내 최대 항공우주·방위산업 전시회인 ‘서울 아덱스(ADEX) 2023’에서 한국자동차연구원과 ‘지상·해양·항공 사업의 상호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양사는 이번 MOU 체결을 통해 △함정 및 친환경 선박 △방산 무기체계 및 전력지원체계 △미래항공모빌리티(AAM) 분야에 적용할 수소연료전지와 자율주행 기술을 공동으로 연구개발 할 계획이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기존 연료전지 시스템의 경량화 및 성능향상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에 적합한 고출력·고에너지밀도 수소연료전지를 개발 중이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은 정부의 수소 모빌리티 정책 및 발전 방향에 맞춰 기업의 사업화를 지원하고 있으며 수소 연료전지시스템과 수소 저장 및 충전 기술 선도를 목표로 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는 “수소연료전지 및 친환경 추진 시스템 개발을 위해 한국자동차연구원과 협력해 민간·국방 분야 미래 기술경쟁력 강화에 이바지할 것”이라고 말했다.||||나승식 한국자동차연구원장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방산 기술과 한국자동차연구원의 미래 모빌리티 연구 개발 역량을 결합해 우리나라 방위산업 경쟁력 강화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웹사이트: https://www.hanwhaaerospace.co.kr/||||||||연락처||한화에어로스페이스||커뮤니케이션팀||김동휘||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한화에어로스페이스||||||배포 분야||||산업||항공/무기||제휴||부산/울산/경남||서울 국제 항공우주 ...
Mon, 23 Oct 2023 10:50:07 +0900
-
소부장 파워, 공급망 강국으로 도약하는 대한민국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20일 -- 산업통상자원부가 개최하는 ‘2023 소부장뿌리 기술대전’이 18일 일산 킨텍스(KINTEX)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올해로 13회째인 ‘소부장뿌리 기술대전’은 그간 국내 최대 규모 B2B(기업 대 기업) 전시회로 자리 잡아왔으며 국내 소부장뿌리산업 진흥과 함께 성장해왔다.||||이날 행사에 참여한 산업통상자원부 이승렬 산업정책실장은 “소부장뿌리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초격차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핵심기술 개발 △글로벌 혁신허브로의 도약을 위한 생산기반 강화 △뿌리산업의 첨단 산업화를 중심으로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강조하고 “소부장뿌리산업 기업인이 함께 힘을 모아 위기에 대응한다면 글로벌 공급망의 주역이 되고 세계시장을 선도할 수 있다”는 축사를 전했다.||||행사 주관 기관인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민병주 원장도 “급변하는 글로벌 공급망에 유연한 대응을 위해 첨단 산업의 초격차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를 위한 소재 부품의 국산화 더 나아가 세계화라는 성과를 거두고 있는 참여 기업들에게 감사드리며 보다 다양한 사업 프로그램을 통해 대한민국 소부장뿌리 기업들의 부흥에 큰 도움을 드릴 것을 약속한다”고 말했다.||||이번 소부장뿌리 기술대전에는 300개 이상 기업이 전시에 참여했다. 유공자 포상 시상식을 비롯해 스토리텔링을 바탕으로 구성한 기업관 특화단지관 으뜸기업관 등 테마관으로 전시 공간이 구성됐으며 세미나 포럼 설명회 등 참관객을 위한 다양한 부대행사가 진행됐다.||||또한 기업들을 위한 기술상담 비즈니스 상담 글로벌 바이어 도슨트 투어를 통해 참가기업을 위한 기업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이를 통해 해외진출 혹은 국내·외 구매정책 등 기업들의 고충과 애로사항에 활로를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2023 소부장뿌리 기술대전 운영사무국은 ‘글로벌’ ‘공급망’ ‘초격차’라는 3대 키워드를 통해 소부장 수요공급 기업간 제품 기술 공유와 성과에 대한 전시를 기획했으며 무엇보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주관하는 ‘붐업 코리아’와 연계 개최해 소부장뿌리산업의 글로벌화를 위한 다양한 활로를 개척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어 일본 바이어 매칭 수출상담관 운영 등 소부장뿌리 기술대전 참가기업들이 붐업 코리아의 진행 프로그램을 통해서도 다양한 글로벌화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고 덧붙였다.||||2023 소재·부품·장비-뿌리산업 발전 유공 포상 시상식||||올해 유공 포상 시상식에서는 총 75명의 인사가 훈·포장 대통령 표창 국무총리 표창 등 정부포상 20건을 포함해 수상했다. 국내기업의 참여 확대를 독려해 대한민국 산업의 성장을 견인하는 소부장뿌리산업 기업들을 위해 마련된 정부 부처의 포상 시상식은 ‘소재·부품·장비 유공자 포상’ ‘뿌리 유공자 포상’으로 구분해 진행됐다. ||||이번 소부장뿌리 기술대전 유공 포상 시상식에는 산업통상자원부 이승렬 산업정책실장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민병주 원장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전윤종 원장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이상목 원장 한국소재부품장비투자기관협의회 정해권 부회장 장은공익재단 오세종 이사장 KINTEX 류재원 사업부사장 KOTRA 정외영 혁신성장본부장 외 지자체 단체장 등이 참여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소재·부품·장비 유공자 포상||||· 대통령 표창(5) : 에스앤티다이내믹스 엘지이노텍 한화솔루션 삼화전기 윈텍오토메이션||· 국무총리표창(6) : 씨티에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코미코 피피아이파이프삼성디스플레이 광덕에이앤티||· 장관표창(30) :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외 29개 수상자||||◇ 뿌리 유공자 포상||||· 대통령 표창(2) : 삼우코리아 오토닉스||· 국무총리표창(2) : 우석엔프라 한스머티리얼즈||· 장관표창(25) : 아성크린후로텍 외 24개 수상자||||2023 소부장뿌리 기술대전 운영사무국 소개||||‘2023 소부장뿌리 기술대전’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한국소재부품장비투자기관협의회(KITIA) 킨텍스가 공동으로 주관하며 장은공익재단 후원으로 매년 개최되고 있다. 약 300개 기업이 전시 참여 첨단·소부장 특화단지관을 비롯해 테마관 상담관 7대 분야별 기업관으로 구성된 스토리텔링형 전시관을 구성하며 다양한 부대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www.techinsideshow.kr/2023/||||||||연락처||2023 소부장뿌리 기술대전||운영사무국||김진학 차장||070-4699-0901||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2023 소부장뿌리 기술대전 운영사무국||||||배포 분야||||산업||기계/플랜트||소재/금속||전시/출품||서울||2023 소부장뿌리 기술...
Fri, 20 Oct 2023 14:30:00 +0900
-
앨리슨 트랜스미션, 폴란드 국영 방산그룹 PGZ와 파트너십 체결
인디애나폴리스 인디애나--(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20일 -- 앨리슨 트랜스미션은 폴란드 방위산업 업체들의 지주회사이자 국영 방산그룹인 PGZ(Polska Grupa Zbrojeniowa)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앞으로 방산 제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유럽 전 지역으로 앨리슨의 공급망을 확대하기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또한 앨리슨은 폴란드의 전술용 궤도차량의 변속기에 대한 기술지원과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세바스찬 흐바웨크(Sebastian Chwalek) PGZ 대표(CEO)는 “우리는 폴란드 국방 현대화를 촉진하기 위해 전략적 제휴를 계속 넓혀가고 있다”며 “전장에서 전술용 궤도차량 및 추진솔루션의 명성이 입증된 앨리슨 트랜스미션과 협력할 기회가 생겨 기쁘다”고 말했다.||||폴란드는 지역 안보 상황에 대응하고 국방력을 강화하기 위해 수천 대의 무한궤도 전투차량을 배치하고 있다. 앨리슨은 에이브람스 탱크 K9 자주포 크랩 자주포 등에 탑재된 추진시스템을 제조하고 공급하고 있다. 폴란드는 이미 수백 대의 에이브람스 탱크와 수백대의 자주포 구매 계약을 체결했으며 PGZ는 최근 1000대 이상의 보르숙 장갑차 계약을 수주한 바 있다.||||다나 피타드(Dana Pittard) 앨리슨 트랜스미션 방산 비즈니스 부사장은 “앨리슨은 세계적 수준의 자주포와 여러 무한궤도 전투차량의 추진솔루션에 대한 유지보수와 지원을 폴란드의 PGZ 및 자회사들과 협력할 수 있게 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PGZ는 이번 업무협약에 따라 앨리슨의 폴란드 및 유럽의 궤도형 전술차량 추진솔루션 공급망 강화를 위해 앨리슨이 WZM(Wojskowe Zakłady Motoryzacyjne)을 포함한 50개 이상의 회사들을 자사의 공식 대리점 및 딜러 네트워크에 통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앨리슨 트랜스미션의 방위산업 변속기 제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웹사이트: http://www.allisontransmission.com||||||||연락처||앨리슨 트랜스미션 코리아 홍보대행||웨버 샌드윅||송충현 이사||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앨리슨 트랜스미션||||||배포 분야||||산업||항공/무기||자동차||부품/정비||제휴||해외
Fri, 20 Oct 2023 10:15:55 +0900
-
대한전선 ‘SIEF 2023’ 전시회에서 해저케이블 등 전략 제품 선보여
안양--(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20일 -- 대한전선이 전력 분야 전시회에서 우수한 기술력과 경쟁력을 선보였다.||||대한전선(대표이사 송종민)은 10월 18일부터 20일까지 3일간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3 한국전기산업대전 & 한국발전산업전(SIEF & PGK : Seoul International Electric Fair & Power Generation Korea)’에 참가했다고 밝혔다.||||이 전시회는 송배전 등 전력 공급에 필요한 기자재와 신재생 에너지 관련 기자재 등을 전시하는 행사로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전기산업진흥회 한국전력공사 등이 공동 주관한다. 올해의 주제는 ‘Net-Zero 시대를 여는 에너지 기술’로 역대 최대 규모인 600개 부스를 운영했다.||||대한전선은 ‘케이블&솔루션의 현재와 미래’라는 콘셉트 하에 △전력케이블 △해저케이블 △통신케이블 △전력기기 등 네 가지 테마로 부스를 구성해 차세대 전략 제품을 대거 선보였다. 각각의 공간에는 주요 제품을 전시하고 제품 및 솔루션의 자세한 정보와 성공사례 등을 확인할 수 있는 키오스크를 전면에 배치해 방문객의 이해를 도왔다.||||특히 해저케이블 공간에서는 당진 해저케이블 공장의 건설 현황과 단계별 투자 계획 등을 소개하고 서남해 해상풍력 등 국내외 프로젝트에 공급한 다양한 해저케이블을 전시했다. 도체 단면적 3000SQ(㎟) 허용 온도 90℃ 조건에서 국내 최초로 국제 공인 인증을 획득한 525kV 전압형 HVDC 케이블과 500kV 전류형 HVDC 케이블도 공개했다. 이외에도 당진공장 배경의 포토박스를 설치하고 연계 이벤트를 진행해 방문객들의 관심을 끌었다.||||송종민 부회장은 개막식 등의 공식행사에 참석하고 마케팅 부문 및 기술연구소의 임직원과 함께 전시장을 둘러보며 고객들과 소통했다. 대한전선은 국내에서 개최되는 전력 및 에너지 분야의 최대 전시회에서 최신 산업 동향을 살피고 국내외 시장 지위를 공고히 하겠다는 전략이다.||||||웹사이트: http://www.taihan.com||||||||연락처||대한전선 ||홍보팀 ||김용건 대리 ||02-316-9293 ||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대한전선||||||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중전기||전시/출품||인천/경기||2023 한국전기산업대...
Fri, 20 Oct 2023 09:10:49 +0900
-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대한항공, 항공우주산업 분야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 스타트업 모집
인천--(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19일 --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센터장 이한섭 이하 인천센터)는 ‘대한항공 항공우주분야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에 참여할 스타트업을 모집한다.||||이번 프로그램은 대한항공과 기술 협력이 가능한 항공우주분야 파트너를 발굴하고 혁신적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 지원을 목적으로 한다.||||모집 분야는 무인기 영상인식 또는 자율비행 관련 기술이나 자동화 생산기술 분야며 이런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 또는 중소기업이 지원할 수 있다. 모집 규모는 총 2개사 내외다.||||선발 기업에는 대한항공과 협업을 통한 액셀러레이팅 및 개념 검증(PoC) 기회 등이 제공된다. 또 인천센터의 보육 기업 등록 및 투자·팁스(TIPS) 검토 등 센터가 추진하는 후속 프로그램도 연계해 제공할 예정이다.||||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10월 31일까지 신청서 및 사업계획서 등을 이메일로 보내면 된다. 자세한 사항은 센터 홈페이지(https://ccei.creativekorea.or.kr/incheon)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사업설명회는 10월 24일 오후 서울 중구 한진빌딩 26층 그랜드홀에서 진행되며 참가 신청은 구글 폼(https://naver.me/GOz23Xyr)으로 하면 된다.||||이한섭 센터장은 “이번 사업은 항공우주 분야에서 잠재력 있는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이 대기업과 협력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며 “대한항공과 동반 성장하며 새롭게 도약하기를 희망하는 스타트업의 많은 지원을 바란다”고 말했다.||||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소개||||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는 인천의 우수한 인적 인프라 지리적 강점을 바탕으로 인천광역시와 KT 한진과의 협업을 통해 첨단 ICT 기반 신산업 창출 및 스마트 물류 벤처 육성을 추진하고 글로벌 시장으로 스타트업이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 역할을 하고 있다. 또 팁스(TIPS) 운영사로 선정돼 우수한 스타트업을 발굴해 육성하고 투자 유치까지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s://ccei.creativekorea.or.kr/incheon...||||||||연락처||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창업본부 사업기획팀||이화영 매니저||032-458-5022||이메일 보내기 ||||신청서 사업계획서 접수||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배포 분야||||경제||중소기업/창업||산업||항공/무기||공모/모집||인천/경기
Thu, 19 Oct 2023 16:00:00 +0900
-
록히드마틴, 켄코아 에어로스페이스와 C-130J 슈퍼 허큘리스 글로벌 공급망 지원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
베데스다 메릴랜드--(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19일 -- 록히드마틴이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서울 ADEX)에서 항공우주산업 파트너사인 켄코아 에어로스페이스와 C-130J 슈퍼 허큘리스의 글로벌 공급망 지원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9일 발표했다.||||이번 MOU 체결은 방위사업청이 주관하는 대형수송기 2차 도입 사업에 기여하겠다는 록히드마틴의 약속을 의미한다. 록히드마틴은 대형수송기 2차 도입 사업에 C-130J 슈퍼 허큘리스 전술 수송기를 제안했다. C-130J-30과 C-130H를 포함한 C-130 자산은 아시아 지역 내에서 가장 큰 규모로 활발하게 운용되는 가운데 대한민국 공군 또한 C-130 자산 운용군으로서 입지를 공고히 할 것이다.||||록히드마틴 항공 기동 및 해상 임무 해외사업 개발 부문 부사장 토니 프리즈는 “록히드마틴과 켄코아 에어로스페이스 간 업무협약은 C-130J 슈퍼 허큘리스를 포함한 당사의 주요 안보 및 방위 프로그램 지원과 대한민국 산업과의 파트너십 여정을 지속하는 노력”이라며 “C-130J는 세계적인 수송기이며 대한민국 산업 파트너와의 글로벌 공급망은 이러한 명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대한민국과의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켄코아 에어로스페이스는 이번 MOU를 통해 록히드마틴과의 파트너십을 맺음으로써 C-130J의 주요 부품을 생산하게 된다. 켄코아 에어로스페이스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글로벌 시장에 납품되는 C-130J의 여러 하위 부품 생산을 담당하게 된다. 이는 기술 및 노하우 이전 투자 제조 및 수출을 포함하는 고부가가치 프로그램이다.||||켄코아 에어로스페이스는 대한민국 사천에 위치한 중소기업으로 우주 및 항공기 플랫폼용 금속 부품 제조를 전문으로 하는 기업이다. 켄코아 에어로스페이스의 미국법인인 켄코아 USA는 현재 록히드마틴의 C-130 F-16 F-35 등의 항공기 부품 제작 등 록히드마틴의 여러 프로젝트를 우수 공급업체로써 오랜 기간 참여해왔다.||||켄코아 에어로스페이스 이민규 대표는 “켄코아 에어로스페이스는 다수의 항공우주 해외사업 진행 경험과 전략적인 사업 활동을 통해 10년이 채 안 되는 단시간 안에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항공우주 기업으로 자리 잡았다”며 “켄코아 에어로스페이스와의 파트너십은 록히드마틴이 한국 시장에 확장하는데 중요한 연결고리가 될 것이며 켄코아 에어로스페이스는 이 사업을 통해 진입장벽이 높은 미국 방산 시장의 수출 물량을 대량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국내 항공기 제작 능력 향상에 더욱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대한민국 공군은 2014년에 슈퍼 허큘리스를 도입해 총 4대의 C-130J-30을 보유하고 있다. 이후 대한민국 공군 대원들은 대한민국 아시아 전역 및 전 세계에서 평화 유지 인도주의 재난 대응 군사 및 훈련 임무를 지원하기 위해 C-130J-30을 운용하고 있다.||||C-130J 추가 도입은 대한민국 공군에게 향상된 임무 수행 능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미군 및 인도 태평양 지역 내 C-130J 운용군과의 원활한 상호운용성을 지원할 것이다.||||C-130J 슈퍼 허큘리스는 전술 공수 분야에서 전 세계가 선택한 기종으로 21개국 25개 군에서 운용 중이다. 현재까지 525대 이상의 C-130J가 인도됐으며 슈퍼 허큘리스는 18가지의 다양한 임무 요구 사항을 지원할 수 있는 독보적인 성능을 자랑한다.||||더욱 자세한 정보는 록히드마틴 C-130J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록히드마틴 소개||||록히드마틴은 메릴랜드 베데스다에 위치해 있는 글로벌 안보 및 항공우주 기업으로 전 세계적으로 약 11만6000명의 임직원들과 함께 첨단 기술 제품 서비스의 연구 개발 디자인 생산 통합 및 지속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록히드마틴 관련 소식은 X(구 트위터) @LMNews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웹사이트: http://www.lockheedmartin.com|| 이 보도자료의 영어판 보기||||연락처||록히드마틴 홍보대행||KPR||박재민 대리||02-3406-2117||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록히드마틴||||||배포 분야||||산업||항공/무기||제휴||해외||서울 국제 항공우주 ...
Thu, 19 Oct 2023 15:34:46 +0900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영국 VA사와 2400억원 규모 공급 계약 체결
창원--(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19일 --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국내 최대 항공우주·방위산업 전시회인 ‘서울 아덱스(ADEX) 2023’에서 글로벌 도심항공교통(UAM) 전문기업인 버티컬에어로스페이스(VA)와 약 2356억원의 부품 계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번 계약으로 VA의 전기수직이착륙기(eVTOL)인 4인승 VX4에 적용되는 ‘틸팅&블레이드 피치 시스템(Tilting&Blade Pitch System)’을 2036년까지 공급한다.||||해당 시스템은 모터의 동력을 프로펠러로 전달하고 UAM의 비행 방향과 추력을 조정해 수직이착륙 및 수평 이동이 모두 가능하게 하는 UAM의 핵심 부품이다.||||앞서 양사는 지난해 8월 전기에너지를 이용한 모터의 회전 동력으로 UAM의 동작을 제어하는 약 2192억원의 전기식작동기(EMA)의 개발 및 공급 계약을 맺었다. 이번 계약은 VA사가 기존 EMA와 함께 추가적인 부품 공급을 요구하면서 통합 계약 형태로 이뤄지면서 총 계약 금액은 약 4548억원에 이른다.||||VA는 2026년 상용화를 목표로 VX4를 개발 중이다. 이미 글로벌 항공 운항 업체들로부터 현재 1450대 이상의 사전 주문 물량도 확보했다.||||문승학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전기추진체계사업부장은 “EMA에 이어 틸팅&블레이드 피치 시스템의 추가 계약은 UAM 핵심부품 개발 및 생산능력을 글로벌 업체로부터 인정받은 것으로 미래 모빌리티 분야의 핵심 부품에서 압도적 경쟁력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웹사이트: https://www.hanwhaaerospace.co.kr/||||||||연락처||한화에어로스페이스||커뮤니케이션팀||김동휘||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한화에어로스페이스||||||배포 분야||||산업||항공/무기||수주||부산/울산/경남||서울 국제 항공우주 ...
Thu, 19 Oct 2023 10:44:19 +0900
-
지아이텍 ‘소재·부품·장비 산업발전유공’ 관련 장관 표창 수상
아산--(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19일 -- 2차전지 부품 전문 기업인 지아이텍(대표이사 이인영)은 18일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2023년도 소재·부품·장비 산업발전유공’ 부문 장관표창을 수상했다고 밝혔다.||||산업통상자원부는 소재·부품·장비 뿌리 산업의 중요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관련 종사자의 사기진작 및 기술혁신 의지를 고취하기 위해 해당 분야에 기여한 기업 및 유공자를 대상으로 매년 포상제도를 시행해오고 있다.||||이번 지아이텍의 수상 사유는 ‘초정밀가공기술을 접목한 슬롯다이헤드 생산을 통한 디스플레이 및 이차전지 산업발전 기여와 차세대 코팅시장의 경제발전에 기여’한 것이 공적사항으로 반영된 이유이다.||||이날 수상자로 나선 지아이텍 이상권 사장은 “해당 표창을 받게 된 것은 지아이텍 전 임직원들이 기술개발과 생산을 위해 밤낮으로 힘쓴 결과”라며 “앞으로도 지아이텍과 대한민국 부품산업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지아이텍은 최근 급변하는 이차전지 산업 트랜드에 맞춰 해당 기술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더 나은 제품을 생산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을 추진할 방침이다.||||||웹사이트: http://www.gitec.kr/||||||||연락처||지아이텍||재무팀||유호성 과장||041-543-1301 ||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지아이텍||||||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수상/선정||대전/충남
Thu, 19 Oct 2023 10:40:18 +0900
-
세아창원특수강 ‘2023 소부장 뿌리기술대전’ 참가 특수강·특수금속 소재 국산화 총력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19일 -- 세아창원특수강(대표이사 이상은·이정훈)이 반도체 수소 등 첨단산업 전반에 적용되는 특수강·특수금속 소재 국산화에 총력을 기울인다. 세아창원특수강은 ‘2023 소재·부품·장비 뿌리기술대전’에 참가해 그동안 해외 수입에 의존하던 다양한 소재들의 국산화 기술을 선보인다고 19일 밝혔다.||||세아창원특수강은 이번 전시회에서 반도체 공정 내 가스의 이송·분배 라인에 사용되는 스테인리스 316L 봉강 및 무계목강관을 선보였다. 반도체 공정가스 라인에 적용되는 특수강은 가스의 높은 순도를 유지할 수 있는 고청정 성질과 가스가 누출되지 않도록 고내마모성이 요구되는 고부가가치 소재로 일본 수입 의존도가 90% 이상인 소재이다. 세아창원특수강의 스테인리스 316L 소재는 내수소취성이 뛰어나서 향후 지속 성장이 기대되는 수소산업 내 수소의 이송·저장 소재로도 적용 범위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특히 세아창원특수강은 다양한 클래드 제품의 소재 기술을 소개하며 관람객들의 관심을 모았다. 클래드 제품은 두 가지 이상의 이종 금속의 장점들만을 결합한 특수금속 접합 기술로 금속 간 성질에 대한 이해 및 노하우를 기반으로 전략적 파트너십이 중요한 분야이다. 그동안 클래드 제품 소재를 전적으로 해외에서 수입하며 클래드 제품 기술의 국산화에 제약이 많았으나 세아창원특수강이 클레드 제품 소재 국산화에 나서며 클래드 후판 등 다양한 클래드 제품 개발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실제로 세아창원특수강은 동국제강과 협업해 생산한 클래드 후판을 별도의 전시 부스 공간을 마련해 소개하고 성일터빈 등 6개 기관과 공동 개발 중인 클래드 가스 터빈 블레이드 제품의 소재인 니켈계열 초내열합금 개발에도 나서고 있다.||||세아창원특수강 채민석 기술연구소장은 “철강금속산업도 차별화된 선도기술을 응용한 첨단제품 개발이 필요한 시기이다”라며 “다양한 분야의 기술 협력과 새로운 아이디어 접목을 통해 제품 국산화를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특수금속 신소재 개발에도 주력하겠다”고 밝혔다.||||||웹사이트: http://www.seah.co.kr||||||||연락처||세아홀딩스 ||커뮤니케이션실||이성규 수석||02-6970-0092||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세아홀딩스||||||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전시/출품||서울||2023 소부장 뿌리기술...
Thu, 19 Oct 2023 10:28:40 +0900
-
한화시스템, 콜린스 에어로스페이스와 SATURN 면허생산 계약 체결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19일 -- 한화시스템(대표이사 어성철)이 글로벌 항공우주 체계 전문기업 콜린스 에어로스페이스(Collins Aerospace)와 공지통신무전기 성능개량(SATURN) 사업 추진을 위한 면허생산계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공지(空地)통신무전기 성능개량은 무선통신의 발달로 빠르게 진화하는 재밍(jamming·전파방해) 기술에 대응하기 위해 2028년까지 우리 군의 육·해·공군 항공 전력에 성능이 입증된 차세대 무전기를 장착하는 사업이다. 한화시스템은 5월 958억 규모의 ‘공지(空地)통신무전기 성능개량 사업’을 수주한 바 있다. ||||이번 계약은 한화시스템이 연합군 전력과 동일한 SATURN 무전기를 완전조립생산(CKD·Complete Knock Down) 하도록 콜린스 측이 생산기술 이전 및 현지 생산 면허를 제공하는 것이다. 콜린스가 미국 외 해외에서 CKD 설비 체계를 구축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CKD는 수출 제품을 완제품이 아닌 개별 부품 단위로 제공해 수입국 현지 공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현지 생산라인 구축이 필수로 요구된다. ||||이번 계약을 통해 한화시스템은 콜린스의 조립 생산 노하우를 확보해 향후 전술통신 분야 기술력을 확장시켜 나가고 콜린스는 한화시스템을 NATO(북대서양조약기구)의 아시아 거점 협력 파트너로 선택해 아시아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대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s://www.hanwhasystems.com/kr/index.d...||||||||연락처||한화시스템||커뮤니케이션팀||김수진 과장||02-729-2141||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한화시스템||||||배포 분야||||IT||통신||산업||항공/무기||제휴||서울
Thu, 19 Oct 2023 10:16:19 +0900
-
대한전선, 미국 뉴저지 주의 전력망 주요 공급자로 인증 받아
안양--(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19일 -- 대한전선이 미국 전력망 시장의 주요 공급자로서 입지를 공고히했다.||||대한전선(대표이사 송종민)은 미국 에너지 회사인 PSEG로부터 뉴저지 주의 전력망 주요 공급자로 인증받았다고 19일에 밝혔다. PSEG(Public Service Electric and Gas Company)는 미국 동부 뉴저지 주에 120년간 전기와 가스를 공급해 온 뉴저지 최대 규모의 에너지 회사로 미국의 전체 전력회사 중에서도 손에 꼽히는 대규모 기업이다.||||인증 행사는 18일 여의도의 콘래드 호텔에서 진행됐으며 PSEG의 CEO인 랄프 라로사(Ralph LaRossa)와 필 머피(Phil Murphy) 뉴저지 주지사 호반그룹 김선규 회장 대한전선 초고압 부문장과 해외 사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이번 행사는 머피 주지사가 경제 사절단과 함께 한국을 방문한 것을 계기로 이뤄졌다. 머피 주지사는 뉴저지 주정부 산하의 투자 유치 기관(Choose NJ)이 주관하는 동아시아 경제 미션(East Asia Economic Mission) 사절단을 이끌고 한국과 일본 등을 순방 중이다.||||머피 주지사는 기념사에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여러 산업에 공급망 혼란이 있었지만 대한전선과의 공고한 파트너십으로 뉴저지의 전력망은 매우 안정적이었다”며 “대한전선의 기여에 깊은 감사를 드리며 이번 경제사절단 방문으로 우리의 파트너십이 얼만큼 성장했는지 살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대한전선은 PSEG와 올해 6월에 최장 7년 동안 전력 케이블을 납품할 수 있는 장기 계약을 체결하고 뉴저지에 신규 공급을 이어가고 있다. 이번 인증식은 이 장기 계약을 계기로 대한전선을 뉴저지에 전력망을 공급하는 주요 기업으로 인증하는 동시에 향후에 지속적으로 다양한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한다는 의미에서 준비됐다.||||뉴저지는 2035년까지 100% 청정에너지로의 전환을 목표로 광범위한 전력 인프라 구축 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대한전선의 사업 참여 및 미국 시장에서의 시장 확대가 기대된다.||||김선규 호반그룹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대한전선 모든 구성원들은 완벽한 제품과 서비스를 적기에 공급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며 “이를 통해 뉴저지의 전력망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어 영광이며 향후에도 뉴저지에서 진행될 다양한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대한전선은 2000년대 초 미국 법인을 설립해 첫 진출한 이후 2017년 뉴저지에 동부지사를 추가 설립하며 북미 지역의 시장 확대를 도모해 왔다. 기술 제안에 기반을 둔 사전 영업과 현지 밀착 대응을 통해 미국과 캐나다 등 북미 전역의 전력망 공급자로서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다. 그 결과 지난해에는 연간 누적 수주액이 3억달러를 돌파하며 미국 진출 이후 최고의 성적을 거뒀다.||||||웹사이트: http://www.taihan.com||||||||연락처||대한전선 ||홍보팀 ||김용건 대리 ||02-316-9293 ||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대한전선||||||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중전기||수상/선정||인천/경기
Thu, 19 Oct 2023 09:25:47 +0900
-
탈레스, 기업용 패스워드리스 지문 인증 기능 출시
뫼동 프랑스--(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18일 -- 선도적인 글로벌 기술 및 보안 제공업체인 탈레스(Thales)는 기업을 위한 강력한 다단계 인증(MFA) 기능을 지원하는 보안 키인 세이프넷 IDPrime(SafeNet IDPrime) FIDO 바이오 스마트카드를 발표했다. 이 새로운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비밀번호 대신 지문을 사용하여 회사 장치 애플리케이션 및 클라우드 서비스에 빠르고 안전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2023년 버라이즌 데이터 침해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공격자가 조직에 침투하는 세 가지 주요 방식은 자격 증명 도용 피싱 취약점 악용이다. 실제로 전체 위반 사례 중 49%가 자격 증명 도난과 관련이 있었다. 클라우드로 이동하는 조직은 이러한 위협을 최우선 과제로 생각하고 있으며 많은 기업은 종종 번거롭다고 평가되는 MFA의 낮은 사용자 채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세이프넷 IDPrime FIDO 바이오 스마트 카드는 최종 사용자의 패스워드리스 MFA 채택을 촉진하여 사용자가 생체 인식을 사용하여 쉽게 등록하고 인증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패스워드를 사용하는 대신 카드에 내장된 센서를 사용해 지문으로 액세스할 수 있다. 스마트 카드는 비접촉식 기능도 지원하므로 사용자는 NFC를 지원하는 모든 장치에서 카드를 탭하기만 하면 된다. 기업 사용자의 경우 이 스마트 카드는 기존 패스워드보다 더 나은 속도 보안 편의성을 포함한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한다.||||이러한 보안 키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기업 장치의 계정 탈취 및 피싱으로부터 강력한 보호를 받을 수 있다. 사용자 생체 인식은 카드 칩에 안전하게 저장되며 스마트 카드 자체를 떠나지 않으므로 강력한 수준의 데이터 개인 정보 보호가 보장된다. 이 솔루션은 Windows Mac Linux 등을 포함하여 FIDO2 표준을 지원하는 모든 디지털 리소스에 사용할 수 있다.||||탈레스는 생체 인식 분야의 시장 선두주자로서 규제가 엄격한 부문에서 비접촉식 생체 인식 결제 카드로 성공을 입증했다. 세이프넷 ID프라임 FIDO 바이오 스마트 카드의 추가는 기존 FIDO 보안 키 포트폴리오를 더욱 강화하여 이제 기업 고객에게도 동일한 보안 생체 인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탈레스 ID 및 액세스 관리 제품 부사장 대니 드 브리즈(Danny de Vreeze)는 “원격 작업으로의 전환과 클라우드로 인해 많은 조직의 공격 표면이 확대되면서 인적 요소는 현대 기업에서 계속해서 어려운 문제가 되고 있다. MFA 채택은 많은 사용자가 채택을 번거롭게 생각하고 우회하기 때문에 보안을 보장하는 데 있어 일반적인 장벽이었다. 세이프넷 IDPrime FIDO 바이오 스마트 카드는 물리적 폼팩터를 도입하여 보안을 강화하는 동시에 빠르고 원활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 FIDO 지원 보안 키 및 솔루션의 강력한 포트폴리오에 추가된 이 제품은 피싱 방지 인증의 최첨단에 있다”고 말했다.||||탈레스 세이프넷 IDPrime FIDO 바이오 스마트카드는 오늘부터 구매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탈레스 소개||||탈레스(유로넥스트 파리: HO)는 국방 및 안보 항공 및 우주 디지털 신원 및 보안의 세 가지 영역에서 첨단 기술 분야의 글로벌 리더이다. 탈레스는 세상을 더 안전하고 친환경적이며 포용적으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제품과 솔루션을 개발한다.||||이 그룹은 연구 개발 특히 양자 기술 에지 컴퓨팅 6G 및 사이버 보안과 같은 핵심 분야에 연간 약 40억유로를 투자한다.||||탈레스는 68개국에 7만7000명의 직원을 두고 있다. 2022년에 이 그룹은 176억유로의 매출을 올렸다.||||웹사이트:||||탈레스 그룹||||클라우드 보호 및 라이선싱 솔루션 | 탈레스 그룹||||사이버 보안 솔루션 | 탈레스 그룹||||||웹사이트: https://www.thalesgroup.com/en|| 이 보도자료의 영어판 보기||||연락처||탈레스(Thales) ||미디어 홍보||보안 및 사이버 보안||마리온 보네(Marion Bonnet)||+33 (0)6 60 38 48 92||marion.bonnet@thalesgroup.com||||||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Thales||||||배포 분야||||IT||보안||산업||항공/무기||신상품||해외
Wed, 18 Oct 2023 18:00:00 +0900
-
동국제강, 세아제강·세아창원특수강과 ‘클래드 후판’ 공급 활성화 MOU 체결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18일 -- 동국제강이 18일 세아제강 및 세아창원특수강과 ‘Ni Alloy 및 Clad Plate 시장 진출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3사는 경기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18일부터 20일까지 개최되는 ‘2023 소부장 뿌리기술대전’에 합동 부스를 구성해 참여하고 첫날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며 상호 간 협력을 약속했다.||||클래드는 서로 다른 금속을 결합해 각 금속의 장점을 취하는 접합 기술이다. 클래드 후판은 화학·정유산업에서 기체와 액체를 보관·이동할 때 쓰이는 고강도·내부식성 압력용기 및 라인파이프 제작에 사용된다. 국내 수요는 연 1만5000톤에서 2만톤 수준이나 대부분 수입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납기 및 품질이 우수한 국산 제품에 대한 수요는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이번 MOU는 고부가 강재 ‘클래드 후판’ 안정적 공급망을 구축함에 의미가 있다. 클래드 후판은 국내 공급 가능한 철강사가 없어 전량 수입에 의존해 왔지만 2020년부터 3년간 동국제강·세아제강· 세아창원특수강 및 15개 산학연관 기관들이 소재 부품 기술개발 관련 정부 과제를 수행해 국산화에 성공한 제품이다.||||동국제강은 강종 국산화를 마무리하고 한발 더 나아가 시장 안정화를 추진하기 위해 소재 공급사인 세아창원특수강·제품사인 세아제강과 양해 각서를 체결했다. 3사의 핵심 기술을 결합해 새로운 밸류체인을 구축하겠다는 복안이다.||||이번 협약을 통해 세아창원특수강은 고내식성 클래드 후판 생산을 위한 고품질 소재(슬라브)를 동국제강에 납품하고 동국제강은 이를 클래드 후판으로 압연해 세아제강에 제공하며 세아제강은 클래드 내식강관 제품을 제조하게 된다.||||당일 체결식은 김지탁 동국제강 당진공장장(상무) 이권한 세아제강 SP영업 부문장(이사) 채민석 세아창원특수강 기술연구소장(전무) 등 이해 관계자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했다.||||체결식에서 김지탁 공장장은 “우수한 원천 기술이 한데 모여 시너지 효과가 날 것으로 기대한다”며 “소재 국산화에 이어 수출까지 실현할 수 있도록 함께 협력해 가자”고 말했다.||||||웹사이트: http://www.dongkuk.co.kr||||||||연락처||동국제강 ||커뮤니케이션팀 ||정지욱 과장 ||02-317-1048||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동국제강||||||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제휴||서울||2023 소부장뿌리 기술...
Wed, 18 Oct 2023 16:06:57 +0900
-
에스마크 설립자 제임스 P. 부샤르, 40년간 철강 업계 종사 후 은퇴 발표
스위클리 펜실베이니아--(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18일 -- 에스마크(Esmark Inc.)의 설립자이자 회장 겸 최고 경영자인 제임스 P. 부샤르(James P. Bouchard)가 2023년 11월 23일부터 최고경영자직에서 은퇴한다고 오늘 발표했다. 그는 여전히 에스마크 이사회 의장 기업의 개인 소유주로서 모든 자선 기부를 계속 감독할 예정이다.||||회사는 전 세계에서 적극적으로 부샤르의 후임자를 물색하고 있다. 에스마크의 총괄부사장 겸 최고재무책임자인 랜디 스탠턴(Randy Stanton)이 2023년 11월 23일부터 최고재무책임자와 최고경영자 대행을 맡게 된다.||||부샤르는 “40년 넘게 철강 업계에 종사했고 이제는 일상적인 업무에서 물러나 차세대 리더십에 힘을 실어줄 때이다. 또한 개인적으로 건강에 집중하고 가족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야 할 시간이기도 하다”며 “회사의 놀라운 유산을 계속 이어 나갈 팀을 극도로 신뢰한다. 에스마크와 고객 및 파트너의 미래는 밝다”고 밝혔다.||||부샤르는 이어서 “최근 몇 가지 치료를 받고 있었는데 지난달 친구이자 USW 인터내셔널(USW International) 사장인 톰 콘웨이(Tom Conway)의 예상치 못한 부고에 충격을 받았다. 40년을 뒤로 하고 많은 고민과 성찰 끝에 은퇴를 결심하게 됐다”고 덧붙였다.||||부샤르는 에스마크(및 그 전신 회사)의 설립자이자 회장 겸 최고경영자이며 1995년에 설립된 지배주주인 부샤르 그룹(Bouchard Group)의 회장 겸 최고경영자이기도 하다. 수년에 걸쳐 이 회사는 산업 에너지 기술 부동산 상품 산업 청소년 스포츠 및 개발 부문에 전략적 투자와 자산을 보유한 에스마크 계열사 그룹으로 성장하고 다각화하며 발전해 왔다. 부샤르는 에스마크 계열사와 함께 헬렌 E. 부샤르 장학금(Helen E. Bouchard Scholarship Award)(75명에게 총 50만달러 수여)을 비롯한 광범위한 교육 가족 건강 및 웰니스 청소년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지치지 않는 후원자로 남을 것이다. 2003년부터 부샤르와 에스마크 기부 총액은 1000만달러가 넘는다.||||USW 인터내셔널 회장 데이비드 맥콜(David McCall)은 “USW는 철강 분야에서 폭넓은 업적을 쌓은 부샤르의 공로를 치하하며 특히 국내 산업에 대한 오랜 헌신 노조와의 긍정적인 관계에 박수를 보낸다”며 “행복한 은퇴를 기원한다”고 밝혔다.||||상원의원 조 맨친(Joe Manchin)(D-WV)은 “짐 부샤르가 철강 및 에너지 산업과 국가 전체에 미친 영향력을 수치화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게일과 나는 그가 마땅히 누려야 할 은퇴를 행복하게 맞이하기를 진심으로 기원한다”고 말했다.||||부샤르는 업적과 기여를 인정받아 수많은 업계 및 자선 단체에서 상을 수상했다. 2005년에는 권위 있는 언스트 앤드 영(Ernst & Young) 올해의 기업가상 일리노이주 최종 후보에 올라 선정됐다. 2006년 3월 철강 유통업협회(Association of Steel Distributors)는 ‘올해의 철강인(Steel Man of the Year)’이라는 최고의 영예를 수여했다. 2007년에는 힌스데일 센트럴 고등학교 명예의 전당(Hinsdale Central High School Hall of Fame)에 학교 역사상 최연소 헌액자로 헌액됐다. 힌스데일 센트럴 제임스 카마나니 어워드(James Carmanani Award)를 수상했다. 또한 부샤르는 로욜라 대학교(Loyola University)에서 2007~2008년 시카고 다멘 어워드(Chicago Damen Award)의 우수 졸업생으로 선정됐다. 또한 2010년에는 아이티 지진 발생 당시 인도주의적 구호 활동을 펼친 공로로 로타리 인터내셔널(Rotary International)에서 폴 해리스 펠로우(Paul Harris Fellow)로 선정됐다. 2012년에는 펜실베이니아주 서부와 피츠버그 도심 전역에서 여러 어린이 자선단체 청소년 스포츠 및 개발 프로그램 기타 인도주의 단체를 꾸준히 지원한 것을 인정받아 펜실베이니아주 스위클리 ‘올해의 인물(Man of the Year)’로 선정되기도 했다. 또한 2012년에는 철강 업계에서 다년간의 리더십 비전 혁신에 대한 공로로 글로벌 출판사인 플랫츠 인터내셔널(Platts International)과 자회사인 스틸 비즈니스 브리핑(Steel Business Briefing)이 선정하는 ‘올해의 최고경영자(CEO of the Year)’ 최종 후보에 올랐다. 그는 피츠버그 시티 오브 챔피언스 명예의 전당과 퀘이커 밸리 명예의 전당에도 속해 있다. 에스마크에 남긴 부샤르의 유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스탠턴은 최고경영자 대행으로서 에스마크의 일상적인 운영을 책임지며 에스마크 엑스칼리버(Esmark Excaliber)에 대한 감독도 계속하게 된다. 그는 2013년 에스마크에 최고재무책임자로 합류했고 다국적 대기업의 재무 분야에서 40년 이상의 경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펜실베이니아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회계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11월 25일부터 다음과 같은 고위급 임원이 스탠턴에게 보고한다.||||- 로버트 알바레즈(Robert Alvarez) 에스마크 철강그룹 최고경영자||- 리처드 부샤르(Richard Bouchard) 에스마크 스포츠 매니지먼트 사장||- 로버트 미호치(Robert Mihoci) 에스마크 엑스칼리버 운영 책임자||- 에드 사르미엔토(Ed Sarmiento) 에스마크 재무 총괄부사장||||J. 부샤르는 에스마크 스틸 그룹과 TCC 스틸(TCC Steel)의 조인트벤처인 오하이오 코팅스 컴퍼니(Ohio Coatings Company OCC)의 회장직을 유지한다. 데이비드 루탁(David Luptak)은 OCC의 최고경영자직을 유지하고 J. 부샤르에게 보고한다.||||에스마크 소개||||에스마크는 다각화된 비상장 가족 소유 회사로 철강 산업에 뿌리를 둔 다양한 산업 기업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다. 오랫동안 에스마크는 산업 및 상품 부문에 종사하는 여러 비즈니스로 관심 분야와 운영을 다각화해왔다. 에스마크(전 나스닥 상장 기업: ESMK)는 철강 서비스 석유 및 가스 탐사 항공 부동산 전문 서비스 기술 및 청소년 스포츠 개발 등을 포함한 여러 핵심 산업에 주력해 왔다. 또한 회사가 봉사하는 지역사회에서 적극적인 기업 시민으로 활동하며 펜실베이니아 일리노이주 및 전 세계에서 다양한 인도주의 교육 가족 웰니스 및 청소년 스포츠 프로그램에 1000만달러 이상의 인도적 지원을 해왔다. www.esmark.com||||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웹사이트: https://www.esmark.com/|| 이 보도자료의 영어판 보기||||연락처||에스마크(Esmark Inc.)||케이티 리건(Katie Regan)||커뮤니케이션 이사||(708) 898-5550||Katie.regan@esmark.com||||||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Esmark Inc.||||||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인사||해외
Wed, 18 Oct 2023 15:06:14 +0900
-
효성중공업, 2023 한국전기산업대전 참가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18일 -- 효성중공업이 18일부터 개최되는 ‘2023 한국전기산업대전’에서 BESS(배터리 에너지 저장장치) STATCOM(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 ARMOUR(아모르) 등 친환경 미래 전력 시스템들을 선보인다.||||‘2023 한국전기산업대전’은 한국전력과 한국전기산업진흥회가 공동 주관하는 국내 최대규모의 전력 기자재 전시회로 18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된다.||||효성중공업은 이번 전시회를 통해 기존 주력 제품인 초고압 전력기기와 함께 ‘저탄소 그린 라이프 시대’를 앞두고 주목받고 있는 신재생 발전 분야와 ESS 태양광 인버터 STATCOM 초고압 직류송전시스템인 HVDC AI 기반 전력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인 ‘ARMOUR(아모르)’ 등을 소개한다.||||특히 3D용 미디어 파사드 디스플레이를 처음 도입해 미래 친환경 첨단 전력 솔루션과 효성그룹의 ESG 활동을 3D 영상으로도 선보인다.||||한편 효성그룹의 친환경 브랜드인 ‘RE:GEN(Reply to Every Generation’s Future)’을 중심으로 친환경 비즈니스를 소개하는 공간도 마련한다. ‘RE:GEN’은 효성그룹의 ESG 브랜드로서 모든 세대를 위한 지구를 만들기 위해 친환경 기술혁신을 이루겠다는 뜻을 담고 있다.||||||웹사이트: http://www.hyosung.com||||||||연락처||효성 ||뉴미디어팀||백수정 PM||02-707-7642||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효성||||||배포 분야||||산업||기계/플랜트||중전기||전시/출품||서울||2023 한국전기산업대...
Wed, 18 Oct 2023 13:38:49 +0900
-
대한항공, 미국 레이시온 계열사 콜린스사와 UH-60 성능개량 업무협약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18일 -- 대한항공이 우리 군의 UH-60 헬리콥터 성능개량을 위해 미국 방산업체 레이시온(RTX) 계열사인 콜린스 에어로스페이스(Collins Aerospace·이하 콜린스)사와 기술 협력을 추진한다.||||대한항공과 콜린스사는 18일 오전 경기 성남시 서울공항에서 열리는 ‘2023 서울 국제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Seoul ADEX 2023)’에서 UH-60 헬리콥터 성능개량 개발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UH-60은 ‘블랙호크(Black Hawk)’로 불리는 군용 헬리콥터다. 이번 성능개량 사업은 우리 육군·공군의 특수작전용 헬기를 지속적으로 운용하고 작전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콜린스사는 군용 항공기 우주분야 시스템 및 제조 전문 업체로 항공전자·기계 부품 전력·제어·임무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의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미군 UH-60의 특수작전용 헬기인 MH-60의 조종실 디지털화를 비롯한 성능 개량을 담당했다.||||대한항공은 UH-60의 제작과 개조 정비에 필요한 모든 기술력과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 1990년 UH-60을 국내 생산하기 시작했고 130여 대를 납품해 성공적으로 전력화했다. 현재 우리 군이 운용하는 UH-60의 창정비[1]도 수행하고 있다.||||대한항공은 UH-60 성능개량 사업으로 우리 군의 특수 작전 수행 능력을 향상하고 국방력을 강화하는 데 적극 기여하겠다는 계획이다.||||[1] 창정비(廠整備·MRO) : 부품 하나하나를 완전히 분해한 후 검사·수리함으로써 최초 출고 때와 같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최상위 정비 개념. 항공기의 경우 정비(Maintenance) 수리(Repair) 재생(Overhaul)하는 일련의 작업을 뜻한다.||||||웹사이트: http://www.koreanair.co.kr||||||||연락처||대한항공||홍보실 ||조성현||02-751-7526||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대한항공||||||배포 분야||||산업||항공/무기||제휴||서울||서울 국제 항공우주 ...
Wed, 18 Oct 2023 13:31:51 +0900
-
한화, 인재·기술 투자 확대로 ‘뉴 스페이스’ 시대 개척한다
창원--(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18일 -- 한화 김동관 부회장은 18일 ‘서울 국제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3’의 한화 통합부스를 방문해 차세대 전투기 엔진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전투기 엔진을 생산해 온 한화가 대한민국 대표 방산·항공·우주기업으로서 국토 방위와 방산의 국가전략산업화에 기여하기 위해 항공기 엔진 개발에 적극 나서겠다는 것이다.||||김 부회장은 이날 전시장을 방문해 한국형 전투기 KF21의 심장인 F414 엔진을 먼저 둘러봤다. F414 엔진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미국 GE의 라이선스 기술로 국내에서 면허 생산한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40여년간 9800대 이상의 다양한 항공엔진을 생산한 경험으로 앞으로는 5세대급 유·무인기용 엔진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미 가스터빈 엔진 분야의 핵심소재 및 부품 국산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며 국내 산업 생태계 조성에도 나섰다.||||김 부회장은 이날 ‘스페이스 허브(Space Hub) 존(Zone)’을 둘러보며 정부의 ‘우주경제 로드맵’에 맞춘 우주기술 기반의 민간 서비스 제공의 중요성도 강조했다.||||한화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우주 발사체에서부터 관측·통신 위성 탐사에 이르는 우주 사업 전반에 걸친 ‘우주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있다. 통신 위성기술을 활용해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스마트선박 자율주행차 등이 안정적으로 통신하는 ‘초연결 사회’를 구축하고 위성 관측 기술로 확보한 빅데이터를 인공지능(AI)으로 분석한 데이터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김 부회장은 “글로벌 시장에서 K-방산처럼 우주·항공 산업 분야에서도 ‘뉴 스페이스’ ‘K-스페이스’ 시대를 열어가기 위해선 우리 정부와 국민들의 적극적인 민간 산업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웹사이트: https://www.hanwhaaerospace.co.kr/||||||||연락처||한화에어로스페이스||커뮤니케이션팀||남민우||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한화에어로스페이스||||||배포 분야||||산업||항공/무기||인물동정||부산/울산/경남||서울 국제 항공우주 ...
Wed, 18 Oct 2023 13:14:14 +0900
-
에코프로, 제대군인 고용 우수 기업 인증
청주--(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18일 -- 에코프로가 국가를 위해 헌신한 제대군인들을 적극 고용해 화제가 되고 있다. 제대군인들의 경력 단절을 해소해 주는 것은 물론 이들이 군에 이어 민간 영역에서도 국가를 위해 일하고 있다는 자긍심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끌고 있다.||||에코프로는 가족사인 에코프로비엠과 에코프로머티리얼즈가 제대군인들의 원활한 사회 복귀를 도운 성과로 국가보훈부로부터 ‘2023년 제대군인 고용 우수기업’ 인증을 받았다고 18일 밝혔다.||||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우수기업 인증을 기념해 에코프로 포항캠퍼스에서 대구지방보훈청과 함께 제대군인 고용 우수기업 현판식 행사를 개최했다. 에코프로비엠도 지난주 서울 aT센터에서 열린 ‘2023년 제대군인 주간 기념식’에서 대표기업으로 참석해 인증서 및 인증패를 전달받은 바 있다.||||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우수한 고용환경 근무자들의 자기계발 및 역량강화 적극적인 일자리 창출 등을 인정받아 올해 처음으로 ‘제대군인 고용 우수기업’으로 인증받았다.||||에코프로비엠은 2년 이상 장기 근무자 7명 2년 미만 신규 채용자 12명 등 총 19명의 제대군인을 고용하고 있다. 에코프로비엠은 2022년 4월 대구지방보훈청과 ‘중·장기복무 제대군인의 성공적인 사회정착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제대군인의 일자리 발굴과 취업지원을 위해 적극 협력하고 있다.||||에코프로머티리얼즈도 2년 이상 장기 근무자 2명 2년 미만 신규 채용자 4명 등 총 6명의 제대군인을 고용하고 있다.||||제대군인은 군에서 5년 이상 중·장기복무한 전역자로서 사회에서 일자리를 구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가보훈부는 제대군인지원센터를 통해 제대군인의 원활한 사회복귀를 돕고 기업의 제대군인 채용을 촉진해 제대군인의 생활안정을 지원하고 있다.||||‘제대군인 고용 우수기업 인증제’는 국가보훈부가 중·장기복무 제대군인 고용과 인재육성에 대한 기업체의 관심을 유도하고 제대군인 취업지원 확대를 위해 2015년 도입해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다.||||국가보훈부는 제대군인 고용 우수기업에 대해 인증 후 3년 동안 시중은행 여신 지원 시 금리 우대 관세 조사유예 방사청 및 지자체 우수기업 선정평가 시 가점부여 등 혜택을 부여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s://www.ecopro.co.kr/||||||||연락처||에코프로||CSR 추진팀||송충현||02-6903-1728||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에코프로||||||배포 분야||||산업||화학||자동차||부품/정비||수상/선정||충북
Wed, 18 Oct 2023 10:45:06 +0900
-
탈레스-소이요, 수백만 콜롬비아 사람들에게 패스키 제공 위해 협력 강화
뫼동 프랑스--(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17일 -- 선도적인 글로벌 기술 및 보안 제공업체인 탈레스(Thales)가 오늘 콜롬비아 기업들을 위한 디지털 ID 제공업체인 소이요(SoyYo)와의 협력을 확대하여 패스워드리스 인증(passwordless authentication)을 위한 FIDO2 패스키를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이런 구현을 통해 수백만 명의 콜롬비아 사람들이 사용자 이름과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고도 디지털 ID로 연결하고 디지털 서비스에 액세스할 수 있다.||||패스워드는 오랫동안 소비자가 온라인 서비스에 안전하게 액세스하는 데 있어 가장 취약한 링크였다. 이제 패스키를 사용하면 생체인식 또는 장치 코드로 사용자 신원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빠르고 안전하게 로그인할 수 있다. 각 패스키는 한 쌍의 키로 구성되고 그중 하나가 암호화된 형식으로 장치에 저장된 채로 보관되며 데이터 침해 시 안전하게 유지된다.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의 경우 패스키는 강력한 보안 및 운영 비용 절감과 함께 로그인 성공률 향상 및 로그인 시간 단축을 포함한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한다. 이 협업에서 패스키 생성은 신원 확인이 선행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 중심의 재사용 가능 소이요 패스키를 인증된 사용자에게 할당할 수 있다.||||탈레스의 신원 및 액세스 관리 담당 부사장인 대니 드 브리즈(Danny de Vreeze)는 “패스워드는 수십 년 동안 디지털 인증의 치명적인 결함이었지만 패스키의 도입으로 우리는 마침내 패스워드리스 미래 직전까지 도달했다. 우리는 패스키가 서비스 및 플랫폼에 대한 액세스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민감한 작업을 승인하는 지배적인 인증 방법이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규제 산업에 종사하는 고객을 포함하여 우리의 모든 고객에게 패스키를 제공하게 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현대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솔루션으로의 원활한 마이그레이션에서 ID 공급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민첩한 핀테크인 소이요를 지원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논평했다.||||소이요는 기업들이 자신의 사용자들의 디지털 ID를 보호하고 온라인에서 사용자들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유지하도록 도움을 준다. 기업들은 지난 3년 동안 탈레스에 의존하여 클라우드 기반 ID 플랫폼에서 문서 확인 및 신원 증명을 통해 디지털 방식으로 고객을 안전하게 온보딩하고 모바일 앱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했다. 패스키 구현을 통해 기업들은 이제 동일한 플랫폼을 활용하여 최종 사용자에게 패스워드리스 인증을 도입하여 고객 경험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소이요의 CEO 산티아고 알다나(Santiago Aldana)는 “패스키는 사용자 경험과 보안 간에 필요한 균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며 사용자에게 친숙하고 동시에 피싱을 방지하는 인증을 제공한다. 젬알토 아이디클라우드(Gemalto IdCloud)와 같은 적응형 솔루션을 활용하여 신원 증명 및 인증 요구 사항의 전체 범위와 함께 이 제품을 강화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 우리는 오랫동안 탈레스와 협력해 왔으며 유용성 보안 및 글로벌 규정준수에 중점을 둔 솔루션으로 고객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협력을 계속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탈레스 젬알토 아이디클라우드는 탈레스 원웰컴 아이덴터티 플랫폼(Thales OneWelcome Identity Platform)의 일부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유형의 패스키를 통해 패스워드리스 인증을 제공한다:||||· 동기화된 패스키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의 로그인과 같은 낮은 보증 인증을 위한 패스키로 장치 생태계 내에서 자동으로 동기화된다.||· 장치 결합 패스키 - 거래 서명과 같은 높은 보증 인증을 위한 패스키로 특정 장치에 고유하게 결합된다.||||탈레스 젬알토 아이디클라우드는 고객이 신원 증명 강력한 고객 인증(SCA) 리스크 관리를 결합하여 단일 플랫폼에서 온보딩과 액세스를 보호할 수 있게 하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이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탈레스 소개||||탈레스(유로넥스트 파리: HO)는 국방 및 안보 항공 및 우주 디지털 신원 및 보안의 세 가지 영역에서 첨단 기술 분야의 글로벌 리더이다. 탈레스는 세상을 더 안전하고 친환경적이며 포용적으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제품과 솔루션을 개발한다.||||이 그룹은 연구 개발 특히 양자 기술 에지 컴퓨팅 6G 및 사이버 보안과 같은 핵심 분야에 연간 약 40억유로를 투자한다.||||탈레스는 68개국에 7만7000명의 직원을 두고 있다. 2022년에 이 그룹은 176억유로의 매출을 올렸다.||||웹사이트:||||탈레스 그룹||클라우드 보호 및 라이선싱 솔루션 | 탈레스 그룹||사이버 보안 솔루션 | 탈레스 그룹||||||웹사이트: https://www.thalesgroup.com/en|| 이 보도자료의 영어판 보기||||연락처||탈레스 ||미디어 홍보||보안 및 사이버 보안||마리온 보네(Marion Bonnet)||+33 (0)6 60 38 48 92||marion.bonnet@thalesgroup.com||||||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Thales||||||배포 분야||||IT||보안||산업||항공/무기||제휴||해외
Tue, 17 Oct 2023 16:55:00 +0900
-
한화시스템, ADEX 2023 전시 참가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17일 -- 한화시스템이 17일부터 22일까지 서울공항에서 개최하는 ‘2023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3)’에 참가한다.||||한화시스템은 △우주 △항공 △안티드론시스템 △통합전장시스템 △다기능레이다 등 주요 방산 기술력을 선보이며 지상·공중·해양·우주 플랫폼 전체를 잇는 초연결·초지능·초융합 통합 솔루션을 통해 첨단 방산을 이끌 미래기술 역량을 제시한다.||||한화시스템이 주야간 및 악천후에도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초소형SAR레이다’와 미사일 등 대한민국의 안보 위협체를 실시간 감시할 수 있는 ‘초소형IR위성’을 선보이고 있다.||||한화시스템이 군(軍) 저궤도 통신위성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한 통신체계를 선보이고 있다. ||||한화시스템은 원웹의 위성망을 활용해 신속하게 우주 인터넷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위성망과 지상망이 통합된 다계층·초연결 네트워크를 통해 유무인 복합체계의 원활한 운용은 물론 재난재해와 긴급 상황에서도 끊김없이 원활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한화시스템은 초소형 SAR위성으로 탐지한 지상·해상·공중의 전장 상황을 저궤도 통신위성 네트워크로 실시간 공유하는 ‘초연결 솔루션’을 구축 중이다. 한화시스템은 저궤도·정지궤도 위성통신 지상망(LTE)을 융합한 하이브리드 ‘해양위성통신서비스(Maritime Satcom Service MASS)’도 준비 중이다. ||||한화시스템은 이번 ADEX에서 UAM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국방 공중기동수단 미래항공모빌리티(AAM· Advanced Air Mobility)를 소개한다.||||미국 오버에어와 함께 개발 중인 에어모빌리티 기체 ‘버터플라이(Butterfly)’는 수직이착륙과 저소음·고기동 기술 특성을 바탕으로 국방 분야에서도 인원·물자 수송 감시·정찰 조명탄 투하 환자 후송 등 다목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한화시스템은 이러한 군사적 활용성과 필수 개조 요소 식별을 통해 오버에어와 차세대 국방 공중기동수단 AAM 항공기 개발을 준비하고 있다. ||||한화시스템은 이번 전시에서 북한 소형 무인기 영공 침투에 따른 위협으로부터 중요한 지역을 방어하기 위한 자체 안티드론 시스템(Anti Drone System)인 ‘드론 복합방호체계’ 솔루션을 제시한다. △탐지를 위한 레이다(Radar) △식별용 열상장비(EO/IR) △타격용 재머(Jammer) △포획드론(Drone Hunter) △통합운용장치 등으로 구성된 ‘드론 복합방호체계’는 소형 무인기 표적이 탐지되면 추적·식별하고 재밍 등으로 무력화해 무인기 포획까지 가능하다. ||||한화시스템은 군사용 소형 무인기 위협으로부터의 ‘드론 복합방호체계’뿐만 아니라 도심형 안티드론(Anti-Drone) 포획 시스템으로 사업을 확대하고 향후 수출시장 진출을 위해 제품군을 다양화해 나갈 것이다.||||레이다존에서는 △수출형 다기능레이다 △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체계 다기능레이다 △다표적 동시교전 다기능레이다 등 대공방어레이다 3종과 △한국형 전투기의 탑재되는 AESA레이다가 전시된다.||||수출형 다기능레이다는 한 개의 레이다로 전방위·다수 표적에 대해 탐지·추적·피아식별·미사일 유도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국내 최초 3차원 위상배열 ‘다기능레이다’다. 중거리 표적 항공기에 대한 탐지·추적·피아식별과 대전자전을 수행할 수 있으며 요격 유도탄의 포착·추적·교신의 교전 기능 등 복합 임무를 단일 레이다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해외 선진국의 최신 기술과 동등한 능동위상배열안테나(AESA)를 적용해 기술 경쟁력도 확보했다.||||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체계 다기능레이다는 △항공기·탄도탄 표적에 대한 탐지 △추적과 항공기 피아식별 △재머 대응 △유도탄 포착·추적·교신 등의 교전 기능을 단일 레이다로 다기능 복합 임무를 수행한다. ||||한화시스템이 국과연과 함께 개발에 나선 ‘다표적 동시교전 다기능레이다(MFR)’는 능동위상배열(AESA)레이다를 사용해 다수의 표적을 동시에 탐지 및 추적한다. 이에 다발로 무리 지어 날아오는 장사정포를 실시간으로 탐지·추적·요격해 국내 주요 핵심시설을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한화시스템은 국방과학연구소와 함께 한국형 전투기(KF-21)에 탑재되는 AESA레이다를 개발하고 있다. 5월 KF-21 시제기에 탑재해 성능 검증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잠정 전투용 적합 판정을 받아 내년 초 양산을 준비하고 있다. AESA레이다는 현대 공중전에서 전투기의 생존 및 전투의 승패를 가르는 최첨단 레이다로 공중과 지상 표적에 대한 탐지·추적·영상 형성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미래 전투기의 핵심 장비다. ||||한화시스템은 이번 전시에서 기존 장비 대비 소형 경량화된 송수신 모듈(TRM Transmit Receive Module) 기술과 공랭식(空冷式) 안테나 기술을 적용한 신형 AESA레이다 모델을 선보였다. ||||한화시스템은 향후 다양한 항공기에 적용 가능한 제품군을 확보해 수출 판로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며 세계에 대한민국 레이다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해 나갈 계획이다.||||||웹사이트: https://www.hanwhasystems.com/kr/index.d...||||||||연락처||한화시스템||커뮤니케이션팀||김수진 과장||02-729-2141||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한화시스템||||||배포 분야||||산업||항공/무기||전시/출품||서울||서울 ADEX 2023
Tue, 17 Oct 2023 11:12:02 +0900
-
다양한 볼거리로 가득한 ‘2023 소부장뿌리 기술대전’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17일 -- ‘소부장 파워 공급망 강국’이라는 주제로 10월 18일부터 20일까지 3일간 경기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2023 소부장뿌리 기술대전’이 더 다양한 정보를 공유 및 습득할 수 있는 부대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다.||||또 해당 프로그램에 참여해도 다양한 경품을 제공하는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어 더 많은 참관객에게 유익한 정보와 즐거움을 제공할 예정이다.||||부대 프로그램으로는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주관하는 첨단산업 소부장 기술포럼(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바이오) 신뢰성 기술 세미나 가상공학 플랫폼 구축사업 성과 공유회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이 주관하는 R&D 연구개발비 집행정산관리 설명회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주관하는 K-뿌리산업 첨단화 전략세미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준비돼 있다.||||먼저 첨단산업 소부장 기술포럼은 반도체 이차전지 등 산학연 전문가의 첨단 전략산업 분야별 주요 핵심 기술 주제를 활용한 발표가 진행된다. 중소기업부터 대기업까지 기관 및 학회 유명 인사들의 발표에 대한 내용을 들을 수 있다. 신뢰성 기술 세미나에서는 첨단 전략산업 분야 소부장 경쟁력 제고를 위한 주요 기술 신뢰성 강화 방안을 공유하며 다양한 연구 기관 및 학회 연사들의 비전 및 생각을 공유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가상공학 플랫폼 구축사업 성과 공유회에서는 운영 현황 및 추진 방향 발표 기업 대상 서비스 플랫폼 공개·홍보에 대한 사례 및 정보를 얻을 수 있다.||||R&D 연구개발비 집행정산관리 설명회는 국가연구개발활동 추진을 위한 연구개발비의 집행 및 정산 관련 설명회가 진행된다.||||K-뿌리산업 첨단화 전략 세미나는 뿌리산업과 수요산업의 기술 협력 및 기술·시장 현황 등을 통해 뿌리산업 기술력 향상과 발전 방향에 대한 동반 성장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또 현장 상담 신청 프로그램을 통해 소부장 기업의 기술 애로 해결을 위해 분야별 전문가들의 컨설팅 지원 프로그램도 마련돼 있다. 더 다양한 프로그램 정보는 2023 소부장뿌리 기술대전 홈페이지(http://www.techinsideshow.kr/2023/)에서 확인할 수 있다.||||행사 개요||||행사명: 2023 소부장뿌리 기술대전(2023 TECH INSIDE SHOW)||일자: 2023년 10월 18일(수)~20일(금) 3일간||장소: KINTEX 제1전시장 5홀||주최: 산업통상자원부||주관: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한국소재부품장비투자기관협의회(KITIA) 킨텍스(KINTEX)||후원: 장은공익재단||||* (연계 개최) 붐업코리아(4홀)||* (동시 개최) K모빌리티전(1홀) 국제공구전(2홀) 금속산업대전(3홀) DIC 2023 컨퍼런스(그랜드볼룸)||||2023 소부장뿌리 기술대전 운영사무국 소개||||‘2023 소부장뿌리 기술대전’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한국소재부품장비투자기관협의회(KITIA) 킨텍스가 공동으로 주관하며 장은공익재단 후원으로 매년 개최되고 있다. 약 300개 기업이 전시 참여 첨단·소부장 특화단지관을 비롯해 테마관 상담관 7대 분야별 기업관으로 구성된 스토리텔링형 전시관을 구성하며 다양한 부대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www.techinsideshow.kr/2023/||||||||연락처||2023 소부장뿌리 기술대전||운영사무국||김진학 차장||070-4699-0901||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2023 소부장뿌리 기술대전 운영사무국||||||배포 분야||||산업||기계/플랜트||소재/금속||전시/출품||서울||2023 소부장뿌리 기술...
Tue, 17 Oct 2023 09:30:00 +0900
-
현대로템, 서울 ADEX 2023서 미래 지상무기체계 비전 제시
의왕--(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17일 -- 현대로템이 대규모 방위산업 전시회에 참가해 미래 성장을 견인할 사업 비전을 제시한다.||||현대로템은 10월 22일까지 경기도 성남시 서울공항에서 열리는 ‘서울 ADEX 2023(Seoul International Aerospace & Defense Exhibition 2023)’에 참가한다고 17일 밝혔다.||||ADEX는 방위산업 발전 및 소통의 장으로 격년 개최되고 있으며 이번 전시회에는 35개국 550개 업체가 참가해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된다.||||‘평화를 수호하는 내일의 첨단 기술’을 주요 테마로 참가하는 현대로템은 각종 신제품과 유무인 복합체계(MUM-T) 구축에 최적화된 제품들을 전시해 미래 지상무기체계의 청사진을 선보인다. 이를 위해 237평 규모의 복층 전시관을 마련하고 기아 현대위아 등과 현대자동차그룹 통합 전시관을 구축한다.||||현대로템은 이번 전시회에서 신규 30t급 차륜형장갑차의 실물을 세계 최초로 공개한다. 30t급 차륜형장갑차는 방호력 증강에 중심을 두고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해 현대로템이 개발 중인 모델로 중구경 및 대구경 포탑 등 다양한 임무 장비를 장착할 수 있으며 수상 운용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아울러 현대로템은 미래 차세대 전차의 최신 콘셉트 모델을 선보인다. 현대자동차 디자인센터와 협업해 디자인된 차세대 전차는 미래 전장 환경을 고려해 스텔스 형상 구현 및 유무인 복합체계 운용개념이 반영됐다. ||||현대로템은 차세대 전차에 가상으로 탑승해볼 수 있는 증강현실(AR) 및 가상현실(VR) 구역도 마련해 관람객들을 맞이한다.||||이번 전시회에서는 현대로템이 육성 중인 미래무인체계 기술의 민간 활용 가능성도 엿볼 수 있다. 그 일환으로 현대로템은 현대자동차와의 협업을 통해 개발된 상용 무인 콘셉트카 ‘유팟(U-POD)’을 최초로 공개한다.||||유팟은 국내 최초의 군용 무인 차량인 현대로템의 다목적 무인 차량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원격 및 자율주행 기능을 갖추고 스스로 화물을 싣고 이동해 내릴 수 있어 디지털 기반 첨단 유통물류체계에 최적화됐다. 그 밖에도 푸드트럭 폐기물 수거 차량 등 민간에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 확장성을 보유하고 있다.||||이와 함께 현대로템은 지난해 군에 성공적으로 납품되며 기술력과 신뢰성을 입증한 다목적 무인 차량의 성능개량 모델을 전시하며 미래무인체계 분야 선도업체로서의 첨단 기술 경쟁력을 알린다. 기존 차량 대비 기동성과 자율주행 성능이 강화된 모델이다.||||이 외에도 현대로템은 기존 주력 제품인 K2 전차의 수출형 모델들을 전시하며 시장에 적극 대응한다. 대표적으로 능동파괴장치 원격무장장치(RCWS) 등 다양한 장비와 최신 전장품을 추가한 성능개량 콘셉트 모델 ‘K2EX(K2 EXport)’가 최초로 공개된다.||||현대로템은 이번 전시회로 유무인 복합체계 등 첨단 기술 기반 당사의 미래 비전과 기술력을 알리고자 한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개발 및 포트폴리오 확장을 통해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고 미래 지상무기체계 선도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웹사이트: https://www.hyundai-rotem.co.kr/ko/main/...||||||||연락처||현대로템||홍보팀||이수현 책임매니저||031-8090-8096||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현대로템||||||배포 분야||||산업||항공/무기||전시/출품||인천/경기||서울 ADEX 2023
Tue, 17 Oct 2023 09:12:48 +0900
-
아세아제지, 첫 분기 배당 실시한다… 주당 500원, 총 43억원 규모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16일 -- 아세아제지(코스피 002310)가 첫 분기 배당을 실시한다.||||아세아제지는 10월 16일 이사회를 개최해 보통주 1주당 현금 500원씩 총 42억7265만원을 배당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시가배당율은 1.29%이고 배당기준일은 9월 30일이다.||||배당급 지급 예정일은 10월 31일이다.||||앞서 아세아제지는 분기배당 도입을 목표로 2021년 3월 주주총회에서 정관 개정을 단행한 바 있다.||||아세아제지는 올해부터 적극적이고 투명한 주주환원 정책 확립을 통한 기업 가치 제고를 목표로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을 실시한다는 계획이다.||||2023년부터 2026년까지 매년 단계적으로 △현금 배당 확대 실시 △자기주식 취득 △자기주식 소각 △주식(액면)분할을 포함한 중장기주주환원 정책을 실시한다.||||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주주환원 정책을 발표한 7월 12일 이후 아세아제지의 외국인 지분율은 5.34%(47만8640주)에서 6.99%(62만5872주 10/13 현재)로 늘어났다.||||아세아제지는 2023년 3월부터 현재까지 43만3000주의 자사주를 취득하고 있으며 체결금액 누계는 161억6500만원으로 나타났다. 발행주식수의 4.8%에 해당하는 규모이다.||||아세아제지는 이사회의 배당금 지급 결정은 업계 내 아세아 브랜드 포트폴리오의 강점을 통해 장기적으로 수익성 있는 성장과 내구성 있는 현금 흐름 창출을 추진할 것이라는 적극적 의지를 피력한 것으로 평가한다며 배당금은 회사의 정제된 자본 배분 전략과 모든 주주에게 꾸준한 가치 창출을 제공하려는 계획의 중요한 구성 요소라고 밝히면서 7월에 공시한대로 주주환원에 무게를 싣는 모습이다.||||||웹사이트: http://kor.asiapaper.co.kr||||||||연락처||아세아제지||기획관리팀||김조훈 부장 ||02-527-6882||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아세아제지||||||배포 분야||||산업||제지/포장||투자||서울
Mon, 16 Oct 2023 16:36:14 +0900
-
탈탄소화를 위한 새로운 단계… 알파라발, 세계 첫 ‘메탄올 연소 보일러’ 공급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16일 -- 메탄올 활용 가능 솔루션을 통해 해양 산업의 탄소 중립 녹색 메탄올로의 전환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알파라발(Alfa Laval)이 메탄올을 포함한 다양한 연료 타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올버그(Aalborg) 메탄올 연소 보일러’를 도입해 대체 연료 솔루션 제품군을 확장했다. 이번 케이스는 메탄올 보일러가 선박에 설치되는 첫 사례로 해양 산업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미래를 대비한 유연한 솔루션 제공||||탈탄소화 및 연료 전환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올버그 보일러 솔루션은 저유황 연료 바이오 연료 LNG 이외에 메탄올을 비롯한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연료와도 호환된다. 필요에 따라 기존 버너와 보일러 압력 부분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는 ‘미래를 대비한’ 보일러다.||||알파라발의 Heat & Gas Systems 부문 Jeppe Jacobsen(Head of Global Sales)은 “올버그 보일러 솔루션은 지속가능한 운송을 지원하고 메탄올을 비롯한 현재와 미래의 탄소 배출 저감 연료에 대비하기 위해 설계됐다”며 “LNG용 증기 보일러의 선구자로서 메탄올 연소 보일러로 고객의 연료 전환을 지원하게 돼 매우 기쁘다”고 말했다.||||연료 절감을 위한 첨단 기술||||연료에 관계없이 올버그 보일러 솔루션은 탁월한 열효율과 혁신적인 Turbo Clean Intelligent(TCI) 기술이 활용된 연료 절감 효과를 보장한다. TCI 세정 프로세스는 효율성 향상 및 보일러 서비스 기간 연장에도 도움을 준다.||||알파라발은 2021년 초부터 덴마크 올보르 소재 Alfa Laval Test & Training Center에서 메탄올을 사용한 보일러 작동을 엄격하게 테스트했다. 2021년 11월 미국 선급(American Bureau of Shipping ABS)은 알파라발의 메탄올 보일러 운영에 대한 최초의 Marine Approval을 승인했고 2년도 채 되지 않아 알파라발은 일부 대형 선주사들에게 메탄올 보일러 솔루션을 공급할 준비를 마치고 해양산업 전반에 걸쳐 대체 연료용 보일러로의 전환을 주도하고 있다.||||알파라발은 기존 및 새로운 솔루션을 통해 보다 넓은 의미에서의 에너지 활용을 지원한다. 알파라발 FCM 메탄올 연료 공급 시스템 및 다양한 메탄올 열교환기는 그 기능이 입증된 바 있다. 올버그 메탄올 보일러를 제품 포트폴리오에 추가함으로써 알파라발은 메탄올을 연료로 사용하는 선주를 지원한다.||||알파라발의 LNG 바이오 메탄올 암모니아 솔루션 및 탄소 포집 방안을 아우르는 탈탄소화 솔루션은 이달 24일부터 27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2023 코마린(KORMARINE 2023)’ 전시회에서 만나볼 수 있다.||||한국알파라발 소개||||알파라발은 에너지 해양 식품 및 물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에서 전문적인 지식을 기반으로 한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100여 개국에서 공정 최적화를 통해 고객의 비즈니스 및 지속가능성 목표 달성을 지원한다. 알파라발은 천연자원의 효율적인 사용과 더불어 정화 정제 재활용을 위한 제품 및 솔루션을 공급한다. 에너지 효율과 열회수율을 높이고 수처리를 개선하며 배출가스 감소에 기여함으로써 고객뿐 아니라 사람과 지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2만300명의 직원이 알파라발에서 근무한다. 2022년 기준 연매출은 SEK 52.1 billion(약 49억유로)이며 나스닥 스톡홀름에 상장돼 있다. 한국알파라발은 1979년 설립된 알파라발 그룹의 한국지사다. 약 150명의 인원(세일즈 엔지니어 약 30명 고객 지원 30명)이 근무하고 있다. 평택 소재 국내 생산 설비 및 서비스 센터를 기반으로 국내 고객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노력한다.||||알파라발 메탄올 솔루션: https://www.alfalaval.kr/industries/marine-and-tra...알파라발 2023 코마린 전시회 참가: https://www.alfalaval.kr/info/korea/kormarine-2023...||웹사이트: http://www.alfalaval.kr||||||||연락처||한국알파라발||커뮤니케이션||유미영 ||02-3406-0600||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한국알파라발||||||배포 분야||||산업||조선||에너지/환경||친환경 기술||신상품||서울||국제조선 및 해양 산...
Mon, 16 Oct 2023 14:00:00 +0900
-
한화, 우주·지상 통합 ‘지휘·정찰’ 방어망 공개… 첨단기술로 철통 방어할 것
창원--(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16일 -- 한화그룹이 대한민국 자주국방을 위한 ‘육·해·공·우주’의 통합 방위 역량을 선보인다. 전 세계적인 안보 지형이 요동치는 가운데 국내 대표 방산·항공·우주기업으로서 최첨단 기술력을 공개하고 글로벌 안보 수요에도 적극 대응하겠다는 것이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 한화오션 등 우주·방산 계열사는 17~ 22일까지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서 열리는 ‘서울 국제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3’에 역대 최대 규모인 1140㎡의 통합부스를 운영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전시회는 34개국 550개 방산업체가 참가해 2009년 첫 개최 이후 최대 규모로 열린다.||||◇ 우주 기술로 UAM·스마트선박·자율차 통신망 구축… 관측 기술로 데이터 서비스||||한화는 통합부스 내 ‘스페이스 허브-존’에 한국 최초의 독자 우주발사체인 누리호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개발한 한국 최초의 달 궤도 탐사선인 다누리호의 추력기를 전시한다.||||대기권 밖에서 관측 및 통신이 가능한 한화시스템의 위성 3종과 지상 공격을 감지할 수 있는 레이더 3종도 공개한다. 발사체부터 관측·통신 위성 탐사에 이르는 우주 사업 전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있는 국내 유일의 기업으로서 우주 및 지상의 ‘지휘-정찰’ 솔루션을 제시하는 것이다.||||우선 대기권 밖에서 고성능영상레이더(SAR) 위성은 주·야간의 악천후에도 고화질 영상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적외선(IR) 위성은 적외선 신호를 활용해 적의 공격을 빠르게 감지한다. 또 한화시스템이 투자한 위성통신업체인 원웹이 구축한 630여 대의 저궤도 통신위성을 활용하면 지상 통신망이 파괴돼도 끊김 없는 통신이 가능해 전장 상황을 실시간 제공할 수 있다.||||지상에서 적의 핵·미사일 공격을 감지하는 방어 솔루션도 전시된다. 요격 고도의 상층부에서 탄도미사일을 방어하는 ‘장거리 지대공미사일(L-SAM) 레이다’ 중고도 이하를 방어하는 ‘중거리 지대공미사일 천궁의 다기능레이다’ 북한의 장사정포에 대응할 ‘한국형 아이언돔’의 ‘다표적 동시교전레이다’도 전시된다. 대기권과 지상 전 영역에 걸친 방공망을 더욱 확대해 대한민국의 자주국방에 기여하겠다는 것이다.||||한화는 우주 분야 기술력을 우주경제 구축에도 적극 적용하고 있다. 통신 위성기술을 활용해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스마트선박 자율주행차 등이 안정적으로 통신하는 ‘초연결 사회’를 구축하고 위성 관측 기술로 확보한 빅데이터를 인공지능(AI)으로 분석한 데이터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5세대 유무인기용 엔진 개발… 인구 감소하는 미래전 대비해 ‘무인화’ 적용||||한화는 이번 전시회에서 소형무장헬기(LAH) 엔진과 함께 한국형 전투기 KF-21에 적용한 F414엔진을 전시한다. F414엔진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미국 GE의 라이센스 기술로 국내에서 면허 생산했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40여년간 9800대 이상의 다양한 항공엔진을 생산한 경험을 갖고 있다. 앞으로는 5세대급 유무인기용 엔진을 100% 개발하겠다는 목표로 이미 국내에서 가스터빈 엔진 분야의 생태계를 조성하면서 소재 개발을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인구감소로 병력이 줄어드는 미래전을 대비한 무인화 기술도 선보인다. AI 기반 유무인 복합 운용 기술이 반영될 ‘한국형 차세대 보병전투차량’ 등 미래형 전투차량 개념이 공개된다. 사람보다 먼저 작전지역에 투입되는 무인수색차량에는 원격사격통제체계 지뢰탐지장치 유도탄 레이저 등 다양한 장비를 적용할 수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개발해 올해 12월 미 해병대 테스트를 앞둔 차세대 군용무인차량 아리온스멧(Arion-SMET)도 전시된다.||||한화오션도 ‘고스트 커멘더’로 불리는 무인전력지휘통제함 시스템을 공개한다. 사람이 탑승하지 않고 항공 해상 수중의 무인전력을 지휘 통제하는 무인화 전투 시스템으로 해군이 지향하는 스마트 네이비의 대안으로 제시된다.||||◇ ‘방산 글로벌’ 위한 전략 제품 공개… 대한민국 미래 먹을거리로 키울 것||||한화는 이번 전시회에서 방산을 대한민국 미래 산업의 한 축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전략형 수출 제품도 공개한다.||||지난해 폴란드와 대규모 계약을 체결한 다연장로켓인 천무에 적용되는 80~290km까지 다양한 사거리의 유도탄과 함께 연습용탄 라인업까지 전시된다. 전 세계 9개국이 사용하는 베스트셀러인 K9 자주포는 포탑 완전 자동화 유무인 복합 운용 능력으로 이어지는 미래 모델을 보여준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규격을 충족하는 수출형 장약은 물론 향후 유도기능을 탑재할 155mm 포탄도 최초 공개한다.||||올해 7월에 호주 육군의 차세대 장갑차 우선협상대상이 된 전투형보병장갑차(IFV)인 레드백도 국내에서 실물 전시된다. 한화오션은 캐나다 폴란드 필리핀 등에서 관심을 받고 있는 최신예 디젤-전기추진 중형잠수함인 장보고-III 배치-II를 선보여 해외 고객들의 관심을 끌 예정이다.||||||웹사이트: https://www.hanwhaaerospace.co.kr/||||||||연락처||한화에어로스페이스||커뮤니케이션팀||김동휘||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한화에어로스페이스||||||배포 분야||||산업||항공/무기||전시/출품||부산/울산/경남||서울 ADEX 2023
Mon, 16 Oct 2023 13:14:12 +0900
-
한국플랜트산업협회, 56기 ‘플랜트 전문인력 양성과정’ 겨울학기 교육생 모집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16일 -- 한국플랜트산업협회(KOPIA)가 ‘플랜트 전문인력 양성과정’ 가을학기(56기) 교육생을 모집한다. 이 과정은 산업통상자원부·고용노동부가 주관하고 한국플랜트산업협회가 실시하는 국비 지원 취업 교육으로 교재 무상 제공 및 추가 발생 비용이 없다.||||모집 분야는 기계·배관 전기/계장 화공/공정 3개 엔지니어 과정으로 10월 16일부터 11월 12일까지 모집 접수를 진행한다. 플랜트 교육본부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교육은 12월 19일부터 2024년 2월 29일까지 총 10주(350시간) 동안 진행되며 교과 내용은 △기본 과정 128시간 △전문 과정 162시간 △현장 학습 24시간 △취업 역량 20시간 △평가·학사 외 16시간으로 구성된다.||||교육 장소는 서울시 구로구 경인로 661(신도림동) 핀포인트타워 16층(1호선 신도림역)이며 따로 기숙사는 제공되지 않는다.||||지원 자격은 △국민내일배움카드 신규 발급 가능자 및 보유자 △대학교(전문대 포함) 졸업자 또는 2학년 2학기 이상 수료자 △모집 과정 관련 공학 전공 보유자(유사 학과 인정) △1993년 1월 1일 이후 출생자 등이다.||||또 재직자 가운데 교육 수강 희망자는 △국민내일배움카드 발급 가능 및 나이 제한 요건 충족하는 자 △평일 훈련 시간(오전 9시 30분~오후 6시 30분) 참여 가능한 자(출석률 80% 이상 시 수료) △최소 경력 3년 이상 보유자 등의 조건을 갖춰야 한다.||||기타 자세한 내용은 플랜트 교육본부 홈페이지에서 해당 모집 공고를 참고하면 된다.||||한국플랜트산업협회 소개||||사단법인 한국플랜트산업협회는 주요 활동으로 △해외 수주 지원 △기업 역량 강화 추진 △해외 플랜트 시장 개척 지원 △전문 인력 양성(미취업자 재직자) △민·관 협력 지원 △중소형 플랜트 및 공정 설비 수주 지원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밖에는 해외 시장 동향 입찰 정보 정부 시책 등 관련 정보 수시 제공 △정부 지원 포상 △수출 유망 품목 발굴 △기술 개발 △플랜트 산업 발전 방안 수립 및 정책 토론회 △산·학·연 및 민·관 정기 간담회 △대정부 건의 및 제도 개선 등에 힘쓰고 있다.||||플랜트 교육본부 홈페이지: https://edu.kopia.or.kr||웹사이트: http://www.kopia.or.kr||||||||연락처||한국플랜트산업협회 홍보대행||커리어넷||박금이 차장||02-2006-6184||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한국플랜트산업협회||||||배포 분야||||교육||훈련/평생교육||산업||기계/플랜트||공모/모집||서울
Mon, 16 Oct 2023 11:15:00 +0900
-
한국이구스, SEDEX 2023에서 클린룸을 위한 솔루션 제시
인천--(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13일 -- 한국이구스는 10월 25~27일 열리는 ‘반도체대전(SEDEX 2023)’에 참가해 E6 E6J C6 e-skin 및 e-skin flat 등 다양한 클린룸 제품을 선보인다고 밝혔다.||||E6J 제품은 이구스의 무급유 폴리머 재질 가운데 내마모성에 특화된 iglidur® J를 적용 기존 E6 대비 77%의 케이블 분진 감소 효과를 제공한다.||||한국이구스 정준희 차장은 “E6J는 E6 시리즈와 파트 호환이 가능해 기존 E6 사용자와 신규 사용자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제품”이라고 전했다.||||C6 체인은 체인의 고유 기능을 유지하면서 반도체 및 클린 산업에 맞게 저분진 저마모 기능을 더 최적화한 제품이다. 이처럼 저분진 무분진 특성이 가장 중요한 반도체 산업의 시장 공략을 위해 이구스는 시설 부문 투자를 꾸준히 확대해오고 있다. 기존 판매 제품의 성능 개선 및 신규 제품군을 지속 출시한 결과 국내 시장에 다양한 이구스 아이템을 적용시키는 데 성공했으며 2022년에는 사내 클린룸 테스트 랩을 구축해 IPA 인증을 획득했다.||||정준희 차장은 “반도체 수요 둔화에도 불구하고 이구스가 시장에서 성공을 거둘 수 있던 건 다양한 고객사의 요구에 맞게 계속 신제품을 출시한 결과라고 생각한다”며 “SEDEX 2023 참가를 통해 새로운 고객 접점을 늘리고 고객들의 더 다양한 요구에 귀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한국이구스 소개||||이구스(igus GmbH)는 독일 쾰른 본사를 중심으로 전 세계 36개 지사 4150명의 임직원이 일하고 있는 다국적 기업이다. igus만의 특수한 엔지니어링 폴리머 소재를 기반으로 모션 플라스틱을 생산하며 e체인 케이블 베어링이 주요 품목이다. 1150평의 업계 최대 규모 테스트 설비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매년 100가지가 넘는 신제품 출시와 제품 확장으로 2012년 독일의 히든 챔피언으로 선정된 바 있다. 2019년 3D 프린팅 서비스 자동화 로봇 플랫폼 RBTX 4차 산업형 스마트 플라스틱 등을 출시하며 2021년 총매출 9억6100만유로를 기록했다. 또 친환경 그린 캠페인의 하나로 에너지 체인을 재활용하는 ‘chain-ge’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플라스틱 폐기물을 원유로 되돌리는 ‘Plastic2Oil’ 프로젝트에도 아낌없는 투자를 지원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www.igus.kr||||||||연락처||한국이구스||이재원 과장||032-830-9940||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한국이구스||||||배포 분야||||IT||반도체/부품||산업||소재/금속||전시/출품||인천/경기||반도체대전
Fri, 13 Oct 2023 10:40:00 +0900
-
한국제지 ‘그린실드’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온라인 몰 오픈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12일 -- 제지전문기업 한국제지가 친환경 포장재 ‘그린실드’를 판매하는 네이버 스마트스토어를 16일 오픈한다고 밝혔다.||||한국제지는 스마트스토어 오픈을 통해 환경을 생각하는 고객과의 접점을 넓혀 ‘그린실드’ 제품을 홍보하고 온라인 판매 채널을 확장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일 예정이다.||||한국제지의 친환경 포장재 ‘그린실드’는 플라스틱(PE/PP) 코팅을 대체해 친환경 코팅으로 재활용이 가능하며 매립되는 경우에도 3개월 안에 생분해되는 환경친화적 제품이다. 온라인 몰에서는 종이컵 외에도 트레이 접시 몰드 등 폭넓은 상품군을 구성해 나갈 계획이다.||||한국제지는 친환경 포장재 ‘그린실드’를 친환경 패키징의 주력 제품으로 선보이고 있으며 ESG 경영을 선언한 롯데시네마 CGV 현대백화점 대한항공 아워홈 작은영화관 면사랑 등 대기업에 납품하고 있다. 또한 대기업 및 소비자들과의 제휴를 통해 친환경 포장재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다. 지난달에는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팩 엑스포(PACK EXPO)’에 참가해 재활용 생분해가 가능한 친환경 패키지를 주제로 홍보했다.||||안재호 한국제지 대표는 “친환경 포장재 ‘그린실드’의 온라인 몰을 통해 환경을 생각하는 고객과 함께 친환경 일류 기업 실현과 지구 환경보호 활동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한국제지 소개||||한국제지는 1958년 설립돼 ‘종이를 통해 우리나라 문화 발전에 기여한다’는 창업 정신을 실천하는 반세기 역사의 인쇄용지 전문 생산 기업이다. 한국제지의 대표 제품으로는 국내 시장점유율 1위 복사지 ‘miilk’ 최고급 러프글로스지 ‘ARTE’ 화장품·식품 포장재 ‘KAce’와 플라스틱(PP/PE) 코팅이 필요없는 친환경 포장재 ‘Green Shield’가 있다.||||한국제지 스마트스토어: https://smartstore.naver.com/hankukstore한국제지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hankukpaper_official/복사지 ‘밀크’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miilk_paper/||웹사이트: http://www.hankukpaper.com||||||||연락처||한국제지 ||전략마케팅팀||유진희 사원||02-3475-7272||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한국제지||||||배포 분야||||산업||제지/포장||유통||전자상거래||설립/오픈||서울
Thu, 12 Oct 2023 14:20:00 +0900
-
‘2023 국제 공구 및 스마트 용접 자동화전’ 10월 17일 개최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12일 -- 국내외 최첨단 공구 및 스마트 용접 자동화 기기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는 ‘2023 국제 공구 및 스마트 용접 자동화전(TOOL TECH + SMART WELDING AUTOMATION FAIR)’이 10월 17일부터 20일까지 나흘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2홀에서 개최된다.||||한국공구공업협동조합(이사장 최용식)과 한국용접공업협동조합(이사장 은종목)이 공동 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27회째 개최되는 공구 및 용접 전문 전시회다. 독일 미국 중국 대만 등 12개국에서 150개 기업이 참가해 가정용부터 산업용까지 5만 5000여 종의 고정밀 공구와 스마트 용접기 및 용접 로봇 자동화 레이저 용접·절단기 모니터링 시스템 등 진일보된 용접 솔루션을 선보인다.||||이번 전시회는 중소기업중앙회 산하 공구 제조업체 단체인 한국공구공업협동조합과 용접 제조업체 단체인 한국용접공업협동조합이 3회째 협업해 개최하는 대한민국 대표 산업 전시회다. 같은 기간 킨텍스에서 진행되는 자동차 부품 금속 소부장 뿌리기술 수출 상담회 등과 동시 개최됨에 따라 시너지 효과 창출은 물론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해 상담 8억5000만달러 계약 9000만달러의 성과가 기대된다.||||이번 전시회는 신제품 개발 동향과 신기술 업계 동향 및 산업 발전 흐름을 비롯한 국내외 공구 및 관련 기기 용접 및 용접 로봇 자동화 산업의 면면을 실제로 살펴볼 수 있으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공구 및 용접 절단 전문 기업들과 관련 주요 메이커들이 참여해 공구 및 용접 산업의 미래를 만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번 전시회는 동반성장위원회와 효성중공업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전시에 참가하는 용접관련 중소기업의 참가비 일부와 기술 세미나를 지원하는 등의 상생 협력의 모델을 제시했다.||||2023 국제 공구 및 스마트 용접 자동화전은 코로나19 이후 세계 경기 불확실성 속에서 공구 및 용접업계의 위기 극복과 재도약 해법을 제시하고 신규 시장 창출을 포함한 거래선 확대를 지원함으로써 현재의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이번 전시회는 다양한 부대 행사를 통해 기술 및 시장 동향을 공유하고 비즈니스를 위한 판로 개척을 위한 소통의 장으로 역할도 톡톡히 할 예정이다. 부대 행사로는 제조 장비 산업 70개 사의 인력난 해소와 청년 일자리 창출 등을 위한 2023 제조장비산업 채용박람회가 개최되며 초경 소재 및 공구가공 기술 절삭가공 데이터 활용 및 대한용접기술사협회의 전문 기술 상담과 최신 용접 기술 동향에 대한 기술 세미나 등이 개열린다.||||공구는 일반 사용자부터 제조업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소모성 산업으로 기계·자동차·IT·조선·항공·전기·전자·광학·반도체·건설 등 관련 산업에서 파급효과가 큰 핵심 기반 산업이며 용접은 이런 산업에 없어서는 안 되는 핵심 뿌리산업이다. 2023 국제 공구 및 스마트 용접 자동화전 관람을 원하는 업체는 전시회 홈페이지(www.tool-welding.com)에서 사전 참관 등록을 하면 무료로 입장할 수 있다.||||한국공구공업협동조합 소개||||한국공구공업협동조합은 한국 공구공업의 건전한 발전과 조합원 상호 간 복리 증진을 도모해 협동화 사업을 수행함으로써 조합원의 자주적인 경제 활동을 조장하고 경제적 지위 향상을 기해 국민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하고자 1988년 1월 13일에 설립됐으며 중소기업중앙회 산하의 공구 제조 전문 단체로 한국 공구 산업을 대표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는 500여개의 공구 제조업체가 있으며 이 가운데 145개의 공구 제조업체가 한국공구공업협동조합에 가입돼 있다.||||국제공구 및 스마트 용접 자동화전: http://www.tool-welding.com||웹사이트: http://www.tool.or.kr||||||||연락처||한국공구공업협동조합||문병윤 ||02-711-0989||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한국공구공업협동조합||||||배포 분야||||산업||기계/플랜트||소재/금속||전시/출품||서울||2023 국제 공구 및 스...
Thu, 12 Oct 2023 11:10:00 +0900
-
노벨리스, 청계천 환경개선 봉사활동 펼쳐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12일 -- 지속가능한 알루미늄 솔루션을 공급하는 세계 최대 알루미늄 압연 및 재활용 기업 노벨리스는 10월 11일 서울 청계천에서 환경개선 봉사활동을 펼쳤다.||||매년 10월 노벨리스 전 세계 사업장에서 개최되는 ‘노벨리스 봉사의 달’ 일환으로 개최된 이날 행사에는 사친 사푸테 노벨리스 아시아 사장을 비롯한 임직원 40여 명이 자원봉사자로 참여했다.||||노벨리스는 서울시설공단에서 주관하는 청계천 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업 및 단체 네트워크인 ‘청계아띠’에 참여해 임직원 봉사활동과 노후화된 벤치 교체 등 청계천변의 아름다운 환경 조성을 위해 협력하고 있다.||||노벨리스 소개||||노벨리스는 ‘지속가능한 세상을 함께 만든다’는 기업 목적을 표방한다. 노벨리스는 혁신적인 알루미늄 제품 및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선도기업이며 세계 최대 알루미늄 재활용 기업이다. 노벨리스는 저탄소 지속가능한 알루미늄 솔루션을 제공하는 선두기업으로서 북미 유럽 아시아 및 남미 지역에서 항공우주 자동차 음료 캔 산업 분야의 고객 및 공급업체들과 협력해 완전한 순환 경제를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 회계연도 2023년 순 매출은 185억달러를 기록했다. 노벨리스는 인도 뭄바이에 본사를 두고 있는 다국적 기업 아디트야 비를라 그룹(Aditya Birla Group)의 알루미늄 구리 금속 부문 주력 기업인 힌달코 인더스트리즈(Hindalco Industries Limited)의 자회사다. 더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웹사이트: http://novelis.com||||||||연락처||노벨리스코리아||오수현 부장 ||02-2259-1626||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노벨리스코리아||||||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사회공헌||서울
Thu, 12 Oct 2023 09:00:00 +0900
-
퀙텔, 기계 지능과 RTK 내비게이션으로 ZCS의 로봇 제초기 혁신 지원
베를린--(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11일 -- 인터지오(Intergeo) -- 글로벌 IoT 솔루션 제공업체인 퀙텔와이어리스솔루션즈(Quectel Wireless Solutions)는 저체티 센트로 시스테미(Zucchetti Centro Sistemi ZCS)에서 로봇 제초기에 자사의 첨단 기술을 선택했다고 발표했다. 최첨단 트웬티 29 4.0 4.36 4.50 엘리트 RTK 제초기는 퀙텔 LG69T 시리즈 GNSS 모듈을 탑재하고 ZCS 클라우드 리얼타임 키네매틱(RTK) 위성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정밀도를 활용하게 된다.||||퀙텔 LG69T 시리즈는 듀얼밴드 옵션(L1 + L5 또는 L1 + L2)을 통해 최대 4개의 동시 글로벌 콘스텔레이션(GPS Galileo BDS QZSS)을 지원한다. 이 제품은 선택적으로 RTK 및 추측항법(Dead Reckoning) 기술을 통합하여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최고의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최대 10Hz의 내비게이션 속도를 제공하는 LG69T 시리즈는 드론 및 배송 로봇부터 정밀 농업 광업 해양 자동차 텔레매틱스 ADAS 및 DMS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다.||||LG69T-AM은 ZCS 클라우드 RTK를 함께 사용할 경우 센티미터 수준의 정확도를 달성한다. 이를 통해 하나 이상의 로봇이 센티미터 단위의 내비게이션 정확도로 최대 3만 제곱미터(또는 특정 조건에서 8만 제곱미터)의 넓은 작업 영역을 처리할 수 있으며 경계선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ZCS 클라우드 RTK는 위성 기술과 클라우드 플랫폼의 시너지 효과를 활용하여 GPS 안테나를 통해 반경 15km 내 지정된 위치로 로봇을 지속해서 업데이트한다.||||이는 영역 가장자리에서 최대 5cm까지 그리고 좁고 접근하기 어려운 공간이나 큰 경사가 있는 울퉁불퉁한 지형에서 극한의 내비게이션과 고정밀 잔디 절단을 통해 전체 영역에 걸쳐 고르고 정확한 제초 결과를 보장한다. 이 기능은 작업 효율성 사용의 다양성 경계선 설치 불필요 등 여러 가지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이 혁신적인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새로운 잔디 및 초음파 센서가 통합되어 신호가 손실되는 경우에도 높은 정확도로 넓은 지역을 관리할 수 있다.||||퀙텔와이어리스솔루션즈의 사장 겸 CSO 노버트 뮤러(Norbert Muhrer)는 “퀙텔와이어리스솔루션즈는 ZCS의 혁신적인 로봇 제초기에 고급 포지셔닝 기술을 통합한 LG69T-AM 모듈을 제공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이 제초기는 고급 퀙텔 LG69T 시리즈 GNSS 모듈의 기능을 활용하여 센티미터 수준의 정확도를 제공하므로 매우 정밀한 내비게이션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저체티 센트로 시스테미의 서비스 및 고객 품질 관리자 미셸 발로(Michele Bal)는 “ZCS의 R&D 부서인 아이디어랩(Idea Lab)과 IoT 솔루션 전문업체인 퀙텔의 협력은 ZCS 로봇 제초기를 더욱 스마트하게 만드는 방향과 정확하게 일치한다”면서 “RTK 클라우드 기술은 로봇과 클라우드 간의 정보 전송을 개선하고 로봇 제초기의 자율 내비게이션을 최적화하여 로봇 포지셔닝의 정확성을 높인다”고 말했다.||||ZCS의 연구 개발(R&D) 전담 부서인 아이디어랩은 이번 협력을 통해 ZCS 로봇 제초기의 지능을 향상하려는 퀙텔의 비전과 완벽하게 일치한다. RTK 클라우드 기술은 로봇 제초기의 자율 내비게이션을 최적화하여 로봇과 클라우드 간 정보 전송을 개선하고 로봇 포지셔닝의 정확성을 높인다.||||현재 RTK 기술은 주로 대규모 정원용으로 설계된 ZCS 제품 라인의 특정 모델에 통합되어 있다. 가까운 미래에는 중소 규모의 녹지 공간에 맞춰진 로봇으로 그 가용성을 확대할 계획이 마련되어 있다.||||ZCS 로봇 제초기와 퀙텔 LG69T 모듈은 모두 인터지오의 퀙텔 스탠드(홀 1.2 스탠드 A1.012)에 전시될 예정이다.||||퀙텔 소개||||퀙텔은 더 스마트한 세상을 위한 열정을 동인으로 IoT 혁신을 가속한다. 퀙텔은 고객을 가장 중심에 두는 조직으로서 탁월한 지원과 서비스를 갖춘 글로벌 IoT 솔루션 제공업체이다. 계속 성장 중인 5900명의 전 세계 전문가 팀이 셀룰러 GNSS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모듈뿐 아니라 안테나 및 서비스 분야에서 혁신의 첨단을 달리고 있다.||||전 세계 곳곳에 지역 사무소와 지원 조직을 갖춘 퀙텔은 세계적인 리더십으로 IoT의 발전을 도모하고 더 스마트한 세상의 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전념한다.||||자세한 정보는 www.quectel.com 링크트인 페이스북 X에서 찾을 수 있다.||||ZCS 소개||||저체티 센트로 시스테미 로보틱스 사업부(Zucchetti Centro Sistemi Robotics division)는 2000년부터 IT 전자 기계 분야의 노하우와 전문 기술을 결합하여 개발된 혁신적인 하이테크 로봇을 설계 생산 및 유통해 왔다. 주력 제품으로는 모든 정원 요구 사항과 어려움을 충족하는 모델을 갖춘 기술적으로 진보된 Ambrogio 로봇 제초기(http://www.ambrogiorobot.com)와 독점 “무선” 기술이 탑재된 혁신적인 Nemh2o 수영장 청소기(www.nemorobot.com)가 있다.||||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웹사이트: https://www.quectel.com/|| 이 보도자료의 영어판 보기||||연락처||퀙텔와이어리스솔루션즈(Quectel Wireless Solutions)||media@quectel.com||||||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Quectel Wireless Solutions||||||배포 분야||||IT||통신||산업||로봇/제어계측||수주||해외
Wed, 11 Oct 2023 11:55:00 +0900
-
테스토코리아, 컴팩트한 휴대용 측정기 신제품 ‘디지털 HVAC 컴팩트 클래스’ 발표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11일 -- 측정 기술 분야의 세계 선두기업 테스토(Testo)의 한국지사 테스토코리아(Testo Korea 지사장 전경웅)는 11일 한 손에 들어오는 컴팩트한 휴대용 측정기 신제품 ‘디지털 HVAC 컴팩트 클래스’를 발표했다.||||테스토의 ‘디지털 HVAC 컴팩트 클래스’는 11개의 디지털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난방 환기 냉방) 계측 장비와 9개의 측정 프로브로 구성돼 있으며 다양한 환경(대기 공조·환기·온도·압력 등)에서 사용자가 필요한 측정값을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한다. 또 휴대전화와 연동 앱 하나로 모든 작업을 스마트하게 측정할 수 있다.||||대기 공조 및 환기 장치 관리를 위한 제품군||||16㎜ 디지털 베인 풍속계 ‘testo 416’은 환기 덕트에서 간단하면서 빠르고 정밀하게 유량을 측정하고 체적 유량을 계산할 수 있으며 케이블과 연결된 텔레스코픽 프로브(최대 길이 850㎜)를 이용해 자유롭게 덕트를 측정할 수 있다. 100㎜ 디지털 베인 풍속계 ‘testo 417’은 공기 흡입구 및 배출구의 유량 체적 유량 및 온도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퓨넬이 포함된 testo 417세트를 사용하면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배출구도 쉽게 측정할 수 있다. 디지털 열선 풍속계 ‘testo 425’는 환기 덕트에서 온도를 측정하고 체적 유량을 계산할 수 있다. 최적의 상태로 조정된 대기 공조 및 환기 장치는 현대식 건물의 결정적 요소로써 적절한 측정 기술을 통해 환기 덕트의 유량 온도 및 체적 유량을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케이블로 연결하는 텔레스코픽 프로브는 820㎜까지 확장할 수 있어 천장 덕트 또는 큰 직경의 덕트에서도 쉽게 작업할 수 있다.||||압력 측정을 위한 제품군||||디지털 차압 측정기 ‘testo512-1’와 ‘testo512-2’는 공기 덕트의 필터 점검 및 피토 튜브 측정 시 차압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다. 이들 제품은 난방 시스템의 유지 보수 작업에 반드시 필요한 가스의 유동 압력 및 정압을 측정해 버너의 가스 압력을 빠르고 정밀하게 점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각각 최대 200hPa 최대 2000hPa의 압력을 측정하며 독립적 위치의 차압 센서로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결과를 제공한다.||||쾌적도 관리를 위한 제품군||||사람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실내에서 보내며 건강 측면에서 실내 공기질과 쾌적도는 매우 중요한 요소다. 디지털 CO2 측정기 ‘testo 535’는 실내 공기 중 이산화탄소 함량을 효과적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된 장비다.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적외선 센서 기술을 통해 측정 결과의 재현성이 높고 반복적인 비교 측정에 적합하다. 디지털 조도계 ‘testo 545’는 일반적인 모든 광원에 대한 V-람다 곡선에 따라 조도(Lux)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시중의 거의 모든 LED와 호환 가능해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온습도계 ‘testo 625’는 대기 온도와 상대 습도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제품으로 이슬점 및 습구 온도를 원활히 계산할 수 있다.||||온도 측정을 위한 제품군||||열전대 K타입 프로브용 온도차 측정기 ‘testo 922’는 온도를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뿐 아니라 두 개의 열전대 K타입 프로브를 통해 온도차를 즉시 계산할 수 있다. 측정 범위는 -50°C부터 1000°C로 광범위해 사용 용도가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열회로 매니폴드의 급기/환기 온도 조절을 위해 사용된다. 2개의 열전대 K타입이 포함돼 있고 시중의 다른 열전대 K타입 프로브와도 호환이 가능하다. 열전대 K타입 프로브용 온도 측정기 ‘testo 925’는 온도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장비다. 구매 시 1가지 타입의 열전대 K타입 프로브가 포함되지만 시중의 다른 열전대 K타입 프로브와도 호환이 가능하다. NTC 및 Pt100 온도 측정기 ‘testo 110’은 특히 낮은 온도에서 측정해야 하거나 매우 정밀한 온도를 측정해야 하는 모든 분야에서 강점을 제공한다. HACCP를 준수하며 옵션으로 제공되는 NTC 프로브 또는 Pt100 프로브를 통해 식품 환경이나 실험실에서 사용 시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이들 제품은 ‘testo Smart’ 앱에서 빠른 설정 그래프 이력 보조 화면 및 측정 데이터 저장을 비롯해 측정된 값을 그래프로 표시해 관련 보고서를 이메일로 발송할 수 있다.||||테스토코리아 홍성수 세일즈 매니저(Sales Manager)는 “이번에 새롭게 선보인 디지털 HVAC 컴팩트 클래스는 작업자의 짧은 시간 끝없는 작업 목록 복잡한 작업에서 업무 효율성을 크게 높여 주는 장비”라며 “작업자는 측정기 전원을 켜면 정확한 의사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측정값을 즉시 얻을 수 있으며 testo Smart 앱으로 언제 어디서든 가장 중요한 측정 메뉴들을 기록하고 측정된 값을 저장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디지털 HVAC 컴팩트 클래스’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홈페이지(https://www.testo.com/k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테스토 온라인숍(https://www.testoplus.co.kr/)과 전국 대리점에서 구매할 수 있다.||||한편 테스토코리아는 1957년 설립된 글로벌 측정기기 전문기업 독일 테스토(Testo SE & Co.KGaA)의 한국 지사로 다양한 산업 현장에 맞는 스마트한 측정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테스토는 매년 평균 10% 이상의 성장을 이어왔으며 인더스트리 4.0 시대를 이끌어가는 측정 솔루션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 한국 지사 설립 이래 업계 최초로 국내 서비스 센터를 갖추고 판매 후 서비스와 기술 지원 등을 통해 고객 만족을 실현하고 있다.||||테스토코리아 소개||||테스토코리아는 독일 테스토(Testo SE & Co. KGaA)의 한국 지사로 다양한 현장에 맞는 스마트한 측정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2000년 1월 1일 설립된 테스토코리아는 국내 다양한 산업 현장에 맞는 측정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특히 국내에 진출한 외국계 휴대용 계측기 업체 가운데 최초로 국내 서비스 센터를 운영하는 등 고객 만족 실현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www.testo.com||||||||연락처||테스토코리아 홍보대행||물결커뮤니케이션스||이영미 부장||02-3672-6597||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테스토코리아||||||배포 분야||||IT||주변기기||산업||로봇/제어계측||신상품||서울
Wed, 11 Oct 2023 10:24:04 +0900
-
카이메타, 군 사용자를 위한 최초의 다중 궤도 이동형 평면 안테나 출시
레드먼드 워싱턴--(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11일 -- 세계 최고의 평면 위성 안테나 회사인 카이메타(Kymeta)(www.kymetacorp.com)가 오늘 AUSA 2023 연례 회의 및 박람회에서 군 사용자를 위해 특별히 제작된 하이브리드 정지궤도/저지구궤도(GEO/LEO) 터미널 ‘Osprey u8 HGL’의 출시를 발표했다.||||유텔샛 그룹(Eutelsat Group)(옛 원웹(OneWeb))의 LEO 위성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Osprey u8 HGL은 다양한 군용 차량 및 선박에 쉽게 장착할 수 있고 이동 중에도 연결을 제공할 수 있는 완벽한 맞춤형 솔루션이다. 이는 최초의 상용 다중 궤도 터미널이자 유텔샛 그룹의 LEO 네트워크에 대한 최초의 다중 궤도 터미널이기도 하다. 카이메타는 현재 주문을 받고 있으며 첫 번째 배송은 2024년 1분기 초에 이뤄질 예정이다.||||새로운 하이브리드 솔루션은 카이메타의 기존 제품 및 전문 지식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구축됐다. 카이메타의 군사 중심 Osprey u8 GEO 터미널은 2022년 3월에 출시됐으며 현재 분쟁 지역에 있는 미 국방부의 여러 부서에서 사용되고 있다. 2023년 1월 카이메타는 Hawk™u8 LEO를 출시했으며 3월에는 해양 고객을 위한 Peregrine™ u8 LEO를 출시했다. 두 제품 모두 LEO 네트워크에서 형식 승인을 받았으며 매일 글로벌 고객에게 배송된다. Osprey u8 HGL을 통해 카이메타는 군대가 까다롭고 거친 군사 환경의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도록 진정한 탄력성과 자동 PACE 지원 통신을 제공할 예정이다. Osprey u8 HGL의 다중 궤도 기능은 훨씬 높은 가용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내구성이 뛰어나고 맞춤화가 가능하며 저전력으로 사용 가능하고 낮은 가시성 및 사용이 간편해 위성 통신 전문 지식이 필요하지 않다.||||카이메타의 사장 겸 공동 CEO인 월터 버거(Walter Berger)는 “오늘날 현대 군사 환경에서 이동 중 연결성은 성공을 위한 중요한 열쇠 중 하나”라며“군은 다른 어떤 분야보다 작전 및 훈련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진정으로 안정적이고 유연하며 내구성이 뛰어난 이동형 통신 기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새로운 터미널은 군 고객이 LEO와 GEO 다중 궤도 네트워크 간에 쉽게 전환할 수 있게 해 필요한 탄력적인 통신을 제공하고 항상 사용할 수 있으며 중복성을 보장한다. 유텔샛과 이제는 유텔샛 그룹인 원웹의 협력을 통해 우리는 혁신적이고 시장을 선도하는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군대와 함께 입증된 실적을 이어갈 것”이라고 설명했다.||||은퇴한 2* RAF 장교이자 유텔샛 원웹의 국방 및 보안 부사장인 크리스 무어(Chris Moore)는 “각 궤도에는 각각의 장점이 있다. LEO와 GEO를 결합하면 함께 작동하게 하기 위해 다층 아키텍처를 생성하는 경우 두 가지 이점을 모두 얻을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가장 최적의 수단을 통해 데이터를 라우팅할 수 있기 때문에 군대에 매우 귀중한 기능이 될 것”이라며 “카이메타와 협력하고 Osprey u8 HGL과 같은 혁신적인 터미널 솔루션을 활용해 우리는 전 세계 어디에서나 빠르고 높은 대역폭과 낮은 대기 시간으로 군대에 최적의 연결성을 제공할 수 있다”고 밝혔다.||||유텔샛 원웹의 미국 대표 원웹 테크놀로지의 CEO인 케빈 스틴(Kevin Steen)은 “카이메타 Osprey u8 HGL 다중 궤도 이동형 안테나는 혁신의 도약이다. 이는 다른 통신원을 사용할 수 없는 군사 환경의 전투원에게 생명선을 제공하는 것과 같다”며 “이 혁신적인 최첨단 LEO-GEO 다중 궤도 솔루션을 미군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어 기쁘다. 월등히 우수하고 진정으로 안정적이며 탄력적인 글로벌 연결 기능을 전달할 수 있어 자랑스럽다”고 말했다.||||10월 9~11일 워싱턴 DC에서 열리는 AUSA 2023 연례 회의 및 박람회 참석자는 부스 #4256을 방문해 Osprey u8 HGL을 직접 보고 카이메타의 팀원과 논의해 볼 수 있다.||||카이메타 소개||||카이메타는 평면 패널 위성 안테나 분야의 업계 선두 기업으로 다양한 기업 및 군사 응용 분야에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고 전 세계 고객을 위한 유비쿼터스 광대역의 진정한 모바일 연결에 대한 방대한 미충족 수요를 해결하기 위해 공간의 상업적 가치를 활용한다. 소프트웨어 우선 접근 방식과 결합된 혁신적인 메타표면(metasurface) 기술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최초의 메타물질 기반 전자 조종 평면 위성 안테나를 제공한다. 카이메타의 저비용 저전력 및 고처리량 솔루션을 사용하면 이동 중 또는 정지 상태에서 모든 차량 선박 항공기 또는 고정 플랫폼에 쉽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지구상의 산업이 우주에서의 용량을 활용해 운영을 혁신할 수 있다.||||카이메타는 미국 워싱턴 주 레드먼드에 본사를 둔 비상장 회사이다.||||웹사이트:kymetacorp.com||||사진/멀티미디어 자료: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53580460/yy||||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웹사이트: https://www.kymetacorp.com/|| 이 보도자료의 영어판 보기||||연락처||카이메타(Kymeta Corporation)||비즈니스 문의||브렌다 쿤스(Brenda Kuhns)||마케팅 담당 수석 이사||bkuhns@kymetacorp.com||||미디어 문의||리베레(Revere)||케이티 롤닉(Katie Rolnick)||고위 회계 임원||Katie.Rolnick@revereteam.com||||||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Kymeta Corporation||||||배포 분야||||IT||통신||산업||항공/무기||신상품||해외
Wed, 11 Oct 2023 10:00:00 +0900
-
히타치에너지코리아, 국내 최대 규모의 전력·에너지 기자재 전시회 ‘2023 한국전기산업대전-한국발전산업전’ 첫 참가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11일 -- 중전기 및 전력제어시스템 분야의 글로벌 리더 기업 히타치에너지코리아(대표 최석환)가 10월 18일부터 20일까지 3일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국내 최대 전기 및 발전 산업분야 전시회 ‘2023 한국전기산업대전-한국발전산업전(SIEF 2023)’에 참가한다.||||이번 전시회는 ‘넷제로(Net-Zero) 시대를 여는 에너지 기술’을 주제로 코엑스 A홀과 B홀에서 역대 최대 규모인 600부스 규모로 열린다. 한국 원전 기자재 수출 확대 및 지원을 위해 원자력 산업관도 특별관으로 운영한다.||||이번 전시회에 처음 참가하는 히타치에너지코리아는 ‘지속가능한 에너지 미래’를 주제로 ‘지속가능성’과 ‘디지털 전환’이란 양대 테마로 전시를 구성한다. ‘지속가능성’ 테마에서는 회사의 친환경 포트폴리오인 EconiQ™ 초고압 제품을 선보인다. 그중 EconiQ™ 420 kV 초고압 차단기는 세계 최초의 친환경 420kV 초고압 제품으로 SF6(육불화항) 가스를 사용하지 않아 전 생애 주기에 걸쳐 탄소 배출량을 크게 줄여준다. 이와 더불어 크기와 무게를 고려한 최적의 구성으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와 그리드 연결의 복잡성을 해소할 수 있는 Grid-eXpand™ Offshore 모듈형 해상풍력발전 변전 설비도 소개될 예정이다.||||‘디지털 전환’ 테마에서는 루마다(LUMADA) APM(Asset Performance Management) 솔루션과 TXpert™ Ecosystem(생태계)을 선보인다. 첨단 분석 및 인공지능을 바탕으로 데이터 중심 의사 결정을 가능케 하는 루마다 APM은 중요한 자산 장애를 방지하고 자산의 가용성과 신뢰성을 최적화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변압기의 디지털화를 용이하게 하는 TXpert™는 데이터 중심의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운영 최적화 및 장비 수명 연장을 가능케 해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고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 이외에도 산업 분야(유틸리티 석유 가스 광업 분야)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고도의 신뢰성과 안정성이 보장되고 관리가 용이한 산업용 무선 통신 솔루션도 만나볼 수 있다. 제품 및 솔루션은 코엑스 A홀(H500) 히타치에너지코리아 부스에서 전시하며 별도의 신청 없이 누구나 관람할 수 있다.||||최석환 히타치에너지코리아 대표는 “이번 전시회는 다수의 고객들에게 탄소중립 미래에 기여하는 히타치에너코리아의 세계적인 기술과 역량을 선보이며 본사의 솔루션 신뢰성을 검증받는 이상적인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히타치에너지코리아는 ‘모두를 위한 지속 가능한 에너지 미래’를 목표로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개척하고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에너지 시스템을 더욱 지속 가능하고 유연하며 안전하게 발전시키기 위해 국내·외 고객 및 파트너사들과 긴밀하게 교류 및 협업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s://www.hitachienergy.com||||||||연락처||히타치에너지코리아 홍보대행||오픈피알||서지나||070-7363-0767||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히타치에너지코리아||||||배포 분야||||산업||중전기||에너지/환경||친환경 기술||전시/출품||서울||2023 한국전기산업대...
Wed, 11 Oct 2023 08:30:00 +0900
-
에스마크 철강 그룹, 증가하는 평판 압연 철강 시장 수요 맞춰 멕시코에서 입지 확대… 몽클로바에 책임자 선정
시카고하이츠 일리노이/몽클로바 코아후일라--(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10일 -- 에스마크(Esmark Inc.)의 짐 부차드(Jim Bouchard) CEO 겸 회장은 오늘 에스마크 철강 그룹(Esmark Steel Group)이 멕시코 산업용 철강 시장 공급에 중점을 둔 새로운 사업체인 에스마크 스틸 인터내셔널(Esmark Steel International)을 설립했다고 발표했다. 코아후일라주의 몽클로바에 위치한 에스마크 철강 인터내셔널은 제철소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해 건설 금속 제품 철도 차량 자동차 기계 주석판 및 전기 장비 시장에 평판 압연 철강 제품을 공급할 예정이다. 에스마크 철강 인터내셔널은 에스마크 철강 그룹이 전액 출자한 자회사이다.||||루이스 랜도이스(Luis Landois)는 에스마크 철강 인터내셔널의 사장으로 합류해 성장하는 팀과 전체 운영을 이끌게 되며 에스마크 철강 그룹의 로베르토 알바레즈(Roberto Alvarez) CEO에게 보고한다. 랜도이스는 멕시코 철강 및 산업 시장에서 30년 이상의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그는 멕시코 몬테레이의 ITESM에서 경영학 학위 국립대학교에서 M.B.A.를 취득했다. 그는 미국철강협회(AISI) 및 멕시코철강협회(CANACERO)의 이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몽클로바에 거주한다.||||에스마크 철강 인터내셔널의 평판 압연 철강 제품에는 열간압연 냉간압연 주석판 금속 코팅 페인트 및 디지털 인쇄 코일이 포함된다. 제품은 즉시 이용 가능하다.||||부차드 CEO는 “지난 몇 년 동안 멕시코 산업용 철강 시장이 어려움에 직면한 것을 목격했다. 특히 평판 압연 제품 공급업체의 신뢰성 문제가 심각했다. 고객이 안정적이고 꾸준한 제품 공급은 물론 현지 서비스 및 북미 원산지에 공급할 수 있는 대체 자원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음을 알고 있다”며 “당사는 현지화된 서비스 처리 및 물류 지원을 활용해 고객을 위한 일관된 공급을 창출하는 데 집중한다”고 강조했다.||||몽클로바는 풍부한 자재 가용성과 숙련된 인력으로 운영 장비 제조업체(OEM) 및 제작업체를 유치하면서 미주 지역 철도 차량 제조의 유명한 허브로 부상했다. 이 도시는 에너지 산업 특히 강철 기둥 풍차 타워 압력 용기 및 파이프 제조 분야에서 급속한 성장을 경험한 바 있다. 몽클로바는 또한 트럭 프레임과 트레일러 제작을 전문으로 하는 자동차 산업의 본거지이기도 하다.||||몽클로바의 시장인 마리오 다빌라 델가도(Mario Davila Delgado)는 “몽클로바는 에스마크 철강 인터내셔널을 환영한다. 지역 산업 기업의 증가하는 요구 사항을 충족할 뿐만 아니라 이 지역의 우수한 인력을 활용할 수 있길 바란다”며 “북미 지역에서 에스마크의 명성은 안정성 신뢰성 전문성으로 대표된다. 이 새로운 커뮤니티 파트너와의 오랜 관계를 기대한다”고 전했다.||||알바레즈 CEO는 “에스마크는 10년 넘게 멕시코에서 꾸준히 철강 제품을 구매해왔다. 우리는 시장을 잘 알고 있으며 현재 해결할 문제를 이해하고 있다”며 “루이스와 같은 현지 팀은 고도로 숙련된 상업 영업 마케팅 및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이를 에스마크의 전문성에 접목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알바레즈는 멕시코시티에서 태어나 15세까지 몽클로바에서 자랐다. 현재 그는 텍사스주 샌안토니오와 일리노이주 시카고에 거주하고 있다.||||이어 에스마크 철강 그룹은 글로벌 사업 운영에 대한 다양한 승진 결과도 공개했다.||||도미닉 그로스만(Dominic Grossmann)||||현재 에스마크 철강 그룹의 최고운영책임자(COO)인 도미닉 그로스만이 에스마크 철강 그룹의 사장으로 임명됐다. 임명은 즉시 효력이 발생하고 그는 알바레즈에게 보고하게 된다. 도미닉은 2008년에 내부 영업 담당자로 에스마크에 합류했으며 향후 15년 동안 점점 더 많은 책임을 맡게 됐다. 그는 퍼듀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존 더젠티스(John Dergentis)||||현재 운영 부사장인 존 더젠티스는 에스마크 철강 그룹의 부사장 겸 총괄 관리자로 승진하며 임명은 즉시 효력을 발생한다. 더젠티스는 시카고하이츠(Chicago Heights) 및 유니버시티파크 Ill. 부문(University Park Ill. Division)의 운영을 책임지며 그로스만에게 직접 보고한다. 더젠티스는 30년간의 관리 및 운영 경력을 바탕으로 2019년 에스마크에 합류했다. 그는 노던일리노이 대학교에서 학사학위를 받고 드폴 대학교에서 M.B.A.를 취득했다.||||패트릭 프레이(Patrick Frey)||||현재 에스마크 철강 그룹 유니버시티파크 Ill. 부문의 부사장 겸 총괄 관리자인 패트릭 프레이는 구매 담당 수석 부사장으로 승진했으며 그로스만에게 보고한다. 그는 철강 산업에서 35년 이상의 경력이 있으며 2005년에 에스마크에 합류했다. 그는 인디애나대학교와 퍼듀대학교에서 공부했다.||||에스마크 철강 그룹 소개||||에스마크(Esmark Inc.)의 전액 출자 자회사인 에스마크 철강 그룹은 미국 최고의 고부가가치 평판 압연 강판 가공업체 및 유통업체 중 하나이며 그 계열사는 미국에서 세 번째로 큰 주석판강 생산업체이다. 당사는 고객이 해당 산업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제품 서비스 및 혁신을 제공한다.www.esmarksteelgroup.com||||에스마크 소개||||에스마크는 철강 산업에 뿌리를 둔 산업 기업 포트폴리오를 보유한 다각화된 비상장 가족 회사이다. 에스마크는 수년에 걸쳐 산업 및 원자재 부문에 종사하는 다양한 기업으로 관심과 운영을 다양화해왔다. 에스마크(전 나스닥 상장 회사: ESMK)는 철강 서비스 석유 및 가스 탐사 항공 부동산 전문 서비스 기술 및 청소년 스포츠 개발을 포함한 여러 주요 산업에 주력하고 있으며 일리노이주 펜실베이니아주 및 전 세계에서 다양한 인도주의 교육 가족 복지 청소년 스포츠 프로그램에 대한 자선 지원에 1000만달러 이상을 기부하면서 지역 사회에서 활동적인 기업 시민으로 활동하고 있다.www.esmark.com||||본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웹사이트: https://www.esmark.com/|| 이 보도자료의 영어판 보기||||연락처||에스마크(Esmark Inc.)||케이티 리건(Katie Regan)||커뮤니케이션 이사||katie.regan@esmark.com||||||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Esmark Inc.||||||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설립/오픈||해외
Tue, 10 Oct 2023 14:15:00 +0900
-
한화그룹 창립 71주년 맞아 김승연 회장 “창업 시대의 야성 되살리자”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10일 -- 한화그룹(회장 김승연)이 10월 9일로 창립 71주년을 맞았다. 김승연 회장은 휴일이었던 창립기념일 다음날인 10일(화) 사내 방송을 통해 직접 창립기념사를 발표하면서 임직원들에게 격려와 당부의 메시지를 전했다. ||||한화그룹 소속 계열사들은 각 사별로 장기근속자 포상 등 창립기념행사를 진행하며 ‘사업보국(事業報國)’의 창업정신을 되새기고 창립 71주년을 기념했다.||||◇ 창업 시대의 야성 되살려야||||10일 오전 김승연 회장의 그룹 71주년 창립기념사가 사내 방송을 통해 공개됐다. 김 회장은 ‘창업의 아침’을 주제로 한 기념사를 통해 한화그룹이 시대적 사명감으로 남다른 성장사를 써내려 왔다고 평가했다. ||||김 회장은 최근의 지속적인 사업재편과 M&A 등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한화그룹이 지속 발전하기 위해서는 ‘창업 시대의 야성’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창업 시대와 같은 생존에 대한 열망 과감한 실행과 열린 소통을 이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100년 한화 그 이상의 지속가능한 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매 순간 새롭게 창업한다는 각오로 ‘불굴의 창업정신과 사명감’을 가져줄 것을 당부하기도 했다. ||||◇ 한화오션 압도적 성공의 서사 써가자||||새롭게 합류한 한화오션에 대한 희망의 메시지도 잊지 않았다. 김승연 회장은 한화오션이 지닌 저력을 바탕으로 혁신과 도전에 더욱 박차를 가해 기존의 역사를 뛰어넘는 성공을 이뤄가자고 임직원들을 독려했다. ||||한화오션은 최근 치열한 경쟁 끝에 울산급 호위함 Batch-Ⅲ 5 6번함을 수주한 바 있다. 출범과 함께 이뤄낸 이러한 성공의 스토리를 지속 이어갈 것을 약속한 것이다. 김 회장은 임직원들이 확신과 자부심을 가지고 현재 진행 중인 그룹의 과감한 혁신을 이어갈 때 불확실성은 성공의 새 역사로 채워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 다양성을 동력으로 정도경영을 지향점으로 더 높이 도약||||김승연 회장은 기념사에서 한화의 DNA는 포용과 관용을 근간으로 ‘함께 멀리’를 지향한다고 밝혔다. 지속적인 조직 재편과 M&A 등으로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만큼 서로의 장점을 융합해 더 나은 문화를 만들자는 것이다. 누리호 3차 발사 성공 호주 레드백 장갑차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K9 자주포 및 천무 폴란드 수출 등 최근의 성공이 한화그룹의 1등 기업문화로 공고하게 정착하도록 하자는 당부도 더했다. ||||특히 모든 사업영역에서 더욱 엄격한 준법정신과 차별화된 윤리의식으로 정도경영을 실천해줄 것을 주문하기도 했다.||||◇ 임직원이 한화의 주인공이자 자랑스러운 챔피언||||기념사의 말미에서는 그룹 임직원들을 각별히 격려하기도 했다. 한화그룹을 성공의 역사로 이끈 임직원 모두가 오늘의 한화를 만든 주인공이자 자랑스러운 챔피언이라고 강조하며 임직원들의 노고에 감사를 표한 것이다. 김승연 회장은 창업 시대의 뜨거운 열정으로 무장한 챔피언이 돼 한화 가족 모두가 함께할 100년 한화의 미래를 만들어가자며 약 5분 분량의 창립기념사를 마쳤다.||||||웹사이트: http://www.hanwha.co.kr||||||||연락처||한화그룹 ||한화커뮤니케이션위원회||02-729-5599 ||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한화그룹||||||배포 분야||||산업||항공/무기||화학||기업문화||서울
Tue, 10 Oct 2023 11:25:04 +0900
-
그립팜·PA코리아, 2023 로보월드에서 맞춤형 로봇 그리퍼 ‘Bespoke 서비스’ 공개
광명--(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09일 -- 적층 제조 전문 설계(DfAM) 엔지니어링 기업 하비스탕스의 로봇 그리퍼 브랜드 그립팜(GriPalm)과 진공 자동화 전문 기업 PA코리아가 손을 잡고 2023 로보월드 전시회에서 ‘Bespoke 서비스’를 공개한다.||||양사는 이 서비스를 통해 그립팜의 경량 맞춤형 그리퍼 설계 및 제조 기술과 PA코리아의 진공 전문 기술을 결합함으로써 로봇 자동화를 위한 더 안정적이고 최적화된 진공 그리퍼 솔루션을 제공할 전망이다.||||‘Bespoke 서비스’의 핵심은 맞춤화에 있다. 로봇은 서비스 제조 등 모든 분야에서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지만 로봇의 제한된 페이로드와 기성 그리퍼의 형상적 한계 높은 비용 무게 등을 이유로 로봇 사용 현장에서 엔지니어들의 고민이 많다. 양사는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그리퍼 제조 및 진공 기술에 대한 전문 지식과 노하우를 결합하고 로봇 작업 환경에 가장 적합한 가볍고 안정적인 진공 그리퍼 해결책을 제공해 로봇 자동화 시스템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향상하고자 한다.||||그립팜과 PA코리아가 개발한 20kg 박스 이송용 그리퍼||||그립팜과 PA코리아는 10월 11일부터 고양 킨텍스에서 열리는 ‘2023 로보월드 전시회’에서 Bespoke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소개할 예정이다. 전시장에서는 로봇 자동화 현장에 적용된 다양한 맞춤형 진공 그리퍼 사례를 소개 및 시연하며 그리퍼 제품 및 진공 부품을 출품한다.||||그립팜 소개||||그립팜은 로봇용 그리퍼 전문 브랜드로 적층 제조 전문 설계 기업인 하비스탕스가 2021년에 출시했다. 가반 하중이 제한적인 협동로봇에 가볍고 튼튼하며 합리적인 가격의 그리퍼를 제공하고자 개발했다. 그립팜은 설계 자유도가 높은 3D프린팅 최적 설계 기술 및 고강도 탄소 복합소재를 활용해 가볍지만 강하고 맞춤화된 그리퍼를 제공하며 그리퍼 자동 설계 시스템 로봇 컨피규레이터를 지속해서 개발하고 있다.||||PA코리아 소개||||피에이코리아는 진공 자동화 전문 기업이며 세계적인 피아브 그룹사인 에어베스트의 한국 독점 공급사이자 독일 짐머 그룹의 공급사이다. EOAT 시장의 요구에 맞게 진공과 기계식 그리퍼 및 주변기기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으며 오랜 경험과 노하우로 최적의 진공 컨설팅을 제공한다.||||하비스탕스 소개||||하비스탕스는 적층제조 전문기술 회사이다. 국내기업에 적층 기술을 소개하여 성공적인 도입을 가속하고 최적화 관점에서 비즈니스 모델 구축 서비스까지 제공한다. 적층 제조를 공급자 중심이 아닌 수요자 중심관점에서 디자인 제조 공정 교육에 전문화된 서비스를 제공해 고객의 보이지 않는 돕는 손이 되어 고객이 실현하고자 하는 가치에 빨리 도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GriPalm 온라인 제조 서비스: https://gripalm.com/||웹사이트: https://www.harvestance.com/||||||||연락처||하비스탕스||고객서비스팀||임승재||02-3144-0119||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하비스탕스||||||배포 분야||||산업||로봇/제어계측||제휴||인천/경기
Mon, 09 Oct 2023 10:05:13 +0900
-
기아, 전기차 배터리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다자간 업무협약 체결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06일 -- 기아가 전기차 배터리 순환 생태계 조성을 위해 국내 최초로 민관 협력 관계를 구축한다.||||기아는 6일(금) 경주 힐튼호텔에서 진행한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2023 국제 이차전지 포럼’에서 현대글로비스 에바싸이클 에코프로 경북도청 경북테크노파크 등 전기차 배터리 관련 업체 및 지자체 5곳과 ‘배터리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얼라이언스(Alliance) 구축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이번 업무협약은 증가하는 전기차 폐배터리 물량을 활용하기 위해 배터리 재활용 과정 전반에 대한 검증 필요성이 대두되는 가운데 기업과 지자체 간 협력을 기반으로 배터리 생태계 조성을 위한 시범사업 시행을 위해 이뤄졌다.||||폐배터리 재활용의 경제성 및 신규 사업 추진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배터리 잔존가치 평가 기준’을 마련하는 것으로 이번 시범사업은 해당 가치를 자세하고 현실성 있게 분석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특히 이번 사업은 국내 최초 민관 협력을 기반으로 자동차 제조사부터 배터리 재활용 기업 이차전지 소재 제조사 지자체까지 배터리 산업 전반에 걸친 협력 체계를 구축해 진행하는 새로운 형태다.||||시범사업에서 △기아는 폐배터리 공급을 비롯한 시범사업 총괄 △현대글로비스는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성 검토 △에바싸이클은 배터리 분해/해체와 블랙파우더(Black Powder)[1] 제조 △에코프로는 원소재 추출 및 양극재 제조 △경북도청과 경북테크노파크는 배터리 재활용 관련 규제 개선 및 신사업 기술 개발을 위한 환경 조성을 담당한다.||||시범사업 동안 참여 기업과 지자체는 실제 폐배터리를 투입해 배터리 재활용과 관련된 전체 공정을 실행할 계획이다.||||이를 통해 원소재 추출부터 배터리 생산 및 전기차 탑재로 이어지는 배터리 순환 과정 전반의 모든 단계별 데이터를 상세히 확보해 수치화하고 경제성을 검토할 예정이다. 또한 도출된 실증 결과를 면밀히 분석해 본격적인 배터리 재활용 산업 생태계 구성의 발판으로 삼고 신규 사업 추진 활용 가능성도 함께 살펴본다.||||기아는 시범사업의 실증 결과를 바탕으로 전기차 배터리의 잔존가치 제고를 통한 배터리 순환 생태계를 구성하고 나아가 ‘배터리 구독 서비스’ ‘배터리 리퍼비시 서비스’[2] 등 배터리 생애주기 연계 서비스인 ‘BaaS(Battery as a Service)’[3] 상용화에 앞장서겠다는 방침이다.||||기아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실제 배터리 재활용 공정으로 추출한 원소재들의 가치를 측정하고 공정별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해 결과를 도출한다면 향후 배터리 순환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있어 기준점이 될 것이라며 시범사업을 거쳐 배터리의 가치를 높이고 나아가 BaaS 사업과의 연계를 이뤄 궁극적으로 전기차 도입 확대에 크게 기여하겠다고 밝혔다.||||[1] 리튬이온 배터리 파쇄 후 선별 채취한 검은색 분말로 니켈·리튬·코발트·망간 등을 함유한 중간과정 원료||[2] ‘재제조 배터리’를 의미하는 단어로 폐배터리에 부품 교체 및 배터리 셀 업사이클링(Up-Cycling)을 통해 사용 가능한 형태로 재제조해 다시 전기차에 탑재하는 서비스||[3] 배터리 대여·교환 등 서비스 플랫폼||||||웹사이트: http://www.kia.co.kr||||||||연락처||기아||홍보팀||02-3464-2105||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기아||||||배포 분야||||산업||화학||자동차||부품/정비||제휴||서울
Fri, 06 Oct 2023 15:12:55 +0900
-
그린리소스, 증권신고서 제출… 코스닥 상장 절차 본격화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06일 -- 반도체 공정 설비 초고밀도 특수코팅 전문기업 그린리소스(대표이사 이종수)가 5일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상장 공모 일정에 돌입했다.||||그린리소스의 총 공모주식수는 164만주로 신주 100%로 구성됐으며 주당 공모 희망가 범위는 1만1000원~1만4000원이다. 공모를 통해 최대 230억여원을 조달할 예정이다.||||10월 25일부터 31일까지 기관투자자 수요예측을 진행해 공모가를 확정하고 11월 2일과 3일 일반청약을 받는다. 11월 상장 예정이며 상장주관회사는 NH투자증권이다.||||2011년 설립된 그린리소스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 설비에 적용되는 초고밀도 특수코팅 전문 기업이다. 회사는 코팅 소재부터 부품 및 장비 코팅 기술로 이어지는 원스톱 솔루션을 바탕으로 초고밀도 코팅 소재와 코팅 서비스 등을 글로벌 반도체 기업 및 디스플레이 기업 등에 공급하고 있다.||||그린리소스는 세계 최고 수준의 초고밀도 코팅 기술을 바탕으로 글로벌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초고밀도 코팅은 반도체 웨이퍼 중 필요한 부분 외 나머지 물질을 제거하는 식각 공정에 적용되며 10㎚ 이하 반도체 식각 공정 수율을 높이기 위해 필수적인 기술이다. 내플라즈마·내식성의 보호 코팅을 적용하면 높은 출력의 플라즈마에 노출되는 식각 체임버 내 부품을 보호해 오염입자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제품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글로벌 고객사들이 EUV(극자외선) 공정과 ‘High-K’ 공정을 기반으로 3㎚ 이하 공정을 본격 적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혹독한 공정 환경을 견딜 수 있는 초고밀도 코팅 수요가 증가해 그린리소스의 실적도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린리소스의 올해 추정 영업이익은 약 46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약 24%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회사 측은 2024년 하반기 이후 매출 및 영업이익 등 본격적인 실적 퀀텀 점프를 기대하고 있다.||||이종수 그린리소스 대표이사는 “코스닥 상장 이후 생산시설을 추가 확보하고 연구개발 투자를 통해 기술 경쟁력을 꾸준히 강화해나갈 것”이라며 “반도체 분야 외에 초전도 선재가 활용되는 에너지와 우주항공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 사업 영역을 넓혀 종합첨단소재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상장 포부를 밝혔다.||||||||||||||연락처||그린리소스 홍보대행||서울IR네트워크||PR본부||제수현 매니저||02-783-0628||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그린리소스||||||배포 분야||||IT||반도체/부품||산업||소재/금속||투자||인천/경기
Fri, 06 Oct 2023 14:39:14 +0900
-
에코프로, 전기차 배터리 순환 생태계 구축을 위한 다자간 업무협약 체결
청주--(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06일 -- 에코프로가 전기차 배터리 순환 생태계 구축을 위해 국내 최초로 민관 협력 기반의 다자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에코프로는 6일 경북 경주시 보문로 힐튼호텔 경주에서 진행된 ‘글로벌시장 진출을 위한 2023 국제 이차전지 포럼’에서 기아 현대글로비스 에바사이클 경북도청 경북테크노파크와 ‘배터리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얼라이언스(Alliance) 구축 업무협약’을 체결했다.||||협약식에는 송호준 에코프로 대표이사와 권혁호 기아 부사장 이규복 현대글로비스 대표이사 류지훈 에바사이클 대표이사 이철우 경북도지사 하인성 경북테크노파크 원장 등이 참여했다.||||협약에 참여한 업체와 지자체는 전기차 보급 확대로 점차 늘어나는 폐배터리 재활용을 위한 협력구조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배터리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시범사업에 나설 계획이다. 폐배터리 재활용의 경제성 등을 평가할 수 있는 ‘배터리 잔존가치 평가 기준’ 마련이 주요 목적이다.||||에코프로는 폐배터리 후처리 공정 및 전구체 리튬 양극재 제조를 맡는다. 기아는 재활용 시범사업 기획 및 폐배터리 공급을 담당하고 현대글로비스는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성 검토를 수행한다. 에바사이클은 배터리 분해 및 블랙파우더[1] 제조 경북도와 경북테크노파크는 폐배터리 관련 규제 개선 및 기술 개발 지원에 나선다.||||이번 협약은 국내 최초로 민관 협력을 바탕으로 한 배터리 재활용 협력이다. 이차전지 원소재부터 완성차에 이르기까지 산업 전반에 걸쳐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배터리 순환 과정별 데이터를 수집해 경제성을 확인할 예정이다.||||송호준 에코프로대표는 “에코프로는 포항캠퍼스에 이차전지 생태계를 구축해 배터리 양극소재부터 리사이클에 이르기까지 수직 계열화를 통해 차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며 “이번 협약을 통해 리사이클 영역을 기존 폐배터리에서 전기차로 확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됐다”고 말했다.||||[1] 블랙파우더 : 리튬이온 배터리 파쇄 후 선별 채취한 검은색 분말로 니켈·리튬·코발트·망간 등을 함유하고 있는 중간과정 원료||||||웹사이트: https://www.ecopro.co.kr/||||||||연락처||에코프로||CSR 추진팀||송충현||02-6903-1728||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에코프로||||||배포 분야||||산업||화학||자동차||부품/정비||제휴||충북
Fri, 06 Oct 2023 14:19:59 +0900
-
구자은 LS 회장 “위기일수록 위험보다 미래 기회 포착하자”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06일 -- LS그룹(회장 구자은)이 6일 그룹 미래성장 다짐의 장으로서 지난해부터 새롭게 시작한 ‘LS Future Day’를 올해로 2회째 안양 LS타워에서 개최했다.||||이 행사에는 구자은 LS그룹 회장을 비롯한 각 계열사 CEO CTO(최고기술책임자) CDO(최고디지털책임자) 등 임직원 200여 명이 참석했으며 그룹의 미래 신사업 아이디어 R&D 최고 성과 및 디지털 혁신 우수 사례 등을 임직원들 앞에 공유하고 시상하는 시간을 가졌다.||||LS 퓨처 데이는 구자은 회장 취임 이후 지속 추진해 온 ‘양손잡이 경영’을 더욱 가속화하기 위해 2004년부터 실시해 온 연구개발 성과공유회 LS T-Fair를 기존 사업뿐만 아니라 미래 사업 분야로 확장한 행사다.||||크게 △New Business(신사업) △Technology(기술) △Innovation(혁신) 세 가지 분야에서 배터리 리사이클링 자율주행 트랙터 스마트 오피스 사무생산성 혁신 등 각 사의 20여 개 우수 성과가 경쟁했으며 이중 우수 사례로 선정된 임직원은 내년도에 구 회장과 함께 최신 기술 트렌드를 경험할 수 있는 세계 최대 국제전자제품 박람회(CES 2024) 참관 기회가 주어졌다.||||구 회장은 격려사에서 “위기라는 말에는 위험과 기회가 공존하는데 우리 LS는 지금까지 위험에는 잘 대응해 왔고 앞으로 잘 해 나갈 것”이라며 “혁신의 역사상 테슬라와 애플 1세대 제품들이 모두 2007년 2008년과 같은 금융위기 시대에 나온 것처럼 LS도 위기 상황일수록 위험보다는 미래의 기회 요소에 더욱 집중하고 혁신함으로써 위기 이후의 시대를 리딩하는 기업으로 도약하자”고 임직원들에게 강조했다.||||아울러 이번 LS 퓨처 데이에서는 러-우크라 전쟁 미-중간 무역 갈등 등 국제 질서의 변화 속에서 LS그룹의 비전 2030 방향성을 점검해 보기 위해 정치·외교·경제 분야의 전문가들을 초빙해 강의를 듣는 포럼도 개최했다.||||강연은 중국·미국·유럽·중동 등 4개 분야 전문가인 이철 박사 김지윤 박사 안병억 대구대학 교수 김수완 한국외국어대학 교수가 각각 강연 연사로 참여해 각 국가 및 대륙별 현재 상황과 미래 전략 등에 대해 발표를 진행했다.||||또한 이번 LS 퓨처 데이에서는 임직원들의 참여와 체험을 더욱 이끌어내기 위해 ‘LS 네컷’이라는 즉석 사진 부스를 마련해 사전에 미리 촬영해 둔 구자은 그룹 회장과 나란히 포즈를 취할 수 있는 이벤트도 마련해 큰 호응을 얻기도 했다.||||LS그룹은 매년 9~10월경 LS 퓨처 데이를 정례화하고 임직원들이 참여할 수 있는 하나의 축제로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웹사이트: http://www.lsholdings.co.kr||||||||연락처||LS그룹 ||홍보팀 ||김재명 과장||02-2189-9782 ||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LS||||||배포 분야||||산업||기계/플랜트||중전기||인물동정||서울
Fri, 06 Oct 2023 11:54:55 +0900
-
애경케미칼, 친환경 가소제 확대로 사업경쟁력 높이고 건강한 삶 이끈다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06일 -- 애경케미칼(대표 표경원)이 글로벌 가소제 메이커로서 친환경 가소제 판매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가소제는 PVC(폴리염화비닐) 수지를 벽지 바닥재 전선 피복 레자 등 다양한 용도의 플라스틱 제품으로 가공하는 데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이다. 가소제가 일상생활 속 다양한 제품에 사용되는 만큼 전 세계적인 수요는 연평균 920만톤 규모(2021년 기준)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3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은 약 2.6%로 전망된다.||||가소제는 전 세계적으로 많은 양이 사용되는 만큼 인체와 환경에 대한 위해성 평가를 오랜 기간 폭넓게 진행해왔다. 업계는 지속적으로 인체와 환경에 무해한 가소제 개발에 힘썼고 애경케미칼 역시 연구개발에 매진해왔다. ||||그 결과 2000년대 초반 친환경 가소제(NEO-T)를 개발해 사업을 확대했으며 특히 유럽과 북미 등 선진국 시장 수출 비중을 크게 늘려왔다. 최근에는 폐플라스틱(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을 재활용해 만든 친환경 가소제(NEO-T+) 개발에 성공하며 자원선순환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됐다. 이와 관련 국제 친환경제품 인증인 ‘ISCC PLUS’와 ‘GRS(Global Recycled Standard)’를 획득해 제품 기술력을 인정받기도 했다.||||||웹사이트: http://www.aekyungchemical.co.kr/||||||||연락처||애경케미칼 ||커뮤니케이션팀||이진주 선임||02-6078-3042||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애경케미칼||||||배포 분야||||산업||화학||에너지/환경||친환경 기술||사업계획||서울
Fri, 06 Oct 2023 09:20:05 +0900
-
한화시스템, 정기 임원인사 단행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04일 -- 한화시스템(대표이사 어성철)이 4일 정기 임원인사를 단행했다. 한화시스템은 이날 정기 임원인사에서 총 7명의 신규 임원 승진자 명단을 발표했다.||||한화시스템은 올해 임원인사는 회사의 지속 성장을 견인하기 위한 ‘기존 사업 확대’와 ‘미래 사업 발굴’의 관점에서 성과와 전문성이 검증된 인력을 등용하는 차원이라고 밝혔다.||||◇한화시스템 신규 임원 승진자(7명)||||- 김성철||- 김용진||- 류승우||- 반왕||- 박매훈||- 신상호||- 장보섭||||||웹사이트: https://www.hanwhasystems.com/kr/index.d...||||||||연락처||한화시스템||커뮤니케이션팀||지선진 차장||02-729-5906||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한화시스템||||||배포 분야||||산업||항공/무기||인사||서울
Wed, 04 Oct 2023 16:24:37 +0900
-
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정밀기계, 2024년 정기 임원인사 단행
창원--(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04일 --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2024년 정기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인사에서는 총 20명이 신임 임원으로 승진했고 승진 일자는 11월 1일이다.||||올해 4월 통합법인 출범 후 실시된 첫 임원 인사는 미래 사업 강화를 위해 성장 가능성이 높은 인력 발탁에 초점을 맞췄다.||||한편 이날 한화정밀기계는 신임 임원 승진자 5명 등 정기 임원 인사를 실시했다.||||◇ 신규 임원 승진자||||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전략부문||△김경환 △김호중 △이명헌 △이인희 △조성원 △최병호 △한세정||· 사업부문||△김중석 △안종기 △윤용상 △이경훈 △이승두 △이우진 △이창수 △이희창 △전대근 △정선용 △최명환 △최연진 △황동규||||한화정밀기계||△강태우 △김성구 △박영민 △이만희 △이태영||||||웹사이트: https://www.hanwhaaerospace.co.kr/||||||||연락처||한화에어로스페이스||커뮤니케이션팀||김동휘||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한화에어로스페이스||||||배포 분야||||산업||항공/무기||인사||부산/울산/경남
Wed, 04 Oct 2023 16:19:24 +0900
-
더블뷰, 독자적인 야금학적 테스트로 스칸듐을 2차 인산염 제품으로 회수
브리티시 컬럼비아 밴쿠버--(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04일 -- 더블뷰 골드 코퍼레이션(Doubleview Gold Corp.)(토론토벤처증권거래소: DBG)(미국 장외시장: DBLVF)(프랑크푸르트증권거래소: 1D4)(‘회사’ 또는 ‘더블뷰’)은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북서부 해트(Hat) 폴리메탈릭 광상의 광물 코어 샘플에 대한 독자적인 야금학적 테스트 작업으로 스칸듐을 2차 스칸듐 및 인산알루미늄 침전물로 회수했으며 총 스칸듐 회수율은 90% 이상임을 성공적으로 입증했다고 9월 28일 발표했다.||||야금학적 테스트 작업은 최종 스칸듐 제품을 생산하는 다음 단계로 발전하고 있다.||||파샤드 쉬르바니(Farshad Shirvani) 더블뷰 사장 겸 CEO는 “더블뷰는 앤드류 카터의 지도와 그의 야금팀 그리고 테트라 테크의 혁신적인 접근 방식에 따라 코발트와 스칸듐 분야의 세계 무대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구축하는 중요한 이정표를 달성했다”고 말했다. 이어 “더블뷰는 Hat 광상을 중요한 구리 코발트 및 스칸듐 광상으로 개발했다고 확신하고 있다”며 “회사는 이번 성과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금속 산업의 선두에 섰다”고 설명했다.||||그는 “이 성과는 광물 탐사와 야금 분야의 우수성과 혁신에 대한 더블뷰의 헌신을 강조한다”고 덧붙였다.||||야금 공정||||이전 테스트 작업은 Hat 프로젝트에서 추출한 지질 물질이 일반적인 지각 암석보다 높은 수준의 스칸듐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냈다. 관련된 내용은 2021년 10월 1일 보도자료를 참조하면 된다. 2022년 8월 9일 보도자료에 따르면 이번 테스트 작업에서는 부선 광미 제품에서도 스칸듐이 보고됐다. 최근 테스트 작업은 추가 처리 및 최종 스칸듐 회수를 위한 중간 제품으로 스칸듐을 회수하기 위해 부선 광미 처리에 중점을 둔다.||||테스트 작업에서는 철의 94%가 1차 침전물(1단계)로 제거되고 스칸듐과 알루미늄이 2차 인산염 침전물(3단계 및 4단계)로 회수돼 개별적 또는 결합해 처리될 수 있음을 보였다.||||2차 제품으로의 총 스칸듐 회수율은 90% 이상이었다. 금속 책임성은 Sc 108% Al 103% 및 Fe 100%를 나타내 일반적으로 양호했다.||||적격 담당자||||앤드류 카터(Andrew Carter)(EUR ING B.Sc. CEng. MIMMM QMR 테트라 테크의 MSAIMM SME Geo-Environment & Mining Services)는 광물 프로젝트에 대한 공시 표준 National Instrument 43-101에 정의된 Hat 프로젝트 야금 연구와 관련한 더블뷰의 적격 담당자로 이 보도자료의 기술적 내용을 검토 및 승인했다. 앤드류 카터는 더블뷰와는 독립돼 있다.||||주의 사항: 현재 독립적인 엔지니어링 회사가 광물 자원 추정치를 준비하지만 Hat 광구에서는 광물 자원이 추정되지 않았으며 추가 작업은 리슬 지역(Lisle Zone) 또는 존재할 수 있는 기타 지역의 광물 자원 분류를 보장하지 않는다.||||더블뷰 골드 코퍼레이션 소개||||광물 자원 탐사 및 개발 회사인 더블뷰 골드 코퍼레이션(Doubleview Gold Corp.)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TSX-벤처 거래소(TSXV:DBG) OTCQB:DBLVF GER:A1W038 FSE:1D4에서 공개적으로 거래되고 있다. 더블뷰는 북미 특히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귀금속 및 비금속 탐사 프로젝트를 확인 및 인수하고 자금을 조달한다. 더블뷰는 고품질 금 구리 은 광상을 인수 및 탐사하고 첨단 탐사 방법을 적용해 주주 가치를 높인다. 회사의 전략적 자산 포트폴리오는 다양화를 제공하고 투자 위험을 완화한다.||||TSX 벤처 거래소나 해당 규제 서비스 제공업체(TSX 벤처 거래소의 정책에 정의돼 있음)는 이 보도자료의 적절성 또는 정확성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는다.||||여기에 포함된 특정 진술 및 정보는 ‘미래 예측 정보’로 간주할 수 있다. 특히 사적 모집 및 향후 작업 프로그램에 대한 언급이나 그러한 작업 프로그램의 품질 또는 결과에 대한 기대는 해당 광구의 운영 일반적인 탐사 활동 장비 제한 및 가용성뿐만 아니라 현재 당사가 인지하지 못할 기타 위험과 관련된 위험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독자들이 미래 예측 정보에 지나치게 의존하지 말 것을 권고한다. 회사는 관련 증권법에서 요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새로운 정보 향후 사건 또는 기타 결과에 관계없이 미래 예측 정보를 공개적으로 업데이트하거나 수정할 의무를 지지 않는다.||||||웹사이트: https://www.doubleview.ca/||||||||연락처||더블뷰 골드 코퍼레이션(Doubleview Gold Corp)||파샤드 쉬르바니(Farshad Shirvani)||사장 겸 CEO||(604) 678-9587||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더블뷰 골드 코퍼레이션||||||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개발||서울
Wed, 04 Oct 2023 15:00:00 +0900
-
카르비오스, 새로운 섬유 준비 라인으로 폴리에스테르 재활용의 주요 혁신 공개… 프랑스 산업부 장관 롤랑 레퀴르도 참석
클레르몽페랑 프랑스--(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04일 -- 규제 뉴스:||||플라스틱과 직물의 라이프사이클을 재생하기 위한 생물학적 기술 개발 및 산업화의 개척 기업인 카르비오스(Carbios)(유로넥스트 그로스 파리: ALCRB)가 오늘 롤랑 레퀴르(Roland Lessure) 프랑스 산업부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클레르몽페랑에 있는 데모 공장에서 섬유 준비 라인을 가동했다. 현재 수동으로 작업해야 하거나 여러 라인에서 수행되는 직물 준비 단계를 간소화하기 위해 카르비오스는 효소적 바이오 재활용 공정을 통해 중고 의류나 절단 스크랩의 직물 폐기물을 해중합에 적합한 원료로 변환하는 완전히 통합되고 자동화된 라인을 개발했다. 이 특허 라인은 모든 준비 단계(버튼이나 버클과 같은 단단한 부품의 파쇄 및 추출)를 통합하고 카르비오스에 확장 가능한 고성능 개발 도구를 제공한다. 이 플랫폼은 (2024년까지) 실증 공장 규모에서 섬유의 바이오 재활용 기술을 검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수집 및 분류 운영자와 협력해 카르비오스에 전문성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는 섬유의 품질을 보장하면서 효소 재활용에 적합하게 만드는 데 필요한 준비 단계를 완료할 수 있게 한다. 이런 전문 지식은 브랜드 제품의 에코 디자인에도 매우 귀중한 요소가 된다.||||롤랑 레퀴르 프랑스 산업부 장관 -“직물 재활용은 주요 문제이다. 이에 따라 제품의 수명주기를 관리하기 위한 솔루션의 필요성이 중요해지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현재 직물 폐기물의 13%만이 재활용되고 있으며 나머지 87%는 매립되거나 소각된다. 카르비오스는 프랑스 재활용 산업 창출에 기여하는 기업이다. 그 노하우와 혁신적이고 협력적인 정신을 바탕으로 지금까지 직물 재활용의 걸림돌이 됐던 문제에 대한 최첨단 프랑스산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에마뉘엘 라덴트 카르비오스 CEO -“섬유 준비는 재활용을 위한 필수 단계이다. 섬유 준비를 위한 솔루션이 없으면 재활용 산업도 없고 섬유 순환성도 없다. 당사의 새로운 준비 라인의 결과물은 바이오 재활용 프로세스에 직접 통합될 준비가 됐으며 이를 통해 폐쇄 루프 “섬유 간” 재활용이 가능하다. 이 기술은 우리와 협력하는 기업이 강력히 필요로 하는 부분이다. 이 기술의 산업화 및 국제화 전반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은 프랑스 정부에 감사드린다.”||||창립 행사에 참석한 섬유 간(Fiber-to-Fiber) 컨소시엄의 파트너 브랜드: 온(On) 푸마(PUMA) 및 살로몬(Salomon) - 이 준비 라인은 바이오 재활용에 대해 섬유 간 컨소시엄과 진행 중인 작업을 완료하고 카르비오스 기술의 산업 발전을 가속할 것이다. ||||현재의 수집 분류 및 준비 인프라는 “섬유 간” 재활용이 가능한 직물 폐기물의 양을 제한한다. 전 세계 평균 수거율은 약 15~25%이며[3] 수거된 폐기물의 대부분은 분류를 위해 아프리카 아시아 또는 라틴아메리카로 수출된다.||||직물은 물리적으로 분리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다양한 구성(또는 성질)의 원사를 포함하는 매우 복잡한 소재이다. 카르비오스가 개발한 엄선된 효소는 직물 소재에 존재하는 PET(폴리에스테르)를 특이하게 해중합할 수 있다.||||현재 직물은 주로 수동으로 분류 및 준비되며 특히 “단단한 부품”(지퍼 단추 등)과 같이 재활용 공정을 어렵게 하는 물질이 있는 경우 수율이 낮다. 이 중요한 단계를 최적화하기 위해 카르비오스는 섬유 산업의 바이오 재활용 개발을 가속하기 위한 섬유 준비 솔루션에 뛰어들었다. 효소 재활용 즉 바이오 재활용은 섬유 재활용 체인의 구축과 섬유 순환성 가속에 기여하며 기업이 중고 제품을 처리할 수 있게 한다.||||섬유 준비 라인에 대한 주요 정보||||(표의 내용은 pdf 참조. 다운로드: https://bit.ly/48xRvnr)||||2025년 1월 1일부터 유럽에서 시행되는 섬유 수집||||유럽에서는 2025년 1월 1일부터 직물 폐기물의 별도 수거가 의무화된다. 위원회 웹사이트에 따르면 유럽연합은 2030년까지 직물 구성에 재활용 섬유의 최소 함량을 설정할 계획이다.[4]||||유럽연합이 공동 자금을 지원하지만 표현된 견해와 의견은 저자만의 것이며 유럽연합이나 CINEA의 견해와 의견을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유럽연합이나 허가 당국은 이에 대한 책임이 없다.||||카르비오스 소개||||카르비오스는 플라스틱 및 직물의 수명 주기를 재창조하기 위해 생물학적 솔루션을 개발하고 산업화하는 생명 공학 회사이다.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카르비오스는 플라스틱 및 직물 오염을 피하고 순환 경제로의 전환을 가속한다는 사명으로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효소 기반 공정을 개발한다. PET의 생물학적 재활용과 PLA의 생분해를 위한 두 가지 혁신적 기술은 산업적/상업적 규모에 도달하고 있다. 바이오 재활용 실증 공장은 2021년부터 운영 중이며 인도라마 벤처(Indorama Ventures)와 협력해 최초의 산업 공장이 2025년에 시운전될 예정이다. 카르비오스는 특히 네이처(Nature)지에 소개되면서 과학적 인정을 받았으며 화장품 식음료 및 의류 산업의 유명 브랜드가 제품의 재활용성과 순환성을 향상하도록 지원한다. 네슬레 워터(Nestl Waters) 펩시코(PepsiCo) 및 선토리 베버리지 앤 푸드 유럽(Suntory Beverage & Food Europe)은 카르비오스와 로레알(LOral)이 설립한 패키징 컨소시엄의 회원이다. 온(On) 파타고니아(Patagonia) 푸마(PUMA) PVH Corp. 및 살로몬(Salomon)은 섬유 컨소시엄에서 카르비오스와 협력한다.||||www.carbios.com/en 에서 플라스틱 및 섬유 순환성을 강화하는 생명 공학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 수 있다.||||트위터:Carbios/ 링크트인:Carbios/ 인스타그램:insidecarbios||||카르비오스 주식 정보:||||ISIN 코드FR0011648716||종목 코드유로넥스트 그로스: ALCRB||LEI:969500M2RCIWO4NO5F08||||2011년 트뤼프 캐피털(Truffle Capital)이 설립한 카르비오스는 중소기업에 투자하는 프랑스 거주자가 소득세 환급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정부 프로그램인 PEA-PME에 대한 적격 회사이다.||||미래예측진술 및 위험 요소에 대한 고지||||본 보도자료는 과거 데이터가 아닌 미래예측진술을 포함하고 있으며 진술된 사실과 데이터가 발생할 것이라는 보장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이런 미래예측진술은 카르비오스가 합리적이라고 간주하는 데이터 가정 및 추정치를 기반으로 한다. 카르비오스는 경쟁적이고 빠르게 진화하는 환경에서 운영된다. 따라서 사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위험 불확실성 또는 기타 요소 사업에 대한 잠재적 영향 또는 위험의 구체화 또는 위험이 조합된 상황이 미래예측진술에 언급된 예상과 크게 다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다. 카르비오스는 미래예측진술이 결코 미래 성과를 보장하지 않으며 카르비오스의 실제 재무 상태 결과 및 현금 흐름과 카르비오스가 운영하는 부문의 개발이 이 문서에 포함된 미래예측진술에 의해 제안된 것과 크게 다를 수 있다는 사실에 독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고자 한다. 또한 카르비오스의 재무 상태 결과 현금 흐름 및 해당 산업의 발전이 이 문서에 포함된 미래 예측 정보와 일치하더라도 그런 결과나 개발은 카르비오스의 미래의 결과 또는 개발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지표가 아닐 수 있다. 독자들은 프랑스 시장 당국(“AMF”)에 제출된 범용 등록 문서와 회사 웹사이트에서 무료로 제공되는 반기 재무 보고서에 설명된 위험 요소를 신중하게 고려하는 것이 권장된다. 이런 위험 요소의 전체 또는 일부가 구체화하는 경우 카르비오스는 어떤 경우에도 이 보도자료의 정보 및/또는 진술과 관련해 내린 결정이나 조치 또는 관련 손해에 대해 누구에게도 책임을 지지 않는다. 이 정보는 본 보도자료의 날짜를 기준으로만 제공된다. 카르비오스는 해당 정보에 적용되는 법적 또는 규제 의무에 따른 경우를 제외하고 이 정보 또는 정보가 기반으로 하는 가정에 대한 업데이트를 게시할 의무가 없다.||||이 보도자료와 여기에 포함된 정보는 어떤 국가에서든 카르비오스 주식의 매도 제안 또는 매수 제안 권유 또는 청약 권유를 구성하지 않는다.||||번역은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된다.본 보도자료의 프랑스어 버전과 영어 버전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프랑스어 버전이 우선한다.||||[1]엘렌 맥아더 재단(Ellen MacArthur Foundation) 2017||[2]섬유 간 재활용은 품질을 저하하지 않고 직물 폐기물을 의류 및 직물용 새로운 섬유로 변환한다.||[3]엘렌 맥아더 재단(Ellen MacArthur Foundation) 2017||[4]https://ec.europa.eu/commission/presscorner/detail/fr/qanda_22_2015||||||첨부자료:||카르비오스.pdf||||||웹사이트: https://www.carbios.com/fr/|| 이 보도자료의 영어판 보기||||연락처||카르비오스(Carbios)||멀리사 플로로(Melissa Flauraud)||언론 홍보||+33 (0)6 30 26 50 04||melissa.flauraud@carbios.com||||벤자민 오데베르(Benjamin Audebert)||투자자 홍보||+33 (0)4 73 86 51 76||contact@carbios.com||||언론 홍보(프랑스)||아이코닉(Iconic)||마리-버지니 클라인(Marie-Virginie Klein)||+33 (0)1 44 14 99 96||mvk@iconic-conseil.com||||언론 홍보(미국)||루니 파트너스(Rooney Partners)||케이트 L. 바렛(Kate L. Barrette)||+1 212 223 0561||kbarrette@rooneyco.com||||언론 홍보(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영국)||MC 서비스(MC Services)||아네 헤네케(Anne Hennecke)||+49 (0)211 529 252 22||carbios@mc-services.eu||||||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Carbios||||||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에너지/환경||친환경 기술||사업계획||해외
Wed, 04 Oct 2023 14:05:00 +0900
-
테스토코리아 ‘매니폴드게이지’ 특별 보상 판매 이벤트 진행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04일 -- 측정 기술 분야의 세계 선두기업 테스토(Testo)의 한국지사 테스토코리아(Testo Korea 지사장 전경웅)는 10월과 11월 두 달간 ‘매니폴드게이지’ 특별 보상 판매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디지털 매니폴드게이지는 고압 압력계와 복합 압력계가 붙어 있어 냉매를 충전하거나 빼내는 데 사용되는 장비로 압력과 온도 과열도 및 과냉도를 실시간으로 점검해 냉매 충전 여부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테스토코리아는 10월과 11월 두 달간 제조사에 관계없이 기존에 사용하던 매니폴드게이지를 반납한 후 자사 디지털 매니폴드게이지인 testo 550s KR 세트 및 testo 557s 세트 2가지 제품을 최대 36%의 특별 할인가로 구매할 수 있는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들 보상 제품은 디지털 매니폴드게이지로 아날로그 제품 대비 3~4배 가격이 높으며 테스토는 고객들이 합리적인 가격으로 기존 아날로그 제품을 디지털 제품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testo 557s KR 세트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뿐만 아니라 최신 디지털 방식을 포함한 모든 측정 타입에 적합하고 모든 사용자군과 측정 상의 모든 문제를 충족할 수 있는 디지털 매니폴드게이지로 대형 그래픽 디스플레이와 스마트폰을 통해 빠른 측정과 용이한 작업이 가능한 제품이다. 블루투스와 2-way 밸브 블록을 포함하며 냉장 시스템과 히트펌프의 시운전 수리 및 유지관리에 유용하다.||||이 제품은 기존 아날로그 방식의 매니폴드게이지와 달리 대형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지털 방식으로 모든 측정 데이터와 평가 결과를 더욱 명확하게 보여주며 모든 측정 데이터와 평가 결과를 테스토의 전용 모바일 앱(App)에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측정과 동시에 측정 메뉴가 안내되고 중요한 변수들을 자동으로 기록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를 최대 100m 범위까지 지원해 블루투스로 연결된 스마트폰을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값을 확인할 수 있다.||||또한 국제 방수·방진 보호등급인 IP54를 획득해 물과 먼지로부터 제품을 보호해 거친 작업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고 냉동 시스템과 히트펌프에 대한 일상적인 작업을 용이하게 해주는 여러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실용적인 키트로 제공돼 사용자들은 모든 측정 작업을 최적의 상태로 즉시 준비할 수 있다.||||테스토코리아 이상엽 HVAC/R 세일즈 매니저(Sales Manager)는 “이번 보상 판매 이벤트는 36% 할인가로 아날로그 매니폴드게이지를 디지털 매니폴드게이지로 전환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효율적인 냉매관리를 통해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이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많은 관심을 기대한다”고 말했다.||||한편 테스토코리아는 1957년 설립된 글로벌 측정기기 전문 기업인 독일 테스토(Testo SE & Co.KGaA)의 한국지사로 다양한 산업현장에 맞는 스마트 측정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테스토는 매년 평균 10% 이상의 성장을 지속해왔으며 인더스트리 4.0 시대를 이끌어가는 측정 솔루션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한국지사 설립 이래 업계 최초로 국내 서비스센터를 갖추고 판매 후 서비스와 기술지원 등을 통해 고객만족을 실현하고 있다.||||이번 보상 판매 이벤트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테스토 고객센터로 문의하면 된다.||||테스토코리아 소개||||테스토코리아는 독일 테스토(Testo SE & Co. KGaA)의 한국지사로 다양한 현장에 맞는 스마트한 측정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2000년 1월 1일 설립된 테스토코리아는 국내 다양한 산업 현장에 맞는 측정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특히 국내에 진출한 외국계 휴대용 계측기 업체 가운데 최초로 국내 서비스센터를 운영하는 등 고객만족 실현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www.testo.com||||||||연락처||테스토코리아 홍보대행||물결커뮤니케이션스||이영미 부장||02-3672-6597||이메일 보내기 ||||고객센터||02-2620-8100||||||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테스토코리아||||||배포 분야||||IT||주변기기||산업||로봇/제어계측||판촉활동||서울
Wed, 04 Oct 2023 10:33:55 +0900
-
삼양그룹, 창립 99주년 맞아 ‘글로벌 스페셜티’ 기업으로 도약 다짐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04일 -- 창립 99주년을 맞이한 삼양그룹이 변화와 혁신을 통해 ‘글로벌 스페셜티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삼양그룹(김윤 회장)은 1일 창립기념일을 맞아 사내 전산망을 통해 임직원들에게 김윤 회장의 기념사를 공유했다.||||김윤 회장은 “삼양그룹은 1924년 창립 이후 99년 동안 국민의 의식주 해결과 국가 경제발전에 이바지하며 국민기업으로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왔다”며 “99년의 역사는 더없이 소중하지만 100년 이상을 영속하기 위해서는 변화와 혁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했다.||||이어 “그동안 인류에게 필요한 것을 제공하며 생활을 풍요롭고 편리하게 만들었다면 앞으로는 한단계 나아가 인류의 삶을 바꾸고 진보시킬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기업이 돼야 한다”며 “반도체 2차 전지 및 퍼스널 케어 소재와 차세대 대체 감미료 생분해성 봉합사 등 그룹의 핵심 스페셜티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 육성해 사업 포트폴리오를 스페셜티와 글로벌 중심으로 고도화해 나갈 것”이라고 목표를 밝혔다.||||김윤 회장은 임직원들의 일하는 방식과 마음가짐에서도 변화와 혁신을 강조했다. 김 회장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도전정신과 변화에 신속하고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조직문화를 전문성과 결합해 도전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한다”며 “익숙한 과거에서 정답을 찾으려 하기 보다 열린 생각과 새로운 관점으로 무한한 내부의 잠재력을 깨워 새로운 길을 찾아달라”고 당부했다.||||끝으로 “미래 성장은 변화와 혁신을 필수적으로 수반하며 임직원 모두가 동참해야 한다”며 “치열하게 고민하고 도전하면서도 서로 지지하고 격려하는 삼양의 기업문화를 만들어가자”고 말했다.||||한편 삼양그룹은 창립 99주년을 맞아 10월 13일 ‘해리티지 워킹 이벤트’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날 이벤트에는 임직원들이 함께 참여해 전북 고창의 창업주 수당 김연수 회장의 생가를 방문하고 1940년대 간척사업을 통해 축조한 해리염전 길을 걸으며 창업주의 도전과 개척정신을 직접 체험할 예정이다.||||||웹사이트: http://www.samyang.com||||||||연락처||삼양홀딩스 ||커뮤니케이션팀 ||임홍조 사원||02-740-7231||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삼양홀딩스||||||배포 분야||||산업||화학||기업문화||서울
Wed, 04 Oct 2023 09:51:26 +0900
-
마크포지드, OEM 승인 온디맨드 부품 제조플랫폼 ‘Digital Source’ 출시
보스턴--(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04일 -- 마크포지드(Markforged)는 3D 프린팅 부품에 대해 ‘일관되고 신뢰할 수 있는 턴키 생산 솔루션’을 제공하는 동시에 엔드 투 엔드 프로세스 제어 제공을 통해 디지털 웨어하우스를 관리하기 위한 제조 플랫폼 Digital Source의 출시를 발표했다.||||부품 제조사인 고객이 부품 설계 데이터를 Digital Source에 업로드한 후 고객 유통업체 및 계약 제조업체에 라이선스를 부여할 수 있다. 라이선스 승인을 받은 Digital Source 사용자(고객 유통업체 또는 계약 제조업체)는 승인된 부품을 프린팅 제작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고 현장에서 적시에 승인된 부품을 제작할 수 있다.||||OEM 업체는 부품 설계 데이터와 제조 파라미터를 업로드할 때 설계 데이터와 OEM이 정의한 제조 공정을 보호할 수 있도록 암호화 체계를 통해 프린팅 제조 프로세스 요구 사항과 보안 설정을 지정할 수 있다.||||Digital Source는 디지털 웨어하우스 관리 및 공급 수급의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부품 원청 업체 제조 공급 업체 유지 보수 서비스 업체 및 유통 업체 모두가 생산성 수익성 업무 효율성 향상을 통해 고객 만족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마크포지드 CEO Shai Terem은 “Digital Source는 공급망을 관리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부품이 파손되거나 마모돼 제조 라인의 가동이 중단되면 매일 수백만달러의 비용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예비 부품의 가용성은 제조업체의 성공에 매우 중요하다. 또한 광범위한 실제 재고를 유지하면 수년 동안 사용하지 않을 수 있는 부품에 대한 자본이 묶여 있게 된다”며 “Digital Source는 물류를 단순화할 뿐만 아니라 공급망에 유연성을 지원한다. 이러한 효율성을 통해 수익성을 높일 수 있다. Digital Source를 사용하면 부품을 미리 제조하고 필요할 때까지 보관할 필요가 없고 물류 배송을 위한 패키징과 배송 어레인지를 할 필요가 없으며 필요한 시점에 부품을 필요로 하는 현장에서 즉시 생산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고 말했다.||||BMF Gmbh OEM 인증 디지털 공급망 구축으로 미션 크리티컬한 부품을 적시에 현장에서 지원 ||||BMF는 기계의 풀 가동 조건에서 특정 부품은 매 3~4개월마다 교체해야 한다. 각 기계 제품에는 60개의 적층제조 부품을 장착하고 있다. 이러한 소모품 부품을 현장에서 적시에 바로 프린팅해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솔루션으로 Digital Source 플랫폼을 활용하고 있다.||||Ronny Bernstein BMG GmbH CEO는 “모든 예비 부품을 비축하려면 상당한 공간의 물류 저장 창고가 필요하다. BMF는 고객 주문에 따라 예비 부품을 배송할 때 관리 절차가 너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배송까지도 상당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가 많다”며 “Digital Source를 통해 고장이나 마모가 감지되는 순간 구성 요소를 현장에서 적시에 바로 3D 프린터로 제조해 사용하게 됐다. 마크포지드의 Digital Source를 채용하면서 더 이상 부품 보관을 위한 물리적 창고를 확보할 필요도 없고 각 부품을 도처에 배송해야 하는 물류 비용도 감소했을뿐더러 부품의 주문 생산 공급 사용 수명 및 부품 업그레이드에 따른 부품의 버전 관리 등이 모두 디지털화된 최적화 솔루션이 됐다”고 Digital Source 사용 효과를 설명했다.||||디트로이트 오토메이션 앨리 보안 신뢰성 높은 Digital Source를 활용한 분산 제조 시스템 구축||||Project DIAMonD는 미국 디트로이트 오토메이션 앨리(Automation Alley)의 온디맨드 부품 양산을 위한 세계 최대의 비상 대응 네트워크로 중소 제조업체가 300대의 마크포지드 프린터를 운영하고 있다.||||Automation Alley의 최고 운영 책임자(COO)이자 Project DIAMonD의 CEO인 Pavan Muzumdar는 “부품의 디지털 공정 관리를 보호하고 원격에서 생산된 적층제조 부품의 품질 표준을 시행하는 데 중점을 두기 때문에 마크포지드를 높이 평가한다”면서 “우리는 제조의 미래가 분산 제조에 있다고 믿는다. 안전한 디지털 인벤토리를 통해 글로벌 제조 현장들을 연결하고 적시에 현장에서 제품 성형이 가능한 안전한 분산제조 솔루션을 제공해주는 Digital Source는 미래에 대한 우리의 비전과 매우 밀접하게 일치한다”고 언급하며 디지털 부품의 분산 생산 및 공급망 관리의 미래 비젼을 실현한 마크포지드와 공급사 인증 온디맨드 적층제조 플랫폼 Digital Source의 신뢰성을 확인해줬다.||||VESTAS는 Digital Source를 사용해 터빈용 부품을 3D 프린팅 제조해 다운 타임 제거 ||||Vestas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 솔루션의 선도적인 공급업체다. 글로벌 공급업체인 Vestas Wind Systems A/S의 수석 엔지니어인 Jeremy Haight는 “Digital Source는 필요한 곳에 예비 부품을 인쇄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하므로 기계를 훨씬 빠르게 백업 및 작동하고 가동 중지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시간은 우리에게 매우 소중하다. 공장 중 하나에서 라인 오류가 발생하면 큰 문제지만 터빈 오류로 인해 더 많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필요한 부품에 액세스해 인쇄할 수 있다면 플랜트나 터빈을 훨씬 더 빠르게 백업하고 가동할 수 있다”고 마크포지드의 Digital Source를 활용한 디지털 인벤토리 관리와 분산 생산의 효율성을 강조했다.||||마크포지드 소개||||마크포지드(Markforged)는 제조현장에서 충분히 활용 가능한 고강도 부품을 제작할 수 있는 복합소재/금속 3D 프린터를 생산해 제조업계를 혁신하고 있다. 전 세계의 엔지니어 디자이너 및 제조 전문가들은 공구 제작 고정 장치 기능성 시제품 그리고 고부가의 최종 제품 생산을 위해 마크포지드의 금속 및 복합 프린터를 활용하고 있다. 2013년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 설립된 마크포지드는 전 세계에 걸쳐 250여명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략적 투자 및 벤처 투자를 통해 1억3700만달러의 자금을 확보하고 있다. 마크포지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면 확인할 수 있다.||||Digital Source 웹사이트: https://markforged.com/digital-source||웹사이트: http://www.markforged.com||||||||연락처||마크포지드 코리아 ||백소령 지사장 ||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마크포지드||||||배포 분야||||산업||기계/플랜트||자동차||부품/정비||신상품||해외
Wed, 04 Oct 2023 09:39:40 +0900
-
대한전선, 국내 최대 규모 ‘안마해상풍력’ 우선공급대상자로 선정
안양--(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04일 -- 대한전선이 대규모 해저케이블 수주의 물꼬를 텄다.||||대한전선(대표이사 송종민)이 ‘안마해상풍력사업’의 해저케이블 우선공급대상자로 선정돼 해상풍력 업체인 안마해상풍력와 우선공급계약(PSA : Preferred Supplier Agreement)을 체결했다고 4일에 밝혔다.||||안마해상풍력은 전라남도 영광군 안마도에서 서쪽으로 약 40km 떨어진 해상에 조성되는 532MW(메가와트) 규모의 해상풍력 사업이다. 여의도 약 29배의 풍력 단지로 국내에서 진행되는 해상풍력 프로젝트 중 가장 큰 규모다. 내년 상반기에 착공해 2027년에 건설될 예정이다.||||대한전선은 해상풍력 단지 내에서 사용되는 내부망 해저케이블 공급 및 시공 일체를 맡는다. 내부망은 풍력 발전기와 발전기 사이 발전기와 해상 변전소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로 해상풍력 단지가 대형화될수록 소요량이 늘어난다. 국내 최대 규모인 만큼 내부망 케이블 소요량은 수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대한전선은 현재 건설 중인 해저케이블 공장에서 이번 프로젝트에 납품될 해저케이블을 생산할 계획이다. 대한전선은 대규모 해저케이블 생산이 가능하도록 충남 당진의 고대부두 배후부지에 해저케이블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내년부터 66kV급 내부망 케이블 공급이 가능하며 순차적으로 154kV 외부망을 생산할 수 있도록 설비를 구축하고 단계적으로 345kV 외부망과 525kV급 HVDC 해저케이블 생산 설비까지 확충할 계획이다.||||대한전선은 서남해해상풍력단지의 R&D 사업과 실증사업에 해저케이블 납품 및 시공을 통해 축적한 경험과 기술력이 이번 우선공급대상자 선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했다.||||||웹사이트: http://www.taihan.com||||||||연락처||대한전선 ||홍보팀 ||박보라 팀장 ||02-316-9350 ||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대한전선||||||배포 분야||||산업||중전기||에너지/환경||신재생에너지||수주||인천/경기
Wed, 04 Oct 2023 09:12:59 +0900
-
바텍인그레디언트, 새로운 시설로 용량은 두 배 늘리고 배출량은 80% 감소
스토니 크리크 온타리오--(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 2023년 10월 03일 -- 바텍인그레디언트(Bartek Ingredients)가 세계 최대 규모의 말산 및 푸마르산 제조 시설의 진행 상황에 대한 최신 정보를 제공했다. 2023년 1월 착공한 이 프로젝트는 2024년 9월 말까지 고객에게 제품을 전달할 예정이다.||||바텍의 CEO인 존 버로스(John Burrows)는 “우리가 예상대로 모든 일이 잘 진행되고 있다”라며 “내년 여름까지 확장된 용량과 다양한 신제품에 대한 새로운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바텍은 새 시설이 공장 안전 효율성 및 환경 성과에 대한 새로운 글로벌 기준을 세울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이 중 바텍의 생산 능력이 두 배로 증가하고 단위당 온실가스 배출량의 80% 이상 감소를 예상한다.||||바텍은 이 프로젝트에서 글로벌 엔지니어링 회사인 WSP와 협력하고 있으며 시설 건설 전반에 걸쳐 업데이트를 계속 공유할 계획이다. 질문이나 업데이트는 Bartek.ca에서 확인할 수 있다.||||바텍인그레디언트 소개||||바텍은 50여 년간 말산 푸마르산 말레산 무수물을 제조해 온 세계적인 제조업체이다. 캐나다 온타리오주 스토니 크리크에 본사를 둔 바텍은 온타리오 남부에 있는 두 개의 생산 시설에서 120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바텍의 시설은 ISO 9001:2015 표준에 등록돼 있으며 BRC 글로벌 식품 안전 기준(BRC Global Standard for Food Safety) 인증을 획득하고 세계 40여 개국에 제품을 공급한다. 2019년 새로운 소유주를 맞아 상당한 투자를 통해 식음료 분야에서 바텍의 입지는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다. 이는 깊은 제품 전문 지식과 응용 지식을 활용해 업계 요구 사항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매우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로 가능했다. 바텍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bartek.ca/에서 확인할 수 있다.||||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사진/멀티미디어 자료 :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53565975/en||||||웹사이트: https://bartek.ca/|| 이 보도자료의 영어판 보기||||연락처||바텍인그레디언트(Bartek Ingredients)||에린 로빈스(Erin Robbins)||마켓플레이스(MarketPlace)||+1-314-366-3562||erin.robbins@marketplacebranding.com||||||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Bartek Ingredients Inc.||||||배포 분야||||산업||화학||유통||식품/음료||사업계획||해외
Tue, 03 Oct 2023 10:23:30 +0900
-
닛폰 산소 홀딩스, 2023년 통합 보고서 발간
도쿄--(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27일 -- 닛폰 산소 홀딩스 코퍼레이션(Nippon Sanso Holdings Corporation 이하 NSHD)이 9월 26일 웹사이트에 ‘2023년 통합 보고서(Integrated Report 2023)’를 발표했다. 통합 보고서는 경영전략 사업개요 등을 포함한 그룹의 재무 정보와 지속 가능 경영 활동 등의 비재무 정보를 그룹 구성원과 투자자를 포함한 모든 이해관계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매년 발간된다.||||2023년 통합 보고서에서는 2022년 5월에 발표한 중기 경영 계획 ‘NS 비전 2026| 미래를 만들기(NS Vision 2026| Enabling the Future)’(NS 비전 2026)에 초점을 맞추었고 가치 창출 스토리를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알기 쉽게 설명하고자 했다.||||2023년 통합 보고서는 PDF 형식으로 발행되며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관련 정보가 포함된 당사 웹 사이트의 특정 페이지로 연결되는 점프 링크를 추가했다.||||NSHD 홈페이지의 통합 보고서페이지에서 보고서 전문을 확인할 수 있다.||||2023년 통합 보고서의 주요 내용||||1) 가치 창출||· 최고경영자 메시지를 통해 ‘NS 비전 2026’의 진행 상황과 비즈니스 환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NSHD 그룹의 전략을 제시한다.||· 특집으로 ‘NS 비전 2026’에 정의된 중점 분야에 제시된 ‘운영 우수성’ ‘토탈 일렉트로닉스(Total Electronics)’ ‘탄소 중립성’ 관련 구체적인 노력을 소개한다.||· 가치 창출 스토리는 기본 개념 우리가 제공하는 가치 직원들의 목소리 가치 창출의 원천과 함께 그룹 인사 책임자의 메시지를 보여준다.||||2) 부문별 가치 창출||부문별로 ‘NS 비전 2026’ 최종 연도에서 포지션을 명확히 밝히고 시장 포지션과 강점 사업 환경에 대한 인식 중요 지속 가능성 항목 등을 분석하며 가치 창출을 위한 전략 방향을 설명한다.||||3) 기업 거버넌스||나가사와 카츠미(Katsumi Nagasawa) 사외이사 겸 임명 및 보수 자문위원회(Advisory Committee on Appointments and Remuneration) 위원장 오쿠다 유타카(Yutaka Okuda) 그룹 법무 담당 임원이 토론을 진행하고 NSHD를 둘러싼 환경을 근거로 주의해야 할 도전을 제시한다. 또한 이사회와 감사 및 감독위원회 각 구성원의 경험과 전문 분야를 나열하는 기술 매트릭스를 제공한다.||||목차||소개||특집||가치 창출 스토리||성과 하이라이트||지속 가능성||사업별 가치 창출||거버넌스||그룹 정보||부록||||닛폰 산소 홀딩스 그룹(Nippon Sanso Holdings Group)은 세계 4위의 산업 전자 및 의료용 가스 공급업체로 일본 미국 유럽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등 4개 지역에서 30여 개국과 지역에 걸쳐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써모스 사업은 전 세계 120여 개국에 써모스(THERMOS) 브랜드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1910년 닛폰산소주식회사(Nippon Sanso Ltd.)로 설립된 이래 산업 생산성을 높이고 인간 복지를 향상하고 보다 지속 가능한 미래에 기여하는 혁신적인 가스 솔루션을 통해 사회적 가치 창출을 대변하고 있다. 1만9000여 명의 직원은 함께 ‘가스 전문가’로서 ‘가스 기술을 통한 더 나은 삶 만들기’라는 같은 목표를 가지고 있다.||||사진/멀티미디어 자료: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53562273/en||||본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웹사이트: https://www.nipponsanso-hd.co.jp/en/|| 이 보도자료의 영어판 보기||||연락처||닛폰 산소 홀딩스(Nippon Sanso Holdings Corporation)||홍보||Nshd.Info@nipponsanso-hd.co.jp||||||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Nippon Sanso Holdings Corporation||||||배포 분야||||산업||화학||에너지/환경||석유/가스||사업계획||해외
Wed, 27 Sep 2023 14:30:00 +0900
-
이구스, DIFA 전시회 참가로 자동차 경량화 솔루션 선보인다
인천--(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27일 -- 한국이구스는 10월 ‘2023 대한민국 미래모빌리티엑스포(DIFA)’에서 이구스 폴리머 베어링이 적용된 자동차 경량화 솔루션을 선보인다.||||이구스의 폴리머 베어링은 급유와 유지보수가 필요 없고 가벼우며 뛰어난 내마모성으로 오토모티브 산업에 적용할 때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특히 유사한 사양의 금속 베어링 1개의 무게는 iglidur 플레인 베어링 7개의 무게와 같다. 플라스틱의 종류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7배라는 수치는 적용되는 베어링의 개수가 100개 200개를 넘어가는 오토모티브 산업의 경우 엄청난 경량화 효과로 이어진다.||||한국이구스 이대형 차장은 “iglidur는 적용 온도나 환경에 따라 필요한 특성을 제공해 적합한 재질 선정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 다수의 업체에 적용되고 있는 실제 애플리케이션의 전시를 통해 오토모티브 산업에 적합한 베어링 재질을 한 자리에서 소개할 계획이다”고 전시회 참가 의도를 밝혔다.||||한국이구스 소개||||이구스(igus GmbH)는 독일 쾰른에 위치한 본사를 중심으로 전 세계 36개 지사 4150명의 임직원이 일하고 있는 다국적 기업이다. igus만의 특수한 엔지니어링 폴리머 소재를 기반으로 모션 플라스틱을 생산하며 e체인 케이블 베어링이 주요 품목이다. 1150평의 업계 최대 규모 테스트 설비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매년 100가지 이상의 신제품 출시와 제품 확장으로 2012년 독일의 히든 챔피언으로 선정된 바 있다. 2019년 3D 프린팅 서비스 자동화 로봇 플랫폼 RBTX 4차 산업형 스마트 플라스틱 등을 출시하며 2021년 총매출 9억6100만유로를 기록했다. 또한 친환경 그린 캠페인의 일환으로 에너지 체인을 재활용하는 ‘chain-ge’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플라스틱 폐기물을 원유로 되돌리는 ‘Plastic2Oil’ 프로젝트에도 아낌없는 투자를 지원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www.igus.kr||||||||연락처||한국이구스||이재원 과장||032-830-9940||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한국이구스||||||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전시/출품||인천/경기||2023 대한민국 미래모...
Wed, 27 Sep 2023 11:50:00 +0900
-
‘2023 소부장뿌리 기술대전’ 10월 18~20일 일산 킨텍스서 개최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27일 -- 2023 소부장뿌리 기술대전이 ‘소부장 파워 공급망 강국’이라는 주제로 10월 18일부터 10월 20일까지 3일간 경기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된다.||||2023 소부장뿌리 기술대전은 대한민국 첨단·제조산업의 공급망 기업의 주요성과 전시를 통한 비즈니스 협력 교류의 장을 마련하고 글로벌 미래 비전을 제시할 예정이다. 첨단공급망 생태계를 보여주는 기업 전시관부터 첨단·소부장 특화단지까지 다양한 정보를 공유 및 습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진행될 예정이다.||||특히 이번 소부장뿌리 기술대전은 4홀에서 진행되는 붐업코리아와 연계해 개최되며 K모빌리티전(1홀) 국제공구전(2홀) 금속산업대전(3홀) DIC 2023 컨퍼런스(그랜드볼룸 19일)와 동시에 개최돼 보다 많은 볼거리를 선사한다.||||사무국은 다양한 행사와 함께 개최되는 만큼 2만여명 이상의 소부장 관계자들이 방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해에 개최된 ‘2022 소부장뿌리 기술대전’은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274개 기업이 참여하고 1만2000명의 참관객이 방문하는 등 수출 상담액도 1억5000만달러(한화 약 2000억)에 달했다. 사무국은 매년 성황리 개최 중인 소부장뿌리 기술대전은 올해 약 300여개 기업이 참여해 역대 최다 규모로 구성된다고 밝혔다.||||소부장뿌리 산업발전에 기여한 유공자의 훈포상 시상식 또한 행사 시작일인 10월 18일(수) 오전에 개막식과 함께 진행되며 부처 관계자와 유관기관장들의 참여가 예정돼 있다. 이어서 부대 프로그램으로 첨단산업 소부장 기술포럼(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바이오) R&D 연구개발비 집행정산관리 설명회 가상공학 플랫폼 구축사업 성과공유회 신뢰성학회 기술세미나 K-뿌리산업 첨단화 전략세미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준비돼 있다.||||또한 참관객의 이해도 향상을 위해 스토리텔링형 전시관을 구성·기획했으며 행사 전 ‘입소문 이벤트 현장 방문 인증 이벤트’ 등 다양한 경품을 준비하고 있다. 더욱더 자세한 행사 정보는 2023 소부장뿌리 기술대전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한편 2023 소부장뿌리 기술대전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한국소재부품장비투자기관협의회(KITIA) 킨텍스가 공동으로 주관하며 장은공익재단의 후원으로 매년 개최되고 있다.||||행사 개요||||· 행사명: 2023 소부장뿌리 기술대전(2023 TECH INSIDE SHOW)||· 일자: 2023. 10. 18.(수) ~ 10. 20.(금) 3일간||· 장소: KINTEX 제1전시장 5홀||· 주최: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한국소재부품장비투자기관협의회(KITIA) 킨텍스(KINTEX)||· 후원: 장은공익재단||- 연계 개최: 붐업코리아(4홀)||- 동시 개최: K모빌리티전(1홀) 국제공구전(2홀) 금속산업대전(3홀) DIC 2023 컨퍼런스(그랜드볼룸)||||2023 소부장뿌리 기술대전 운영사무국 소개||||‘2023 소부장뿌리 기술대전’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한국소재부품장비투자기관협의회(KITIA) 킨텍스가 공동으로 주관하며 장은공익재단의 후원으로 매년 개최되고 있다. 약 300여개 기업이 전시 참여 첨단·소부장 특화단지관을 비롯해 테마관 상담관 7대 분야별 기업관으로 구성된 스토리텔링형 전시관을 구성하며 다양한 부대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www.techinsideshow.kr/2023/||||||||연락처||2023 소부장뿌리 기술대전||운영사무국||김진학 차장||070-4699-0901||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2023 소부장뿌리 기술대전 운영사무국||||||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정책/정부||지방자치단체||전시/출품||서울
Wed, 27 Sep 2023 10:05:00 +0900
-
텔레다인 플리어, 개선된 이미지 품질과 클라우드 연결 기능으로 특수 개발된 견고한 솔루션 신제품 ‘Ex-Pro’ 시리즈 라인업 출시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26일 -- 텔레다인 테크놀로지스(Teledyne Technologies Incorporated)의 자회사인 텔레다인 플리어(Teledyne FLIR)는 26일 기존 Ex-시리즈 열화상 카메라 라인업에 FLIR E5 Pro FLIR E6 Pro 제품을 새롭게 출시했다.||||FLIR E5 Pro 및 FLIR E6 Pro는 기존 Ex-시리즈와 동일한 피스톨 그립 형태의 폼 팩터를 유지하면서도 포커스-프리 방식으로 열화상을 측정할 수 있고 FLIR Ignite Cloud 연결 기능과 기존 제품보다 더 커진 3.5인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갖췄다. 다용도로 활용이 가능한 E5 E6 Pro 카메라는 주로 근접 촬영과 기계 건물 및 전기 설비를 대상으로 전문가 수준의 열화상 검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게 특징이다. 특히 누수·누기·전기 설비의 단락 문제 설비 간 온도 차이 및 설비 고장 징후를 감지할 수 있어 폭넓게 사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FLIR Ex Pro의 터치스크린을 활용하면 FLIR Ignite Cloud 소프트웨어를 통해 캡처한 이미지를 주변 동료나 파트너 및 고객과 공유(Wi-Fi 네트워크 필요)할 수 있다. FLIR는 1GB에 달하는 무료 스토리지 공간을 제공하며 부가적인 저장 공간이 필요한 사용자는 연간 구독 형태로 저장 공간을 추가로 구매할 수 있다. FLIR Ignite Cloud는 다양한 모바일 기기 웹 브라우저 또는 PC 데스크톱을 통해 어디서나 접속할 수 있어 별도의 USB 드라이브나 SD카드 케이블 등을 휴대하고 다닐 필요가 없다. 더불어 측정한 이미지는 검토 편집 분석 이후 파일 또는 간단 보고서 형태로 공유할 수 있다. 더 고급스러운 편집 및 보고 기능이 필요한 경우 FLIR Thermal Studio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텔레다인 플리어 글로벌 비즈니스 개발 담당 롭 밀너(Rob Milner) 이사는 “오늘날 고객들에게 필요한 효과적인 상태 모니터링 프로그램에는 검사관이 빠르고 효율적으로 실시간 데이터를 공유·분석할 수 있는 Ex Pro 시리즈처럼 클라우드 연결까지 지원하는 열화상 솔루션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솔루션은 자칫 고장이 날 수 있는 설비를 더 정확히 파악하고 시설 현황을 더 포괄적으로 모니터링하는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FLIR Ignite Cloud 및 FLIR Thermal Studio를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 및 분석 정보를 활용해 유지 보수 등과 관련된 니즈를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게 지원한다”고 설명했다.||||FLIR Ex Pro-시리즈는 새로 업그레이드된 640×480 화면 해상도가 특징이며 FLIR E6 Pro의 240 X 180 열화상 해상도 및 FLIR E5 Pro의 180 X 120 열화상 해상도와 함께 사용하면 기존보다 더 세세한 디테일까지 제공할 수 있다. 또 Ex Pro-시리즈 카메라에는 5MP 디지털카메라와 LED 작업등이 내장돼 사용자는 검사 대상 구역을 더 정확히 파악하고 저조도 환경에서도 시각적 디테일을 놓치지 않고 캡처할 수 있다. 여기에 열화상에 실화상 카메라로 촬영한 가장자리 디테일을 오버레이해 주는 FLIR 특허의 멀티스펙트럼 다이내믹 이미징(MSX®) 기술을 활용하면 열화상 데이터 품질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저조도에서 더 나은 디테일과 상황 인식 역량을 확보할 수 있다. 이번 Ex Pro-시리즈에는 화면 주석 기능도 새롭게 제공되며 주요 결괏값을 강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거친 실외 환경 또는 산업 현장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Ex Pro 카메라 제품은 모두 최대 2m 높이에서 떨어뜨려도 될 만큼 견고하게 설계돼 있다. 렌즈 캡과 함께 IP54 방수 방진 인증 25G 충격 및 2G 진동 테스트 인증을 마친 이번 Ex Pro-시리즈는 내구성까지 탁월하다. 배터리 1개당 연속 작동 시간은 최대 4시간에 달하며 신속한 교체 및 충전이 가능해 하루 종일 사용할 수 있다.||||앞서 출시된 FLIR E8 Pro와 함께 FLIR E5 Pro 및 E6 Pro는 텔레다인 플리어 또는 세계 각지의 공식 대리점에서 구매할 수 있다. 카메라 구매 시 탈착식 충전 배터리 운반용 하드 케이스 전원 공급 장치 FLIR Thermal Studio 스타터 소프트웨어 설명서 등이 기본으로 제공된다.||||자세한 내용이 궁금하거나 구매를 원하는 경우 홈페이지(https://www.flirkorea.com/instruments/ex-series)를 방문하면 된다.||||텔레다인 플리어 소개||||텔레다인 테크놀로지스(Teledyne Technologies)의 자회사인 텔레다인 플리어(Teledyne FLIR)는 4000여 명의 직원이 전 세계적으로 분포돼 있는 국방 및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지능형 감지 솔루션 분야의 리더 기업이다. 1978년에 설립돼 전문 인력들이 생명과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더 빠르고 현명한 결단을 내리기 위해 첨단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를 방문하거나 @플리어를 팔로우하면 된다.||||||웹사이트: http://www.teledyneflir.com||||||||연락처||텔레다인 플리어 홍보대행 ||나인콤마||이명선 실장||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텔레다인 플리어||||||배포 분야||||IT||주변기기||산업||로봇/제어계측||신상품||해외
Tue, 26 Sep 2023 13:30:00 +0900
-
제일전기공업, 고용노동부 ‘학습조직화 우수기업 경진대회’ 대상 수상
부산--(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26일 -- 국내 스마트 배전기 분야 선도 기업 제일전기공업(199820 대표이사 강동욱)이 고용노동부가 주최하는 ‘2023년 중소기업 학습조직화 지원사업 사업주훈련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중소기업 학습조직화 부문 대상을 받았다고 26일 밝혔다.||||중소기업 학습조직화 지원사업은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추진하는 사업이다. 근로자 직무능력 향상과 기업 경쟁력 제고를 목적으로 중소기업이 업무 관련 지식 경험 노하우를 사업장 내에서 체계적으로 축적 공유해 확산될 수 있도록 학습 인프라와 학습 활동 등을 지원하고 있다.||||제일전기공업은 2021년부터 3년째 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인적자원 육성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일학습병행제와 체계적 현장 훈련 등 다양한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해 온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 회사는 학습 리더 박종섭 책임을 중심으로 7개 학습조 조장이 자율적인 학습 활동을 운영하고 있다.||||제일전기공업 강동욱 대표이사는 “직원 역량 강화와 전문성 향상을 위해 사내 학습 문화를 정착시키려 노력한 점을 인정받아 기쁘게 생각한다”며 “개인 발전을 위한 학습 성과가 조직 성장으로 연결되고 궁극적으로 기업 경쟁력 강화로 이어지는 만큼 사내 학습 문화를 계속 이어나가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제일전기공업 소개||||제일전기공업은 1980년 8월 22일 설립됐으며 차단기 및 전기배선기구류 등 전기기기 개발·제조·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한다. 1993년 1월 1일 제일유기화학공업사에서 제일전기공업으로 사명을 바꿨다. 과거에는 일반배선기구 차단기류 일반분전반 PCB ASSY(수출품) 등을 제조·판매했으나 현재 스마트 배선기구 및 스마트 분전반을 개발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020년 11월 26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다.||||||웹사이트: http://www.cheilelec.com||||||||연락처||제일전기공업 홍보대행||서울IR네트워크||PR본부 ||제수현 매니저||02-783-0628||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제일전기공업||||||배포 분야||||산업||중전기||수상/선정||부산/울산/경남
Tue, 26 Sep 2023 10:25:14 +0900
-
에코프로머티리얼즈, 글로벌 전구체 기업 도약 가속화
청주--(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26일 -- 에코프로머티리얼즈가 상장을 통해 2027년까지 21만톤의 생산능력을 확보함으로써 글로벌 전구체 제조기업으로 도약할 계획이다.||||국내 최대 전구체 생산기업 에코프로머티리얼즈(대표이사 김병훈)는 25일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 절차에 착수했다. 총 공모주식수는 1447만6000주 주당 희망 공모가액은 3만6200원~4만6000원이다. 공모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5240억원~6659억원의 투자 재원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전구체 자립도 향상을 통해 ‘K-배터리’ 경쟁력 강화 발판 마련||||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현재 국내 유일 전구체를 대량 생산하는 기업이다.||||전구체는 양극재 전 단계 원료로 니켈 코발트 망간 알루미늄 등 광물을 일정한 비율로 섞어 정제한 것이다. 전구체는 이차전지 원가의 20% 양극재 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70%에 달한다. 전구체에 리튬을 첨가하면 양극재가 완성되는데 전구체 합성 기술은 양극재의 가격과 품질을 좌우하며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 수명 안정성 등의 특성을 결정짓는다. 결국 전구체의 경쟁력 확보는 배터리 양극재에서 나아가 이차전지의 핵심 이슈인 셈이다.||||이는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상장이 에코프로를 넘어 ‘K-배터리’ 경쟁력을 견인할 것이라는 분석에 설득력을 주는 배경이기도 하다.||||에코프로머티리얼즈 전구체 공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CPM(Cathode Precursor Material 전구체 생산공정)과 RMP(Raw Material Precipitate 황산화 공정)이다. RMP는 순도가 낮은 원자재에 황산을 넣어서 고순도 니켈 코발트를 추출하는 공정이다. 예전에는 고순도 원료 자체를 수입하다 보니 원가가 높았다.||||하지만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RMP 공정을 개발 저순도 니켈 혼합물을 저렴하게 수입해 정련함으로써 전구체의 부가가치를 높였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현재 포항 CPM 1 2공장에서 연간 5만톤 전구체를 생산하고 있는데 2027년까지 21만톤으로 4배 정도 생산능력을 높일 예정이다. 하반기에는 3 4공장을 착공하고 향후에 북미 유럽 등에도 진출할 계획이다.||||한편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상장은 전구체 자립도를 높이는 계기로 작용할 전망이다.||||2027년 기준으로 하이니켈 전구체 생산능력은 GEM 41만톤 CNGR 40만3000톤 화요코발트 25만톤 등 중국계 전구체 기업들에 이어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21만톤으로 전체 시장의 7.5%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을 제외한 시장에서는 에코프로머티리얼즈가 18.1% 시장을 점유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현재 에코프로머티리얼즈가 생산한 전구체 대부분은 가족사인 에코프로비엠에 공급되고 있는데 향후에는 고객 다변화를 통해 외부 매출을 확대해 나간다는 복안이다.||||상장을 통해 확보한 자금은 생산라인 확대뿐 아니라 전구체 관련 기술적 리더십을 유지하기 위한 차세대 전구체 연구개발 투자도 강화한다.||||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2006년 국내 최초 하이니켈 NCA 전구체 2018년 세계 최초 NCM811 전구체와 2020년 NCM9½½ 전구체 개발에 성공하면서 기술 리더십을 발휘해왔다. 최근에는 단결정 전구체 NMX 코발트 프리 전구체 OLO 전구체 등을 개발하며 원가 절감 수명 증가 열안정성 개선과 같은 시장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한때 중단했던 전구체 사업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상장으로 부활의 기회 맞아||||에코프로가 이차전지 양극소재와 첫 인연을 맺은 것은 2004년으로 정부가 발주한 ‘초고용량 리튬이온 전지 개발 컨소시엄’에 제일모직과 공동으로 참여하면서 시작됐다. 제일모직이 양극소재를 개발하고 에코프로가 전구체를 개발해 셀 회사인 삼성SDI에 공급하는 구조였다.||||2006년 제일모직이 구조조정 차원에서 배터리 소재 사업을 정리하면서 에코프로가 이를 인수한다. 에코프로는 양극소재와 전구체 사업을 동시에 진행하면서 시너지를 내기 시작하다가 2009년부터 전구체 사업을 크게 확충한다. 국내 모 대기업에 전구체 공급 물량이 늘면서 은행 융자를 통해 라인을 대폭 증설한 것이다.||||하지만 일본 경쟁사가 에코프로를 시장에서 퇴출시키기 위해 저가 공세를 펼치면서 에코프로는 결국 전구체 사업을 중단하고 대신 양극소재 기술력 강화에 매진한다. 그 결과 2013년 소니에 양극소재를 시험 공급한 데 이어 삼성SDI에도 전동공구용 배터리 셀에 NCA 양극재를 공급하면서 전구체 사업 중단이라는 위기를 기회로 반전시킨다.||||에코프로는 이후 에코프로비엠에 사용되는 전구체를 소량으로 생산하고 대부분 중국 GEM 등으로부터 수입해왔다. 그러다가 전구체 사업의 중요성을 인식해 중국 합작사 에코프로GEM의 중국측 지분을 인수해 2017년부터 자체 기술 개발 및 라인 건설에 착수해 상장을 앞두고 있다.||||에코프로머티리얼즈 김병훈 대표는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원재료 매입 전구체 생산 최종 고객사에 이르기까지 자체적인 밸류체인이 구축돼 있어 높은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며 “국내 유일 Non-China 전구체 업체로서 미국 IRA 유럽 CRMA 등 규제 환경 변화에 더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하며 지속적인 고객사 다변화를 통해 글로벌 전구체 기업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밝혔다.||||||웹사이트: https://www.ecopro.co.kr/||||||||연락처||에코프로||CSR 추진팀||장희승||043-240-7839||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에코프로||||||배포 분야||||산업||화학||투자||충북
Tue, 26 Sep 2023 09:04:47 +0900
-
노상철 에이엔폴리 대표, 사회적 가치 실현하는 혁신리더 ‘뷰티풀펠로우 13기’ 선정
포항--(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25일 -- 노상철 에이엔폴리 대표가 ‘아름다운가게 뷰티풀펠로우 13기’에 선정됐다.||||아름다운가게 뷰티풀펠로우는 지속가능하고 혁신적인 비즈니스를 운영하며 연대와 협력을 바탕으로 일상생활 속 긍정적 변화를 끌어낼 수 있는 사회혁신리더를 선발하는 사업이다.||||서울소셜벤처허브 입주기업인 에이엔폴리는 첨단신소재 나노셀룰로오스로 플라스틱을 대체해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지구 환경을 만든다는 소셜미션을 내걸고 자원 순환형 첨단신소재 나노셀룰로오스 생산 및 친환경 공정기술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는 소셜벤처다.||||2017년 포항공대 실험실 창업 기업으로 출발해 왕겨 커피박 등 기존에 버려지던 유기성 폐자원으로 친환경 나노셀룰로스를 생산하는 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에이엔폴리는 플라스틱과 화장품 의료 식품 배터리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고품질 제품을 개발해 기존 플라스틱 대체 상품으로 가능성을 인정받아 왔다.||||이번 뷰티풀펠로우에 선발된 사회혁신가들에게는 사업 안정과 혁신의 가치를 이룰 수 있도록 아름다운가게에서 3년간 매월 170만원의 활동비와 아름다운가게 자원 연계 및 국내·외 연수 멘토링 네트워크가 지원된다.||||한편 노상철 대표가 이끄는 에이엔폴리는 최근 포브스 아시아가 뽑은 ‘2023년 100대 유망 기업’에 선정됐다. 포브스 아시아는 2023년 유망한 아시아 기업 550개를 추천받아 이 가운데 100대 기업을 최종 선정했으며 한국에선 에이엔폴리를 비롯해 총 9개 스타트업이 이름을 올린 바 있다.||||에이엔폴리 소개||||에이엔폴리는 플라스틱 및 합성 고분자의 사용량을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는 천연 유래의 첨단신소재 나노셀룰로오스 상용화 기업이다. 유기성 폐자원(왕겨 폐지 커피박 등)을 활용해 나노셀룰로오스를 제조할 뿐 아니라 여러 산업에 적용시키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초격차기업으로도 선정된 바 있는 에이엔폴리는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개발 목표로 해 사회적 가치를 지닌 기업으로 성장하고자 한다.||||||웹사이트: https://anpolyinc.com/||||||||연락처||에이엔폴리||이시내||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에이엔폴리||||||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화학||인물동정||대구/경북
Mon, 25 Sep 2023 16:00:00 +0900
-
키슬러코리아, 온도센서용 8채널 멀티채널커넥터 및 비접촉 캐비티센서 출시
성남--(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25일 -- 동적 계측기술 전문 글로벌 기업 키슬러코리아(이하 키슬러)가 온도센서용 8채널 멀티채널커넥터 ‘2205B’ 및 비접촉 캐비티센서 ‘9239B’ 등 신제품을 출시했다고 밝혔다.||||온도용 멀티채널커넥터 유형 2205B는 이전의 4채널에서 8채널 통합용으로 업데이트된 제품이다. 최대 8개 온도 센서의 신호를 정규화된 0 ... 10 V 전압 신호로 증폭한다. 이전 모델에 비해 K J N 등 다양한 열전대 유형의 동시 연결이 가능하다.||||콤팩트한 디자인을 갖춘 2205B는 사출 성형에 금형의 캐비티 온도를 측정하며 키슬러 온도 센서와 함께 사용하도록 최적화된 제품이다. 온도 센서는 최대 400°C까지 측정 가능하고 커넥터는 최대 125°C의 온도까지 가동 가능해 금형 공정 전반의 온도 측정에 적합하다.||||또 비접촉 캐비티센서 9239B는 직경 2.5mm의 매우 콤팩트하고 민감한 소형 측정 핀 타입이다. 캐비티 벽 뒤의 금형 구조에 설치돼 캐비티 압력으로 인한 사출 단계 중 금형의 압축을 측정한다. 측정 핀의 치수가 매우 작기 때문에 소형 금형 복잡한 다중 캐비티 금형에서 설치 옵션을 더욱 폭넓게 선택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이 제품은 고감도 키슬러 크리스탈 KI85를 사용해 감도를 27pC/N까지 높였다. 광학 요구사항이 높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적합한 데다 플라스틱 부분에 센서 자국이 없다는 장점을 지닌다. 제한된 공간에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센서이자 비접촉식 공동 압력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킨 유일한 센서다.||||키슬러는 신규 출시된 온도 측정용 8채널 멀티 채널 커넥트나 비접촉 캐비티 센서 모두 공정 불량률 감소에 기여하는 솔루션이라고 밝혔다. 또한 렌즈나 광섬유와 같은 광학 사출 성형 부품 자동차 엔지니어링 응용 분야 및 가정용 가전제품 표면 부품에는 이젝터 또는 센서로 인해 눈에 보이는 흔적이 없어야 한다면서 이번 신제품은 렌즈 제조업체나 자동차 인테리어 백색 가전 등 표면 요구 사항이 높은 분야에 최적화돼 있다고 설명했다.||||한편 키슬러는 압력 힘 토크 가속도를 측정하는 동적 계측 기술 전문 기업이다. 최신 사출 성형 기술 접목 사출 프로세스 모니터링 항공우주기술 전기주행기술 자율주행 탄소배출감소 및 인더스트리 4.0과 같은 최신 메가 트렌드의 지속적인 개발을 지원하고 있으며 전 세계 60개 이상의 시설에서 약 2000명의 직원이 현지 수준에 최적화된 응용 프로그램별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키슬러코리아 소개||||키슬러코리아는 압력 힘 토크 가속도를 측정하는 동적 측정 기술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고객 지향적인 토탈 솔루션을 제공한다. 산업 및 과학 분야의 고객들은 파트너로서 키슬러(Kistler)의 경험과 기술로부터 이익을 얻음으로써 지속가능한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제품 및 프로세스 최적화 달성이 가능하다.||||||웹사이트: https://www.kistler.com/KR/en/||||||||연락처||키슬러코리아 홍보대행||크레이지피알||마케팅팀||이민호 과장||070-7096-0002||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키슬러코리아||||||배포 분야||||IT||반도체/부품||산업||기계/플랜트||신상품||인천/경기
Mon, 25 Sep 2023 14:00:00 +0900
-
영풍제지, 20년 연속 명절 나눔 활동 실천 이어가
평택--(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25일 -- 원지 제조 기업 영풍제지(코스피 006740 대표이사 조상종)가 추석 명절을 맞아 지역사회 이웃돕기 행사를 진행했다고 25일 밝혔다.||||영풍제지는 회사가 위치한 경기도 평택시 내에서 상대적으로 관심과 보호가 필요한 조손 및 한부모가정 독거노인 등 저소득·보호 계층의 생활 지원을 위해 나눔을 실천한다는 취지로 이번 행사를 마련했다.||||해당 행사는 2003년부터 올해까지 20년째 이어지고 있으며 명절마다 어렵고 외롭게 살아가는 이웃들에게 작은 도움을 주기 위해 지역사회 공헌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에도 회사 임직원이 십시일반 모아 기탁한 성금과 회사 지원금으로 생활필수품과 식료품 등으로 구성된 명절 선물세트와 쌀을 평택 이웃들에게 전달했다.||||영풍제지는 기업의 성장과 영속을 위해서는 지역 상생의 정신이 필요하며 그 실천의 일환으로 지속적인 명절 이웃돕기 행사를 20여년 간 시행하고 있다면서 올해도 지역 주민들이 조금 더 따뜻하고 풍성한 한가위를 보내기를 바라며 영풍제지도 지역사회와 함께 발전하는 기업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웹사이트: http://www.yp21.co.kr/||||||||연락처||영풍제지 홍보대행||서울IR네트워크 ||PR본부||제수현 매니저||02-783-0628||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영풍제지||||||배포 분야||||산업||제지/포장||사회공헌||인천/경기
Mon, 25 Sep 2023 10:47:26 +0900
-
대한전선, 바레인 초고압 시장도 접수… 6000만불 수주
안양--(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22일 -- 대한전선이 바레인 초고압 시장에 진출하며 중동 지역 주요 공급사로서의 입지를 강화했다.||||대한전선(대표이사 송종민)은 바레인 수전력청(EWA : Electricity & Water Authority)이 발주한 초고압 전력망 구축 프로젝트를 수주했다고 22일 밝혔다. 수주 금액은 약 6000만달러 규모다.||||해당 프로젝트는 바레인 북서쪽에 위치한 알 자스라(Al Jasra) 지역에 건설되는 신규 변전소와의 연계를 위해 400kV급 지중 전력망을 구축하는 턴키(Turn-key) 사업이다. 전력망 턴키 사업은 초고압 케이블과 접속재 등 자재 일체를 공급하고 전력망 설계 포설 접속 및 시험까지 일괄 수행하는 방식으로 높은 기술력과 프로젝트 수행 능력이 필요해 진입 장벽이 높다.||||대한전선은 이번 수주를 통해 처음으로 바레인 시장에 진입했다. 기술 난이도가 높은 턴키 사업으로 시장 개척에 성공한 것으로 현재 바레인에서 진행되고 있는 전력 인프라 개선 사업과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 프로젝트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대한전선은 중동에서 50년 이상 케이블을 공급하며 쌓아온 성과가 수주 배경이 됐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쿠웨이트 카타르 등 중동 내 다수의 초고압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수하며 각국의 전력청들에게 수행 능력을 인정받고 있다.||||||웹사이트: http://www.taihan.com||||||||연락처||대한전선 ||홍보팀 ||김용건 대리 ||02-316-9293 ||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대한전선||||||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중전기||수주||인천/경기
Fri, 22 Sep 2023 13:26:28 +0900
-
삼양사, 동남아 최대 규모 식품소재박람회 참가해 해외 판로 모색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22일 -- 삼양사가 동남아 지역에서 열린 식품소재박람회에 참가해 우수한 스페셜티(Specialty 고기능성) 소재를 알리고 현지 판로 확보에 나섰다.||||삼양그룹 식품/화학 계열사인 삼양사(대표 최낙현)는 20일부터 22일까지 사흘간 태국 방콕에서 개최된 ‘Fi-Asia Thailand’에 참가했다고 밝혔다. 이 행사는 600여 개의 글로벌 식품소재 회사와 유통사가 참가하고 40개국에서 2만명 이상의 식품 관련 종사자가 방문하는 동남아 지역 최대 규모의 식품소재박람회이다.||||삼양사는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주요 국가의 식품 소재 공급사를 파악하고 고객사를 확보하기 위해 이번에 처음으로 참가했다. 홍보 부스는 현지 파트너사인 ‘Vicchi’와 공동 운영했으며 행사 기간 동안 4500여 명의 방문객이 다녀갈 정도로 성황을 이뤘다.||||삼양사는 당류 저감화 사업의 핵심 소재인 알룰로스와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을 전시하고 실제 해당 소재가 적용된 에너지바 젤리 비스킷 등 다양한 종류의 시식 샘플을 제공해 방문객들의 이해를 도왔다.||||알룰로스는 무화과 포도 등에 함유된 단맛 성분으로 설탕과 비슷한 단맛을 내지만 칼로리는 제로인 대체 감미료다. 삼양사는 ‘넥스위트(Nexweet)’라는 브랜드로 알룰로스의 글로벌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앞서 삼양사는 자체 개발한 효소로 2016년 액상 알룰로스 대량 생산에 성공한 데 이어 2022년에는 결정(분말) 알룰로스 생산을 시작했다. 결정 알룰로스는 액상보다 취급이 편리해 수출에 용이하고 기존 가루 설탕과 형태가 동일해 베이커리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다.||||또 다른 전시 소재인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은 식이섬유 함량이 85% 이상인 수용성 식이섬유로 △배변 활동 원활 △식후 혈당 상승 억제 △혈중 중성지질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원료다. 삼양사는 ‘화이버리스트(Fiberest)’라는 브랜드를 내걸고 프리바이오틱스 사업 확대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삼양사 이상훈 식품BU(Business Unit)장은 “이번 식품소재박람회가 동남아 식품소재 시장에 대한 견문을 넓히고 판로 확대 방안을 모색하는데 큰 도움이 됐다”며 “앞으로도 삼양사의 우수한 스페셜티 소재를 국내외에 알리고 해외 진출 활로를 넓히기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삼양사는 올해 10월 일본과 미국에서 각각 열리는 식품소재박람회 ‘HI(Health Ingredients) Japan 2023’과 ‘SSW(Supply Side West) 2023’에 참가해 브랜드 인지도 제고와 글로벌 시장 진출에 매진할 계획이다.||||||웹사이트: http://www.samyang.com||||||||연락처||삼양홀딩스 ||커뮤니케이션팀 ||임홍조 사원||02-740-7231||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삼양홀딩스||||||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유통||식품/음료||전시/출품||서울
Fri, 22 Sep 2023 09:18:08 +0900
-
텔레다인 플리어, 모바일 기기용 ‘FLIR ONE Edge’ 듀얼 열화상 카메라 출시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22일 -- 텔레다인 테크놀로지스(Teledyne Technologies Incorporated)의 자회사인 텔레다인 플리어(Teledyne FLIR)는 오늘 모바일 기기용 무선 듀얼 열화상 및 실화상 카메라 시스템 ‘FLIR ONE Edge’를 출시한다고 밝혔다.||||각종 수리 자동차 전기 HVAC 및 배관 등 다양한 작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이번 모델은 블루투스 및 무선 연결 기능을 갖춘 FLIR ONE Edge Pro와 동일한 탈착식 폼팩터를 유지하면서도 소비자나 중소기업 사용자 제품을 대량으로 구매하는 기업들이 특히 필요로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텔레다인 플리어의 비즈니스 개발 담당 크리스 베인터(Chris Bainter) 부사장은 “FLIR ONE Edge를 시장에 출시함으로써 숙련된 프로슈머와 열화상을 처음 접하는 소비자 모두가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열화상의 세계가 열렸다”며 “DIY를 즐기는 소비자나 각종 전문가 기업도 이제는 앱에 마련돼 있는 안내 검사 기능이나 무료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iOS 및 Android 모바일 기기를 통해 이용하고 부가적인 설비 투자에 대한 큰 부담 없이 열화상 검사를 더욱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고 말했다.||||FLIR ONE Edge를 FLIR ONE 앱(Google Play나 Apple App Store에서 다운로드 가능)을 통해 스마트 기기에 연결해 사용하면 각종 결함이나 향후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는 핫스팟 또는 콜드스팟을 정확히 식별해 낼 수 있다. FLIR ONE Edge Pro와 닮은 부분이 많은 FLIR ONE Edge는 열화상에 실화상 카메라로 촬영한 사물의 가장자리 디테일을 더해 이미지를 향상시켜 주는 MSX®(멀티스펙트럼 다이내믹 이미징) 특허 기술을 사용해 매일 더욱 정확한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다.||||더욱 간단해진 보고 및 사용자 설정||||열화상 측정을 새롭게 접하는 초보자부터 이미 숙련된 전문가까지 활용 가능한 FLIR ONE Edge는 텔레다인 플리어의 다양한 소프트웨어 도구 세트와도 호환된다. 사용자는 FLIR Ignite™ 클라우드 연결을 통해 손쉽게 공유 백업 웹 편집 및 보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FLIR는 1GB에 달하는 저장 공간을 무료로 제공 중이지만 저장 공간이 추가로 필요한 경우에는 단 30달러의 가격으로 연간 10GB 저장 공간을 구독 형태로 확보할 수 있다.||||텔레다인 플리어는 올해 10월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열화상 기술을 사용하는 모든 소비자들이 각자 자택 차량 등에 숨겨진 문제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iOS 및 Android용 검사 지원 앱 또한 새롭게 선보일 예정이다. 해당 앱은 검사에 필요한 단계별 지침과 결과 이미지 해석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카메라 사용을 더욱 간단하게 만들 전망이다.||||FLIR ONE Edge는 건설 운송 주택 단열 치과 금속 가공 등을 지원하는 앱과 Google Play 및 Apple App Store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는 FLIR 모바일 SDK를 이용해 개발된 타사 앱과도 호환된다. 이는 개인 사용자부터 대형 기관이나 사업장에서 각자 맞춤형 프로그램을 만들어 기존 시스템 내에서 열화상 측정을 확장해 나감으로써 얻을 수 있는 모든 이점을 취하고 워크 플로우를 간소화하거나 개선할 수 있게 해준다. 기존에 승인된 타사 앱 목록은 홈페이지(https://www.flir.com/approved-apps)에서 확인할 수 있다.||||합리적인 가격과 유용한 기능||||FLIR ONE Edge는 혁신적인 하드웨어 설계로 별도의 케이블이나 커넥터 없이 iPhone 15를 포함한 iOS 기기나 Android 기기에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운영체제에 구애 받지 않고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열화상 카메라 솔루션이다. MSX 기술은 640×480 해상도의 실화상 카메라와 라디오메트릭 80×60 해상도의 Lepton® 열화상 카메라가 결합돼 선명하고 해석이 용이한 이미지를 생성해주는 역할을 한다.||||디자인 또한 IP54 인증과 최대 2미터 높이의 낙하 테스트를 통과해 기본적으로 견고하고 활용도가 높다. 더불어 인체공학적 폼팩터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도 카메라를 손쉽게 잡을 수 있게 지원하며 모바일 기기에 연결해 사용하거나 원격 핸즈프리 모니터링을 위해 선반 등에 올려놓는 것도 가능하다.||||FLIR ONE Edge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텔레다인 플리어 홈페이지(https://www.flirkorea.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텔레다인 플리어 소개||||텔레다인 테크놀로지스(Teledyne Technologies) 산하 텔레다인 플리어(Teledyne FLIR)는 전 세계적으로 약 4000명의 임직원을 보유한 국방 및 산업용 지능형 감지 솔루션 분야를 이끌고 있는 기업이다. 1978년 설립된 Teledyne FLIR는 인명과 시설 설비 등을 구할 수 있도록 더욱 빠르고 올바른 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이 되는 첨단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자세한 정보는 홈페이지에서 확인 할 수 있다.||||||웹사이트: http://www.teledyneflir.com||||||||연락처||텔레다인 플리어 홍보대행 ||나인콤마||이명선 실장||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텔레다인 플리어||||||배포 분야||||IT||주변기기||산업||로봇/제어계측||신상품||해외
Fri, 22 Sep 2023 09:00:00 +0900
-
렌징,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렌징™ 에코베로™ 및 비오셀™의 책임감 있는 비스코스 섬유 생산 확대
렌징 오스트리아--(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21일 -- 목재 기반 특수 섬유 분야의 선도적인 글로벌 제조업체 렌징 그룹(Lenzing Group)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자사의 섬유 브랜드인 ‘렌징™ 에코베로™(LENZING™ ECOVERO™)’ 및 부직포 브랜드인 ‘비오셀™(VEOCEL™)’의 책임감 있는 고품질 비스코스 섬유 생산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EU 에코라벨 인증을 받은 비스코스 섬유는 렌징의 인도네시아 푸르와카르타 공장(PT. South Pacific Viscose)에서 생산되며 환경을 의식하는 소비자들 사이에 환경 영향이 낮은 섬유 및 부직포 제품에 대한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렌징은 인도네시아 공장의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황산가스 배출량 저감에 성공했으며 폐수 감소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렌징 그룹의 CEO 스테판 시엘라프(Stephan Sielaff)는 “우리는 우리가 영위하는 산업을 더욱 지속 가능하게 만들고 섬유 비즈니스 모델을 선형에서 순환형으로 전환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당사의 지속 가능성 성과를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는 EU 에코라벨[1]을 획득하게 돼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특수 섬유에 대한 수요는 구조적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아시아에서 엄청난 성장 잠재력을 보이고 있다. 렌징은 인도네시아뿐만 아니라 전 세계 자사 공장에 대한 투자를 통해 증가된 환경 영향이 적은 특수 섬유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위치에 서게 됐다”고 말했다.||||환경 발자국 수치가 낮은 제품에 대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수요 증가에 대응 준비 완료||||환경을 의식하는 아시아 소비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브랜드 및 리테일러를 위해 전환된 푸르와카르타 공장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밸류체인 파트너와 근접해 있어 훨씬 짧은 거리와 리드 타임 내에 더 많은 양의 책임감 있는 비스코스 섬유를 운송할 수 있어 섬유 공급망의 전체 탄소발자국을 줄일 수 있다.||||렌징™ 에코베로™ 브랜드의 비스코스 섬유는 일반 비스코스 섬유 보다 화석 에너지 사용량과 물 사용량이 최대 50% 낮으며[2]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EU 에코라벨 인증을 받았다. 또한 탑 드레스 티셔츠 라운지웨어와 같은 우븐 및 니트웨어 제품에 사용돼 왔으며 M&S H&M 리바이스 등 세계 유수의 패션 브랜드가 사용 중이다.||||렌징 그룹의 글로벌 섬유 사업부 부사장 플로리안 휴브랜드너(Florian Heubrandner)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우리에게 많은 잠재력과 성장 기회를 제공한다. 브랜드와 리테일러가 제조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재구성함에 따라 방적업체 직조업체 편직업체 의류 제조업체 및 소싱 오피스에 이르기까지 공급망의 모든 구성요소가 집약된 지역이 됐다”며 “이 지역에서 책임감 있는 비스코스에 대한 수요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푸르와카르타 공장에서 생산을 늘리면 기존 고객과 더욱 긴밀하게 협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 비스코스 섬유에서 책임감 있는 비스코스 섬유로 전환하고자 하는 새로운 잠재 고객에게 렌징™ 에코베로™를 소개할 수 있을 것이다”고 밝혔다.||||렌징의 푸르와카르타 공장은 다양한 용도의 책임감 있는 제품을 찾는 업계 파트너사들에게 더 많은 옵션을 제공하기 위해 2023년 말까지 탄소발자국이 적은 원착 기술을 적용해 원단 염색 시 물과 에너지 사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는 렌징™ 에코베로™ 블랙 특수 섬유를 생산할 예정이다.||||렌징은 2030년까지 그룹 전체 제품의 톤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50% 줄이고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한다는 목표에 따라 생산 공장들의 전환을 진행했으며 연간 약 13만 톤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데 성공했다. 이러한 선구적인 변화를 이룰 수 있었던 핵심 요인은 현장에서 화석 연료 기반 에너지를 지열 기반 에너지로 전환한 것이다.||||관련 이미지는 렌징 미디어랩(https://mediadb.lenzing.com/pinaccess/pinaccess.do?pinCode=HS1lYvFNpfti)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렌징™ 에코베로™ 소개||||렌징 그룹(Leznzing Group)에서 생산하는 렌징™ 에코베로™(LENZING™ ECOVERO™) 브랜드 비스코스 섬유는 환경에 책임을 지는 비스코스의 새로운 업계 표준이다. 높은 환경 기준을 충족하는 친환경 생산 공정을 통해 인증된 재생 가능한 목재 원료에서 추출한 렌징™ 에코베로™ 섬유는 지속 가능한 라이프스타일에 적합하며 보다 깨끗한 환경을 제공한다. 렌징™ 에코베로™ 섬유는 생분해성 및 다용성을 갖췄으며 지속 가능한 라이프스타일에 맞게 제작돼 보다 깨끗한 환경에 기여하므로 소비자가 선택하는 패션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인다.||||비오셀™ 소개||||비오셀™(VEOCEL™)은 렌징(Lenzing) 그룹의 프리미엄 부직포 전문 브랜드다. 비오셀™은 재생가능한 나무 원료에서 추출함으로써 부직포 산업에서 지속가능성과 자연에서 오는 편안함을 산업 표준 기준에 일치시키도록 노력하고 있다. 비오셀™은 흡수성 액체 분포 통기성 생분해성 다목적성 등 비오셀™ 섬유만의 유익한 특징을 통해 자연의 본질을 부직포 제품으로 전달한다.비오셀™의 제품 포트폴리오에는 지속가능한 생활방식에 적합하게 개발돼 자연의 순환에 완전히 통합됨으로써 환경 균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비오셀™ 라이오셀(VEOCEL™ Lyocell) 섬유가 있다. 이 섬유는 식물성 원료로 깨끗하고 안전하며 생분해성을 인증받았으며 환경 친화적인 생산 공정에서 제조된다. 비오셀™ 브랜드는 4가지 카테고리인 비오셀™ 뷰티 비오셀™ 바디 비오셀™ 인티밋 및 비오셀™ 서페이스로 분류되며 베이비케어 뷰티 및 바디케어 여성청결용품 및 표면세정용품에 사용된다.비오셀™ 브랜드의 섬유는 인증되고 통제된 산림 및 조림에서 재생 가능한 목재 공급원을 사용하며 환경 친화적이고 폐쇄적인 루프 생산 공정에서 제조된다. 모든 표준 비오셀™ 섬유는 산업 가정 토양 담수 및 해양 조건에서 퇴비화 및 생분해성 인증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안전하게 원료로 분해돼 환경으로 완전히 복귀 할 수 있다.||||렌징 그룹 소개||||렌징 그룹(Lenzing Group)은 재생 가능한 원목 자재로 만든 특수 섬유의 환경친화적 생산을 표방한다. 업계 혁신 리더로서 렌징은 글로벌 섬유 및 부직포 제조업체의 파트너며 많은 새로운 기술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렌징 그룹의 고품질 섬유는 우아한 여성복부터 다용도 데님 고성능 스포츠 의류까지 다양한 직물의 기반을 이루고 있다. 생분해성 퇴비성 그리고 변함없는 고품질로 렌징의 섬유는 위생용품 및 농업에의 적용에도 매우 적합하다.렌징 그룹의 사업 모델은 전통적인 섬유 생산업체의 모델을 뛰어넘는다. 렌징은 고객 및 파트너와 함께 가치 사슬을 따라 혁신적인 제품을 개발해 소비자를 위한 부가가치를 창출한다. 렌징 그룹은 모든 원자재의 효율적인 활용과 처리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섬유 부문을 폐쇄 루프 경제로 방향 전환하는 데 도움이 되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렌징은 지구 온난화 속도를 줄이고 파리 기후 협정과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의 ‘그린 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즉 탄소제로 미래를 실현하기 위한 분명한 비전이 있다.2022년 현재 렌징그룹 매출은 25억7000만유로 제품용량은 114만5000톤이며 직원 8301명을 보유하고 있다. TENCEL™ VEOCEL™ LENZING™ REFIBRA™ ECOVERO™ LENZING MODAL™ LENZING VISCOSE™ MICROMODAL™ PROMODAL™은 LenzingAG의상표다.||||||웹사이트: https://www.lenzing.com||||||||연락처||렌징||리타 응(Rita Ng)||글로벌 마케팅 서비스 책임자||(852)-3718-5675||이메일 보내기 ||||렌징 홍보대행||시너지 힐앤놀튼||김효정 사원||02-2287-0940||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렌징||||||배포 분야||||라이프 스타일||패션/쥬얼리||산업||화학||사업계획||해외
Thu, 21 Sep 2023 13:22:31 +0900
-
한화그룹, 협력사 대금 약 1750억 조기지급 등 추석 맞이 이웃사랑 상생경영활동 펼쳐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21일 -- 한화그룹(회장 김승연) 주요 계열사들이 추석을 앞두고 협력사 대금 약 1750억원 가량을 현금으로 조기 지급하고 추석 명절 나눔 행사를 진행한다.||||명절을 앞두고 협력사의 자금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조치의 일환으로 한화그룹 주요 계열사들은 설/추석 명절마다 대금을 조기에 지급해 왔다. 협력사 입장에서는 명절을 앞두고 원자재 대금 등 운영 자금 수요가 일시적으로 늘어나는데 예정된 자금을 조기에 현금으로 집행해 협력사의 자금 운용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계열사별로는 한화 225억원 한화솔루션 225억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430억원 한화시스템 69억원 한화오션 450억원 등 약 1750억원의 대금을 평소보다 앞당겨 현금으로 지급한다.||||또한 한화그룹 주요 계열사들은 지역 특산품 등을 구매해 사내 상주 협력업체 및 용역직원 주요 고객들에게 명절 선물로 증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한 지역 특산품 구매 금액만 총 51억원에 이르러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이 밖에도 한화그룹 계열사들은 전국 각지에서 지역 사회를 위한 나눔 활동도 병행한다. 지역사회복지관 봉사센터를 통해 기초생활 수급 세대 등 소외계층에게 명절 후원 물품(식료품/도시락/힐링 용품 등)을 전달하는 활동을 진행한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비전 한화정밀기계 비전넥스트 등 판교에 사업장을 둔 4개사의 임직원들은 20일 성남시자원봉사센터와 함께 ‘한화와 함께하는 사랑의 한가위 희망나눔’ 행사를 진행했다.||||한화솔루션 케미칼 부문 울산공장과 여수공장은 12일 관내 행정복지센터와 지역아동센터연합회 가족플러스센터로 2000만원 상당의 물품과 온누리상품권을 전달했다.||||갤러리아백화점은 전국 우수 농수산품 판매 프로그램인 아름드리 및 비욘드팜 매장을 통해 지역 상품의 명품화와 판매 활성화를 지원한다. 또한 중소기업중앙회와 연계된 백화점 5개사 등과 유통 분야 바이어 공동 품평회를 개최해 중소상인 입점 검토 등 판로를 지원한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그늘이 더욱 깊어지는 시기인 만큼 우리 사회의 온도를 높이기 위한 기업의 책임에도 적극적으로 임하자”라고 강조했다.||||||웹사이트: http://www.hanwha.co.kr||||||||연락처||한화그룹||커뮤니케이션위원회||02-729-1120||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한화그룹||||||배포 분야||||산업||화학||사회공헌||서울
Thu, 21 Sep 2023 10:30:31 +0900
-
한화시스템-한국항공대, 우주·위성 분야 인재 양성 MOU 체결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20일 -- 한화시스템(대표이사 어성철)은 20일 서울 장교동 한화빌딩에서 한국항공대(총장 허희영)와 ‘뉴스페이스 시대 우주·위성 분야 현장형 인재 양성’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협약에 따라 한화시스템과 한국항공대는 △위성궤도 및 자세제어 △SAR 위성 탑재체 △위성 구조설계 △위성 열 설계 부문을 중심으로 우주 사업 역량과 노하우를 체득할 현장실무 및 이론 교육과정을 공동 운영하며 인적·물적 인프라 교류와 연구과제 공동 수행을 추진한다.||||SAR(합성개구레이다·Synthetic Aperture Radar)는 영상 레이다로써 공중에서 지상 및 해양에 레이다파를 순차적으로 쏜 후 레이다파가 굴곡면에 반사돼 돌아오는 미세한 시차를 순차적으로 합성해 지상 지형도를 만들어내는 레이다 시스템을 의미한다.||||어성철 한화시스템 대표이사는 “우주기술 강국 도약을 이끌 ‘한국항공대-한화시스템 상생 교육과정 프로그램’을 통해 전문성에 실무 경쟁력을 융합한 미래인재 양성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밝혔다.||||||웹사이트: https://www.hanwhasystems.com/kr/index.d...||||||||연락처||한화시스템||커뮤니케이션팀||지선진 차장||02-729-5906||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한화시스템||||||배포 분야||||교육||대학교||산업||항공/무기||제휴||서울
Wed, 20 Sep 2023 15:47:13 +0900
-
인텔샛, 모든 에어버스 항공기로 기내 연결성 확대
맥클린 버지니아--(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20일 -- 세계 최대의 통합 위성 및 지상 네트워크 운영업체이자 기내 인터넷 연결(IFC)의 선도적인 제공업체인 인텔샛(Intelsat)은 오늘 에어버스(Airbus)의 에어스페이스 링크(Airspace Link HBCplus) 솔루션을 통해 LEO 및 GEO 위성에 의존하는 다중 궤도 네트워크 서비스를 항공사 및 항공기 임대업체에 제공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인텔샛은 이 제조업체의 유연한 IFC 서비스 카탈로그에 포함된 업체 중 가장 큰 서비스 제공업체이다.||||인텔샛의 상업 항공 부문 수석부사장 데이브 비주(Dave Bijur)는 “똑같은 항공사는 없다는 점을 이해하는 인텔샛은 오랫동안 목적에 맞는 장비 옵션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및 승객 서비스 제공을 포함하여 고객에게 유연성과 선택권을 제공해왔다”며 “에어버스를 통해 우리는 LEO 위성이 제공하는 짧은 대기 시간과 GEO 위성의 높은 처리량을 활용하는 새로운 수준의 정교함과 유연성을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2026년 상반기 인도되는 항공기를 시작으로 항공사들은 인텔샛의 GEO 네트워크 및 OneWeb과 같은 LEO 네트워크에 동시 연결되도록 설계된 에어버스의 Ku 대역 ESA 터미널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데이터 라우팅 계획은 인텔샛 특유의 탁월한 글로벌 수준의 탄력성 짧은 대기 시간 및 높은 처리량을 갖춘 프리미엄 IFC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계약에 따라 에어버스는 HBCplus 시스템의 공장 설치와 사후 설치는 물론 관련 서비스 지원도 관리한다.||||객실 좌석 IFE 및 전자 장치 구매 담당 부사장 맥시밀리언 루커(Maximilian Ruecker)는 “새로운 혼합 다중 궤도 서비스는 고객 요구에 부응하여 공동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한 에어버스와 인텔샛 팀의 성공적인 협력을 보여주는 증거다”며 “인텔샛의 혁신적인 GEO 및 LEO 위성 사용으로 혼합 다중 궤도 솔루션을 원활하게 제공하는 것은 에어스페이스 링크 개방형 생태계의 파괴적인 특성에 적합하다”고 말했다.||||인텔샛 소개||||인텔샛의 글로벌 전문가팀은 차세대 글로벌 네트워크 및 관리형 서비스를 통해 정부 NGO 및 상업 고객에게 원활하고 안전한 위성 기반 통신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크고 가장 발전한 위성 플릿 및 연결 인프라 중 하나를 운영하여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고 있는 인텔샛은 사람과 도구가 대양을 건너 말하고 대륙을 가로질러 보고 하늘을 통해 들으면서 소통하고 협력하고 공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60여 년 전 설립된 이래로 인텔샛은 고객과 세상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성 산업 ‘최초’의 대명사가 되어왔다. 혁신의 전통을 바탕으로 차세대 과제 해결에 집중하는 인텔샛팀은 이제 우주 부분에서도 업계를 파괴하고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선도하면서 또 다른 ‘최초’를 이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소셜 미디어 팔로우:||||https://twitter.com/INTELSAT||https://www.linkedin.com/company/intelsat||https://www.instagram.com/intelsat/?hl=en||||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웹사이트: http://www.intelsat.com|| 이 보도자료의 영어판 보기||||연락처||인텔샛(Intelsat)||스티브 로트(Steve Lott)||+1 202 285-9590||Steven.Lott@intelsat.com||||||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Intelsat||||||배포 분야||||IT||통신||산업||항공/무기||사업계획||해외
Wed, 20 Sep 2023 13:45:00 +0900
-
임팩트북 ‘이차전지, 전기차 및 연관산업 소재/광물/폐배터리 시장실태와 참여업체별 사업동향’ 보고서 발간
김포--(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20일 -- 임팩트북이 ‘이차전지 전기차 및 연관산업(소재/광물/폐배터리) 시장실태와 참여업체별 사업동향’ 보고서를 발간했다.||||전지(Battery)는 화학에너지를 전기화학적 산화 환원반응에 의해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 크게 분류하면 화학전지와 물리전지로 구분되고 1차전지 2차전지 연료전지 그리고 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주는 태양전지 등이 있다.||||이차전지 산업의 성장은 후방산업의 기술개발 토대로 전방산업의 신규시장 선점 등 동반성장 효과가 발생하는 연쇄 효과가 큰 산업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차전지 기술은 휴대폰 노트북 등 소형 IT 기기에 주로 사용됐으나 최근 대용량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전력저장장치용 대용량 이차전지(ESS) 친환경 자동차(EV)로 중심이 이동하고 있는 추세다.||||현재 전기차용 배터리로 리튬이차전지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체 이차전지 시장 중 전기차용 비중이 2020년 66%에서 2030년 87%로 예상되는 등 향후에도 배터리 분야 핵심부품으로 위치를 공고히 할 전망이다. 국가별로는 한국 중국 일본이 글로벌 이차전지 시장의 95%를 점유하고 있다.||||2022년 글로벌 전기차 신차 판매량은 802만대로 전년 대비 68% 증가했으며 전체 자동차 판매량의 9.9%를 점유했다. 지역별로는 중국은 507만대를 판매하며 1위 유럽이 162만대로 2위에 올랐다. 업체별 판매량은 테슬라가 131만대로 1위(16.4%) BYD 93만대(11.5%) 상해기차 90만대(11.2%) 폭스바겐 57만대(7.2%)로 뒤를 이었으며 현대차그룹은 37만대로 4.7% 점유율을 차지했다.||||한편 배터리 시장에서 56%를 차지하는 배터리의 핵심소재는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액 등으로 글로벌 전기차 판매 확대로 배터리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배터리 소재 시장 역시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전 세계가 사용하는 이차전지 생산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우리나라는 증가하는 수요에 따른 전지 원료의 사용량도 급격히 증가하는 상황이다. 또한 리튬이차전지 양극 활물질로 사용되는 리튬 코발트 망간 니켈 등은 전략 금속으로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안정적 원료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다.||||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이차전지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스크랩의 재활용 및 폐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재활용해 다시 이차전지 전극 물질로 공급하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임팩트는 ‘이차전지 전기차 및 연관산업(소재/광물/폐배터리) 시장실태와 참여업체별 사업동향’을 통해 국내외 전지 및 관련 전후방 산업 및 수요 산업 시장 실태를 분석한 보고서가 국내 전지 및 관련 시장에 진출한 국내외 기업뿐만 아니라 시장에 관심이 있는 관련 기관/업체의 실무 담당자에게 사업 전략 수립과 시장 분석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책을 발행했다고 밝혔다.||||임팩트 소개||||임팩트의 주요 발간 실적으로는 ‘IoT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제품현황 및 의료기기 시장동향’ ‘글로벌 화장품 100대 기업 비즈니스 현황과 주요 국가별 화장품 시장동향 및 전망’ ‘건강기능식품과 기능성식품소재 시장현황’ ‘화장품 시장동향 및 전망’ ‘이차전지(셀/소재/원자재/폐배터리) 및 전기차 시장동향과 참여업체별 사업전략’ ‘고령화로 주목받는 고령친화산업(의약품/의료기기/식품/화장품/용품)별 시장동향과 사업전망’ ‘물 산업 실태와 사업전망’ ‘탈플라스틱화에 따른 바이오플라스틱 및 바이오화학 시장동향과 사업전망’ ‘안면미용(필러·보툴리눔톡신) 미용의료기기 및 안티에이징 산업별 시장동향과 참여업체 사업현황’ ‘의료IT(스마트병원/원격의료)·의료기기 및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동향과 사업현황’ ‘유망식품(건기식/고령친화/할랄/대체식품/펫푸드) 시장동향 및 주요 업체별 사업현황’ ‘차세대 의료기기 주력제품 시장/기술동향과 참여업체 사업현황’ ‘바이오 인공장기 기술 및 시장동향과 참여업체 사업현황’ ‘스마트 헬스케어 및 메디칼 디바이스 시장실태와 전망’ 등이 있다.||||||웹사이트: http://www.imfactbook.com||||||||연락처||임팩트||김선엽 국장||031-986-3181||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임팩트||||||배포 분야||||산업||화학||에너지/환경||신재생에너지||조사연구||인천/경기
Wed, 20 Sep 2023 08:30:00 +0900
-
함께하는 한숲, 한솔그룹 신입사원 100명과 함께 사랑의 벽화 봉사활동 진행
안양--(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19일 -- 함께하는 한숲은 9월 18일 퍼브 주관으로 한솔그룹의 임직원 약 100명과 함께 의정부 신곡동에 위치한 발곡초등학교의 벽화 봉사활동을 진행했다고 밝혔다.||||함께하는 한숲과 한솔그룹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지역사회에 기여하기 위해 이번 행사를 개최했으며 어두웠던 학교 외벽에 밝은 그림의 벽화를 채워 넣어 학교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에게 활기와 희망을 전달했다.||||한솔그룹 담당자 전승미 책임은 “이번 행사를 통해 신입사원들이 팀워크와 협력을 강화하며 조직 내에서의 소속감을 높이는 좋은 경험이 됐다”며 “지역사회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해 나눔과 존중을 실천하는 노력은 계속될 것이며 지속적으로 더 많은 사회공헌활동을 펼칠 것”이라고 소감을 밝혔다.||||이번 벽화 봉사활동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신입사원들에게 소속감과 사회적 책임을 높여주는 뜻깊은 행사였으며 함께하는 한숲과 한솔그룹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와의 긍정적인 협력을 이어나갈 예정이다.||||한편 사단법인 함께하는 한숲은 아동보호 전문기관 영세 지역아동센터 운영지원 경로 무료급식소 결식 예방 지원 청소년 동아리 지원 장학 지원 환경개선 사업 해외 빈곤아동 교육지원 등 다양한 활동을 자원봉사 단체 기업 연계 사업을 통해 펼치고 있다.||||함께하는 한숲 소개||||함께하는 한숲은 소외받는 아동·청소년들과 그 가정에게 도움을 주고 있는 비영리사단법인이다. 함께하는 기관으로 안양시아동보호전문기관 한숲지역아동센터 빛된지역아동센터 영문지역아동센터 따뜻한 밥상(경로무료급식소) 청소년 휴카페 담쟁이 넝쿨 한숲작은도서관 한숲희망나눔장학회와 천사아너스클럽이 있으며 아동·청소년들을 위해 다양한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함께하는 한숲은 아동학대예방사업 영세지역아동센터 운영지원 결식아동 지원 청소년 동아리지원 장학지원 아동·청소년 공부방 꾸미기 소외계층 아동·청소년들의 주방시설지원 및 자원봉사자 단체 기업 연계 사업을 통해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또한 쿠키 만들기 천연비누 만들기 핫픽스 등 40여가지의 사회 공익캠페인을 펼치고 있다.||||||웹사이트: http://www.hansup.or.kr||||||||연락처||함께하는 한숲||이수찬 과장||031-466-1053~4||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함께하는 한숲||||||배포 분야||||사회||복지||산업||제지/포장||사회공헌||인천/경기
Tue, 19 Sep 2023 13:24:09 +0900
-
선진뷰티사이언스, 세계화장품학회서 ‘클린뷰티’ 관련 신기술 발표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19일 -- 화장품 원료 제조 전문 기업 선진뷰티사이언스(코스닥 086710 대표이사 이성호)가 9월 4일부터 7일(현지 시각)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2023 세계화장품학회(IFSCC)’에서 클린뷰티 관련 2건의 신기술을 발표했다고 밝혔다.||||클린뷰티란 인체에 유해하다고 알려진 성분을 포함하지 않은 화장품으로 환경친화적이며 윤리적 조건에서 생산돼 공급되는 제품을 뜻한다. 최근 업계에서는 클린뷰티 제품에 대한 시장의 요구에 따라 실리콘 폴리에틸렌 유기화합물이 포함된 자외선 차단제 등 피부에 유해한 성분을 배제하는 분위기다.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이번 학회에서 실리콘계 코팅 제품을 대체하는 신기술과 함께 환경친화적인 유기 자외선 차단제 캡슐화 기술을 선보였다.||||선진뷰티사이언스가 소개한 첫 번째 기술은 ‘실리콘-프리(Silicone-Free)’ 메이크업 트렌드에 부합하는 안료 천연 코팅 방법이다. 안료를 천연 코팅 물질인 스테아르산아연(Zinc Stearate)으로 처리 안료와 코팅 물질 사이의 강한 결합을 형성시켜 안정성과 발수력을 확보했다. 회사는 해당 기술을 활용해 기존에 널리 쓰이는 실리콘계 ‘알킬 실란(Alkyl Silane)’ 코팅 안료를 대체하는 클린뷰티 콘셉트의 처방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두 번째는 유용성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 ‘BEMT’ 소재와 자사 실리카 입자 등을 활용한 ‘UV Filter 캡슐화 기술’이다. 피부 친화적인 ‘논 나노(Non-Nano)’ 사이즈의 구(球)형 실리카에 BEMT를 담지해 수분산을 가능하게 했으며 BEMT 특유의 끈적이는 사용감을 개선했다. 회사는 이를 통해 제품의 인체 피부 흡수 및 해양 생태계 교란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선진뷰티사이언스 이성호 대표이사는 “자사의 차세대 UV Filter 캡슐 기술 등을 소개하고 최신 연구 결과 및 기술 성과를 나누는 등 의미 있는 자리가 됐다고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꾸준한 연구를 통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화장품 소재를 개발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시장조사업체 ‘Brand Essence Market Research’에 따르면 글로벌 클린뷰티 시장은 2020년 기준 54억4000만달러 규모로 평가되며 2020년부터 2027년까지 연평균 12%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선진뷰티사이언스는 클린뷰티 소재를 꾸준히 연구·개발해 각 지역의 정책 변화와 소비자들의 의식 전환 등에 따라 확대되고 있는 클린뷰티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한다는 계획이다.||||||웹사이트: http://sunjinbs.co.kr/||||||||연락처||선진뷰티사이언스 홍보대행||서울IR네트워크 ||PR본부||제수현 매니저||02-783-0628||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선진뷰티사이언스||||||배포 분야||||라이프 스타일||화장품||산업||화학||개발||서울||2023 세계화장품학회
Tue, 19 Sep 2023 13:08:58 +0900
-
애경케미칼, 화재 안전성 대폭 높인 소재로 시장 우위 선점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19일 -- 각종 화재로 인해 안전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화재 안전성을 높인 소재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애경케미칼(대표 표경원) 역시 강화된 건축법과 관련법령의 안전기준에 부합하는 소재를 개발하고 성능을 인증받기 위해 노력 중이다. 고객들이 믿고 쓸 수 있는 제품을 한발 앞서 선보여 시장 내 우위를 점한다는 계획이다.||||이와 관련 애경케미칼은 3년여간 고객사와 협력해 준불연 소재를 적용한 우레탄 패널을 개발했고 7월 최종적으로 준불연 시험 기준(복합자재품질인정 시험·KS F 8414)을 통과하며 제품의 안전성과 성능을 인정받았다. 이로써 애경케미칼은 복합자재 품질인정을 취득하기 위한 품질시험 4종을 모두 통과했다.||||또한 2021년 11월 초고성능 난연·내식 복합소재용 수지(POLYCOAT DION-9341F) 개발에 착수해 올해 2월 제품 개발에 성공했다. 이후 7월 화재 안전성 인증부문에서 세계 최고 신뢰도를 자랑하는 FM(Factory Mutual) 4910 인증을 획득하며 우수한 기술력을 입증했다. FM인증은 제조과정부터 실물화재 테스트까지 엄격한 심사과정을 거치며 인증 완료 뒤에도 매년 상시적으로 점검하는 등 까다로운 인증 관리체계를 갖고 있다. 애경케미칼은 난연·내식 복합소재용 수지 관련 난연 인증(ASTM E-84 CLASS A 등급)도 획득한다는 계획이다.||||||웹사이트: http://www.aekyungchemical.co.kr/||||||||연락처||애경케미칼 ||커뮤니케이션팀||이진주 선임||02-6078-3042||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애경케미칼||||||배포 분야||||산업||화학||개발||서울
Tue, 19 Sep 2023 09:05:36 +0900
-
한화그룹 주요 계열사, 동반성장지수 ‘최우수·우수’ 등급 획득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18일 -- 한화그룹(회장 김승연)은 동반성장위원회가 발표한 ‘2022년 동반성장지수평가’에서 한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은 우수 등급을 받았으며 특히 지난해 11월 1일에 한화로 합병된 한화/건설 부문은 최우수 등급을 획득했다고 18일 밝혔다.||||동반성장지수는 동반위의 동반성장 종합평가와 공정거래위원회의 공정거래협약 이행평가 결과를 동일 비율(50:50)로 합산 후 최우수 우수 양호 보통 미흡의 5개 등급으로 부여한다. ||||또한 이번 평가 중 공정거래위원회가 주관하는 공정거래협약 이행평가에서는 한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 3개 사가 최우수 등급을 획득해 협력사와의 공정한 거래관계를 확립한 점에 대해서 크게 인정받았다. ||||한화는 협력사를 위한 다양한 동반성장 프로그램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으며 중소기업의 핵심 기술 보호를 위한 ‘기술자료 임치 지원’ 협력사 임직원의 휴가비를 지원하는 ‘근로자 휴가 지원 사업’ 협력사 귀책으로 발생한 원자재의 손실 비용을 줄여주는 ‘원자재 손실 비용 감면 제도’ 협력사의 우수기술 개발을 위해 자금을 지원하는 ‘공동 투자형 기술개발 사업’ 등 협력사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다양한 동반성장 프로그램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는 점을 높게 평가받았다. ||||한화그룹은 협력사가 필요로 하는 지원이 무엇인지 진심으로 고민하고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동반성장활동을 지속하다 보니 우수 등급 획득이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협력사의 든든한 상생 파트너로 다양한 동반성장활동과 ESG 경영을 펼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웹사이트: http://www.hanwha.co.kr||||||||연락처||한화그룹 ||한화커뮤니케이션위원회||박정우||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한화그룹||||||배포 분야||||산업||항공/무기||화학||수상/선정||서울
Mon, 18 Sep 2023 15:01:10 +0900
-
인텔샛, 신뢰할 수 있는 새로운 브로드캐스트 연결 서비스 제공
매클린 버지니아--(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17일 -- 세계 최대의 통합 위성 및 지상 네트워크 운영업체이자 기내 인터넷 연결(IFC)의 선도적인 제공업체인 인텔샛(Intelsat)은 오늘 인터넷을 사용해 전 세계로 고품질 비디오 콘텐츠를 전송하는 새로운 콘텐츠 배포 시스템을 발표했다. 인텔샛원(IntelsatOne) IP 서비스는 인텔샛이 축적한 수십 년간의 위성 및 지상파 경험을 활용해 안정성 고객 서비스 글로벌 커버리지 콘텐츠 백업 및 확장성을 제공한다.||||인텔샛의 미디어 부사장 파스칼 프로몬트(Pascale Fromont)는 “인텔샛원 IP는 인텔샛 글로벌 미디어 네트워크의 커버리지와 유연성을 높이고 기존 글로벌 위성 및 광섬유 공간을 보완한다”며 “인텔샛원 IP는 더욱 저렴하고 안정적인 콘텐츠 전송 방법을 찾는 모든 규모의 방송사뿐만 아니라 시청률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는 방송사에 더 많은 연결 옵션을 제공한다”고 덧붙였다.||||인텔샛원 IP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구동되는 글로벌 상호 연결 네트워크로 설계돼 하드웨어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더 빠른 배포를 가능하게 한다.||||또한 인텔샛의 하이브리드 지상파 및 위성 인프라를 사용하면 방송사가 전체 인텔샛 글로벌 미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어 기존 IP 제공업체가 제공할 수 없는 연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미디어 고객은 완전한 네트워크 가시성 제어된 다중 대상 라우팅 관리 향상된 엔드투엔드 비디오 관리 및 스트리밍 보호 기능을 갖춘 안전한 글로벌 솔루션을 사용할 수 있다.||||이 제품은 오늘부터 고객이 사용 사례 테스트를 시작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인텔샛 IP는 추후 운영 서비스로 상용화될 예정이다.||||인텔샛 소개||||인텔샛의 글로벌 전문가 팀은 차세대 글로벌 네트워크 및 관리형 서비스를 통해 정부 NGO 및 상업 고객에게 원활하고 안전한 위성 기반 통신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크고 가장 발전한 위성 플릿 및 연결 인프라 중 하나를 운영해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고 있는 인텔샛은 사람과 도구가 대양을 건너 말하고 대륙을 가로질러 보고 하늘을 통해 들으면서 소통하고 협력하고 공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60여 년 전 설립된 이래로 인텔샛은 고객과 세상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성 산업 ‘최초’의 대명사가 되어왔다. 혁신의 전통을 바탕으로 차세대 과제 해결에 집중하는 인텔샛팀은 이제 우주 부분에서도 업계를 파괴하고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선도하면서 또 다른 ‘최초’를 이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소셜 미디어 팔로우||||트위터링크트인페이스북인스타그램유튜브||||본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웹사이트: http://www.intelsat.com|| 이 보도자료의 영어판 보기||||연락처||인텔샛(Intelsat)||멜리사 롱고(Melissa Longo)||+1 240-308-1881||melissa.longo@intelsat.com||||||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Intelsat||||||배포 분야||||IT||통신||산업||항공/무기||사업계획||해외
Sun, 17 Sep 2023 14:30:00 +0900
-
한국전력기술, 권역별 ‘신입사원 채용 설명회’ 개최… 연봉·복지 으뜸
김천--(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15일 -- 한국전력기술이 2023 하반기 채용을 앞두고 신입사원 채용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15일 밝혔다.||||평균 연봉 9500만원을 자랑하는 공기업인 한국전력기술은 대학생들이 가고 싶은 기업 상위권에 매년 드는 기업이며 5년 연속 공정 채용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기업이기도 하다. ||||높은 연봉과 함께 한국전력기술은 다음과 같은 직원들을 위한 뛰어난 사내 복지로 유명한 기업이다.||||한국전력기술은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한 근무 시간 단축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유연근무제도로 자율 출·퇴근을 실시하는 공기업이며 직원들의 성장을 위한 온·오프라인 어학교육 지원 시스템도 구축돼 있다. ||||직원들의 동반 성장을 위해 글로벌 역량 강화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직무 관련 학위과정도 운영하고 있다. 이와 함께 기술사·CFA·PE 등 직무 관련 자격 취득을 지원해준다.||||이처럼 한국전력기술은 뛰어난 복지와 함께 일반정규직 기준 평균 근속연수가 18년에 이른다. 이직이 잦은 요즘 이는 근무 환경과 사내 복지가 뛰어남을 입증하는 지표다. ||||이외에도 입사 후에는 2년간 기숙사가 제공되며 지역 내 최대 규모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는 등 한국전력기술은 차별화된 복지로 많은 이들이 꿈꾸는 기업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한국전력기술은 다음 달 15일부터 22일까지 총 4회에 걸쳐 채용 설명회를 개최하며 △수도권(서울) 15일 22일 △충청권(대전) 21일 △영남권(대구) 21일로 시간은 모두 동일하게 오후 2시부터 진행될 예정이다.||||올 하반기 채용 예정 인원은 총 120명으로 최대 대졸 105명·고졸 5명(대졸 외 장애인 취업지원 포함)을 채용할 예정이다. 채용 직무는 기술/연구·사무를 비롯해 원자력·기계·계측·전축·전산·토목·전기 등이다.||||채용은 9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될 예정이며 채용 절차는 ‘입사지원-서류-필기-면접-임용’ 순으로 진행된다. 서류 전형은 지원자격 충족 여부를 검증하는 전형으로 어학점수와 자격사항 등을 평가한다. 한국전력기술의 경우 다른 대부분 기업과 마찬가지로 어학시험(TOEIC) 성적이 700점 이상인 자만 서류전형에 지원할 수 있다.||||이외 사회 형평적 인재 전형별 가점 부여(취업지원 장애인 등) 제도가 있으며 특수자격소지자(기술사 변호사 회계사 노무사 등)에게는 서류·필기 전형을 면제해주는 혜택이 있다. 또 직무 관련 자격증 보유자에게는 가산점을 부여한다.||||필기 전형은 NCS 직업기초능력평가를 비롯해 직무수행능력평가(전공지식)와 인성검사를 진행한다. 면접 전형은 크게 직업기초면접과 직무역량면접으로 나눠 관련 역량들을 평가한다.||||한국전력기술 인사팀 강민수 대리는 “정부의 원전산업 활성화 정책에 맞춰 관련 분야 인력 채용을 확대할 예정이니 많은 지원 바란다”고 말했다.||||||웹사이트: http://www.kopec.co.kr||||||||연락처||한국전력기술 신입사원 채용설명회 홍보대행||엘리트코리아||오승환 이사||02-561-2133||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한국전력기술||||||배포 분야||||경제||취업||산업||중전기||채용||대구/경북
Fri, 15 Sep 2023 10:32:02 +0900
-
애경케미칼, 수소저장용기·자동차 소재 등 경량화 기술 확대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15일 -- 애경케미칼(대표 표경원)은 13일 개막한 ‘H2 MEET 2023’에 참가해 수소 저장용 용기(TYPE4) 바인더 수지를 선보였다. 전시부스는 협력사인 동서디앤씨(킴텍)와 공동 개발한 수소 운송·저장용 컨테이너로 구성됐다.||||수소저장용기는 비금속 라이너에 탄소복합소재를 감아서 높은 압력에도 견딜 수 있도록 만든 기술 집약적 제품이다. 차량과 선박 기차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앞으로 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이와 관련 애경케미칼은 수소저장용기에 비닐에스테르-카본 복합소재를 적용해 효율성과 내구성을 한층 끌어올렸다. 이전에 주로 활용된 에폭시-카본 복합소재에 비해 제조 공정은 간편해지고 가격은 저렴해졌다. 소재 특성상 열전도율이 60분의 1 수준으로 낮아 저장용기 내 급격한 압력 상승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애경케미칼의 비닐에스테르-카본 복합소재가 적용된 수소저장용기는 올해 말 한국가스안전공사 인증 획득을 앞두고 있다.||||애경케미칼은 수소저장용기에 활용되는 소재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량화용 기능성 소재개발에도 힘쓰고 있다. 최근 높아지고 있는 자동차 소재 경량화 요구에 발빠르게 대응하기 위해서다. 시장조사기관인 마켓앤드마켓(MarketandMarkets)에 따르면 자동차용 경량화 시장은 연평균 약 7.3%의 성장률을 보이며 2025년 993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리서치 기업인 리서치 네스터(Research Nester) 또한 대표적인 경량화용 기능성 소재인 탄소 섬유 프리프레그 시장에 대해 연평균 10.5%의 성장률을 나타내며 2033년 282억5000만 달러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전 세계적으로 경량 신소재 연구 개발이 활발한 가운데 국내외 다수의 기업들이 선루프 프레임 차량 보닛 등 금속 부품을 탄소복합소재로 대체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애경케미칼 또한 △초고속 경화 프리프레그(AKAPREG) △친환경 탄소섬유 SMC(SMC; Sheet Molding Compound) 등의 소재를 개발해 세계 트렌드에 발맞춰 나가고 있다.||||애경케미칼의 초고속 경화 프리프레그는 성형 시 빠른 경화 특성으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 프리프레그 성형 시 최소 1시간 이상이 소요되는데 애경케미칼의 프리프레그는 경화 속도를 3분 이내(프레스 성형 시)로 줄였다. 대량 생산이 필요한 자동차 부품 생산 공정에 적합하다. 주로 차량 도어 프론트 범퍼 라디에이터 그릴 리어스포일러 등에 활용되며 내충격성과 난연성이 우수해 전기차 배터리 케이스 하우징에도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또 다른 경량화 소재인 친환경 탄소섬유 SMC는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굴곡진 부분 처리가 수월하다. 소재 특성상 나타나는 유려한 무늬로 인해 디자이너의 선호도가 높아 자동차 내장 가니쉬 소재로도 활용된다. 특히 유독물질인 스티렌모노머(SM)를 사용하지 않아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없다는 게 가장 큰 강점이다.||||||웹사이트: http://www.aekyungchemical.co.kr/||||||||연락처||애경케미칼 ||커뮤니케이션팀||이진주 선임||02-6078-3042||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애경케미칼||||||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개발||서울||H2 MEET 2023
Fri, 15 Sep 2023 09:36:32 +0900
-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김광수 총장 H2 MEET 2023 ‘H2 CDC’ 콘퍼런스 축사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14일 --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이하 SMIT)는 김광수 총장이 9월 14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개최된 세계 최대 규모의 수소산업 전문 전시회 ‘H2 MEET 2023’의 ‘H2 CDC 2023’ 콘퍼런스에 참석해 축사를 했다고 밝혔다.||||이번 H2 CDC 2023 콘퍼런스는 세계 각국 전문가들을 초청해 ‘글로벌 탄소중립을 위한 H2 탄소 정보공개 연구 교육 및 컨설팅’을 주제로 개최된다.||||이날 진행된 Opening Ceremony & Seminar에서 SMIT 김광수 총장은 “정부와 기업의 탄소 저감을 위한 선도적인 참여는 거스를 수 없는 국제적인 추세며 리더 국가로서 의무를 수행하는 책무다. 국제적으로도 탄소세 RE100 등 통상 압박이 심해지고 있고 환경보호 및 지속가능성에 대한 책임감을 나타내며 기업의 리더십과 미래 지향적인 비전을 보여줘야 한다”며 “기업이 탄소 저감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친환경적인 혁신과 기술을 활용해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추구하는 노력은 한 사람만의 노력으로는 달성할 수 없다. 정부와 기업 그리고 민간이 하나 되어 지구를 살리기 위한 노력을 함께 경주하는 것이 지구 온난화를 해결하는 것이다. 탄소 저감 콘퍼런스를 통해 혁신적인 연구 컨설팅 및 실행을 통한 협업으로 지구를 살리기 위한 기업과 정부 관계자의 탄소 저감을 위한 노력에 깊은 고마움을 표한다”고 전했다.||||이어 “저를 포함한 모든 관계자가 탄소 저감을 통해 지구를 살리기 위한 목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전 인류적인 계획에 함께할 것이며 또 동참을 통해 앞으로 나아갈 것을 기원하며 탄소 저감 콘퍼런스를 준비해 오신 관계자분과 이 자리를 빛내기 위해 참석하신 여러분 모두의 노고에 감사드린다”고 밝혔다.||||14일(목) 16시부터 진행되는 H2_CDC 2023 Program Session 6는 ‘H2 Renewable Energy Valley Scale_up’을 주제로 SMIT 윤성도 교수를 좌장으로 SMIT 박범석 교수가 토론을 진행한다.||||한편 올해로 4회째를 맞은 H2 MEET에는 수소 생산·저장·운송·활용 분야의 세계 18개국 303개 기업 및 기관이 참가했다. 작년 행사와 비교해 26% 증가한 역대 최대 규모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 수소융합얼라이언스 등으로 구성된 H2 MEET 조직위원회가 주최하고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국토교통부가 후원하는 H2 MEET는 13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15일까지 사흘간 열린다.||||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소개||||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는 비즈니스 역량을 기반으로 예술적 능력과 기술적 능력이 조화를 이룬 미디어 산업의 전문 융합 인력의 육성을 목표로 2009년 3월 서울 마포구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에 개교한 미디어 전문 고등교육기관이다. 특히 미디어 디자인 미디어 제작에 중점을 두고 경영 IT의 실용적인 융합 학문을 추구하는 석사학위과정 대학원이다.||||||웹사이트: http://www.smit.ac.kr||||||||연락처||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기획처 브랜드마케팅팀||김태이||02-6953-3519||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배포 분야||||교육||대학교||산업||화학||인물동정||서울||H2 MEET 2023
Thu, 14 Sep 2023 14:08:38 +0900
-
알파라발, 2023 Kormarine 전시회 참가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14일 -- 해양 산업은 그 어느 때보다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고 탈탄소화를 위한 노력이 가속화되면서 앞으로 더욱 큰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알파라발은 글로벌 해양 전시회로 성장한 ‘Kormarine 2023’에서 ‘Together for sustainable shipping’이라는 주제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준비하는 오늘의 솔루션을 선보인다.||||새로운 연료 솔루션부터 연료 절약을 위한 혁신 효율성부터 service connectivity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변화의 현장을 전시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알파라발은 고객 및 관련 파트너사와의 밀접한 협력을 기반으로 제품 및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전시회 일정 : 2023년 10월 24일~27일 벡스코(부산)||· 알파라발 부스 : 2C29||||전시 제품||||알파라발 부스에서는 효율적인 에너지 활용 청정 에너지 순환성 및 물로 대표되는 4가지 Alfa Laval Marine Sustainability 관련 솔루션을 만날 수 있다.||||· 탈탄소화 : LNG 바이오 및 메탄올 이외에도 선박 연료로서의 암모니아 지원 및 탄소 포집 방안||||· 에너지 관리 : 열 교환기부터 E-PowerPack 및 확장된 AQUA Blue 조수기 제품군에 이르기까지 에너지 효율성 향상을 위한 방안||||· 풍력 추진 : 알파라발과 Wallenius의 합작 투자사인 Oceanbird가 wing sails의 프로토타입 출시||||· Air lubrication : 선박의 연료 소모량 개선 온실가스 감축 및 효율성 향상에 기여할 fluidic air lubrication 출시||||· 25년 역사의 StormGeo : 독보적인 해양기상정보서비스를 자랑하는 StormGeo 알파라발과 함께 하다||||· Marine 서비스 : 선박 서비스 최적화를 위한 digital connectivity를 활용해 필요한 시점에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Alfa Laval Marine Service||||전시회 기간 매일 진행되는 부스 프레젠테이션에서는 풍력으로 추진되는 오션버드(Oceanbird) fluidic air lubrication인 오션글라이드(OceanGlide) 혁신적인 에너지 효율성 장비인 E-Powerpack과 담수화 장비 Aqua Blue E2를 비롯해 알파라발과 한 식구가 된 StormGeo의 솔루션이 소개된다.||||추가 정보||||· 알파라발 at Kormarine 2023 : https://www.alfalaval.kr/info/korea/kormarine-2023/||· 알파라발 Marine Sustainability : https://www.alfalaval.kr/industries/marine-and-transportation/sustainable-shipping/||· Stormgeo : https://www.stormgeo.com/solutions/shipping/events/kormarine-2023/||||한국알파라발 소개||||알파라발은 에너지 해양 식품 및 물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에서 전문적인 지식을 기반으로 한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100여개국에서 공정 최적화를 통해 고객의 비즈니스 및 지속가능성 목표 달성을 지원한다. 알파라발은 천연자원의 효율적인 사용과 더불어 정화 정제 재활용을 위한 제품 및 솔루션을 공급한다. 에너지 효율과 열회수율을 높이고 수처리를 개선하며 배출가스 감소에 기여함므로써 고객뿐 아니라 사람과 지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2만300명의 직원이 알파라발에서 근무한다. 2022년 기준 연매출 SEK 52.1 billion(약 49억유로)이며 나스닥 스톡홀름에 상장돼 있다. 한국알파라발은 1979년 설립된 알파라발 그룹의 한국지사다. 약 150명의 인원(세일즈 엔지니어 약 30명 고객 지원 30명)이 근무하고 있다. 평택 소재 국내 생산 설비 및 서비스 센터를 기반으로 국내 고객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www.alfalaval.kr||||||||연락처||한국알파라발||커뮤니케이션||유미영 ||02-3406-0600||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한국알파라발||||||배포 분야||||산업||조선||전시/출품||서울||국제조선 및 해양산업...
Thu, 14 Sep 2023 13:50:00 +0900
-
세아그룹 ‘H2 MEET 2023’ 참가… 수소 산업 비전 제시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14일 -- 세아그룹(회장 이순형)이 9월 13일부터 3일간 킨텍스(KINTEX)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 규모의 수소산업 전문 전시회 ‘H2 MEET (Mobility Energy Environment Technology) 2023’에 참가해 수소 산업에 대한 비전 및 차별화된 기술 역량을 선보인다고 14일 밝혔다.||||세아그룹은 ‘A beautiful wave inspired by SeAH’ 주제로 ‘H2 MEET 2023’ 통합 부스를 구성했으며 수소와 철이 결합해 회복된 자연의 모습을 ‘맑은 물’로 시각화해 부스 디자인에 예술적으로 녹여냈다. 통합 부스에는 세아제강 세아베스틸 세아창원특수강 세아특수강 세아메탈 세아항공방산소재 CTC 등 세아그룹 산하 7개 사가 참여해 수소 산업에서의 계열사 간 시너지 효과를 중점적으로 홍보했다.||||세아그룹은 이번 전시회를 통해 수소 이송에 사용되는 다양한 구경의 탄소강 및 스테인리스 용접강관 고압에도 내구성이 유지되는 스테인리스 무계목강관 제품과 정밀한 가공 기술이 필수적인 수소 충전소·자동차의 연료 이송용 스테인리스·니켈 정밀관 제품 등을 소개했다. 특히 세아그룹은 수소에 대한 부식 저항이 강하고 극저온에서도 내구성이 유지되는 등 수소의 형태에 따른 다양한 수소취성을 확보한 특수강 및 스테인리스 소재를 전시하고 납품 성과를 공개하며 관람객들의 관심을 모았다.||||실제로 세아제강은 네덜란드 수소 액화 플랜트 모듈에 적용되는 수소 이송용 파이프를 3월 수주했으며 세아창원특수강은 완성차 업체와 함께 수소 자동차용 스테인리스 봉강 제품 테스트를 진행하며 상용화 과정을 진행 중에있다. 이외에도 세아창원특수강의 자회사 CTC는 수소 자동차용 연료관을 완성차 업체에 공급 중에 있다.||||세아그룹은 수소 생태계의 생산·이송·저장·활용 등 공급사슬 전반에 사용되는 특수금속 원소재를 비롯해 수소 파이프라인 벨브부품 등 다양한 제품 공급을 통해 글로벌 수소 경제를 선도하는 특수·첨단금속소재 기업으로 도약해 나갈 계획이다.||||||웹사이트: http://www.seah.co.kr||||||||연락처||세아홀딩스 ||커뮤니케이션실||이성규 수석||02-6970-0092||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세아홀딩스||||||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전시/출품||서울||H2 MEET 2023
Thu, 14 Sep 2023 10:39:40 +0900
-
효성, 서울시 수소 충전 인프라 구축에 박차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14일 -- 효성이 서울에너지공사와 손잡고 서울시 수소 충전 인프라 구축에 박차를 가한다.||||13일 오후 효성은 서울에너지공사와 효성 마포본사에서 ‘수소 충전 인프라 및 청정수소 발전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번 MOU를 통해 효성과 서울에너지공사는 수소모빌리티 선도를 위한 수소충전소 구축사업 무탄소 청정수소 발전 사업개발 및 도심형 신재생에너지 사업 발굴을 함께할 예정이다.||||이번 MOU는 앞으로 수소차와 수소 상용차들의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서울’을 수소모빌리티 선도 도시로 도약시키고자 하는 목적 아래 성사됐다. 효성은 그룹 차원에서 그린수소 생산부터 수소충전소까지 수소 밸류체인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효성 이상운 부회장은 “수소 시장 저변 확대를 위한 수소 충전 인프라 및 청정수소 발전사업을 서울에너지공사와 함께하게 된 것을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효성의 신재생 및 수소엔진 발전 분야를 활용해 신재생 에너지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해가면 좋겠다”고 말했다.||||효성그룹은 △수소 생산 및 충전 설비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R&D 확대 △CO2를 배출하지 않는 블루수소 및 그린수소 추출 기술 개발 등을 적극 추진 중이다. 또 세계적인 산업용 가스 전문기업 린데기업과 함께 액화수소 생산 운송 및 충전시설 설치와 운영을 망라하는 밸류체인 구축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효성화학 용연공장 내 부지에는 연산 1만3000톤 규모의 액화수소 공장을 완공할 예정이다.||||한편 13일부터 15일까지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수소 산업 전문 전시회인 ‘H2 MEET 2023’에 효성그룹도 참여했다. 이번 전시회를 통해 세계 수소사업의 현황과 수소 밸류체인 상에서의 효성그룹의 활약을 오프라인으로 만날 수 있다.||||||웹사이트: http://www.hyosung.com||||||||연락처||효성 ||홍보팀 ||뉴미디어팀||백수정 PM||02-707-7642||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효성||||||배포 분야||||산업||화학||제휴||서울||H2 MEET 2023
Thu, 14 Sep 2023 10:05:37 +0900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다목적 무인차량 미국 본토 성능시험 계약
창원--(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14일 --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자체 개발한 다목적 무인차량 아리온스멧(Arion-SMET)이 미국 해병대 훈련장에서 성능시험을 치른다. 미 국방부로부터 인정받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본격적인 세계 군용무인차량 시장 공략에 나선다는 계획이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최근 미국 국방부와 해외비교성능시험(FCT) 사업 계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이에 따라 올해 12월 초부터 3주간 미국 하와이 오아후(O’ ahu) 섬 해병대 훈련장에서 아리온스멧에 대한 본시험이 진행될 예정이다.||||FCT란 미 국방부가 전 세계 동맹국 방산기업이 가진 우수 기술을 평가하고 미군이 추진하는 개발·획득 사업으로 연계하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각국에 파견 중인 미 국방 무관들이 300여개의 해외기술을 식별하고 미군이 심사를 진행해 이 중 10여개를 최종 선정해 사업을 진행한다. 시험평가를 성공적으로 마치게 되면 미 국방부가 관련 획득사업 추진 여부를 결정하는 구조다.||||이번 현지시험은 하와이 미 해병대 주둔지 인근에서 진행되는데 아리온스멧은 정해진 장소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곳까지 연료 전투식량 및 식수 환자 수리부속품 등을 수송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번 FCT 시험을 통해 무인차량 제조기술과 야지 자율기동 소프트웨어 기술 등 세계 최고 성능을 요구하는 미 해병대의 조건을 모두 충족시키겠다는 계획이다.||||앞서 아리온스멧은 지난해 10월 미 국방부 FCT 과제로 채택된 이후 캠프 험프리스에서 주한미군을 대상으로 한 장비시연에 나선 바 있다. 국내 개발된 군용 무인차량이 FCT 과제로 채택된 것은 아리온스멧이 최초다. 최고속도(43km/h)와 전기충전 후 항속거리(100km) 적재중량(550kg) 등은 글로벌 톱티어 장비와 동급이거나 그 이상이다.||||아리온스멧은 원격 조종 병력과 연결된 선을 따라가는 유선 추종 정해진 경로를 가는 자율주행 가보지 않은 길도 스스로 지형을 탐색하며 목적지까지 주행하는 탐색자율주행 등 4가지 방식으로 운용될 수 있으며 원격통제사격체계로 목표물을 자동으로 추적·조준하고 기동간 사격을 하는 등 근접전투를 지원할 수 있다.||||특히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야지 자율주행과 같은 기술을 세계적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최근 카이스트와 한양대에 Autonomy HUB E-Drive HUB 등 연구센터를 설립했다.||||서영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임원은 “지난해 주한미군 시연에 이어 가장 강도 높은 작전수행과 훈련을 진행하는 미 해병대와 본토에서 테스트를 치르는 것은 그간 보여준 아리온스멧 그 관련 기술에 대한 미군의 신뢰가 바탕이 된 것”이라며 “이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해 무인체계기술의 글로벌 시장 진출의 초석을 쌓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웹사이트: https://www.hanwhaaerospace.co.kr/||||||||연락처||한화에어로스페이스||커뮤니케이션팀||최선 과장||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한화에어로스페이스||||||배포 분야||||산업||항공/무기||사업계획||부산/울산/경남
Thu, 14 Sep 2023 09:47:50 +0900
-
‘NPE2024: 플라스틱 박람회’ 등록 시작
워싱턴--(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13일 -- 플라스틱 산업협회(Plastics Industry Association PLASTICS)는 NPE2024: 플라스틱 박람회(NPE2024: The Plastics Show)가 2024년 5월에 개최된다고 오늘 발표했다. NPE2024는 미국 및 전 세계 모든 플라스틱 산업 분야에서 한 해 중 가장 영향력 있는 무역 박람회가 될 것으로 보이며 5만5000명 이상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된다.||||NPE는 3년마다 플로리다주 올랜도에 위치한 오렌지 카운티 컨벤션 센터(Orange County Convention Center)에서 110만 평방피트 이상의 전시 공간에 걸쳐 혁신을 강조할 수 있는 글로벌 플랫폼을 플라스틱 업계에 제공한다. PLASTICS 사장 겸 최고경영자인 맷 시홀름(Matt Seaholm)은 NPE2024가 그 어느 때보다 더 크고 나아진 모습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강조하며 “우리는 내년 5월에 NPE2024: 플라스틱 박람회를 다시 찾을 우리 업계를 맞이할 기대에 부풀어 있다. 플라스틱 산업은 현대 생활에서 매우 중요하고 지속 가능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번 박람회는 이를 증명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시홀름은 “이번 박람회에서는 생산되는 모든 것의 중심에 지속 가능성을 두고 있으므로 참석자들은 보다 순환적인 경제로 나아가고 우리 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데 도움을 주는 새로운 기술과 중요한 교육 기회를 만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메이드 포 유(Made for You)’라는 테마로 다시 개최되는 NPE2024에서 참가자들은 박람회에서 펼쳐지는 모든 경험의 중심에 있게 된다. 2024년 5월 6일부터 10일까지 개최되는 이 이벤트는 이제 막 경력을 시작한 이들까지 포함하여 업계 종사자 모두에게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NPE2024에서 주목할 만한 경험은 다음과 같다.||||· 여섯 개의 기술 존(technology zones)에서 2000개 이상의 전시업체가 최신 제품과 서비스를 선봬||· 혁신을 촉진하고 순환 경제를 이끌며 협업을 모범적으로 보여주는 트렌드 주제에 대한 100가지 이상의 연사 프레젠테이션||· 참석자들이 원자재부터 시장 출시 소비자 제품에 이르기까지 플라스틱 순환 경제를 경험할 수 있는 새로운 NPE 순환 허브(NPE Circularity Hub)||· 플라스틱 업계에서 영향력 있는 여성들이 플라스틱 업계의 여성 조찬 모임(Women in Plastics Breakfast)에 참석한 이들에게 성공 사례를 공유||· 355개 이상의 최초 전시업체가 NPE2024에서 새로운 제품과 관점을 선봬||· 밴드 팝 록스(Pop Rocks) 게임 음식 및 음료가 포함된 개막 NPE 오프닝 나이트 파티||||NPE2024 참가자는 기계 및 장비 원자재 재활용 및 지속 가능성 자동화 및 로봇 3D 및 4D 프린팅 검사 디자인 등을 포함한 전체 플라스틱 공급망에 독점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NPE 전시업체는 자동차 소비재 재활용 포장 의료 건축 및 건설과 같은 중요한 시장에 서비스를 제공한다.||||NPE2024에 참석할 계획이 있을 경우 기억해야 할 중요한 일정은 다음과 같다.||||· NPE2024 참석자 등록: 2023년 9월 12일 화요일 시작||· 호텔 객실 블록 등록: 2023년 9월 12일 화요일 시작||· NPE2024 이벤트: 플로리다주 올랜도의 오렌지 카운티 컨벤션 센터에서 2024년 5월 6일~10일 동안 개최||||티켓 가격은 얼리버드 사전 및 현장 판매에 따라 $100~$600로 다르다. NPE 오프닝 나이트 파티 플라스틱 업계의 여성 조찬 모임 라틴아메리카 세미나 플라스틱 가공업체를 위한 3D 프린팅 등에 대한 추가 혜택도 선착순으로 제공된다. 자세한 내용은 문의하십시오.||||NPE2024 위원회 의장인 스티브 런던(Steve London)은 “NPE2024는 플라스틱의 미래를 선도하는 행사이다. 커리어를 발전시키고 싶거나 회사를 성장시키고 싶거나 새로운 트렌드와 솔루션 소식을 접하고 싶다면 2024년 5월에 열리는 NPE2024에 참석해야 한다. 지금 등록하여 이번 행사에서 일어나는 모든 흥미로운 일들이 계속 공개되는 동안 자신만의 경험을 계획하고 맞춤화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NPE2024: 플라스틱 박람회에 등록하려면 NPE.org를 방문하십시오.||||플라스틱 산업협회(PLASTICS)는 장비 공급업체 재료 공급업체 가공업체 재활용업체를 포함한 전체 플라스틱 공급망을 지원하는 유일한 조직으로 5480억달러 규모의 미국 산업에 종사하는 100만 명 이상의 근로자를 대표한다. PLASTICS는 재활용과 지속 가능성을 개선하는 기술에 투자하고 우리 삶의 보호와 안전을 위한 필수 제품을 제공하는 데 헌신하는 회원사의 우선순위를 발전시키고 있다. 1937년 이래로 플라스틱 산업협회는 회원사 및 미국 7위 제조업계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교육 이니셔티브 업계를 선도하는 통찰력 및 이벤트 미주 최대 플라스틱 무역 박람회인 ‘NPE2024: 플라스틱 박람회’를 비롯한 기회 소집과 정책 옹호 등을 통해 순환성을 지원하기 위해 노력해왔다.||||||웹사이트: https://npe.org/|| 이 보도자료의 영어판 보기||||연락처||플라스틱 산업협회(Plastics Industry Association)||엘리자베스 도메네크(Elizabeth Domenech)||pr@npe.org||||카밀레 갈로(Camille Gallo)||cgallo@plasticsindustry.org||||||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Plastics Industry Association||||||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전시/출품||해외
Wed, 13 Sep 2023 16:10:00 +0900
-
효성ITX ‘클릭월드 투어’ 참가… Smart Factory 기술력 공개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13일 -- 효성의 IT 계열사인 효성ITX가 12일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개최된 ‘QlikWorld Tour Korea 2023’에 참가했다. ‘QlikWorld Tour’는 AI와 데이터 분석을 주제로 클릭(Qlik)사에서 주관하는 글로벌 로드쇼이다.||||이날 효성ITX는 자체 개발한 시각분석시스템(Visual Analytics System)인 ‘익스트림VAS(xtrmVAS)’를 소개했다. 익스트림VAS는 AI와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해 제조 현장의 복잡한 공정 데이터를 쉽고 빠르게 분석해주는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이다.||||또한 코딩(coding) 기술이나 통계학적 전문지식이 없는 현장 엔지니어도 몇번의 클릭만으로 제조 실적이나 품질 결과 등 다양한 공정 데이터의 상관관계를 즉각적으로 확인해볼 수 있어 실시간 품질 예측 공정 이상진단 불량원인인자 파악 수율 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남경환 효성ITX 대표이사는 “이번 행사를 통해 효성ITX의 스마트팩토리 구축 역량을 선보일 수 있어 기쁘다”며 “향후에도 지속적인 솔루션 혁신을 통해 기업들의 제조 경쟁력을 높여주는 든든한 DX(디지털 전환) 동반자가 되겠다”고 밝혔다.||||한편 효성ITX는 효성 그룹의 IT 계열회사로 2017년부터 스마트팩토리 사업을 시작해 섬유·화학·중공업 등 다양한 국내외 제조 분야에서 스마트팩토리를 구축해왔다. 효성ITX는 제조기업의 가치사슬(Value Chain) 전반에 걸쳐 빅데이터(Big Data)를 수집·분석해 고객의 생산 계획과 의사결정 과정에 인사이트(Insight)를 제공하고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www.hyosung.com||||||||연락처||효성 ||홍보팀 ||뉴미디어팀||안재홍||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효성||||||배포 분야||||IT||소프트웨어||산업||기계/플랜트||전시/출품||서울||클릭월드 투어 2023
Wed, 13 Sep 2023 11:47:59 +0900
-
한화, 엔진 소재 추가 개발… 단계적 기술 축적으로 ‘엔진 국산화’ 반드시 달성
창원--(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13일 --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항공 엔진의 핵심소재 개발에 잇달아 나서고있다.||||해외 수입과 기술이전 제약이 큰 유·무인전투기 엔진을 소재부터 국산화해 자주국방을 강화하고 글로벌 방산 수출 확대를 위한 기반을 확보할 계획이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국방기술진흥연구소가 주관하는 무인기용 ‘TIT 1800K급 터보팬 항공엔진 저압터빈 내열합금 및 코팅 기술’ 개발 과제의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2029년까지 497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이번 과제에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스코 한국재료연구원과 함께 연구개발(R&D)을 주관하며 △3D프린팅 △일정한 방향의 결정체로 응고해 강성을 높여주는 ‘일방향응고 정밀주조’ △내열코팅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해 섭씨 1500도까지 상승하는 항공엔진 초고온부에 사용할 내열합금을 개발할 예정이다.||||무인 전투기 엔진 개발 역량을 확보하면 다양한 형태의 무인기뿐만 아니라 확보한 기술과 노하우를 유인 전투기의 ‘첨단 엔진’을 비롯해 민수용 항공엔진 개발에도 활용할 수 있다.||||40여년간 9800대 이상의 항공엔진을 생산해 온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올해 1월부터는 1000마력급 무인기 엔진 핵심부품을 1000시간 이상 사용할 수 있는 장(長)수명 엔진 소재 7월부터는 전량 수입해온 전투기 엔진용 ‘인코넬 718’ 소재 개발에 나서는 등 항공엔진 기술 국산화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 측은 대한민국 유일의 항공엔진용 가스터빈을 생산하는 기업으로서 언제든 수입이 제한될 수 있는 소재를 국산화해 자주국방은 물론 K-방산이 글로벌 시장에 안정적으로 진출하기 위한 기술력을 축적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웹사이트: https://www.hanwhaaerospace.co.kr/||||||||연락처||한화에어로스페이스||커뮤니케이션팀||김남윤 과장||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한화에어로스페이스||||||배포 분야||||산업||항공/무기||개발||부산/울산/경남
Wed, 13 Sep 2023 09:25:12 +0900
-
효성첨단소재, 탄소섬유 글로벌 시장 확대 박차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12일 -- 효성첨단소재가 12일부터 14일까지 중국 상해에서 열리는 ‘차이나 컴포짓 엑스포(China Composites Expo 2023)’에 참가해 탄소섬유 브랜드 ‘탄섬(TANSOME®)’을 알린다.||||효성첨단소재는 이번 전시회에서 수소차용 고압용기 자동차휠 스포츠용품 등 ‘탄섬’으로 만든 제품을 홍보하고 고객들과 미팅을 진행한다.||||‘차이나 컴포짓 엑스포’는 상해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국제 복합재료 산업박람회로 효성첨단소재는 2019년에도 참가한 바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본격적으로 재개되는 행사로 세계 유수의 탄소섬유 제조업체들과 주요 복합재료 및 설비업체들이 참가한다.||||조용수 효성첨단소재 대표는 “탄섬의 우수한 품질과 기술력에 대해 고압용기 전선심재 건축보강재 및 다양한 스포츠용품 시장 등에서 꾸준히 고객들로부터 인정받고 있다. 이번 전시회를 통해 탄소섬유가 쓰이는 여러 분야의 신규 고객들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탄소섬유는 철에 비해 무게는 1/4이지만 강도는 10배 이상 강한 섬유로 CNG와 수소 고압용기 자동차부품 풍력 블레이드 등 여러 분야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세계 탄소섬유 수요는 지난해 15만톤에서 2025년 24만톤으로 매년 17%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한편 효성첨단소재는 2011년 독자기술을 바탕으로 국내 최초로 고강도 탄소섬유 ‘탄섬’을 개발해 2013년부터 전주공장을 운영해오고 있다. 이후 지속적인 증설을 통해 현재 연산 9000톤 규모가 됐으며 2028년까지 총 1조원을 투자해 연산 2만4000톤까지 확대할 예정이다.||||||웹사이트: http://www.hyosung.com||||||||연락처||효성 ||홍보팀 ||뉴미디어팀||이성재 PM||02-707-7059 ||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효성||||||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화학||전시/출품||서울
Tue, 12 Sep 2023 15:01:07 +0900
-
애경케미칼, 난연·내식 복합소재용 수지, 세계 최고 수준 화재 안전성 인증 획득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12일 -- 애경케미칼(대표 표경원)은 자체 개발한 초고성능 난연·내식 복합소재용 수지(POLYCOAT DION-9341F)가 국제 화재 안전성 인증인 ‘FM(Factory Mutural·4910) 인증’을 획득했다고 12일 밝혔다.||||FM인증은 세계 최대 규모의 재해보험회사인 미국의 FM Global사가 소방설비 건축자재 등에 부여하는 화재 안전성 관련 인증이다. 제품 제조과정부터 실물화재 테스트까지 엄격한 심사과정을 거치며 인증 완료 뒤에도 매년 상시적으로 점검하는 등 까다로운 인증 관리체계를 갖고 있다. 특히 전 세계 보험사들이 화재 안전도 평가 및 보험료 책정 시 FM인증 여부를 활용할 만큼 화재 안전성과 관련해 국제적으로 가장 신뢰도가 높은 인증 가운데 하나이다.||||애경케미칼의 초고성능 난연·내식 복합소재용 수지는 반도체 플랜트 클린룸에 적용되는 섬유강화플라스틱(FRP)의 소재로 활용된다. 클린룸은 청정 환경에서 생산이 이루어지는 공정 특성상 작은 화재에도 치명적인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이에 난연·내식 성능을 보유한 FRP 소재를 활용해 덕트와 스크러버 등의 장비를 제작하도록 정해져 있다. FM인증도 필수로 받아야 한다.||||애경케미칼의 초고성능 난연·내식 복합소재용 수지는 글로벌 기준의 화재 안전성은 물론이고 화학물질에 대한 내식성까지 보장할 수 있어 시장 내 만족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애경케미칼 수지 하나로 내식층과 보강층 모두를 구성할 수 있어 기존 소재가 갖고 있던 층 간 박리 문제 해결이 가능해졌다.||||애경케미칼은 2021년 11월 초고성능 난연·내식 복합소재용 수지 개발에 착수했으며 올해 2월 제품 개발에 성공했다. 이후 까다롭기로 정평이 난 FM인증 평가를 한 번에 통과하며 우수한 기술력을 입증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추가적으로 난연 인증(ASTM E-84 CLASS A 등급) 획득을 추진할 계획이다.||||||웹사이트: http://www.aekyungchemical.co.kr/||||||||연락처||애경케미칼 ||커뮤니케이션팀||이진주 선임||02-6078-3042||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애경케미칼||||||배포 분야||||산업||화학||개발||서울
Tue, 12 Sep 2023 13:21:04 +0900
-
한화 ‘최신형 K9’으로 영국 전시회 참가… 유럽 시장 확대 가속화
창원--(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12일 --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최신형 K9 자주포인 ‘K9A2’를 영국에서 전시한다. 호주에서 보병전투장갑차(IFV) 레드백 우선협상대상 사업자 선정 폴란드에서의 유무인차량(UGV) 차세대 협력에 이어 영국 시장을 겨냥한 첨단 무기체계를 제시해 글로벌 사업에 속도를 내겠다는 전략이다.||||대한민국 대표 방산기업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2~15일까지 영국 런던에서 열리는 글로벌 방산전시회(DSEI)에 참가한다고 12일 밝혔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315㎡ 규모의 전시관을 설치하고 자동화포탑 고무궤도를 적용해 성능을 향상시킨 K9A2 자주포를 ‘K10 탄약운반차’ 모듈화 장약 ‘MCS(modular charge system)’와 함께 ‘자주포 패키지’로 공개한다.||||이번에 전시된 K9A2 모델은 탄약 및 장약을 완전 자동으로 장전할 수 있어 분당 9발 이상의 신속한 사격이 가능하고 기존 스틸 궤도 대신 복합소재의 고무 궤도를 장착해 진동 소음이 줄어 안정적인 장거리 주행이 가능하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K9A2를 통해 영국의 MFP(Mobile Fires Platform) 사업에 도전하고 있다. MFP사업은 영국이 주력 자주포인 AS90를 대체할 차세대 자주포 116문을 획득하는 약 1조2000억원 규모 사업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영국 현지 방위산업체들과 ‘팀 썬더(Team Thunder)’를 결성해 현지 특화 수주 전략을 펼치고 있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번 전시회를 통해 브렉시트(Brexit) 이후 아시아·태평양쪽에서 새로운 방산분야 협력 확대를 원하는 영국을 위한 제품군도 제시한다. K9 외에도 레드백 장갑차와 지대지(地對地) 유도탄인 천검 천무 다련장로켓 잠수함용 리튬전지체계 한화페이저의 전자식 위성통신안테나까지 공개해 육해공 분야의 솔루션을 보여주겠다는 것이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 측은 호주 폴란드 등 글로벌 시장에서 입증된 기술력과 신뢰를 바탕으로 첨단 방산 솔루션을 제시해 영국과의 장기적인 신뢰관계를 구축하고 자유진영의 안보에 기여하는데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웹사이트: https://www.hanwhaaerospace.co.kr/||||||||연락처||한화에어로스페이스||커뮤니케이션팀||최선||이메일 보내기 ||||||이 뉴스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한화에어로스페이스||||||배포 분야||||산업||항공/무기||전시/출품||부산/울산/경남||영국 방산전시회 DESI...
Tue, 12 Sep 2023 11:43:50 +0900
-
효성첨단소재, 탄소섬유 국내외 생산 확대한다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11일 -- 효성첨단소재는 베트남 남부 바리아붕따우성에 탄소섬유 생산을 위한 법인인 ‘효성 비나 코어 머티리얼즈(Hyosung Vina Core Materials Co. Ltd)’를 신규 설립하기로 했다.||||효성첨단소재는 탄소섬유의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국내는 물론 중국과 베트남에 생산시설을 확대하고자 한다. 이번 베트남 신설 법인 설립을 위해 533억원을 출자하며 2025년 상반기 경 완공될 예정이다.||||이번 투자는 늘어나는 글로벌 탄소섬유 수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함이다. 세계 탄소섬유 수요는 지난해 14만톤에서 2025년 26만톤으로 매년 23%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도심항공교통(UAM) 등 신규 기체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 CNG와 수소 고압용기 풍력용 블레이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전주공장 탄소섬유 설비 증설 내년 7월 말까지 추가 생산 라인 확보||||한편 효성첨단소재는 전북 전주공장에 528억원을 투자해 내년 7월 말까지 탄소섬유 생산라인을 추가 증설한다.||||이번 증설은 국내외 친환경 정책에 따른 수소차 연료탱크와 압축천연가스(CNG) 고압용기 및 신재생 에너지 채택 증가에 따른 태양광 소재 등 다방면의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함이다.||||효성첨단소재는 2019년에 2028년까지 1조원을 투자해 전주공장 탄소섬유 생산라인을 연산 2만4000톤까지 확대하고 탄소섬유 분야 글로벌 Top 3에 진입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연락처||효성||커뮤니케이션실||백수정 PM||02-707-7642||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뉴스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효성첨단소재||||||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화학||설립/오픈||서울
Mon, 11 Sep 2023 17:49:41 +0900
-
아세아제지, 분기배당 위한 권리주주 확정 절차 착수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11일 -- 아세아제지(코스피002310)가 창립 후 첫 분기배당 실시를 위한 절차를 시작했다.||||아세아제지의 분기 배당은 1988년 유가증권시장 상장 후 처음이다.||||한국거래소 전자공시시스템(KIND)에 따르면 아세아제지는 9월 11일 이사회를 개최해 분기배당을 위한 권리주주 확정 기준일을 9월 30일로 정했다고 공시했다.||||이번 공시는 7월 12일 전격적으로 발표한 주주환원정책의 일환으로 분기배당 절차가 진행됐다는 의미이다.||||분기배당에 관한 구체 일정과 배당규모는 주주명부 확정 후 이사회에서 정해 별도로 공시할 것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아세아제지는 이번 공시에 주당 배당금을 확정하지 않지만 7월 공시에서 보통주 1주당 현금 500원 지급 계획을 밝힌 바 있다.||||앞서 아세아제지는 적극적이고 투명한 주주환원 정책 확립을 통한 기업 가치 제고를 목표로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을 실시한다는 계획을 시장에 알렸다.||||2023년부터 2026년까지 매년 단계적으로 △현금 배당 확대 실시 △자기주식 취득 △자기주식 소각 △주식(액면)분할을 포함한 중장기주주환원 정책을 실시한다.||||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주주환원 정책을 발표한 7월 12일 이후 아세아제지의 외국인 지분율은 5.34%(47만8640주)에서 6.87%(61만4862주 9/8 현재)로 늘어났다.||||아세아제지는 2023년 3월부터 현재까지 37만8000주의 자사주를 취득하고 있으며 체결금액 누계는 140억9800만원으로 나타났다. 발행주식수의 4.2%에 해당하는 규모이다.||||아세아제지는 이번 이사회의 분기배당 결정에 대해 업계 내 아세아 브랜드 포트폴리오의 강점을 통해 장기적으로 수익성 있는 성장과 꾸준한 현금 흐름 창출을 추진할 것이라는 적극 의지와 자신감을 피력한 것으로 평가했다.||||||웹사이트: http://kor.asiapaper.co.kr||||||||연락처||아세아제지||기획관리팀||김조훈 부장 ||02-527-6882||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뉴스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아세아제지||||||배포 분야||||산업||제지/포장||에너지/환경||친환경 기술||투자||서울
Mon, 11 Sep 2023 16:56:39 +0900
-
탈레스, 올해의 구글 클라우드 기술 파트너 보안 - 데이터 보호 부문 수상
뫼동 프랑스--(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11일 -- 탈레스(Thales)가 보안-데이터 보호 부문에서 ‘올해의 구글 클라우드 기술 파트너’로 선정됐다. 탈레스는 구글 클라우드의 기술을 기반으로 고객 솔루션을 개발 및 구현하는 데 우수성을 인정받아 전 세계 최고의 구글 클라우드 파트너들과 함께 수상자로 선정됐다.||||탈레스와 구글 클라우드의 협업은 점점 더 증가하는 클라우드 배포에 대한 보안 주권 성능 요구 사항에 직면한 전 세계 조직의 요구 사항을 해결한다. 탈레스는 다년간의 사이버 보안 전문성을 바탕으로 전 세계 고객이 클라우드로 전환하는 데 필요한 수준의 신뢰와 보안을 제공하는 동시에 필요한 수준의 제어를 유지한다. 탈레스의 플랫폼 전문성과 구글 클라우드의 엔터프라이즈급 솔루션 및 최첨단 인프라를 결합해 두 회사는 광범위한 데이터 보안 이니셔티브에서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보안 포트폴리오의 우수성을 변함없이 추구하는 탈레스는 최근 데이터 보안 기능을 개발하고 사이퍼트러스트 데이터 시큐리티 플랫폼(CipherTrust Data Security Platform - CDSP)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AI 기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협업을 발표했다. 이 기능은 구글 클라우드의 버텍스 AI(Vertex AI) 머신 러닝 기능을 기반으로 하여 클라우드에서 민감한 데이터를 검색 분류 보호한다. 머신 러닝 기능은 고객을 위한 기본적인 작업을 자동화하고 클라우드에 호스팅된 민감한 데이터를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준다.||||2022년 말부터 탈레스의 사이퍼트러스트 클라우드 키 매니저(CipherTrust Cloud Key Manager - CCKM)는 구글 클라우드 및 구글 워크스페이스용을 포함한 BYOK (Bring Your Own Key) 이니셔티브도 지원해 왔다. 탈레스와 구글 클라우드는 또한 프랑스에서 국가 및 중요 인프라 조직에 적용되는 것과 같은 엄격한 데이터 주권 요건을 충족하고자 하는 구글 고객을 위해 주권형 클라우드 합작 투자(cloud joint venture) S3NS를 운영하는 데 협력해 왔다. ||||탈레스는 가장 까다로운 데이터 보호 표준을 충족하기를 원하는 기업을 위해 구조화된 클라우드 제품을 구축했다. 프랑스에서 탈레스와 구글 클라우드의 합작사인 S3NS는 프랑스 정보 시스템 보안 기관(ANSSI) 인증인 ‘SecNumCloud’ 라벨을 준수하는 구글 클라우드에 상응하는 솔루션을 프랑스 기업 및 공공기관에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까지 SecNumCloud는 국방 기밀 보호를 제외하면 프랑스에서 그리고 유럽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보호 기능을 제공한다. S3NS는 유럽 내 데이터 위치 및 S3NS가 관리하는 외부 암호화(탈레스 기술 기반)와 같은 추가 보장 및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첫 제품을 이미 제공 중이다.||||구글 클라우드 글로벌 에코시스템 및 채널 담당 부사장인 케빈 이치푸라니(Kevin Ichhpurani)는 “구글 클라우드의 파트너 어워드는 지난해 파트너가 주도한 중요한 영향력과 고객 성공을 인정하는 상”이라며 “탈레스가 2023년 구글 클라우드 파트너 어워드 수상자로 선정돼 기쁘고 앞으로도 상호 고객을 지원하기 위한 강력한 파트너십을 이어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탈레스의 클라우드 보호 및 라이선스 활동 담당 수석 부사장인 세바스티안 카노(Sebastien Cano)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우리는 구글 클라우드와의 지속적인 관계를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최근의 수상을 통해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구글 클라우드와 함께 해온 탁월한 성과를 인정받게 됐다. 전 세계 고객이 함께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검색 분류 보호하고 최대한 안전하고 규정을 준수하는 클라우드 이전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탈레스는 2023년 8월 29일부터 31일까지 열리는 구글 클라우드 넥스트(Google Cloud Next)에도 참가한다. 다음과 같은 세션이 진행될 예정이다.||||· 왕국의 열쇠: 암호화 키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탈레스의 암호화 제품 담당 부사장 토드 무어(Todd Moore)||· 구글 생성형 AI를 통한 선도적인 ISV의 사이버 보안 혁신 탈레스 데이터 보호 엔지니어링 부사장 아쉬빈 카마라주(Ashvin Kamaraju)||||S3NS 최고 경영자 사이프리앙 팔케(Cyprien Falque)의 ‘글로벌 리더들이 디지털 주권 요건에 대응하는 방법’을 라이브 및 온디맨드로 시청할 수 있는 이벤트의 상세 내용은 여기(https://cloud.withgoogle.com/next)에서 찾을 수 있다.||||탈레스 소개||||탈레스(유로넥스트파리: HO)는 방위 및 보안 항공 및 우주 디지털 신원 및 보안의 세 가지 영역에서 첨단 기술 분야의 글로벌 리더이다. 더 안전하고 친환경적이며 포용적인 세상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제품과 솔루션을 개발한다.||||이 그룹은 특히 양자 기술 에지 컴퓨팅 6G 및 사이버 보안과 같은 핵심 분야의 연구 개발에 연간 약 40억유로를 투자한다.||||탈레스는 68개국에 7만7000명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다. 2022년에 이 그룹은 176억유로의 매출을 달성했다.||||자세한 정보||||탈레스 그룹||클라우드 보호 및 라이선싱 솔루션(Cloud Protection & Licensing Solutions) | 탈레스 그룹||||사진/멀티미디어 자료: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53545995/en||||본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웹사이트: https://www.thalesgroup.com/en||||||||연락처||탈레스(Thales)||보안 및 사이버 보안 ||마리온 보넷(Marion Bonnet) ||+33 (0)6 60 38 48 92 ||marion.bonnet@thalesgroup.com||||||이 보도자료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뉴스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Thales||||||배포 분야||||IT||보안||산업||항공/무기||수상/선정||해외
Mon, 11 Sep 2023 16:25:00 +0900
-
한화, 국내 최대 수소 전시회 ‘H2 MEET’ 참가… 청정 수소 통합 솔루션 선보여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11일 -- 한화그룹(회장 김승연)이 고양시 킨텍스에서 9월 13일부터 15일까지 사흘간 열리는 H2 MEET에 참여한다. 한화그룹 7개사(한화 한화에너지 한화솔루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오션 한화임팩트 한화파워시스템)는 재생에너지와 암모니아를 기반으로 청정 수소를 생산해 저장·운송해 수소발전소와 수소연료전지까지 활용하는 통합 밸류체인을 선보일 예정이다.||||청정 수소 생산을 위해 한화 한화에너지 한화솔루션 한화임팩트는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로 물을 분해해 수소를 얻는 수전해 기술과 암모니아를 분해해 수소를 양산하는 기술을 소개한다. 특히 한화솔루션이 연구 중인 수전해 기술은 기존 기술보다 초기 투자비가 낮고 적은 전력으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이다.||||한화솔루션은 생산된 수소를 안정적으로 저장 운송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고압 탱크(트레일러 운송용 수소차 드론 및 항공우주용 등)도 전시한다. 한화솔루션의 37피트급(11.1m) 고압 탱크는 세계 최대 수준의 저장 용량(4080L)과 우수한 내압 성능(517bar)을 가지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UAM(Urban Air Mobility) RAM(Regional Air Mobility) 에 적용할 수 있는 100kW급 경량형 수소연료전지를 전시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 수소연료전지를 친환경 미래 항공 모빌리티에 적용하는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한화오션은 차세대 친환경 선박으로 부상하고 있는 암모니아 운반선과 수소연료전지 체계를 탑재한 3000톤급 잠수함 모형도 전시한다. 한화오션은 영국 선급 로이드(Lloyed’s Register)로부터 암모니아 추진 컨테이너선 초대형원유운반선 등에 대한 인증을 이미 획득했고 2025년 상용화를 눈앞에 두고 있다.||||100% 수소만을 연료로 사용하는 무탄소 발전 기술을 독자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한화파워시스템은 현재 무탄소 발전의 직전 단계로 LNG와 수소를 혼합해 연료로 사용하는 수소혼소 발전 기술을 선보일 계획이다. 이 기술은 수명이 다한 LNG 터빈을 수소 터빈으로 개조해 수명을 최소 10년 이상 늘릴 수 있어 경제적으로 큰 이점이 있다. ||||한화그룹은 태양광·풍력 등 기존에 진행하던 재생에너지 사업과 더불어 청정 수소 사업으로 글로벌 탄소 중립에 기여할 것이라며 특히 수소혼소 발전 기술을 적용한 수소발전소를 2027년 대산에서 상업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웹사이트: http://www.hanwha.co.kr||||||||연락처||한화그룹||커뮤니케이션위원회||02-729-5890||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뉴스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한화그룹||||||배포 분야||||산업||화학||에너지/환경||신재생에너지||전시/출품||서울||H2 MEET 2023
Mon, 11 Sep 2023 11:22:25 +0900
-
효성, 2023년 하반기 대졸 신입사원 공채 실시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11일 -- 효성그룹이 11일부터 2023년 하반기 대졸 신입사원 공개 채용을 실시한다.||||지주사와 효성티앤씨 효성첨단소재 효성중공업 효성화학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 효성굿스프링스 등 6개의 계열사에서 약 200명의 인원을 채용한다.||||효성은 앞서 올 상반기에도 약 200명의 신입사원을 채용했다. 1년에 한 번 진행하던 공채를 상·하반기로 나눠서 진행하며 채용 규모가 2배로 늘어났다.||||하반기 공채 모집 분야는 크게 6개 부문으로 △영업(해외 국내 기술 무역 물류 마케팅) △관리(구매 재무 ESG 신사업 인사/총무 홍보) △생산기술(섬유 화학 중공업) △R&D(섬유 화학 중공업 펌프) △IT(시스템 개발영업 CS) △건설 시공 등이다.||||지원서는 11일부터 22일까지 효성 채용홈페이지에서 접수할 수 있다. 지원서 접수 이후 서류 전형 인적성 시험 면접 채용 검진을 거쳐 최종 합격자를 선발한다.||||선발된 인원은 2024년 1월에 58기 효성 신입사원으로 정규 입사한다.||||효성은 이번 채용을 위해 수도권 및 지방 지역에 있는 9개 대학을 대상으로 캠퍼스 리크루팅을 나가 채용 설명회를 진행한다.||||채용 지원자들을 위해 9월 15일 온라인 채용 상담회도 운영한다. QR코드를 통해 사전 접수를 하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웹사이트: http://www.hyosung.com||||||||연락처||효성 ||홍보팀 ||뉴미디어팀||구태우 프로||02-707-7674||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뉴스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효성||||||배포 분야||||산업||화학||채용||서울
Mon, 11 Sep 2023 10:15:46 +0900
-
이튼의 스탬프형 배터리 단자, 전기 및 내연기관 차량의 에너지 순환 성능 및 무게 감소 개선
사우스필드 미시간--(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10일 -- 지능형 전력 관리 기업 이튼(Eaton)은 자사의 파워 커넥션 사업부가 전기 및 내연기관 승용차와 고속도로 및 국도용 상용차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스탬프형 배터리 단자(stamped battery terminals)를 제공한다고 오늘 발표했다. 이튼의 스탬프형 배터리 단자는 다이캐스트 또는 단조 단자에 비해 에너지 순환 성능이 개선되고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달라지는 무게 절감 등을 포함한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한다.||||이튼의 모빌리티 그룹(Mobility Group) 파워 커넥션 제품 관리 책임자인 존 로메인(John Romain)은 “당사의 각 배터리 단자는 산업 표준을 능가하며 고객 요구사양에 맞춰 개발 적용할 수 있다. 우리의 파워컨넥션 기술은 모빌리티 산업을 위해 수십 년간 혁신적인 전기 부품을 설계한 경험을 활용한다”고 말했다.||||스탬프형 배터리 단자는 맞춤 제작이 가능하며 SAE DIN IEC 및 JIS 배터리 포스트 구성과 호환된다. 또한 이튼의 툴은 변화하는 고객 라우팅 요구사항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또한 로메인은 “캠 모델을 테스트하여 실세계의 물리적 동작을 예측하는 유한 요소 분석을 사용하여 제품이 고객이 기대하는 품질 표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한다”며 “우리의 스탬프형 배터리 단자는 기존의 다이캐스트 또는 단조 단자보다 단자를 포스트에서 분리하는 데 더 많은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대형 측정 케이블을 사용하는 상용차 애플리케이션에도 아주 적합하다”고 말했다.||||파워컨넥션 사업부의 시장 기회 확대||||이튼은 2022년에 중요 고정밀 전력 및 신호 분배 구성 요소의 개발 및 생산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로열 파워 솔루션(Royal Power Solutions)를 인수한 후 파워컨넥션 솔루션을 만들었다. 이튼은 전기 자동차(EV)와 내연기관 자동차 모두를 위한 스탬프형 배터리 및 아일렛 단자를 비롯하여 업계를 선도하는 다양한 전기 부품을 제공한다. 또한 최근 출시한 고출력 락박스(High-Power Lock Box HPLB) 단자 등 전기차 시장에서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는 기술도 개발했다.||||이튼의 스탬프형 배터리 단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십시오. (https://eaton.works/486I3XT)||||이튼은 모든 지역의 사람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환경을 보호하는 데 헌신하는 지능적 전력 관리 기업이다. 또한 현재와 미래까지 올바른 경영을 하고 지속 가능하게 운영하며 고객들이 전력을 관리하도록 돕고자 하는 목적을 지향하는 회사이다. 전동화 및 디지털화의 국제적인 성장 추세를 기회로 삼아 전 지구의 재생 에너지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세계적으로 가장 긴급한 전력 관리 문제를 해결하도록 지원하며 주주 및 사회 전체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1911년에 설립된 이튼은 뉴욕증권시장 상장 100주년을 맞이했다. 2022년에 208억불의 매출을 기록했고 170여 개국에서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웹 사이트: www.eaton.com 팔로우: Twitter 및 LinkedIn||||본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사진/멀티미디어 자료 :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53549479/en||||||웹사이트: http://www.eaton.com|| 이 보도자료의 영어판 보기||||연락처||이튼(Eaton)||토마스 넬른바흐(Thomas Nellenbach)||(216) 333-2876 (휴대폰)||thomasjnellenbach@eaton.com||||||이 보도자료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뉴스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Eaton Corp.||||||배포 분야||||산업||기계/플랜트||에너지/환경||전력/원자력||신상품||해외
Sun, 10 Sep 2023 12:30:00 +0900
-
‘대한민국 우주개발 1세대’ 조광래 전 항우연장, 한화 ‘우주사업’ 합류
창원--(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08일 --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조광래 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이 한화 우주 사업의 기초연구를 담당하는 ‘미래우주기초기술연구원(가칭)’의 CTO(최고기술경영자·원장)로 합류할 예정이라고 8일 밝혔다.||||정부가 제시한 ‘민간주도 우주경제’의 정책 방향에 따라 우주 분야에서의 민관 교류로 대한민국의 뉴스페이스 시대를 열겠다는 것이다||||조 전 원장은 항우연의 창립멤버이자 2014~2017년까지 10대 원장을 역임한 ‘대한민국 우주개발 1세대’로 30여년 간 연구원으로 일하며 다양한 분야의 프로젝트를 수행한 우주 분야의 전문가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서는 경험과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정부가 제시한 ‘2032년 달 착륙 2045년 화성 착륙’ 로드맵에 따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미래 우주기술 연구를 총괄할 예정이다.||||정부 기관과 민간 기업의 인력 교류는 미국 등 우주 산업 강국에서는 이미 활발히 진행 중이다. 스페이스X도 2020년에 이어 올해 5월에도 미국항공우주국(NASA) 출신의 인재들을 영입한 바 있다.||||현재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시스템은 한화 공식 채용포털인 ‘한화인’을 통해 우주 사업 10개 분야 인력을 상시 채용 중이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 측은 국적 출신과 상관없이 국내외에서 과감하게 우수한 우주 인재를 확보해 정부와 함께 대한민국 우주경제를 개척해 나가겠다고 밝혔다.||||||웹사이트: https://www.hanwhaaerospace.co.kr/||||||||연락처||한화에어로스페이스||커뮤니케이션팀||김남윤 과장||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뉴스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한화에어로스페이스||||||배포 분야||||산업||항공/무기||인사||부산/울산/경남
Fri, 08 Sep 2023 09:09:56 +0900
-
두산에너빌리티, 인도네시아에 친환경 발전 기술 공급 추진
창원--(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08일 -- 두산에너빌리티가 인도네시아에 암모니아 혼소 등 친환경 발전 기술 공급을 추진한다.||||두산에너빌리티는 인도네시아파워(이하 IP사)[1]와 인도네시아 발전소 배출가스 저감을 위한 친환경 발전소 전환 관련 공동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두 회사는 현지 운영 중인 수랄라야 발전소의 친환경 기술 도입에 대한 포괄적 협력 관계를 구축하기로 했다.||||이번 MOU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7일 열린 ‘한-인도네시아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서 체결됐다. 이날 체결식에는 산업통상자원부 안덕근 통상교섭본부장과 인도네시아 루훗 빈사르 판자이탄(Luhut Binsar Pandjaitan) 해양투자조정부 장관이 배석한 가운데 IP사 에드윈 누그라하 푸트라(Edwin Nugraha Putra) 사장 IRT사[2] (PT. Indo Raya Tenaga) 피터 위자야(Peter Wijaya) 사장 두산에너빌리티 정연인 사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두산에너빌리티는 같은 자리에서 IRT사와 자와 9 10호기 발전소 그린 암모니아 공급망 공동개발 대한 양해각서도 체결했다. 자와 9 10호기 발전소는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에서 약 120km 떨어진 자바섬 서부 칠레곤(Cilegon) 지역에 건설되고 있다.||||두산에너빌리티 정연인 사장은 “두산에너빌리티의 암모니아 혼소 수소터빈 액화수소플랜트 등 다양한 탄소중립 솔루션은 인도네시아의 탄소감축 목표에 효과적인 대안이 될 것”이라며 “이번 협약을 시작으로 인도네시아에서 추진될 탄소 감축 발전사업에 대해서도 활발한 교류를 기대한다”고 말했다.||||이번 MOU에 앞서 지난달 23일 IRT사 피터 위자야(Peter Wijaya) 사장은 경남 창원에 위치한 두산에너빌리티 본사를 방문해 친환경 발전기술 개발 현장을 둘러보고 두산에너빌리티와 ‘자와 9 10호기 암모니아 혼소 발전기술 적용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 협약으로 두 회사는 2027년까지 암모니아 혼소 발전 연구 결과를 공유할 계획이다.||||[1] 인도네시아 전력청(PT. PLN)의 발전자회사로 20GW 이상의 전력공급을 담당하고 있는 인도네시아 내 최대 전력 공급사||[2] IP사와 발전 및 석유화학 전문기업 바리토 퍼시픽(PT. Barito Pacific) 그룹 및 한국전력이 공동 출자해 만든 특수목적법인으로 두산에너빌리티가 인도네시아에서 수행 중인 자와(Jawa) 9 10호기 발전소 발주처||||||웹사이트: https://www.doosanenerbility.com/kr||||||||연락처||두산에너빌리티||커뮤니케이션팀||이성민 수석||031-5179-3033||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뉴스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두산에너빌리티||||||배포 분야||||산업||기계/플랜트||제휴||부산/울산/경남
Fri, 08 Sep 2023 09:00:36 +0900
-
지투파워, 인공지능 ‘AI+’ 인증 획득… 데이터 센터 시장 공략 본격화
화성--(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07일 -- 스마트그리드 전문 기업 지투파워가 ‘AI+’ 인증을 획득했다||||지투파워는 지능형 AI 배전반 ‘PD_AI v1.0’ 제품이 한국표준협회(KSA)가 수여하는 인공지능 ‘AI+’ 인증을 획득했다고 7일 밝혔다. 스마트그리드 업계에서 ‘AI+’ 인증을 받은 것은 지투파워가 처음이다.||||‘AI+’ 인증은 한국표준협회에서 국제표준에 근거해 인공지능(AI) 기술이 적용된 제품과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인증하는 제도다. 한국표준협회는 소프트웨어 제품 품질 측정 및 패키지 소프트웨어 품질 요구사항 등의 국제표준을 근거로 AI 제품의 기능 성능 품질 최적화 등에 대한 각종 시험과 품질경영 시스템을 기반으로 철저한 시험과 검증 등의 엄격한 심사 절차를 거쳐 ‘AI+’ 인증서를 수여한다. ||||이번에 AI+ 인증을 획득한 지능형 AI 배전반 ‘PD_AI v1.0’은 배전반 사고와 고장 시 발생하는 미세한 부분 방전을 검출하고 분석해 진단하는 AI 기반 상태 감시 진단 기술을 적용 전력의 안정적인 운영 관리를 통한 전력 설비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앞서 지투파워는 8월 31일 수출입은행(조달청) 데이터 센터에 최적화된 전기안전 솔루션 기술인 인공지능 AI+ 배전반의 납품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단일판매공급계약)한 바 있다. 지투파워는 수출입은행(조달청) 데이터 센터에 대한 인공지능 AI+ 배전반 납품을 계기로 향후 데이터 센터에 인공지능 ‘AI+’ 인증 제품을 탑재한 배전반의 수요가 늘어 당사 배전반 수주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근 챗GPT 등 생성형 AI의 상용화와 데이터 사용량 증가로 데이터 센터의 건설이 확대되고 전력 사용량 증가로 화재 사고의 위험성이 높아지면서 전력 설비의 안정성이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에 인공지능 AI+ 배전반이 적용된 전력 설비는 사고 예방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지투파워 기업부설연구소 연구 책임자인 이동준 부사장(CTO)은 “이번 인공지능 AI+ 인증 획득에 따라 앞으로 안정성이 중요한 데이터 센터를 비롯한 스마트그리드 전력 설비 시장에서 선도적 위치를 확고히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지투파워는 분산형 에너지 자원을 AI 사물 인터넷(loT) 기술을 이용해 가상 발전소(VPP Virtual Power Plant)에 연계함으로써 분산형 디지털 전력 체계인 스마트그리드 사업을 추진하는 회사다.||||지투파워 소개||||스마트그리드 전문 기업 지투파워는 2010년 12월 17일 설립돼 CMD(상태 감시 진단) 기술을 기반으로 한 수배전반 태양광 발전 시스템 등의 제조 및 설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당사 CMD 기술은 사물 인터넷(IoT) 인공지능(AI) 정보통신기술(ICT)이 적용된 EMS의 한 종류로 정부로부터 신기술로 인정받았으며 공공기관에 대한 공급이 매출 대부분 차지하고 있다. 신규 사업으로 친환경 전력기기 VPP 수소 연료전지 등을 추진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www.g2p.co.kr||||||||연락처||지투파워||공시기획팀||이경승 부장||031-427-1261||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뉴스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지투파워||||||배포 분야||||IT||소프트웨어||산업||중전기||수상/선정||인천/경기
Thu, 07 Sep 2023 13:30:00 +0900
-
보스턴 메탈, 제강 탈탄소화 및 금속 산업 혁신 위한 2억6200만달러 시리즈 C 펀딩 라운드 마감
보스턴--(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07일 -- 글로벌 금속 기술 솔루션 기업인 보스턴 메탈(Boston Metal)이 시리즈 C 펀딩을 마감하고 총 2억6200만 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했다고 발표했다. 신규 투자자로는 아람코(Aramco)의 기업 벤처 부문인 아람코 벤처스(Aramco Ventures) 글로벌 투자 운용사 M&G 인베스트먼트(M&G Investments) 천연자원 투자 회사 괴링 앤 로젠츠바이크(Goehring & Rozencwajg) 투자 관리 회사 베일리 기포드(Baillie Gifford) 등이 있다. 기존 투자자인 브레이크스루 에너지 벤처스(Breakthrough Energy Ventures)도 이번 라운드에 참여했으며 마이크로소프트의 기후 혁신 펀드(Climate Innovation Fund) BHP 벤처스(BHP Ventures) 프렐류드 벤처스(Prelude Ventures) 등 여러 투자자가 시리즈 C에 추가로 투자했다.||||아르셀로미탈(ArcelorMittal S.A.) 마이크로소프트의 기후 혁신 펀드 사이트그라운드 캐피털(SiteGround Capital) 및 세계은행의 민간 부문인 IFC가 참여했던 올해 초 발표된 초기 시리즈 C 펀딩의 모멘텀을 바탕으로 보스턴 메탈은 고부가가치 금속 사업 구축을 가속하고 팀을 전 세계적으로 성장시키며 탈탄소 제강(steelmaking)을 위한 용융 산화물 전기분해(MOE) 플랫폼을 상업적으로 시연할 계획이다.||||브레이크스루 에너지 벤처스의 카마이클 로버츠(Carmichael Roberts)는 “보스턴 메탈은 대규모로 제강을 탈탄소화할 잠재력을 가진 MOE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의 성숙에 있어 놀라운 진전을 이룬 동시에 금속 산업에 상당한 가치와 지속 가능성 이점을 제공해 왔다”며 “세계에서 가장 시급한 기후 문제 해결을 지원하는 영향력이 큰 기술의 모범이기 때문에 이 회사에 대한 투자를 계속하게 돼 자랑스럽다”고 밝혔다.||||아람코 벤처스의 북미 담당 전무인 짐 슬레직(Jim Sledzik)은 “보스턴 메탈에 대한 이번 투자는 기후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혁신과 협력을 육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보스턴 메탈과 같은 친환경 철강 솔루션은 가장 감축이 어려운 산업에서 배출가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으며 이 회사가 이러한 기회를 충족하는 데 필요한 리더십 기술 전략을 갖췄다고 믿는다”고 말했다.||||M&G 인베스트먼트 미주 카탈리스트 책임자인 티에리 마송(Thierry Masson)은 “보스턴 메탈은 제강 및 금속 산업의 탈탄소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보스턴 메탈의 MOE 기술과 숙련된 리더십 팀의 결합으로 전 세계적으로 탄소 배출을 줄이기 어려운 산업에서 배출량을 감축할 중요한 기회를 맞이했다. 이는 우리가 보다 지속 가능한 세상에서 살아가는 데 이바지할 잠재력을 가진 기후 기술 기업의 모범이다”고 말했다.||||금속 및 광업 부문은 보다 지속 가능한 생산 방식으로 전환하는 동시에 효율성과 수익성을 향상해야 한다는 상당한 압박을 받고 있다. 보스턴 메탈은 전기를 사용해 다양한 원료 공급의 금속과 합금을 생산하는 확장 가능한 기술 플랫폼을 개발 중이다. 이 회사의 용융 산화물 전기분해 공정은 기존 방식보다 간단하고 에너지 효율이 높으며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 고부가가치 금속 비즈니스를 보유한 보스턴 메탈은 현재 폐기물로 간주되는 복잡한 저농도 물질에서 고부가가치 금속을 추출하는 MOE를 배포해 광산 기업들이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 회사의 저탄소 배출 강철 기술은 MOE 공정과 재생 가능한 전기를 사용해 오늘날 전 세계 CO2 배출량의 약 10%를 차지하는 제강 공정에서 범위 1 및 2 탄소 배출을 제거한다. 많은 친환경 철강 솔루션이 희소한 고급 철광석에 의존하는 반면 MOE 기술은 보다 풍부한 중저급 철광석에서 고품질의 액체 강철을 생산할 수 있다.||||보스턴 메탈의 회장 겸 최고경영자인 타데우 카르네이로(Tadeu Carneiro)는 “보스턴 메탈이 사모펀드 벤처 캐피털 기관 투자자 전략적 투자자에 걸친 다양한 출처로부터 자본을 조달하는 데 성공한 것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철강 및 금속 생산을 혁신하는 보스턴 메탈의 능력에 대한 확고한 신뢰를 보여준다”면서 “고부가가치 금속 사업의 상용화가 임박해 브라질 자회사의 제조 시설이 올가을에 문을 열며 보스턴 외곽의 시범 공장에서 친환경 철강 생산을 위한 MOE의 스케일업에 상당한 진전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보스턴 메탈은 2024년에 첫 번째 고부가가치 금속을 출하할 예정이며 2026년까지 철강 시장에 MOE를 도입해 업계가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한다.||||보스턴 메탈 소개||||보스턴 메탈은 제강을 탈탄소화하고 금속 제조 방식을 혁신하기 위해 전기로 구동되는 톤급 금속 기술 플랫폼인 용융 산화물 전기분해(MOE)를 상용화하고 있다. MOE는 금속 산업에 다양한 공급 원료 및 철광석 등급에서 철강 및 고가치 금속을 생산하기 위한 확장 가능하고 비용 효율적이고 저렴하며 친환경 솔루션을 제공한다. 비전 있는 투자자들의 지원을 받고 세계적 수준의 팀이 이끄는 보스턴 메탈은 매사추세츠주 워번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브라질에 전액 출자 자회사를 두고 있다. 웹사이트: www.bostonmetal.com||||본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웹사이트: https://www.bostonmetal.com/|| 이 보도자료의 영어판 보기||||연락처||미디어 ||보스턴 메탈(Boston Metal) 홍보대행 ||안테나 그룹(Antenna Group)||애니카 하퍼(Annika Harper)||bostonmetal@antennagroup.com||||브라질 미디어 문의||J.D. 바이탈(J.D. Vital)||jvital@bostonmetal.com||||||이 보도자료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뉴스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Boston Metal||||||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화학||투자||해외
Thu, 07 Sep 2023 10:10:00 +0900
-
아세아제지, 환경경영시스템 ‘ISO 14001’ 인증 획득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06일 -- 아세아제지는 골판지원지 석고원지의 설계 개발 생산 단계의 환경경영체계 구축에 대한 노력을 인정받아 국제 환경경영시스템 인증인 ‘ISO 14001’ 인증을 획득했다고 9월 6일 밝혔다.||||ISO 14001은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제정한 환경경영시스템에 관한 국제표준으로 환경경영을 기업의 중요 방침으로 삼고 환경을 위한 구체적인 목표 및 달성계획을 체계적으로 추진하는 기업에게 주어진다.||||특히 기업이 ISO 14001 인증을 획득한다는 것은 환경경영을 위한 구체적인 목표를 정하고 인적·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체제를 갖추며 지속적인 환경개선을 이뤄나가는 시스템을 확립했다는 것을 의미한다.||||아세아제지는 ISO 14001 인증 획득을 위해 6월부터 문서심사와 현장심사 검증 심의 등 절차를 거쳐 이번에 최종 인증을 받았다.||||ISO 14001 인증 획득을 시작으로 사회 전반에 미치는 환경 영향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시스템을 더욱 고도화해 폐기물 및 에너지 소비 최소화 환경사고 사전 예방 및 환경법규 준수 환경성과의 지속적 개선을 통한 환경 문제점 해결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국내 산업용지 1등 기업인 아세아제지가 주주 고객과 협력사 지역사회 등 모든 이해관계자와 함께하는 지속 가능한 미래에 기여하기위해 경영전략의 대전환을 예고했다.||||아세아제지는 그동안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이어왔지만 2023년을 기점으로 대대적인 ESG 경영의 변환을 모색하겠다는 설명이다.||||현재 아세아제지는 자원 순환성 확대를 통해 제품 품질과 환경성을 높여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향후 △친환경 제품 개발 △친환경 포장재 개발 △환경설비투자 확대 등으로 ESG 경영을 강화해 환경 개선에 이바지할 계획이다.||||||웹사이트: http://kor.asiapaper.co.kr||||||||연락처||아세아제지||기획관리팀||김조훈 부장 ||02-527-6882||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뉴스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아세아제지||||||배포 분야||||산업||제지/포장||에너지/환경||친환경 기술||수상/선정||서울
Wed, 06 Sep 2023 17:44:04 +0900
-
한화시스템, MSPO 2023서 저궤도 통신위성 활용한 ‘다계층·초연결 네트워크 솔루션’ 제시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06일 -- 한화시스템은 9월 5일부터 8일까지 폴란드 키엘체에서 개최되는 ‘폴란드 국제방산전시회(MSPO 2023)’에 참가해 무인·위성 등 첨단 기술력을 선보이며 폴란드 및 유럽 시장 수출 판로 개척에 나선다.||||◇ 저궤도 통신위성 활용한 다계층·초연결 네트워크 솔루션 제시… 우주 분야의 판을 바꿀 ‘초소형 SAR위성’까지 선보여||||한화시스템은 민간 저궤도 위성을 활용해 군 네트워크를 확보하는 ‘상용 저궤도 위성 기반 통신체계’ 사업 참여를 추진 중이며 이를 통해 전시(戰時) 및 재난과 같은 긴급 상황에서도 끊김없이 원활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계층·초연결 네트워크 솔루션을 구축해나갈 계획이다.||||· 초소형 SAR위성||||저궤도 통신위성과 함께 선보이는 초소형 SAR위성은 레이다를 활용해 악천후에도 선명한 관측이 가능하고 군집 운용 시 준 실시간 급으로 감시·정찰할 수 있어 우주 분야의 판을 바꿀 게임체인저로 떠오르고 있다.||||· 지뢰탐지기||||한화시스템의 수출형 모델 지뢰탐지기 ‘네버마인(NeverMine)’은 기존 국내용 지뢰탐지기 대비 경량화 및 인체공학적 디자인이 반영된 모델로서 지표투과 레이다(GPR·Ground Penetrating Radar)와 금속탐지기(MD·Metal Detector) 복합 센서를 통해 기존 지뢰탐지기로는 찾아내지 못했던 목함 및 발목 지뢰 등 비금속 지뢰까지 탐지 가능하다. 또한 수중 탐지는 물론 탐지된 지뢰를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어 탐지율은 월등히 높아지고 오경보율은 저하되는 등 탐지 성능이 획기적으로 향상됐다.||||· 해양 무인체계 - 자율무인잠수정||||한화시스템은 해저 지형을 정밀하게 파악하는 ‘합성개구소나(SAS) 자율무인잠수정(AUV)’과 뿌연 바닷속에서도 3차원 지형을 그릴 수 있는 ‘측면주사소나(SSS) 자율무인잠수정’도 전시한다. 군집으로 운용되는 자율무인잠수정은 무인수상정과 연계해 임무 정보·수중 획득 정보를 실시간 전송·통합 관제해 수색 및 감시정찰 능력을 입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다양한 임무 수행을 기대할 수 있다.||* 합성개구면소나(Synthetic Aperture Sonar): 소나가 이동하며 수신하는 신호를 합성하여 수중 영상을 획득할 수 있음||* 측면주사소나 (Side Scan Sonar): 수중환경에서 영상을 취득하기 위한 장비 중 하나로서 넓은 영역 탐지 가능||||||웹사이트: https://www.hanwhasystems.com/kr/index.d...||||||||연락처||한화시스템||커뮤니케이션팀||김수진 과장||02-729-2141||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뉴스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한화시스템||||||배포 분야||||산업||항공/무기||전시/출품||서울||MSPO 2023
Wed, 06 Sep 2023 16:58:07 +0900
-
오티스, 사회공헌 프로그램 ‘메이드 투 무브 커뮤니티’ 본격 전개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06일 -- 오티스가 글로벌 사회공헌 프로그램 ‘메이드 투 무브 커뮤니티(Made to Move CommunitiesTM)’의 네 번째 활동을 전개한다. 이번 활동에서는 ‘녹지 공간에 대한 접근성 개선’이라는 주제를 채택해 전 세계 공중보건 및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을 환기할 것으로 기대된다.||||‘메이드 투 무브 커뮤니티’는 학생들이 오티스 멘토와 함께 STEM(과학·기술·공학·수학)에 기반해 사회 문제에 대한 이동성 솔루션을 개발하는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매년 8주에 걸쳐 진행되며 올해는 18개 국가에서 250명 이상의 학생이 참여할 예정이다.||||이번 ‘메이드 투 무브 커뮤니티’의 주제는 도시화 속 녹지 공간의 중요성에 대한 깊은 공감에서 출발한다. 전 세계 인구의 50% 이상이 도시에 거주하며 2050년까지 그 수가 약 7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사람들의 건강과 복지를 위해 녹지를 보존하고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본 것이다.||||이에 각국의 참가 학생들은 오티스 멘토와 팀을 이뤄 8주간 누구나 인근 녹지 공간으로 안전하게 이동할 방법을 고안한다. 물리적 지리적 사회경제적 제약을 허물고 모든 사람이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 데에 기여하겠다는 취지다.||||프로그램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 각 팀은 아이디어 제안서를 글로벌 심사위원단에 발표하고 심사위원단은 기준에 따른 장학금을 참가 학교에 지급한다. 이 장학금은 해당 학교의 STEM 교육 증진을 위해 사용된다.||||오티스 부사장 겸 커뮤니케이션 최고 책임자 Randi Tanguay는 ‘메이드 투 무브 커뮤니티’의 의의에 대해 “오티스의 소명은 사람들의 연결과 도시의 번영을 도와 더 크고 빠른 세상을 만드는 것이다. 젊은 인재들이 오티스 멘토의 지원을 받아 혁신적인 솔루션을 설계하고 지역사회의 건강과 복지 증진에 이바지하길 바란다”고 밝혔다.||||오티스는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 제조 설치 서비스 분야의 세계적인 선도기업이다. 매일 20억명의 사람들을 이동시키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약 220만대의 고객 승강기를 유지·관리하고 있다. 이는 업계 최대의 서비스 포트폴리오 규모다. 본사는 미국 코네티컷주에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4만1000명의 현장 엔지니어를 포함한 6만9000여명의 직원이 근무 중이다. 이들은 200개 이상의 국가 및 지역에서 최선을 다해 고객과 승객들의 원활한 이동을 지원하고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웹사이트 오티스 소셜미디어 채널 Naver Blog LinkedIn Instagram Facebook Twitter @OtisElevatorCo. 계정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웹사이트: https://www.otis.com/ko/kr/||||||||연락처||오티스 엘리베이터||홍보팀||심언경 과장||02-6007-3083||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뉴스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오티스 엘리베이터 코리아||||||배포 분야||||산업||기계/플랜트||사회공헌||서울
Wed, 06 Sep 2023 15:41:52 +0900
-
퀸투스 테크놀로지, HIP Seminar Korea 2023 성료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06일 -- 글로벌 1등 고압 시스템 공급 전문 기업 퀸투스 테크놀로지(Quintus Technologies)와 설계부터 제작 후공정 품질 검증까지 모든 제조 솔루션을 보유한 전문 기업 씨이피테크(CEP TECH)는 8월 31일 경남테크노파크 항공우주센터 국제회의실에서 금속 소재 산업 관계자 8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HIP Seminar Korea 2023’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HIP Seminar Korea 2023은 한국에서의 첫 HIP(Hot Isostatic Pressing) 기술 관련 단독 행사로 산·학·연·관 관계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행사에는 퀸투스 테크놀로지의 마티아스 잉그룬드(Mathias Englund) 한국 지사장 앤더스 마그누손(Anders Magnusson) 비지니스 디벨롭먼트 매니저 마커스 칼손(Marcus Karlsson) 일본 지사장 전주현 세일즈 매니저와 씨이피테크의 임수창 대표가 연사로 나섰다.||||퀸투스 테크놀로지 연사들은 △HIP 관련 글로벌 시장의 동향 및 전망 △최신 HIP 기술인 URC(Uniform Rapid Cooling) URQ(Uniform Rapid Quenching) Steered Cooling Purus HPHT(High Pressure Heat Treatment) 소개 △HIP/HPHT 기술 활용으로 소재의 가능성 확장 △항공우주 산업에서의 HIP/HPHT 활용 사례 △그 외 산업에서의 HIP/HPHT 활용 사례를 소개했고 씨이피테크 임수창 대표는 퀸투스 HIP 장비 설치 배경과 향후 운용 계획을 소개했다.||||또한 퀸투스 테크놀로지 연사들은 NASA Boeing Honeywell BEAMIT Group VELO 3D VAST Launcher REM GKN EPRI Zeda 등 글로벌 기업에서의 HIP/HPHT 기술 활용 및 실제 사례를 공유했다.||||이 밖에도 경남테크노파크 항공우주센터에 설치된 퀸투스 HIP 장비(QIH 32)를 참석자에게 소개할 수 있는 시간이 마련됐으며 참석자들은 장비 시연 및 설명을 직접 경험할 수 있었다.||||퀸투스 테크놀로지 마티아스 잉그룬드 한국 지사장은 “HIP 기술은 한국 시장에서 아직 많은 적용이 되지 않았지만 전 세계적으로 더 우수하고 신뢰성 높은 소재를 요구하는 시장의 요구 상황에 따라 한국 HIP 관련 시장의 큰 성장을 기대한다”며 “이번 행사가 한국의 금속 소재 산업 관계자들에게 HIP 기술에 관한 새롭고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장이 됐기를 바란다”고 말했다.||||설계부터 제작 후공정 품질 검증까지 모든 제조 솔루션을 보유한 전문 기업 씨이피테크(CEP TECH)는 이번 세미나를 시작으로 HIP 서비스를 전문으로 제공한다. 이에 대한 서비스 문의는 씨이피테크 홈페이지 또는 전화를 통해 가능하다.||||퀸투스 테크놀로지 소개||||퀸투스 테크놀로지(Quintus Technologies)는 첨단 소재의 고밀화 판금 성형 고압 가공(식음료의 혁신 안정성 저장수명 증가) 등 세 개 주요 분야에서 High Pressure 시스템을 설계 제조 설치 및 지원하는 글로벌 1등 기업이다. 제품군은 HIP(Hot Isostatic Pressing) WIP(Warm Isostatic Pressing) CIP(Cold Isostatic Pressing) QFC(Fluid Cell Flexform) HPP(High Pressure Processing)가 있다.||||||웹사이트: https://quintustechnologies.com/ko/||||||||연락처||퀸투스 테크놀로지 코리아||전주현 Sales Manager||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뉴스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퀸투스 테크놀로지||||||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항공/무기||행사||해외
Wed, 06 Sep 2023 11:40:01 +0900
-
텔레다인르크로이, 65GHz 12비트 오실로스코프 플랫폼 발표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06일 -- 텔레다인르크로이(지사장 이운재)는 6일 20~65GHz 대역폭을 제공하는 신제품 WaveMaster® 8000HD를 발표했다.||||신제품 WaveMaster® 8000HD 고대역폭 고화질 오실로스코프(HDO®) 플랫폼 오실로스코프는 12비트 해상도 최대 320GS/s의 샘플 속도 및 업계 최고 수준의 8Gpts(기가 포인트)의 수집 메모리를 갖추고 있다. WaveMaster 8000HD는 차세대 시리얼 데이터 기술 테스트에 필요한 새로운 SDA Expert 시리얼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옵션을 추가해 검증 및 디버그면에서 이전 제품과 비교할 수 없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시리얼 데이터 기술의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PCI Express® (PCIe®) 6.0은 초당 64기가(GT/s)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며 USB4® Specification v2.0은 초당 80기가비트(Gbps)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이 두 가지 인터페이스의 새로운 버전에서는 다중 레벨 펄스 진폭 변조(PAM) 신호를 사용한다. 속도 증가와 다중 레벨 신호 방식을 적용한 데이터 신호 측정에서는 높은 오실로스코프 대역폭과 높은 해상도가 모두 필요하다. 동적 링크 균등화 네고시에이션 트레이닝 및 핸드셰이킹 과정을 통해 최고 전송 속도를 설정·유지해야 하므로 시리얼 데이터 링크의 복잡성도 증가하고 있다. 이 과정 중 일부는 물리 계층 신호와 프로토콜 통신을 동시에 사용해 병렬 저속 시리얼 데이터 링크를 통해 수행된다.||||시리얼 데이터 기술의 진화는 더 높은 대역폭 해상도 및 메모리 요구||||신제품 WaveMaster8000HD시리즈 고대역폭 오실로스코프는 PCIe 6.0 및 USB4 Specification v2.0과 같은 차세대 시리얼 데이터 인터페이스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탁월한 성능을 제공한다. WaveMaster 8000HD는 이전 제품과 비교해 대역폭과 샘플 속도를 두 배 이상으로 증가시켰으며 경쟁 오실로스코프와 비교하면 4배 이상의 해상도와 획득 메모리를 제공한다. 최대 대역폭과 샘플 속도로 업계 최고 수준의 12비트 해상도와 최대 8Gpts의 수집 메모리를 제공한다. 12비트 해상도는 PAM3 방식을 사용하는 USB4 사양 v2.0과 PAM4 시그널링을 사용하는 PCIe 6.0 신호를 측정할 때 뛰어난 특성을 제공하며 8Gpts 메모리를 이용해 링크 협상 문제의 디버깅을 크게 향상시킨다.||||임베디드 시스템 디버깅을 지원하는 독점 기능들||||WaveMaster 8000HD는 또 복잡한 링크 및 고속 임베디드 시스템 디버깅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몇 가지 고유한 기능을 제공한다.||||WaveMaster 8000HD 사용자는 다음을 수행할 수 있다:||||· CrossSync™ PHY 교차 계층 분석을 사용해 WaveMaster 8000HD 오실로스코프의 기능과 Teledyne Lecroy PCIe 또는 USB 프로토콜 분석기 기능을 하나의 장비처럼 결합 고속 링크 동작에 대한 고유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텔레다인르크로이가 제공하는 거의 모든 50Ω 또는 1 MΩ 커플링 프로브(수동 프로브 및 전류 프로브 포함)를 사용해 저속 시리얼 데이터 사이드밴드 훈련 및 협상 링크 파워 레일 및 기타 관련 신호를 쉽게 캡처할 수 있다.||· 20개 이상의 저속 시리얼 트리거 및 디코더를 사용해 동일 오실로스코프에서 저속 및 고속 디버그를 더 쉽게 수행할 수 있다.||· WaveMaster 8000HD 오실로스코프에 내장된 최대 500MHz 클럭 속도의 디지털 로직(혼합 신호) 입력으로 디지털 신호를 캡처할 수 있으며 HDA125 고속 디지털 분석기를 추가해 최대 6Gb/s의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수집할 수 있다. 특히 DDR 디버그 및 컴플라이언스 테스트의 일부로 DDR 메모리 신호 포착 디코딩 및 읽기/쓰기 분리에 유용하다.||· 최대 8Gpts의 수집 메모리를 사용해 링크 오류를 예외적으로 긴 시간 동안 관찰하고 디버깅할 수 있다.||||특성화 및 컴플라이언스를 위한 포괄적인 시리얼 데이터 전문 지식||||또 새로운 WaveMaster 8000HD 오실로스코프는 차세대 시리얼 데이터 기술 특성화 및 컴플라이언스 검증에 필요한 포괄적이고 전문적인 분석법을 제공한다. 새로운 SDA Expert 소프트웨어 옵션은 PCIe USB DisplayPort™ 용 간소화된 전용 분석 메뉴는 물론 PAM 및 NRZ (Non-Return to Zero) 신호의 아이다이어그램 지터 및 링크 분석 도구 등 간단하고 강력한 전용 분석 방법을 제공한다. QualiPHY® 테스트 패키지는 복잡한 고속 시리얼 데이터 인터페이스 테스트의 컴플라이언스 테스트를 간단하게 자동 측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텔레다인르크로이가 제공하는 시리얼 데이터 테스트 기능은 PCIe 6.0 USB4 USB4 사양 v2.0 및 DisplayPort over USB-C®와 같은 차세대 인터페이스 측정에 특히 유용하다.||||텔레다인르크로이 오실로스코프로 업계 혁신 실현||||마벨의 시스템 엔지니어링 부사장 비벡 칸조드(Vivek Khanzode)는 “텔레다인르크로이 고대역폭 오실로스코프 및 컴플라이언스 툴은 차세대 제품 개발 과정에서 시리얼 인터페이스 테스트에 결정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며 “오실로스코프와 텔레다인르크로이 프로토콜 분석기를 연결하는 기능은 상호 운용성 문제의 근본 원인을 빠르게 분석해 신뢰성 향상 및 출시 기간 단축에 매우 유용하다”고 말했다.||||인텔의 기술 이니셔티브 부문 책임자 짐 파파스(Jim Pappas)는 “인공지능(AI) 고성능 컴퓨팅 및 유비쿼터스 컴퓨팅 분야가 속도가 빠르고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PCI Express 6.0 및 USB4 Specification v2.0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적용해 전례 없는 산업용 I/O 요구 사항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며 “텔레다인르크로이사 제공하는 솔루션은 이런 시장에서 발생하는 급속한 혁신을 촉진하는 생태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텔레다인르크로이코리아 소개||||텔레다인르크로이(Teledyne LeCroy)는 오실로스코프 시리얼 데이터 분석기 프로토콜 분석기의 리더로서 복잡한 전자 신호에 대한 빠른 측정과 분석 검증을 제공함으로써 제품 혁신을 끌어내는 기기를 개발한다. 2012년 4월 65GHz 대역의 LabMaster 10Zi 오실로스코프를 출시하면서 최고의 기술력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텔레다인르크로이의 광범위한 테스트 솔루션은 컴퓨터·반도체·소비 가전 데이터 스토리지 차량·산업용 군사·항공 우주 분야에 적용되며 ‘WaveShape 분석’의 창시자이자 리더로서 오늘날 정보통신 산업에 기여했다. 텔레다인르크로이는 미국 뉴욕 체스트넛 리지에 본사가 있고 1964년 설립됐다. 한국 지사인 텔레다인르크로이코리아는 1998년 설립됐다. 홈페이지에서 더 자세한 정보를 볼 수 있다.||||WaveMaster 8000HD: https://www.teledynelecroy.com/oscilloscope/wavema...||웹사이트: http://www.teledynelecroy.com/korea||||||||연락처||텔레다인르크로이코리아 ||마케팅팀||성은숙 차장||02-558-8833||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뉴스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텔레다인르크로이코리아||||||배포 분야||||IT||주변기기||산업||로봇/제어계측||신상품||서울
Wed, 06 Sep 2023 11:21:55 +0900
-
효성티앤씨, 블랙야크와 손잡고 자원선순환 나선다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06일 -- 효성티앤씨와 비와이엔블랙야크가 5일 블랙야크 본사에서 환경보호 실천을 위한 ‘무색 폐페트병 자원선순환 시스템 확대 업무협약식’을 가졌다.||||효성티앤씨는 폐페트병을 재활용한 폴리에스터 섬유의 개발과 생산을 맡고 블랙야크는 이를 활용한 업사이클 제품 제작을 확대할 방침이다.||||양사의 협업으로 제작되는 ‘리젠위드블랙야크(regen with blackyak)’ 섬유는 블랙야크와 자원순환 파트너십을 맺은 여러 지자체와 기업이 분리 배출한 페트병을 수거해 세척 후 잘게 쪼개 전달하고 효성티앤씨가 이를 다시 녹여 섬유로 뽑아내는 과정을 통해 제작된다.||||리젠위드블랙야크는 블랙야크의 가볍고 편안한 특성을 가진 티셔츠 및 팬츠 제품에 적용된다. 리젠위드블랙야크는 원료부터 최종 제품까지 국산 원료로 국내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진행하며 국내 리사이클 시장을 선도한다는 계획이다.||||효성티앤씨는 리젠위드블랙야크에 세균저항기능을 부여해 세균저항기능사로도 제작할 예정이다. 효성티앤씨가 생산하는 세균저항기능성 섬유는 ‘안심주머니’ 원단 용도로 사용돼 세균으로부터 고객을 보호할 수 있다.||||블랙야크 의류에 달리는 모든 주머니 원단은 손이 자주 닿는 주머니의 특성을 고려해 세균저항기능사가 적용된 원단을 사용하고 안심주머니라는 태그가 달려 출시되고 있다.||||효성티앤씨는 리젠 등 리사이클 섬유를 시작으로 바이오 섬유 및 생분해 섬유까지 친환경 섬유와 패션 분야로 비즈니스를 혁신해 나가고 있다. 블랙야크는 산악인 등 전문가와 협력해 쌓은 노하우를 아웃도어 환경에서 자연과 사람을 모두 보호할 수 있는 기능성 의류와 용품에 적용하는 등 신사업 영역을 다각화하고 있다.||||김치형 대표는 “효성티앤씨는 리젠 마이판리젠 등 국내외 글로벌 친환경 섬유 트렌드를 이끌고 있다”며 “이번 리젠위드블랙야크는 친환경뿐만 아니라 기능성 측면에서도 고객의 목소리를 반영한 것으로 앞으로 고부가가치 기능성 섬유 시장에서도 친환경 섬유의 비중을 크게 늘려 글로벌 시장 확대에 주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웹사이트: http://www.hyosungtnc.com||||||||연락처||효성||구태우 프로||02-707-7674||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뉴스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효성티앤씨||||||배포 분야||||산업||소재/금속||화학||제휴||서울
Wed, 06 Sep 2023 11:13:18 +0900
-
한국요꼬가와, ISEC 2023에서 OT 보안 강화를 위한 솔루션 소개 예정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09월 06일 -- 한국요꼬가와전기는 9월 19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ISEC2023(제17회 국제 시큐리티 콘퍼런스)에 참여해 OT 보안 강화를 위한 솔루션을 소개할 예정이다. 또 둘째 날인 20일 5시부터는 사이버 보안 전문가 이은천 부서장이 ‘산업 표준에 근거한 Yokogawa의 OT 보안 전략’에 대해서 발표 세션도 진행한다. ||||사이버 보안은 전통적으로 IT 영역이 주였으나 디지털 전환(DX)의 흐름에 따라 OT/IT 융합이 가속하고 점점 증가하는 보안 위협에서 시스템을 보호하며 안전과 효율성 측면에서 생산 효율성을 최적화하는 보안 솔루션에 대한 요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맞춰 요꼬가와도 OT/IT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 전개하고 있다. ||||특히 요꼬가와는 전문 영역인 고객의 안전한 공장 운영을 위해 산업 표준을 완벽히 준수하는 OT 사이버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사이버 위협으로 공장의 예상치 못한 가동 중단을 예방할 수 있는 솔루션들을 소개할 예정이다.||||먼저 위험성 평가 서비스인 TSRA (Technical Security Risk Assessment)는 IEC 62443에 기반해 현재 자산을 시각화하고 보안 위험을 평가 보안 수준 향상을 위한 사이버 보안 정책 및 투자 계획 수립해 조직의 OT 보안 수준 향상은 물론 투자 관점에서 중요한 요소인 위험과 비용 대비 최적의 솔루션을 소개한다.||||두 번째로 IT/OT SOC 보안 센터는 매일 발생하는 사이버 위협에 대응해 신속함은 물론 확장성이 확보된 통합 차세대 보안 정보 및 이벤트 관리 솔루션(SIEM)를 사용하는 사이버 보안 모니터링 서비스다. 다양한 CTI 및 ML 도구를 사용해 고객의 IT/OT 장치에서 이벤트 로그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해 사이버 공격 무단 액세스 및 악성 코드 침투를 감지한다. 전시회 당일 현장 부스에서 데모를 체험할 수 있다. 또 OT 현장 자산에 대한 원격 모니터링 및 유지 관리를 지원하는 솔루션인 OpreX™ Managed Service도 공개한다.||||요꼬가와의 사이버 보안 전문가 이은천 부서장은 “산업 표준 전문가로 인증된 요꼬가와의 컨설턴트들이 직접 현재 고객사의 OT 보안 위험성 평가하고 사후 서비스까지 직접 제공하기에 믿고 맡길 수 있는 OT 보안 강화 여정의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의 및 상담은 콘퍼런스 기간 내 코엑스 C홀 D09 부스에서 상시 진행한다.||||한국요꼬가와전기 소개||||한국요꼬가와전기는 전 세계 61개국에 122개 해외 거점을 가진 세계 굴지의 계장 톱 메이커(Top-Maker) 요꼬가와(Yokogawa)가 100% 투자한 회사다. 1978년 설립된 이래 ‘계측 제어 정보 서비스를 통한 더 풍요로운 사회 발전에 공헌’을 기업 이념으로 공업 계측 및 계장 기기 분야에서 국내 기간 산업 발전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 온 선도적 위치에 있는 전문 기업이다.||||TSRA: https://www.yokogawa.com/kr/library/documents-down...IT/OT SOC 보안 센터: https://www.yokogawa.com/kr/solutions/solutions/pl...OpreX Managed Service: https://www.yokogawa.com/kr/solutions/products-and...ISEC 발표세션 안내: https://www.isecconference.org/kor/speaker_view.ht...||웹사이트: http://www.yokogawa.com/kr||||||||연락처||한국요꼬가와전기||Corporate Marketing팀 ||신미경 과장||02-2628-6448||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뉴스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뉴스 제공한국요꼬가와전기||||||배포 분야||||IT||보안||산업||기계/플랜트||전시/출품||서울||제17회 국제 시큐리티...
Wed, 06 Sep 2023 10:35:00 +0900
-
현대로템, 제31회 폴란드 국제 방산 전시회 참